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143Y1 -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143Y1
KR200469143Y1 KR2020120005344U KR20120005344U KR200469143Y1 KR 200469143 Y1 KR200469143 Y1 KR 200469143Y1 KR 2020120005344 U KR2020120005344 U KR 2020120005344U KR 20120005344 U KR20120005344 U KR 20120005344U KR 200469143 Y1 KR200469143 Y1 KR 200469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in
glass door
cli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수홍
Original Assignee
(주)유니코 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코 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유니코 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120005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1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문에 부설되는 브래킷을 구성하는 전측편에 전측본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고정설치가능토록한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브래킷을 구성하는 전측편의 상, 하부에 안착홈에 형성된 통공에 외측본체의 이면에 부가된 핀을 삽입하여 이 핀을 클립으로 협지하여 전측본체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협폭의 취부판의 양측에 전측편과 후측편이 일체로 성형된 통상의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전측편의 상, 하부에 통공과 스토퍼가 부가된 안치홈과; 외측본체의 이면에 고정되어 안착홈에 부가된 통공을 관통하는 핀을 협지하여 고정하는 클립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 {Digital doorlock bracket for glass door}
본 고안은 유리문에 부설되는 브래킷을 구성하는 전측편에 외측본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고정설치가능토록 한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브래킷을 구성하는 전측편의 상, 하부에 안착홈에 형성된 통공에 외측본체의 이면에 부가된 핀을 삽입하여 이 핀을 클립으로 협지하여 외측본체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건축물의 현관에 위치하는 유리문은 두께가 얇고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디지털 도어록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금속철판으로 성형된 브래킷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상기 브래킷을 유리문의 외측면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전측편과 후측편중에서 어느 하나를 외측으로 개방시킨 다음에 결합한 후 이를 원위치로 복원시켜야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참고문헌(1)에 제안되어있는 바와 같이, 전면편과 후측편의 개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절첩부를 부가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전, 후측편의 개방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목적은 달성할 수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효율의 저하와 원가가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있는 것이다.
또한 참고문헌(2)과 같이, 전측편과 후측편이 일체로 성형된 절첩부의 내측면의 중앙에 일정깊이의 절취홈을 형성하여 전, 후측편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리문에 용이하게 설치가능토록 한 것이다.
위 참고문헌(1),(2)은 브래킷은 외측에 도어록을 장착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브래킷에 형성된 통공이 피스를 체결하여 디지털 도어록을 브래킷에 일체로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스를 체결하여 도어록을 결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의 장착 및 분리에 상당한 불편이 수반되는 것이다.
.참고문헌(1) : 특허등록 제876,995호 .참고문헌(2) : 특허등록 제876,99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을 구성하는 외측본체를 브래킷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을 제공하는데 주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협폭의 취부판의 양측에 전측편과 후측편이 일체로 성형된 통상의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전측편의 상, 하부에 통공과 스토퍼가 부가된 안치홈과; 외측본체의 이면에 고정되어 안착홈에 부가된 통공을 관통하는 핀을 협지하여 고정하는 클립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 상기 클립은 핀을 구성하는 요홈에 정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협지편과, 스토퍼가 결합되는 스토퍼체결공이 형성된 손잡이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록을 구성하는 전측본체를 클립을 이용하여 브래킷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조립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유리문에 장착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조립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유리문에 장착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브래킷(10)은 전측편(2)과 후측편(4)을 연결하는 협폭의 협지편(5)으로 구성되어 유리문(미도시)의 중앙부위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디지털 도어록(40)을 장착하는 구조에 더하여, 상기 전측편(2)의 상, 하부에는 외측본체(3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안치홈(15)과, 이 안치홈(15)에 일체로 결합되는 클립(20)을 더 부가한 것이다.
상기 안치홈(15)은 전측편(2)의 상부와 하부에“ㄷ"형상으로 함몰된 구조로서, 이에는 후술하는 핀(26)을 구성하는 두부(26a)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통공(12)이 형성되고, 이 통공(12)의 후측에는 클립(20)이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스토퍼(14)가 부설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안치홈(15)에 일체로 결합되어 핀(26)을 협지하는 클립(2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핀(26)을 구성하는 지지부(26b)의 외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절취부(16a)를 포함하는 협지편(16)과, 이 협지편(16)의 후측에는 스토퍼(14)에 지지되는 체결공(18a)이 형성된 손잡이(18)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서, 상기 협지편(16)과 손잡이(18)는 단턱이 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의 클립(20)에 의해 브래킷(10)을 구성하는 전측편(2)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외측본체(30)의 이면(30a)에는 핀(26)이 안치홈(15)에 형성된 통공(12)과 동일선상에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핀(26)은 클립(20)를 구성하는 협지편(16)이 정합되는 요홈(26c)이 형성된 두부(26a)와 지지부(26b)로 이루어진 것이다.
미설명부호(31)(34)는 전측본체(30)와 후측본체(35)를 브래킷(10)에 견고하게 밀착고정시킴과 아울러 진동을 흡수하기위한 고무패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측편(2)에 외측본체(30)를 결합함에 있어서, 외측본체(30)를 구성하는 이면의 상, 하에 고정된 핀(26)을 브래킷(10)을 구성하는 전측편(2)의 상, 하부에 마련된 안치홈(15)에 형성된 통공(12)으로 삽입한 다음에 전측편(2)의 이면에서 클립(20)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명확하게 설명하면, 외측본체(30)를 구성하는 이면에 고정된 핀(26)을 구성하는 두부(26a)와 지지부(26b)가 안치홈(15)에 형성된 통공(12)을 관통하여 안치홈(15)의 이면으로 돌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클립(20)을 구성하는 절취부(16a)가 핀(26)을 구성하는 요홈(26c)에는 삽입되고, 또 협지편(16)의 상, 하면은 두부(26a)에 견고하게 지지되므로서 핀(26)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 협지편(16)의 후측에 형성된 손잡이(18)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18a)에는 스토퍼(14)가 정합되어 클립(2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므로서 외측본체(30)를 브래킷(10)을 구성하는 전측편(2)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필요에 의해 외측본체(30)를 브래킷(10)에서 분리하고져 하는 경우에는 클립(20)을 구성하는 손잡이(18)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스토퍼(14)에서 체결공(18a)이 분리되고,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핀(26)에 형성된 요홈(26c)에 정합된 협지편(16)이 분리된다.
이때 외측본체(30)을 외측으로 당기면 통공(12)으로 핀(26)이 빠져나오므로서 용이하게 분리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해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다른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2 : 전측편 4 : 후측편 7 : 절첩부 10 : 브래킷 12 : 통공
14 : 스토퍼 16a : 절취부 16 : 협지편 18 : 손잡이 20 : 클립
30 : 외측본체

Claims (2)

  1. 협폭의 취부판의 양측에 전측편과 후측편이 일체로 성형된 통상의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전측편의 상, 하부에 통공과 스토퍼가 부가된 안치홈과; 외측본체의 이면에 고정되어 안착홈에 부가된 통공을 관통하는 핀을 협지하여 고정하는 클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핀을 구성하는 요홈에 정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협지편과, 스토퍼가 결합되는 스토퍼체결공이 형성된 손잡이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
KR2020120005344U 2012-06-21 2012-06-21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 KR200469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344U KR200469143Y1 (ko) 2012-06-21 2012-06-21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344U KR200469143Y1 (ko) 2012-06-21 2012-06-21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143Y1 true KR200469143Y1 (ko) 2013-09-24

Family

ID=5139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344U KR200469143Y1 (ko) 2012-06-21 2012-06-21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14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995B1 (ko) 2008-04-07 2009-01-07 (주)에버넷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KR101107767B1 (ko) 2011-08-23 2012-01-20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995B1 (ko) 2008-04-07 2009-01-07 (주)에버넷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KR101107767B1 (ko) 2011-08-23 2012-01-20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504B2 (en) Mount latch structure for a telescoping slide
US10844643B2 (en) Window lifter assembly with multipart pane guide element for a flush pane design, and assembly method
JP5836066B2 (ja) パネル体取付部材、およびパネル体の取付構造
KR200469143Y1 (ko)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
CN201313532Y (zh) 汽车门窗框装饰条固定结构
KR20080037289A (ko) 클립 체결 구조
KR101658519B1 (ko)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장착용 고정구
JP4646786B2 (ja) 天井点検口における外枠の取付構造
KR100881742B1 (ko) 훼스너 조립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트림판넬
KR101181337B1 (ko) 파노라마 루프의 사이드 몰딩 고정 구조
KR101509520B1 (ko)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JP4469114B2 (ja) 部材間の仮止め構造
KR20150062054A (ko)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KR101115327B1 (ko) 프로파일 커버용 고정구의 구조
KR101259733B1 (ko) 차량용 윈도우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
WO2010122885A1 (ja) クリップ
JP4048839B2 (ja) 後付け手摺りの取付構造
CN209883509U (zh) 一种衣柜掩门把手
CN109458055B (zh) 一种门锁面板辅助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KR20090107741A (ko) 간판용 프레임
KR200446278Y1 (ko) 디지털 도어록의 번호판 커버 탈거 구조
CN219176131U (zh) 淋浴房快装滑轮及淋浴房
CN212148664U (zh) 一种汽车手套箱用开关面板
JP4589208B2 (ja) バンパーへのランプ取付構造
CN205601837U (zh) 应用l型卡簧结构的动车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