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193Y1 - 모래부대 - Google Patents

모래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193Y1
KR200469193Y1 KR2020110007619U KR20110007619U KR200469193Y1 KR 200469193 Y1 KR200469193 Y1 KR 200469193Y1 KR 2020110007619 U KR2020110007619 U KR 2020110007619U KR 20110007619 U KR20110007619 U KR 20110007619U KR 200469193 Y1 KR200469193 Y1 KR 200469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and bag
sand
sides
upp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542U (ko
Inventor
친-펭 왕
Original Assignee
골드-조인트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골드-조인트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골드-조인트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015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1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모래부대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지고, 일체형이고, 짜여진 것으로 되어 있으며, 속이 비고 그리고 길게 된 요소로 되어 있으며, 상부 천, 하부 천, 두 개의 측면 보강용 스트립, 채워넣는 공간 그리고 입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천은 상부 천과 함께 짜여져 있다. 측면 보강용 스트립은 모래부대의 두 개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부 천과 하부 천의 긴 면이 연결되는 부분과 함께 일체로 짜여져 있다. 모래부대는 일체형 요소로 제조되고 그리고 측면 보강용 스트립을 가지므로 그것의 구조적인 강도는 크게 향상되고 그리고 수명은 길어진다.

Description

모래부대{Sandbag}
본 고안은 모래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래부대의 구조적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측면 보강용 스트립을 구비한 모래부대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모래부대는 제방, 방파제, 임시 물막이, 저수지 미사, 광산업, 축산업, 또는 중공업용 수질정화와 같은 그러한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종래형 모래부대의 구조와 조립방법이 대만 특허 제 494928호, 대만 특허 제 517129호 등에 기술되어 있다.
종래형 모래부대는 두 개의 장방형으로 된 천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천은 꿰매는 것에 의해 다른 천과 각각 꿰매지는 4개의 면을 가진다. 따라서, 채워넣는 공간은 천들 사이에서 형성되고 그리고 모래나 자갈 등이 깔때기나 펌프 등에 의해 채워넣는 공간 속으로 채워질 수 있다.
그러나, 꿰맨 것은 모래나 자갈이 채워넣는 공간 속으로 채워질 때 채워넣는 공간 내의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쉽게 팽팽해지고 그리고 파손되기 쉽다.
더구나, 모래나 자갈은 종래형 모래부대에 가해지는 힘이나 환경변화에 기인하여 꿰맨 부분과 천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외부로 쏟아지게 된다.
부가적으로, 천의 제조법이나 천을 이루는 실의 인장 강도가 꿰맨 부분과 다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힘이 모래부대에 가해질 때 모래부대는 파손되기 쉽다.
대만 특허 제 494928호는 PP(폴리프로필렌) 또는 PE(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실로 짠 일체형 요소로 된 종래형 모래부대를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꿰맨 부분과 천 사이에는 틈이 없다. 그렇지만, 대만 특허 제 494928호에 기술된 종래형 모래부대에는 측면 보강용 구조는 없다. 모래부대가 모래나 자갈로 채워질 때 모래부대는 팽창되고 그리고 그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모래부대는 힘이 그것의 옆의 양 측면으로 집중하기 때문에 쉽게 파손되게 된다. 더구나, 다층으로 쌓인 모래부대는 각각의 모래부대가 두 개의 인접하는 모래부대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쉽게 변형되고 그리고 이동되게 된다.
상기한 결함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실용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완화할 수 있는 모래부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모래부대의 구조적인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측면 보강용 스트립을 구비한 모래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모래부대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지고, 일체형이고, 짜여진 것으로 되어 있으며, 속이 비고 그리고 길게 된 요소로 되어 있으며, 상부 천, 하부 천, 두 개의 측면 보강용 스트립, 채워넣는 공간 그리고 입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천은 상부 천과 함께 짜여져 있다. 측면 보강용 스트립은 모래부대의 두 개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부 천과 하부 천의 긴 면이 연결되는 부분과 함께 일체로 짜여져 있다. 모래부대는 일체형 요소로 제조되고 그리고 측면 보강용 스트립을 가지므로 그것의 구조적인 강도는 크게 향상되고 그리고 수명은 길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이점 및 특징들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모래부대에 의하면 모래부대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측면 보강용 스트립을 가지고 있으므로 모래부대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축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모래부대를 쌓을 때 인접하는 모래부대의 해당하는 측면 보강용 스트립을 서로 결합시켜 조립된 축조물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래부대의 첫 번째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래부대의 두 번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모래부대를 다수 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꿰매어서 결합시킨 본 고안에 따른 조립된 모래부대의 첫 번째 실시예의 단면을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접착제로 결합시킨 본 고안에 따른 조립된 모래부대의 두 번째 실시예의 단면을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지퍼로 결합시킨 본 고안에 따른 조립된 모래부대의 세 번째 실시예의 단면을 확대한 사시도,
도 7은 로프로 결합시킨 본 고안에 따른 조립된 모래부대의 네 번째 실시예의 단면을 확대한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스트립과 로프를 연결시켜 결합시킨 본 고안에 따른 조립된 모래부대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단면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3에서, 본 고안에 따른 모래부대는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A(폴리아미드) 또는 PET(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와 같은 그러한 합성섬유로 만들어지고, 일체형이고, 짜여진 것이며, 속이 비고 그리고 길게 된 요소로 되어 있다. 모래부대(10)는 상부 천(11), 하부 천(12), 두 개의 측면 보강용 스트립(13), 두 개의 말단 보강용 스트립(14), 채워넣는 공간(15) 그리고 입구부(16)를 구성하고 있다.
상부 천(11)은 장방형이고 그리고 두 개의 양쪽 긴 면과 두 개의 양쪽 짧은 면을 가지고 있다. 하부 천(12)은 장방형이고, 상부 천(11) 아래에 놓여 지며 그리고 두 개의 양쪽 긴 면과 두 개의 양쪽 짧은 면을 가지고 있다. 하부 천(12)의 긴 면은 상부 천(11)의 긴 면과 각각 일체로 짜여져 있다. 하부 천(12)의 짧은 면은 상부 천(11)의 짧은 면과 각각 일체로 짜여져 있다.
측면 보강용 스트립(13)은 모래부대(10)의 두 개의 양쪽 면에 각각 형성되어서 외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상부 천(11)과 하부 천(12)의 긴 면이 연결되는 부분과 함께 일체로 짜여져 있다. 각각의 측면 보강용 스트립(13)은 모래부대(10)의 축에 평행한 선을 따라 뻗어있다.
말단 보강용 스트립(14)은 모래부대(10)의 두 개의 양쪽 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상부 천(11)과 하부 천(12)의 짧은 면이 연결되는 부분과 일체로 짜여져 있다. 각각의 말단 보강용 스트립(14)은 모래부대(10)의 축에 수직인 선을 따라 뻗어있다. 측면 보강용 스트립(13)과 말단 보강용 스트립(14)의 폭은 모래부대(10)의 각기 다르게 요구되는 구조적인 강도에 근거하여 넓게 또는 짧게 될 수 있다.
채워넣는 공간(15)은 모래나 자갈을 수용할 수 있게 상부 천(11)과 하부 천(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입구부(16)는 관형이고, 상부 천(11)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채워넣는 공간(15)과 통하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입구부(16)는 스티치(stitch)방식에 의해 상부 천(11)과 연결되어 있다. 입구부(16)의 지름, 길이 그리고 위치는 모래부대(10)의 길이와 구조의 요구조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모래부대(10A)의 두 번째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첫 번째 실시예와 같다.
제조하는 동안 두 개의 개방부는 상부 천(11A)과 하부 천(12A)의 짧은 면이 놓여지는 위치인 모래부대(10A)의 두 개의 양쪽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 후에 모래부대(10A)는 요구되는 길이로 절단된다. 모래부대(10A)의 개방부는 이때 스티치부(17A), 접착제 또는 열 융합에 의해 밀봉된다. 결과적으로 모래부대(10A)의 길이는 제조하는 동안 조정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다수 개의 모래부대(10)는 간척지의 임시 물막이, 수몰된 제방, 방파제 또는 제방에 적용될 수 있는 조립된 축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쌓여 진다.
각각의 모래부대(10,10A)가 두 개의 측면 보강용 스트립(13,13A)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인접하는 측면 보강용 스트립(13,13A)은 여러 가지의 결합 부재(2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그리고 조립된 축조물의 구조적인 강도는 크게 향상된다.
도 4에서, 조립된 축조물의 첫 번째 실시예는 다수 개의 결합 부재, 바람직하기로 꿰매는 부분(20B)에 의해 조립된 다수 개의 모래부대(10B)를 구성하고 있다. 각각의 꿰매는 부분(20B)은 두 개의 인접하는 모래부대(10B)를 안정시키기 위해 두 개의 인접하는 측면 보강용 스트립(13B)을 꿰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모래부대(10B)는 공장에서 미리 조립되어 공사현장으로 운반될 수도 있다.
도 5에서, 조립된 축조물의 두 번째 실시예는 다수 개의 결합 부재, 바람직하기로 접착제(20C)에 의해 조립된 다수 개의 모래부대(10C)를 구성한다.
도 6에서, 조립된 축조물의 세 번째 실시예는 다수 개의 결합 부재, 바람직하기로 지퍼(20D)에 의해 조립된 다수 개의 모래부대(10D)를 구성한다. 지퍼(20D)로 보강용 스트립(13D)을 공사현장에서 조립하는 것은 매우 쉽다.
도 7에서, 조립된 축조물의 네 번째 실시예는 다수 개의 결합 부재, 바람직하기로 로프(20E)에 의해 조립된 다수 개의 모래부대(10E)를 구성한다. 각각의 측면 보강용 스트립(13E)은 측면 보강용 스트립(13E)을 통해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 구멍(132E)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각각의 로프(20E)는 두 개의 인접하는 모래부대(10E)의 관통 구멍(132E)을 통해 설치된다.
도 8에서, 조립된 축조물의 다섯 번째 실시예는 다수 개의 결합 부재, 바람직하기로 로프(20F)에 의해 조립된 다수 개의 모래부대(10F)를 구성한다. 각각의 모래부대(10F)는 측면 보강용 스트립(13F)에 각각 꿰매져 있는 두 개의 연결용 스트립(18F)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연결용 스트립(18F)은 그것을 통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관통 구멍(181F)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각각의 로프(18F)는 두 개의 연결용 스트립(18F)의 관통 구멍(18F)을 통해 설치되다.
상기한 것으로부터 본 고안은 하기의 이점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향상된 구조적인 강도:
모래부대(10,10A, 10B, 10C, 10D, 10E, 10F)는 일체형 요소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측면 보강용 스트립(13, 13A, 13B, 13C, 13D, 13E, 13F)을 가지므로 모래부대(10,10A, 10B, 10C, 10D, 10E, 10F)의 구조적 강도가 크게 향상되고 그리고 그의 수명도 연장된다.
2. 조립된 축조물의 우수한 안정성:
각각의 모래부대(10,10A, 10B, 10C, 10D, 10E, 10F)가 두 개의 측면 보강용 스트립(13, 13A, 13B, 13C, 13D, 13E, 13F)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인접하는 측면 보강용 스트립(13, 13A, 13B, 13C, 13D, 13E, 13F)은 꿰매는 부분(20B), 접착제(20C), 지퍼(20D),로프(20E, 20F)와 같은 그러한 여러 가지의 결합 부재에 의해 그리고 열 융합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립된 축조물의 구조적인 강도는 많이 증가한다.
비록 본 고안의 여러 가지 특성과 이점들이 본 고안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상기에서 언급되어 있지만, 이러한 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므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모래부대 11: 상부 천
12: 하부 천 13: 측면 보강용 스트립
14: 말단 보강용 스트립 15: 채워넣는 공간
16: 입구부 20: 결합 부재

Claims (8)

  1. 합성섬유로 만들어지고, 일체형이고, 짜여진 것으로 되어 있으며, 속이 비고 그리고 길게 된 요소로 되어 있는 모래부대에 있어서,
    두 개의 양쪽 긴 면과 두 개의 양쪽 짧은 면을 가지는 상부 천;
    상부 천 밑에 놓이고, 상부 천의 양쪽 긴 면과 각각 일체로 짜여지는 두 개의 양쪽 긴 면 및 상부 천의 양쪽 짧은 면과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양쪽 짧은 면을 가지는 하부 천;
    모래부대의 두 개의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서 외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상부 천과 하부 천의 긴 면이 연결되는 부분과 함께 일체로 짜여져 있는 측면 보강용 스트립;
    상부 천과 하부 천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채워넣는 공간;
    상부 천에 연결되어 있고, 채워넣는 공간과 통하게 되어 있는 입구부
    를 포함하는, 모래부대.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천의 양쪽 짧은 면은 상부 천의 양쪽 짧은 면과 각각 일체로 짜여져 있고,
    모래부대의 두 개의 양쪽 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 천과 하부 천의 짧은 면이 연결되는 부분과 일체로 짜여져 있는 두 개의 말단 보강용 스트립을 구성하고 있는, 모래부대.
  3. 제2항에 있어서,
    입구부는 스티치방식에 의해 상부 천에 연결되어 있는, 모래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천과 하부 천의 짧은 면은 스티치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모래부대.
  5. 제4항에 있어서,
    입구부는 스티치방식에 의해 상부 천에 연결되어 있는, 모래부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지퍼는 측면 보강용 스트립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모래부대.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 보강용 스트립은 그것을 관통해서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 구멍을 가지는, 모래부대.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연결용 스트립은 스티치방식에 의해 측면 보강용 스트립과 각각 꿰매지고, 각 연결용 스트립은 그것을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 구멍을 가지는, 모래부대.
KR2020110007619U 2010-08-24 2011-08-23 모래부대 KR20046919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9128220 2010-08-24
TW099128220A TW201209247A (en) 2010-08-24 2010-08-24 Geotextile tube with radial reinforc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42U KR20120001542U (ko) 2012-03-06
KR200469193Y1 true KR200469193Y1 (ko) 2013-09-26

Family

ID=4537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619U KR200469193Y1 (ko) 2010-08-24 2011-08-23 모래부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20051673A1 (ko)
EP (1) EP2423387B1 (ko)
KR (1) KR200469193Y1 (ko)
AU (1) AU2011213843B2 (ko)
DK (1) DK2423387T3 (ko)
ES (1) ES2412107T3 (ko)
MX (1) MX2011008881A (ko)
MY (1) MY159070A (ko)
TW (1) TW2012092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84732S1 (en) * 2011-09-28 2013-06-18 Hay Pillow, Inc. Horse feeder
USD684731S1 (en) * 2011-09-28 2013-06-18 Hay Pillow, Inc. Horse feeder
CN103696399B (zh) * 2013-12-12 2015-09-30 天津港建设公司 浅水封闭区充填砂袋框架铺排方法
USD791413S1 (en) * 2014-05-28 2017-07-04 Hay Pillow, Inc. Horse feeder
USD783110S1 (en) * 2015-10-01 2017-04-04 Sandbag Store, LLC Shooter's sandbag
EP3205245A1 (de) * 2016-02-12 2017-08-16 Qbo Coffee GmbH Getränkezubereitungssystem
CN108005026A (zh) * 2017-11-21 2018-05-08 中交上海航道局有限公司 一种分仓的袋装砂锚固袋及其施工方法
CA3116876C (en) * 2020-04-29 2023-01-03 Canadian National Railway Company Device for dewate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2715U (ko) * 1990-02-08 1991-10-25
JP2004084183A (ja) 2002-08-23 2004-03-18 Efui Sekkai Gijutsu Kenkyusho:Kk 土嚢袋とこれを用いた土嚢設置方法及び盛土工法
JP2005068832A (ja) 2003-08-25 2005-03-17 Yoshito Omori 土砂流出防止用土嚢
KR20100034604A (ko) * 2008-09-24 2010-04-01 김광호 보강 마대 및 토압 억제 적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25380B2 (en) * 1978-02-28 1982-11-04 Gregory Brunton Ronald Backpack
US4940364A (en) * 1988-10-14 1990-07-10 Dlugosz Leonard T Concrete construction units and multi-ply concrete composites made therefrom
US5452968A (en) * 1993-04-01 1995-09-26 Dlugosz; Leonard T. Cement-containing construction ropes and applications therefor
US5645373A (en) * 1995-07-11 1997-07-08 Maca/Orsi, L.L.C. Flood control barrier system and method
US5902070A (en) * 1997-06-06 1999-05-11 Bradley Industrial Textiles, Inc. Geotextile containe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A2229525C (en) * 1998-02-13 2008-10-14 Gerald M. Clement Liquid containment/diversion dike
TW517129B (en) 1998-07-07 2003-01-11 Jung-Yung Ke A bank construction method
US7762742B1 (en) * 2006-03-03 2010-07-27 Smith Clarence E Residential flood control unit
US7891914B2 (en) * 2007-11-15 2011-02-22 Flint Industries, Inc. Geotextile tub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2715U (ko) * 1990-02-08 1991-10-25
JP2004084183A (ja) 2002-08-23 2004-03-18 Efui Sekkai Gijutsu Kenkyusho:Kk 土嚢袋とこれを用いた土嚢設置方法及び盛土工法
JP2005068832A (ja) 2003-08-25 2005-03-17 Yoshito Omori 土砂流出防止用土嚢
KR20100034604A (ko) * 2008-09-24 2010-04-01 김광호 보강 마대 및 토압 억제 적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3387A1 (en) 2012-02-29
MY159070A (en) 2016-12-15
MX2011008881A (es) 2012-02-23
TW201209247A (en) 2012-03-01
TWI437154B (ko) 2014-05-11
ES2412107T3 (es) 2013-07-10
EP2423387B1 (en) 2013-05-22
AU2011213843A1 (en) 2012-03-15
DK2423387T3 (da) 2013-07-29
AU2011213843B2 (en) 2013-05-16
KR20120001542U (ko) 2012-03-06
US20120051673A1 (en)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193Y1 (ko) 모래부대
KR870001801B1 (ko) 다층 직물로 된 직물형상 및 직물형상으로 만들어진 복합구조
JP6162928B2 (ja) 土嚢集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土嚢集合体
JP6101167B2 (ja) 擁壁の構築工法および擁壁
KR101958658B1 (ko) 포장재 및 포장재 제조방법
JP4115922B2 (ja) 土木構造物形成用袋体及びこの土木構造物形成用袋体を用いた土木構造物
JP6594154B2 (ja) 積み上げ土嚢構造体
KR20090118296A (ko) 토목 시공용 튜브 및 그 축조방법
JP6017268B2 (ja) 補強材
RU60545U1 (ru) Геомат
KR101251947B1 (ko) 지오튜브
RU168622U1 (ru) Геоматрица
JP2686540B2 (ja) 土木用網及びその敷設方法
JP6207062B2 (ja) ジオテキスタイルチューブを用いた補強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20309U (ja) 耐圧土のう袋
KR102180601B1 (ko)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KR101849317B1 (ko) 고강도 토목섬유매트를 봉제하기 위한 봉제기 및 그로 봉제된 토목섬유매트
KR20120005791U (ko) 지오튜브
RU168621U1 (ru) Геоматрица
JP6577039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JPH03194021A (ja) 盛土の補強構造
ITMI20101920A1 (it) Struttura reticolare di rinforzo per applicazioni geotecniche, uso della struttura reticolare di rinforzo e metodo per la produzione della stessa
JP4933821B2 (ja) 補強ベルト
JP2021143462A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補強用ネット及び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
CN102409635A (zh) 具径向加劲的砂肠管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