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151Y1 - 화환 장식구 - Google Patents

화환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151Y1
KR200170151Y1 KR2019990019509U KR19990019509U KR200170151Y1 KR 200170151 Y1 KR200170151 Y1 KR 200170151Y1 KR 2019990019509 U KR2019990019509 U KR 2019990019509U KR 19990019509 U KR19990019509 U KR 19990019509U KR 200170151 Y1 KR200170151 Y1 KR 200170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enter
folded
top plat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식
Original Assignee
김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식 filed Critical 김완식
Priority to KR2019990019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1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1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4Garlands; Assembly of garl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이 출원 고안은 상을 당했을 때에 빈소 또는 묘소 앞에 조화 또는 생화를 원하는 형태로 장식하여 필요한 위치에 세워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화환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것은 뚜껑을 접었을 때 뚜껑이 상자 옆쪽으로 너무 많이 돌출 되고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기 때문에 이동시키기에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 장식구는 후단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과 받침판 선단에 연결되어 조화 또는 생화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고 배면 상단에 결속부를 갖는 상판과 받침판과 상판 사이에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 절첩부를 구비하는 절첩판 및 절첩판 배면에 절첩 가능케 설치되고 끝단에는 필요에 따라 걸림부에 걸리는 제 1돌기부와 결속부에 결합되는 제 2돌기부를 구비하여 설치상태에서는 상판을 지지하여 받침대 역할을 하고 보관상태에서는 위쪽으로 접혀져 무게중심을 중앙쪽으로 이동시키고 제 2돌기부가 결속부에 결합되어 결속되는 향초보관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접은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중앙부근에 있게되어 포장하거나 포장한 상태에서 들고 다니기에 편하고, 또, 향초보관함이 받침대의 역할을 하므로 튼튼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환 장식구{A wreath implement for one's condolence}
이 출원 고안은 화환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을 당했을 때에 빈소 또는 묘소 앞에 조화, 도안화 또는 생화를 원하는 형태로 장식하여 필요한 위치에 세워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화환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궂은 일이 생겼을 경우 화환을 만들어 세워두는데, 통상 나무 등으로 다리를 만들고 그 상단에 소정의 재료를 이용해 조화나 생화를 부착해둘 수 있도록 해주는 꽃부착대를 설치하여 화환을 만들었다. 이러한 화환은 만들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하고 난 후 폐기처분 하기도 어렵다. 특히, 다리로는 목재를 사용하는데, 한번 사용하고 폐기처분 하는 것은 자원낭비이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화환 또는 화환 장식상자 등이 고안되어 출원된 바 있는데, 이는 실용신안공개번호 97-48780호, 96-33430호, 94-24701호, 실용신안공고번호 93-3778호, 97-279호, 87-188호, 96-10246호, 935-10262호 등의 공보에 자세히 게재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 1∼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화환 장식구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화환 장식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화환 장식구의 세워둔 상태에서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 화환 장식구의 접어둔 상태에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1∼도 3에는 종래의 화환 장식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환 장식구(10)는 상자(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자(12)는 양초(14)나 기타 필요한 물건을 담아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자(12)의 테두리에는 소정 길이의 장공(1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자(12) 위쪽으로 뚜껑(18)이 도시되어 있다. 이 뚜껑(18)은 상자(12)의 상부를 덮어주는 부분으로, 그 하단에는 여러 개의 지지편(19)이 아래쪽으로 돌출 되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편(19)은 장공(16)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절곡부(20)를 기준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뚜껑(18)의 위쪽 부분은 대략 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여기에 상판(22)이 부착되어 있다. 이 상판(22)에 조화(24)가 소정의 배열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조화(24) 대신에 생화를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뚜껑(18)의 뒷면에는 끼움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뚜껑(18)은 상단 부근에 조화(24)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길이를 가능한 한 크게 하여야 한다.
도 1∼도 3에는 한 쌍의 받침대(28)가 도시되어 있다. 이 받침대(28)는 장공(16)을 통해 상자(12)에 설치되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18)을 지지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즉, 조화(24) 등을 상판(22)에 부착한 상태에서 뚜껑(18)에 접착한 다음 돌출편(19)을 장공(16)에 삽입하여 뚜껑(18)을 소정 각도로 세워두고 또한 받침대(28)의 하단 역시 맞은편의 장공(16)에 삽입하고 그 상단은 끼움공(26)에 끼워두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화(24) 등이 부착된 뚜껑(18)을 소정 각도 경사지게 지지하여줄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양초(14)나 향 등은 상자(12)에 보관해두면 된다.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공(16)과 끼움공(26)에서 받침대(28)의 끝단을 각각 이탈시킨 다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12) 내부에 횡방향으로 넣어둔다. 이 상태에서 뚜껑(18)을 뒤쪽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종래의 화환 장식구(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접혀지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화환 장식구(10)를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켜 보관하거나 소각 등의 방법으로 폐기처분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화환 장식구(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18)을 접었을 때 뚜껑(18)이 상자(12) 옆쪽으로 너무 많이 돌출 되기 때문에 이동시키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 시에 공간도 많이 차지한다. 또한, 상자(12) 내부의 양초(14) 등으로 인하여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들고 다니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
이 출원 고안의 목적은 상판을 튼튼하게 받쳐줄 뿐만 아니라 접은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들고다니기에 편하고 또 포장하기에도 편한 화환 장식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화환 장식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화환 장식구의 세워둔 상태에서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 화환 장식구의 접어둔 상태에서의 측단면도,
도 4는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 장식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 장식구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 화환 장식구의 측면도,
도 7은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장식구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화환 장식구 105 : 조화
106 : 향로그림 110 : 절첩판
111 : 절첩부 112 : 받침판
113 : 걸림부 114 : 결합턱
116 : 상판 117 : 결속부
120 : 향초보관함 122 : 향
124 : 초 126 : 제 1돌기부
128 : 제 2돌기부
이 출원 고안의 목적은 조화, 도안화 또는 생화를 원하는 형태로 장식하여 필요한 위치에 세워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화환 장식구에 있어서, 후단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과 받침판 선단에 연결되어 조화, 도안화 또는 생화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고 배면 상단에 결속부를 갖는 상판과 받침판과 상판 사이에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 절첩부를 구비하는 절첩판 및 절첩판 배면에 절첩 가능케 설치되고 끝단에는 필요에 따라 걸림부에 걸리는 제 1돌기부와 결속부에 결합되는 제 2돌기부를 구비하여 설치상태에서는 받침판, 상판과 3각형을 이루며 상판을 지지하여 받침대 역할을 하고 보관상태에서는 위쪽으로 접혀져 무게중심을 중앙쪽으로 이동시키고 제 2돌기부가 결속부에 결합되어 결속되는 향초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환 장식구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출원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 장식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 장식구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 화환 장식구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 장식구(100)는 조화(105), 도안화 또는 생화를 원하는 형태로 장식하여 필요한 위치에 세워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으로, 절첩판(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절첩판(110)은 받침판(112)과 상판(116) 및 그 사이의 절첩부(111)로 이루어져 있다. 받침판(112)은 설치상태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그 후단에 구멍으로된 걸림부(113)와 걸림부(113)의 절취된 부분으로 이루어진 결합턱(1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판(112) 선단에 상판(116)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연결부위에는 절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판(116)은 조화(105), 도안화 또는 생화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으로 그 배면 상단에 결속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첩판(116)은 넓은 골판지 등을 소정 형태로 재단하여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지 결속부(117)만 별도로 제작하여 상판(116)의 상단 배면에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이 좋다. 또, 조화(105) 아래쪽으로는 향로 그림(106)을 표시하여 조의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디자인하면 더욱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장식구(100)는 받침대 역할을 하는 향초보관함(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향초보관함(120)은 이 출원 고안의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절첩판(110)의 일부를 이루는 상판(116) 배면에 절첩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향초보관함(120)은 향(122)과 초(124)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향(122), 초(124)를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에는 화환 장식구(100)를 설치할 때 받침판(112)의 걸림부(113)에 걸리는 제 1돌기부(126)와 접어서 보관할 때 상판(116)의 결속부(117)에 그 양측에서 결합되는 제 2돌기부(12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 장식구(100)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향초보관함(120)이 받침판(112) 및 상판(116)과 3각형을 이루면서 뒤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판(116)을 지지하여주는 받침대 역할을 한다. 이러한 향초보관함(120)은 접어서 보관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위쪽으로 접어서 그 표면이 상판(116)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제 2돌기부(128)를 결속부(117)에 결합하여 전체 무게중심이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받침판(112) 역시 상판(116) 배면에 접어두면 포장하거나 포장해서 이동시키기에 편하게 되는 데, 접은 상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장식구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 장식구(100)는 접어서 보관하거나 판매 등을 위하여 포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 상태에서 제 1돌기부(126)를 걸림부(113)에서 이탈시키고, 그 상태에서 향초보관함(120)을 위쪽으로 회동시켜 제 2돌기부(128)를 결속부(117)에 결합하면 향초보관함(120)은 상판(116)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다시 절첩부(111)를 기점으로 받침판(112)을 회동시켜 그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턱(114)을 향초보관함(12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26)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된다. 즉,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 장식구(1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어서 보관하거나 포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무거운 향초보관함(120)이 중앙부근에 위치하여 들고 다니기에 편하며 포장하기도 쉽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 장식구는 접은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중앙부근에 있게되어 포장하거나 포장한 상태에서 들고 다니기에 편하고, 또, 향초보관함(120)이 받침대의 역할을 하므로 튼튼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조화, 도안화 또는 생화를 원하는 형태로 장식하여 필요한 위치에 세워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화환 장식구에 있어서,
    후단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조화, 도안화 또는 생화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고 배면 상단에 결속부를 갖는 상판과 상기 받침판과 상판 사이에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 절첩부를 구비하는 절첩판; 및
    상기 절첩판 배면에 절첩 가능케 설치되고 끝단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제 1돌기부와 상기 결속부에 결합되는 제 2돌기부를 구비하여 설치상태에서는 상기 받침판, 상판과 3각형을 이루며 상기 상판을 지지하여 받침대 역할을 하고 보관상태에서는 위쪽으로 접혀져 무게중심을 중앙쪽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돌기부가 상기 결속부에 결합되어 결속되는 향초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환 장식구.
KR2019990019509U 1999-09-13 1999-09-13 화환 장식구 KR200170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509U KR200170151Y1 (ko) 1999-09-13 1999-09-13 화환 장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509U KR200170151Y1 (ko) 1999-09-13 1999-09-13 화환 장식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151Y1 true KR200170151Y1 (ko) 2000-02-15

Family

ID=1958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509U KR200170151Y1 (ko) 1999-09-13 1999-09-13 화환 장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1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15583S (en) Decorative tree light set
US4145731A (en) Simulated extendable and collapsible evergreen tree
US7445823B2 (en) Artificial tree
US6648283B2 (en) Adjustable ornament display apparatus
JP2000512157A (ja) 選択可能な表示挿入物を備えたフラワーコンテナ
US6546654B1 (en) Display stand
US5971172A (en) Folding artificial Christmas tree frame
KR200170151Y1 (ko) 화환 장식구
US6561464B2 (en) Stand for supporting bouquet holder
USD462031S1 (en) Three dimensional folding Christmas tree
KR200170152Y1 (ko) 화환 장식구
KR200214159Y1 (ko) 장식용 화환
KR19980019215U (ko) 화환장식구
USD456469S1 (en) Chair
JP3129424U (ja) 資源再利用可能な紙製花挿し
JP3042836U (ja) 物品支持台
JP3995234B2 (ja) 葬祭用供花用タオル保持器
USD415713S (en) Artificial Christmas tree incorporating illuminated optical fiber sprays
KR200212044Y1 (ko) 장제용 화환
JP3073175U (ja) 化粧板付線香立て
JP3019176U (ja) 盛り籠の飾灯
KR200196138Y1 (ko) 기도 용구 세트
USD402831S (en) Table base
JP3024553U (ja) 装飾灯付盛り籠
US20050183867A1 (en) Concealing fire extinguisher stor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