KR20110006575U -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575U
KR20110006575U KR2020090016757U KR20090016757U KR20110006575U KR 20110006575 U KR20110006575 U KR 20110006575U KR 2020090016757 U KR2020090016757 U KR 2020090016757U KR 20090016757 U KR20090016757 U KR 20090016757U KR 20110006575 U KR20110006575 U KR 201100065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ft
support
stand
stacking box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원
Original Assignee
박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원 filed Critical 박종원
Priority to KR2020090016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575U/ko
Publication of KR201100065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5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8Uniting ornamental elements on a support, e.g. mosa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4Garlands; Assembly of garl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환의 분위기를 제공하면서도 실제의 화환 대신에 다양한 종류의 선물로 장식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골판지 혹은, 합지와 같은 종이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재료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다각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면에는 각종 선물이 얹히는 선물 적재용 박스;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의 후면에 위치된 상태로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며, 전면에는 각종 문양이나 문구 등이 인쇄됨과 더불어 화환용 리본 등의 장식물에 대한 설치가 이루어지는 평판형의 배너 스탠드; 상기 배너 스탠드를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와 배너 스탠드 및 결합부는 모두 골판지나 합지 등의 종이 재질을 접어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이 제공된다.
경조사, 장식 구조물, 선물, 종이, 배너 스탠드

Description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decoration structure for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본 고안은 화환의 분위기를 제공하면서도 실제의 화환 대신에 다양한 종류의 선물로 장식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골판지 혹은, 합지와 같은 종이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재료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환은 경조사시에 축하나 애도를 표시하기 위해 배달되는 장식 구조물로써 지게 형태의 지지대에 생화를 장식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한 지지대는 통상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꽃 장식을 위한 재료비 이외에도 상기한 지지대의 제조를 위한 추가적인 재료비의 요구로 인해 전체적인 화환의 단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특히, 상기한 화환은 통상 일회성 상품이기 때문에 해당 경조사가 끝난 후에는 쓰레기로 남게 되며, 지지대는 수거를 통해 재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 완료된 화환의 처리(예컨대, 쓰레기 배출 및 수거)를 위한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었고, 이러한 처리를 위한 시간이 소요가 발생되었던 문 제점을 가진다.
물론, 최근에는 생화로 이루어진 화환 대신 실생활에 필요한 물품(예컨대, 쌀이나 지역 특산품 등)으로 부조(扶助)를 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894222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10-890960호 등과 같이 생화로 이루어진 화환을 대체하는 장식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버려지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들도 장식 구조물의 외관을 이루는 몸체가 목재 구조물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 단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목재의 경우는 분리 수거가 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재사용을 위해 수거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수거 비용의 발생이 야기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화환의 분위기를 제공하면서도 실제의 화환 대신에 다양한 종류의 선물로 장식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골판지 혹은, 합지와 같은 종이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재료비의 절감 및 분리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에 따르면 다각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면에는 각종 선물이 얹히는 선물 적재용 박스;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의 후면에 위치된 상태로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며, 전면에는 각종 문양이나 문구 등이 인쇄됨과 더불어 화환용 리본 등의 장식물에 대한 설치가 이루어지는 평판형의 배너 스탠드; 상기 배너 스탠드를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와 배너 스탠드 및 결합부는 모두 골판지나 합지 등의 종이 재질을 접어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너 스탠드의 저면을 전방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며,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의 배면 하단측 부위에는 상기 결합부가 관통 결합되도록 절개된 절개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너 스탠드의 배면 하단측 부위와 밀착되는 받침단과, 상기 받 침단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받침단을 지면에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단으로 이루어진 스탠드 지지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스탠드 지지대는 골판지나 합지 등의 종이 재질을 접어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탠드 지지대의 저면을 전방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며,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의 배면 하단측 부위 및 이에 대응되는 배너 스탠드의 하단측 부위에는 상기 결합부가 관통 결합되도록 절개된 절개공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의 내부에는 골판지 및 합지 등의 종이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의 상면에 대한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지지부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면서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평판형 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각 지지대의 끝단들은 각각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 내의 서로 대응되는 모서리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각 지지대의 상면 및 저면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각각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의 상면 및 저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은 그 전체가 종이 재질로 형성됨을 고려할 때 수거 비용에 비해 제조단가가 싸기 때문에 별도로 수거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배출시 별도로 신고 및 비용 지불을 하여야 하는 나무 재질과는 달리 종이 재질은 단순히 분리해서 배출하면 되기 때문에 별도의 배출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다는 효과 역시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은 배너 스탠드를 이용하여 화환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음과 더불어 비싼 생화에 비해 실생활에 필요시되는 선물을 부조로 함으로써 실용적이라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고안의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은 크게 선물 적재용 박스(100)와, 배너 스탠드(20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한 각 구성들은 모두 골판지나 합지 등의 종이 재질을 접어서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는 부조를 대신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물품(예컨대, 쌀이나 지역 특산품 혹은, 화분 등)을 얹어 진열할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구성으로써, 다각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즉, 일정 높이의 박스체로 이루어진 선물 적재용 박스(100)에 선물이 얹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지면에 선물을 진열하는 것에 비해 우수한 심미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선물 적재용 박스(100)는 골판지나 합지 등의 종이 재질을 첨 부된 도 4와 같이 다단으로 접어서 박스 형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되며, 내부는 빈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의 내부가 빈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그 상면에 얹혀 진열되는 선물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에는 처짐 등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상기한 선물 적재용 박스(100)의 내부 공간 상에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의 상면에 대한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부(4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400)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의 복수의 평판형 지지대(41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평판형 지지대(410)의 중앙 부위에는 일부가 절개된 결합홈(411)이 형성되며, 상기 각 평판형 지지대(410)은 서로 간의 결합홈(411)이 형성된 부위를 교차시킴으로써 지지부(40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각 지지대(410)의 양 끝단들은 각각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 내의 서로 대응되는 모서리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각 지지대(410)의 상면 및 저면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각각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의 상면 및 저면에 밀착되는 밀착단(412)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지지부(400)는 최소한의 지지대(410)를 이용하여 최대한의 수직 하중에 대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물론, 상기한 지지부(400) 역시, 골판지나 합지 등의 종이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의 양 측면에는 운반의 편리성을 위한 손잡이홈(110)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는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이 설치되는 장소에서 조립 형성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한 손잡이홈(110)은 없더라도 상관은 없다.
또한, 상기한 선물 적재용 박스(100)는 종이 재질로 형성됨을 고려할 때 그의 외벽면에는 다양한 광고성 문구나, 안내성 문구 혹은, 이미지 등이 인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너 스탠드(200)는 기존 화환을 이루는 생화의 역할을 대신하는 디스플레이 부위로써, 평판형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의 후면에 위치된 상태로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한 배너 스탠드(200)는 그의 전면에 각종 문양이나 문구 등이 인쇄됨과 더불어 화환용 장식 리본(도시는 생략됨) 등의 장식물에 대한 설치가 이루어지는 배경용 장식물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배너 스탠드(200)를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에 결합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결합부(300)가 상기 배너 스탠드(200)의 저면을 전방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것이며, 이의 경우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의 배면 하단측 부위에는 상기 결합부(300)가 관통 결합되도록 절개공(1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상기 배너 스탠드(200)의 저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결합 부(300)는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의 절개공(120)에 관통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너 스탠드(200)가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결합부(300)의 구조는 선물 적재용 박스(100) 및 배너 스탠드(200)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짐을 고려하여 별도의 구조물로 제공되어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와 배너 스탠드(200) 간을 결합시키도록 한 것이 아니라 배너 스탠드(200)의 일부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단가의 저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부(300)의 구성일 경우 상기 배너 스탠드(200)는 그 전방으로의 넘어짐은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지만, 후방측으로의 넘어짐은 방지하기가 힘들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너 스탠드(200)가 후방으로 넘어짐을 방지하는 스탠드 지지대(5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한 스탠드 지지대(500)는 상기 배너 스탠드(200)의 배면 하단측 부위와 밀착되는 받침단(510)과, 상기 받침단(510)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받침단(510)을 지면에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단(520)으로 이루어지며, 여타의 구성들과 같이 골판지나 합지 등의 종이 재질로 형성된다.
즉, 상기한 스탠드 지지대(500)는 배너 스탠드(200) 및 선물 적재용 박스(100)와 별개로 제공되면서 상기 배너 스탠드(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스탠드 지지대(500)는 상기 배너 스탠드(200)의 하단 양 측면을 후방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의 경우 상기 절곡 부위의 크기가 전체 배너 스탠드(200)의 크기에 비해 극히 작다는 것을 고려할 때 배너 스탠드(200)의 제조시 상기 절곡 부위로 인해 잘려져 버려지는 부위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음에 따라 재료비의 낭비가 우려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포장시에도 상기한 절곡 부위의 폭만큼 포장 부피가 커지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최대한 버려지는 부위의 저감을 통한 제조 단가의 하락 및 포장 부피의 저감을 위해서는 상기 스탠드 지지대(200)가 실시예로 제시되는 바와 같이 별개로 제공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은 배송 부피를 줄이기 위해 모두 전개된 상태로 서로 겹쳐서 포장됨과 더불어 선물은 별도로 준비되어 배송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선물 적재용 박스(100)와, 지지부(400)와, 배너 스탠드(200) 및 스탠드 지지대(500)를 각각 준비한다.
이때,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 및 배너 스탠드(200)의 전면에는 각종 문양(예컨대, 화환과 같은 각종 꽃 문양 등)이나 문자 등이 인쇄된 상태이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준비된 각각의 구성들을 접거나 절곡시켜서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한다.
즉,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는 박스체 형태를 이루도록 각 부위를 절곡시키고, 상기 배너 스탠드(20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부(300)는 전방을 향해 절곡하며, 상기 스탠드 지지대(500)는 양측면을 이루는 지지단(520)을 후방으로 절곡하며, 지지부(400)를 이루는 각 지지대(500)는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함과 더불어 각각의 상면 및 저면을 절곡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너 스탠드(200)에는 미리 준비한 화환 장식용 리본(도시는 생략됨)으로 장식한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의 내부에 상기 지지부(400)를 수납하고, 상기 배너 스탠드(200)는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의 배면에 밀착한 상태로 세움과 더불어 상기 배너 스탠드(20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부(300)는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의 배면에 형성된 절개공(120)으로 관통시키며, 상기 스탠드 지지대(500)는 상기 배너 스탠드(200)의 배면 중 하단 중앙측 부위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배너 스탠드(200)와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 간의 대향면은 접착제 혹은,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스탠드 지지대(500)와 상기 배너 스탠드(200) 역시, 상호 간의 대향면을 접착제 혹은, 테이프로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의 조립이 완료되면 별도로 준비된 부조 대용 선물(예컨대, 쌀이나 화분 등)을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의 상면에 얹음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는 그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지지부(400)가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의 선물이 얹히는 상면을 받쳐주기 때문에 상기 선 물의 무게가 무겁다고 하더라도 상면의 처짐은 방지되며, 이로 인해 안정적인 선물의 안착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은 그 사용이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의 상면에 얹힌 선물은 수취인이 가져가면 되고, 나머지의 구성들은 각각 분해한 후 서로 겹쳐서 배출하면 된다.
이때, 상기한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은 그 전체가 종이 재질로 형성됨을 고려할 때 수거 비용에 비해 제조단가가 싸기 때문에 별도로 수거할 필요가 없다.
특히, 배출시 별도로 신고 및 비용 지불을 하여야 하는 나무 재질과는 달리 종이 재질은 단순히 분리해서 배출하면 되기 때문에 별도의 배출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 중 결합부(300)는 상기 배너 스탠드(200)의 저면을 절곡시켜서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즉, 첨부된 도 6 및 도 7과 같이 스탠드 지지대(500)의 저면을 전방으로 절곡시킴으로써 결합부(300)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100)의 배면 하단측 및 배너 스탠드(200)의 하단측 부위에는 상기 결합부(300)가 관통되도록 절개공(120)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각 구성 간을 접착제나 테이프로 부착하지 않더라도 서로 간은 안정적인 결합 상태로의 유지가 가능한 것이다.
이렇듯, 본 고안의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종이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수거가 필요치 않고, 특히 배너 스탠드(200)를 이용하여 화환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실용적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에 대한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에 대한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에 대한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중 선물 적재용 박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중 지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중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중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선물 적재용 박스 110. 손잡이홈
120. 절개공 200. 배너 스탠드
300. 결합부 400. 지지부
410. 평판형 지지대 411. 결합홈
412. 밀착단 500. 스탠드 지지대
510. 받침대 520. 지지단

Claims (6)

  1. 다각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면에는 각종 선물이 얹히는 선물 적재용 박스;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의 후면에 위치된 상태로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며, 전면에는 각종 문양이나 문구 등이 인쇄됨과 더불어 화환용 리본 등의 장식물에 대한 설치가 이루어지는 평판형의 배너 스탠드;
    상기 배너 스탠드를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와 배너 스탠드 및 결합부는 모두 골판지나 합지 등의 종이 재질을 접어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너 스탠드의 저면을 전방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며,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의 배면 하단측 부위에는 상기 결합부가 관통 결합되도록 절개된 절개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너 스탠드의 배면 하단측 부위와 밀착되는 받침단과, 상기 받침단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받침단을 지면에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단으로 이루어진 스탠드 지지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스탠드 지지대는 골판지나 합지 등의 종이 재질을 접어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탠드 지지대의 저면을 전방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며,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의 배면 하단측 부위 및 이에 대응되는 배너 스탠드의 하단측 부위에는 상기 결합부가 관통 결합되도록 절개된 절개공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의 내부에는
    골판지 및 합지 등의 종이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의 상면에 대한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종이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서로 간의 중앙 부위가 일부 절개되면서 상기 절개 부위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평판형 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각 지지대의 양 끝단들은 각각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 내의 서로 대응되는 모서리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각 지지대의 상면 및 저면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각각 상기 선물 적재용 박스의 상면 및 저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KR2020090016757U 2009-12-23 2009-12-23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KR201100065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757U KR20110006575U (ko) 2009-12-23 2009-12-23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757U KR20110006575U (ko) 2009-12-23 2009-12-23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75U true KR20110006575U (ko) 2011-06-29

Family

ID=4929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757U KR20110006575U (ko) 2009-12-23 2009-12-23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657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921B1 (ko) * 2011-08-25 2012-05-30 주식회사 비비컴퍼니 조립식 쌀 화환
KR200469541Y1 (ko) * 2011-10-14 2013-10-28 노한수 판지형 화환 거치대.
KR20150130890A (ko) * 2014-05-14 2015-11-24 손지훈 관광 조형물 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921B1 (ko) * 2011-08-25 2012-05-30 주식회사 비비컴퍼니 조립식 쌀 화환
KR200469541Y1 (ko) * 2011-10-14 2013-10-28 노한수 판지형 화환 거치대.
KR20150130890A (ko) * 2014-05-14 2015-11-24 손지훈 관광 조형물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090B1 (ko) 조립식 경조사용 쌀 화환
US20100006529A1 (en) Collapsiable merchandising display
US20070257093A1 (en) Foldable container
US101896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packaging cupcake bouquets for transport
MX2014011303A (es) Bandeja de exhibicion.
US20100006527A1 (en) Collapsible merchandising display
KR20110006575U (ko) 경조사용 장식 구조물
CN204169524U (zh) 折叠式纸质展示架
US20100051568A1 (en) Collapsible merchandising display
US20130319963A1 (en) Display and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KR101010327B1 (ko) 경량화된 경조사용 쌀 화환
JP2011000365A (ja) 組立式展示台
KR200455756Y1 (ko) 조립식 화환
CN204473591U (zh) 一种便于快递运输的植物包装盒
US20090199468A1 (en) Floral display unit and system
KR200452867Y1 (ko) 화환 받침대
JP2011000364A (ja) 組立式展示台
KR101208292B1 (ko) 쌀 화환
JP5332831B2 (ja) 紙製表示体
KR200420226Y1 (ko) 디스플레이용 쇼케이스
GB2385583A (en) Flower box
JP3162217U (ja) 輸送に適した形状可変式ディスプレイ箱
KR101239001B1 (ko) 포장 상품을 이용한 화환 장식 구조물
CN201094461Y (zh) 可以组合堆码的高强度展示托盘
JP3139623U (ja) 販売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