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784Y1 -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 Google Patents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784Y1
KR200468784Y1 KR2020130002138U KR20130002138U KR200468784Y1 KR 200468784 Y1 KR200468784 Y1 KR 200468784Y1 KR 2020130002138 U KR2020130002138 U KR 2020130002138U KR 20130002138 U KR20130002138 U KR 20130002138U KR 200468784 Y1 KR200468784 Y1 KR 200468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s
frames
pair
truck
ply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식
Original Assignee
김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식 filed Critical 김민식
Priority to KR2020130002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7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7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readily detachable, e.g. tarpaulins with frames, or fastenings for tarpaulins
    • B60J7/102Readily detachable tarpaulins, e.g. for utility vehicles; Fram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23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flexible and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1For commercial vehicles or tractor-trailer combinations, e.g.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트럭용 차단막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트럭용 차단막조립체는 트럭의 적재함 양측의 사이드게이트 상단에 결합 고정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상부로 수직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갖는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의 상단 끝단을 연결하는 복수의 천장프레임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을 덮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합판; 상기 복수의 천장프레임을 덮도록 설치되는 천장합판; 상기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측면합판과 상기 천장합판을 덮어, 상기 적재함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제1커버체; 상기 적재함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에 교차되도록 고정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형성되는 복수 쌍의 브라켓; 동일높이로 쌍으로 이루는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 쌍의 브라켓에 올려져 다단의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TENT ASSEMBLY FOR TRUCK}
본 고안은 트럭용 차단막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배달용으로 특화된 차단막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은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차실내가 조성되는 캐빈과, 상기 캐빈의 후방에 설치되어, 화물을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적재함으로 구성된다.
이때, 적재함은 차체에 엊혀져 결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어에 여닫을 수 있는 다수의 게이트를 장착시킨 구조로 형성된다. 게이트는 플로어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게이트와 플로어의 후방에 사이드 게이트 사이로 설치되는 리어게이트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적재된 화물이 낙하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화물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차단막조립체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트럭용 차단막조립체에 대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084102호에 개시된다.
하지만, 종래의 차단막조립체는 화분을 배달하기 위해 특화된 것이 아니어서, 많은 양의 화분을 적재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화분배달용으로 특화되도록 화분 적재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된 트럭용 차단막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트럭용 차단막조립체는 트럭의 적재함 양측의 사이드게이트 상단에 결합 고정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상부로 수직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갖는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의 상단 끝단을 연결하는 복수의 천장프레임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을 덮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합판; 상기 복수의 천장프레임을 덮도록 설치되는 천장합판; 상기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측면합판과 상기 천장합판을 덮어, 상기 적재함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제1커버체; 상기 적재함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에 교차되도록 고정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형성되는 복수 쌍의 브라켓; 동일높이로 쌍으로 이루는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 쌍의 브라켓에 올려져 다단의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럭의 캐빈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트럭의 주행시,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에어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해 형성되는 직삼각형 형상의 에어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에어가이드 프레임을 감싸는 제 2 커버체;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체 및 제 2 커버체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커버체 및 제 2 커버체는, 상기 한 쌍의 측면합판과 상기 천장합판 및, 상기 에어가이드 프레임을 덮는 방수천; 상기 방수천을 덮는 부직포; 상기 부직포를 덮는 방수비닐; 및, 상기 방수비닐을 덮는 천막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 쌍의 브라켓은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쌍의 브라켓에는 볼트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 쌍의 브라켓은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에 볼트에 의해 높이조절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후방을 덮는 도어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천은 커튼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다단의 선반을 설치하여 다단의 적재공간을 형성해 줌으로써, 화분의 적재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체가 방수천, 부직포, 방수비닐, 천막포로 구성됨으로써, 이중으로 방수가 될 뿐 아니라, 부직포로 인해 보온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부가 설치됨으로써, 차량의 캐빈보다 높이 설치된 차단막조립체에 의해 발생하는 주행 중의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브라켓이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다단의 선반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화분의 크기에 따라 임의 선반높이를 쉽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단막조립체가 트럭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차단막조립체에서 합판과 커버체를 제거하고, 선반이 지지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브라켓으로부터 지지대가 분리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커버체의 구체적인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차단막조립체가 설치된 트럭을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단막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단막조립체에서 합판과 커버체를 제거하고, 선반이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도시된 브라켓의 다른 형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 내지 5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트럭용 차단막 조립체(100)를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의 트럭용 차단막조립체(100)는 본체(101), 측면합판(112), 천장합판(114), 제1커버체(130), 브라켓(152), 지지대(153), 선반(155)을 포함한다.
본체(101)는 베이스프레임(102), 수직프레임(104), 천장프레임(106)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02)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은 단면이 "ㄴ"형상으로 된 긴 스틱형상으로 형성된다. 각각은 "ㄴ"형상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트럭의 적재함(20)의 양 사이드게이트(20a)의 상단에 스크류(s)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수직프레임(104)은 원형 파이프로 구성되며, 베이스프레임(102)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수직프레임(104)의 하단은 베이스프레임(102)에 용접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수직프레임(104)은 복수의 쌍으로 구성되어,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형성된다. 수직프레임(104)의 하나의 쌍은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102)의 길이방향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고, 복수의 쌍이 베이스프레임(102)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설치된다.
천장프레임(104)은 복수의 수직프레임(104)의 상단 끝단을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된다. 천장프레임(104)은 수직프레임(104)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프레임(104)에 소정깊이 끼워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측면합판(112)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얇은 합판으로 이루어진다. 측면합판(112)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104)의 외측을 덮도록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104)이 외측에 결합설치된다. 이때, 측면합판(112)은 통상의 케이블타이에 의해 수직프레임(104)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 나사못등 다양한 형태로 측면합판(112)을 수직프레임(104)에 고정설치할 수 있다.
천장합판(114)은 측면합판(112)과 동일한게 플렉시블한 얇은 합판으로 이루어지며, 천장프레임(104)의 상단을 덮도록 설치된다. 천장합판(114)도, 측면합판(112)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식에 의해 천장프레임(104)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버체(130)는 본체(101)와, 측면합판(112) 및 천장합판(114)을 덮도록 설치되어, 적재함(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설치된다.
본 고안의 제1커버체(130)는 방수천(131),부직포(132),방수비닐(133),천막포(1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1)와, 측면합판(112) 및 천장합판(114)을 설치한 후, 방수천(131)으로 감싸고, 방수천(131)에 부직포(132)를 감싸며, 부직포(132) 위를 방수비닐(133)로 다시 한번 방수처리하고, 마지막으로 천막포(134)를 씌워 마무리할 수 있다. 여기서, 천막포(134)는 방화성분을 함유하여 화재에 안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브라켓(152)은 "|"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스틱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재함(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프레임(104)에 교차되도록 고정설치된다. 이때, 브라켓(152)은 수직프레임(104)에 용접에 의해 결합고정된다. 브라켓(152)은 동일높이를 갖는 쌍으로 구성되어, 한 쌍의 수직프레임(104)에 결합된다. 또한, 브라켓(152)은 복수의 쌍으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지지대(153)는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스틱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대(153) 양측단의 수직부(153a)에는 각각 끼움홈(154)이 형성된다. 지지대(153)는 양단에 형성된 각각의 끼움홈(154)이 동일높이로 한 쌍을 이루는 브라켓(153)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대(153)가 브라켓(153)에 장착된다.
이러한 지지대(153)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도 2 및 3과 같이, 동일높이로 쌍을 이루는 브라켓(153)에 3개씩 설치된다.
선반(155)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지지대(153)에 올려진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본 고안의 선반(155)은 세개로 구성되며, 3단으로 구성된 지지대(153)에 올려짐으로써, 선반(155)에 다단의 적재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본 고안의 트럭용 차단막조립체(100)는 다단의 선반(155)에 형성된 적재공간에 화분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화분을 싣고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단막조립체(100)는 트럭의 주행중 공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에어가이드부(170)가 설치된다. 에어가이드부(170)는 본체(101)의 상부 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 직삼각형 형상의 에어가이드 프레임(173)과, 상기 에어가이드 프레임(173)을 감싸는 제2커버체(175)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2커버체(175)는 제1커버체(130)와 동일하게, 방수천,부직포,방수비닐,천막포로 구성된다. 또한, 제2커버체(175)는 제1커버체(130)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차단막조립체(100) 제작시, 본체(101)를 설치하고, 본체(101)의 전방 상부에 에어가이드 프레임(173)을 설치한 다음, 측면합판(112)과 천장합판(114)을 설치한 후, 방수천,부직포,방수비닐,천막포를 본체(101), 에어가이드 프레임(173) 전체를 감싸도록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제1커버체(130)와 제2커버체(175)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단막조립체(100) 후방에는 개방구(1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방구(136)를 개폐하는 천재질의 도어천(135)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천(135)은 커튼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도어천(135)을 일측으로 밀어 낸 후, 개방된 개방구(136)를 통해 화분(적재물)을 다단의 선반(155)에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끝단에 S형 고리(138)를 구비한 가드밴드(137)를 개방구(136) 일측에 설치하고, 타측에 링부재(139)를 설치하여, 가드밴드(139)의 S형 고리(138)를 링부재(139)에 걸어줌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단막조립체를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단막조립체(100)는 브라켓(152)에 지지대(153)를 올려 놓고, 지지대(153) 위에 선반(155)을 올려놓는 구조인데 반해,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단막조립체(100')는 지지대(153) 없이 브라켓(152) 위에 선반(155)을 올려놓을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단막조립체(100')의 브라켓(152')은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스틱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재함(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프레임(104)에 교차되도록 고정설치된다. 이때, 브라켓(152')은 수직프레임(104)에 용접에 의해 결합고정된다. 브라켓(152')은 "ㄴ"자 형상의 서로 마주하며, 동일높이를 갖는 쌍으로 구성되어,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복수의 선반(155)을 동일높이로 쌍을 이루는 브라켓(152')에 올려주면, 선반(155)의 양측단이 양측의 브라켓(152')에 지지됨으로써, 선반(155)에 의해 다단의 적재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차단막조립체(100')는 브라켓(152')이 수직프레임(104)에 용접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와 같이, 수직프레임(104)에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볼트결합공(104a)을 형성하고, 브라켓(152')에 볼트통과공(152a)을 형성하여, 볼트(B)를 이용해 브라켓(15'2)을 높이조절하여 수직프레임(104)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브라켓(152')을 수직프레임(104)에 높이조절하고, 높이조절된 브라켓(152')에 선반(155)을 설치하여, 다단의 선반(155)에 형성되는 적재공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인해, 적재할 화분의 크기에 맞춰 다단의 선반(155)의 설치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의 높이조절구조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실시 예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브라켓(152)을 수직프레임(104)에 높이조절하고, 높이조절된 브라켓(152)에 지지대(153)를 올려놓은 다음, 선반(155)을 지지대(153) 위에 올려놓음으로써, 다단의 선반(155)에 형성되는 적재공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캐빈
20...적재함
101...본체
102...베이스프레임
104...수직프레임
106...천장프레임
130...제1커버체
131...방수천
132...부직포
133...방수비닐
134....천막포
152...브라켓
155...선반
170...에어가이드부
173...에어가이드 프레임
175...제2커버체

Claims (7)

  1. 트럭의 적재함 양측의 사이드게이트 상단에 결합 고정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상부로 수직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갖는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의 상단 끝단을 연결하는 복수의 천장프레임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을 덮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합판;
    상기 복수의 천장프레임을 덮도록 설치되는 천장합판;
    상기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측면합판과 상기 천장합판을 덮어, 상기 적재함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제1커버체;
    상기 적재함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에 교차되도록 고정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형성되는 복수 쌍의 브라켓;
    동일높이로 쌍으로 이루는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 쌍의 지지대에 올려져 다단의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럭의 캐빈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트럭의 주행시,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에어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해 형성되는 직삼각형 형상의 에어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에어가이드 프레임을 감싸는 제 2 커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체 및 제 2 커버체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커버체 및 제 2 커버체는,
    상기 한 쌍의 측면합판과 상기 천장합판 및, 상기 에어가이드 프레임을 덮는 방수천;
    상기 방수천을 덮는 부직포;
    상기 부직포를 덮는 방수비닐; 및,
    상기 방수비닐을 덮는 천막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쌍의 브라켓은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쌍의 브라켓에는 볼트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 쌍의 브라켓은 상기 복수 쌍의 수직프레임에 볼트에 의해 높이조절하여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을 덮는 도어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천은 커튼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KR2020130002138U 2013-03-21 2013-03-21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KR200468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138U KR200468784Y1 (ko) 2013-03-21 2013-03-21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138U KR200468784Y1 (ko) 2013-03-21 2013-03-21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784Y1 true KR200468784Y1 (ko) 2013-09-02

Family

ID=5139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138U KR200468784Y1 (ko) 2013-03-21 2013-03-21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7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956A (ko) * 2015-05-21 2016-11-30 남궁민우 톱밥 및 분쇄물 운반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046Y1 (ko) 2003-05-24 2003-09-02 김명수 화물차 적재함 덮개장치
KR200330672Y1 (ko) 2003-07-16 2003-10-17 최성택 화물차 적재함의 덮개장치
KR100658053B1 (ko) 2005-10-17 2006-12-14 (주)엠티로지스틱스 차량의 화물적재장치
KR100895320B1 (ko) * 2008-04-16 2009-05-07 주식회사 프로모텍 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046Y1 (ko) 2003-05-24 2003-09-02 김명수 화물차 적재함 덮개장치
KR200330672Y1 (ko) 2003-07-16 2003-10-17 최성택 화물차 적재함의 덮개장치
KR100658053B1 (ko) 2005-10-17 2006-12-14 (주)엠티로지스틱스 차량의 화물적재장치
KR100895320B1 (ko) * 2008-04-16 2009-05-07 주식회사 프로모텍 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956A (ko) * 2015-05-21 2016-11-30 남궁민우 톱밥 및 분쇄물 운반차량
KR101685576B1 (ko) * 2015-05-21 2016-12-12 남궁민우 톱밥 및 분쇄물 운반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95244S1 (en) Display
CN110267881A (zh) 存储平台
US9901069B2 (en) Selectively concealed animal crate
KR200468784Y1 (ko) 트럭용 차단막조립체
CN211500343U (zh) 一种隔热效果好的中空玻璃
EP2537409A1 (en) Storage building for agricultural products, side wall module of such storage building, and use of such storage building
CA2927333C (en) Shelf structure for a merchandiser
CN109850464A (zh) 一种物流仓储用堆叠装置
AU2012382756B2 (en) Roller shutter cabinet
KR101180902B1 (ko) 방충망이 형성되어 있는 아케이드용 갤러리 창호
KR20190111986A (ko) 오버헤드 보관 유닛
ITPD20130076A1 (it) Stenditoio telescopico per i panni
CN104913588B (zh) 用于冰箱的搁物架轨道系统
CN209862987U (zh) 一种床垫支撑层
JP3183629U (ja) 可動体
JP3089557U (ja) 室内設置用簡易クローゼットハンガー
KR101399367B1 (ko) 캐리어 겸용 미니 옷장
US10448613B2 (en) Securing assembly for supporting and selectively concealing an animal crate
CN207285832U (zh) 便于布置的窗帘结构
CN205034511U (zh) 汽车前门窗框储放架
TWI585287B (zh) 具有遮蔽防護的伸縮欄杆結構
KR20220001890U (ko) 자유롭게 넓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행거
KR20160137061A (ko) 자전거 보관대
US800064A (en) Window protective device.
CN204561772U (zh) 一种多功能帘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