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529Y1 -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 - Google Patents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529Y1
KR200468529Y1 KR2020130002422U KR20130002422U KR200468529Y1 KR 200468529 Y1 KR200468529 Y1 KR 200468529Y1 KR 2020130002422 U KR2020130002422 U KR 2020130002422U KR 20130002422 U KR20130002422 U KR 20130002422U KR 200468529 Y1 KR200468529 Y1 KR 200468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bar
vertical
coupled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종
Original Assignee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2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5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5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선을 막지 않고도 겐트리에 설치된 각종 장비를 손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는 수직바(10,20)가 하단이 차선의 일측 바닥면에 구비된 지지대(4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수직바(10)와, 하단이 차선의 타측 바닥면에 고정된 제2 수직바(20)로 구성되고, 수평바(30)는 선단부가 제2 수직바(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수평바(30)가 차선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하고, 상기 수평바(30)에 구비된 각종 장비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에는 상기 제1 수직바(10)와 수평바(30)를 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차선에서 벗어나도록 한 상태에서 수평바(30)에 구비된 장비를 유지보수할 수 있다.
따라서, 차선을 가로막을 필요가 없어서 차선이 막힘에 따라 차량정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행하는 차량이 작업자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gantry for passage money auto collecting system}
본 고안은 차선을 막지 않고도 겐트리에 설치된 각종 장비를 손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료도로에는 톨게이트가 설치되어,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운전자가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톨게이트를 통과하면서 통행료를 지불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유료도로의 진입부에 설치된 톨게이트에서 차량을 정차시킨 상태에서 티켓을 수령하고, 유료도로를 나가는 진출부에 설치된 톨게이트에서 차량을 정차시킨 상태에서 통행료를 지불하여야 함으로,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차량을 정차시킴에 따라 차량의 흐름이 느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하이패스라고 불리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이 개발되어 차량을 정차시키지 않고 통과하면서 자동으로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의 일반적인 예를 도시한 것으로, 겐트리(A)에 설치된 무선통신수단(1)과, 각각의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무선통신단말기(2)와, 상기 무선통신수단(1)에 연결된 징수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가 설치된 차량이 상기 겐트리(A)를 통과할 때 상기 무선통신수단(1)과 차량용 무선통신단말기(2)가 데이터통신하면 상기 징수유닛이 상기 무선통신수단(1)을 통해 차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통행료를 징수한다.
이때, 상기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이 설치되는 톨게이트에는 차선을 상호 구획하는 아일랜드(3)가 설치되어 각각의 차선이 상호 충분히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무선통신수단(1)과 무선통신단말기(2)의 데이터통신에 오작동 발생을 방지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겐트리(A)는 상기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선의 양측에서 상향되도록 연장된 한 쌍의 수직바(10,20)와, 양단이 상기 수직바(10,20)의 상단에 결합된 수평바(30)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바(30)가 상기 아일랜드(3)에 의해 구획된 차선의 상부를 가로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무선통신수단(1)은 상기 수평바(30)의 중앙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의 구성은 공개특허 10-2000-0007416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러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에서 상기 수평바(30)에 구비된 무선통신수단(1)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 작업자는 무선통신수단(1)에 고장이 발생된 차선을 폐쇄한 상태에서, 사다리나 크레인차량 등을 이용하여 겐트리(A)의 수평바(30)에 설치된 무선통신수단(1)을 수리 또는 교체하여야 한다.
또한, 차량의 통행량이 적은 톨게이트에는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선의 수를 최소로 유지하고, 각 차선에 사용자가 직접 통행료를 지불하는 통행료 수동지불 시스템과, 전술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을 동시에 구비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통행료 수동지불 시스템 또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을 선택하여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차선의 수가 작은 톨게이트에서, 겐트리(A)에 설치된 무선통신수단(1)을 수리하기 위해 차선을 폐쇄할 경우, 차량이 남은 차선으로 집중되어 차량정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차선을 가로막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됨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작업자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수평바(30)에는 무선통신수단(1) 이외에 다양한 장비가 구비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장비를 교체 또는 유지, 보수할 때도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선을 막지 않고도 겐트리에 설치된 무선통신수단을 비롯한 다양한 장비를 손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통행료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선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의 무선통신수단(1)을 비롯한 다양한 장비가 구비되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에 있어서, 자선의 일측바닥면에 구비된 지지대(4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수직바(10)와, 기단부가 상기 제1 수직바(10)에 결합되며 중간부에 상기 장비가 구비되는 수평바(30)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수직바(10)를 회전시켜 상기 수평바(30) 및 수평바(30)에 구비된 장비가 차선의 상부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직바(10)는, 하단이 상기 지지대(4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본체(11)와, 상기 바본체(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블록(12)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30)는 기단부가 상기 승강블록(12)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승강블록(12) 또는 수평바(30)에 연결되어 승강블록(12)과 수평바(3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직바(10)의 일측에는 상기 수평바(30)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30)는 기단부가 상기 연장부(14)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평바(30)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바(3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단이 차선의 타측 바닥면에 고정된 제2 수직바(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30)는 선단부가 제2 수직바(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에는 수평바(3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31)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직바(20)에는 상기 제1 수직바(10)쪽으로 연장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와 고정핀(31)이 삽입고정되는 결합홈(21a)이 형성된 결합부(21)가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된 관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21)의 외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시 상기 결합부(21)의 결합홈(21a)에 삽입된 수평바(3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수평바(30)의 선단부가 결합홈(21a)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관체(22)와, 상기 고정관체(22)에 연결되어 고정관체(22)를 전후진시키는 액츄에이터(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선의 양측에서 상향연장된 한 쌍의 수직바(10,20)와, 양단이 상기 수직바(10,20)에 결합된 수평바(3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30)가 차선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평바(30)에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의 무선통신수단(1)을 비롯한 다양한 장비가 구비되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10,20)는 상기 수평바(30)의 기단부가 결합되는 회전통체(15)가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수직바(10)와,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수직바(20)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수직바(10)를 중심으로 상기 수평바(30)를 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수평바(30) 및 수평바(30)에 구비된 장비가 차선의 상부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는 차선의 일측바닥면에 구비된 지지대(4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수직바(10)와, 기단부가 상기 제1 수직바(10)에 결합되며 중간부에 상기 장비가 구비되는 수평바(30)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수직바(10)를 회전시켜 상기 수평바(30) 및 수평바(30)에 구비된 장비가 차선의 상부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음으로. 평상시에는 상기 수평바(30)가 차선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하고, 상기 수평바(30)에 구비된 각종 장비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에는 상기 제1 수직바(10)와 수평바(30)를 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차선에서 벗어나도록 한 상태에서 수평바(30)에 구비된 장비를 유지보수할 수 있다.
따라서, 차선을 가로막을 필요가 없어서 차선이 막힘에 따라 차량정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행하는 차량이 작업자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을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를 도시한 것으로,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선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의 무선통신수단(1)을 비롯한 다양한 장비가 구비되는 것은 종래의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톨게이트에는 차선을 상호 구획하는 아일랜드(3)가 설치되어 각각의 차선이 상호 충분히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겐트리는 하단이 차선의 일측 바닥면에 구비된 지지대(4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수직바(10)와, 하단이 차선의 타측 바닥면에 고정된 제2 수직바(20)와, 기단부가 상기 제1 수직바(10)에 결합되고 선단부가 제2 수직바(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장비가 구비되는 수평바(30)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수직바(10)를 회전시켜 상기 수평바(30) 및 수평바(30)에 구비된 무선통신수단(1)이 차선의 상부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는 앵커볼트(43)에 의해 일측의 아일랜드(3)에 고정되는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회전축(4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직바(10)는 하단이 상기 지지대(4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본체(11)와, 상기 바본체(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블록(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블록(12)에는 승강구동수단(13)이 연결된다.
상기 바본체(11)는 상하방향으로 긴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하단은 상기 지지대(40)의 회전축(42)에 베어링(11a)을 통해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블록(12)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레일(11b)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본체(11)의 하단 일측에는 브라켓(11c)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11c)에는 고정볼트(11d)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40)의 고정판(41)에는 상기 고정볼트(11d)가 결합되는 고정공(4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11d)를 조여 고정볼트(11d)가 상기 고정공(41a)에 결합되면 제1 수직바(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고정볼트(11d)를 풀면 제1 수직바(10)의 고정이 해제되어 제1 수직바(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본체(11)의 하단에는 도시 안된 손잡이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바본체(11)의 하단에 손잡이를 결합한 후 손잡이를 이용하여 제1 수직바(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블록(1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단관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바본체(11)의 외부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b)에 결합되는 로울러(12a)가 구비되어 바본체(11)를 따라 원활히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13)은 상기 바본체(11)의 내부에 구비된 윈치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바본체(11)의 상단은 상기 승강블록(12)이 상승되는 높이에 비해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윈치에서 풀려나온 와이어(13a)는 바본체(11)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본체(11)의 상단에 구비된 유도휠(11e)의 둘레면을 경유한 후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블록(1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윈치로 와이어(13a)를 풀거나 당기면 상기 승강블록(12)이 상기 바본체(11)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b)을 따라 승강된다.
상기 수직바(20)는 하단이 타측의 아일랜드(3)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수평바(30)는 기단부가 상기 승강블록(12)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승강블록(12)과 함께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에는 수평바(3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31)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직바(20)에는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바(30)가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바(30)의 선단부가 제2 수직바(2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에는 폭이 좁은 협경부(3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31)은 상기 협경부(32)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1)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직바(20)에서 상기 제1 수직바(10)쪽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면에는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와 고정핀(31)이 삽입고정되는 결합홈(21a)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바(30)의 단부를 상기 결합홈(21a)에 결합하여 수평바(30)의 단부가 하측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1)의 외부에는 양단이 개방된 관형상으로 구성된 고정관체(22)가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관체(22)에는 고정관체(22)를 전후진시키는 액츄에이터(23)가 연결된다.
상기 고정관체(22)는 후퇴될 경우 상기 수평바(3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30)가 상승되어 결합홈(21a)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평바(30)의 단부가 상기 결합홈(21a)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진되면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수평바(30)의 선단부가 결합홈(21a)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액츄에이터(23)는 전기모터에 의해 신축되는 일반적인 기계식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30)가 차로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가 제2 수직바(20)에 구비된 결합부(21)의 결합홈(21a)에 삽입고정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21)에 결합된 고정관체(22)는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수평바(30)의 선단부가 결합홈(21a)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액츄에이터(23)를 조작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관체(22)를 후퇴시키면, 상기 결합부(21)의 결합홈(21a)에 결합된 수평바(3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자가 승강구동수단(13)을 조작하여 승강블록(12)을 상승시키면, 상기 수평바(30)의 단부가 상기 결합홈(21a)의 상측으로 상승되어 결합홈(21a)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제1 수직바(10)의 바본체(11)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블록(12)과 수평바(30)가 함께 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수평바(30)가 차선에서부터 벗어나 차선을 이격하는 아일랜드(3)의 상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승강구동수단(13)을 조작하여 승강블록(12)을 하강시키면, 승강블록(12)과 함께 수평바(30)가 하강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바(30)를 작업자가 작업하기 편한 높이로 낮춘 상태에서, 상기 수평바(30)에 구비된 무선통신수단(1)을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바(30)에 구비된 무선통신수단(1)을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한 후, 전술한 방법과 반대의 과정을 거쳐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를 상기 결합부(21)에 결합함으로서, 수평바(30)가 차선을 가로지르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는 하단이 차선의 일측 바닥면에 구비된 지지대(4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수직바(10)와, 하단이 차선의 타측 바닥면에 고정된 제2 수직바(20)로 구성되고, 수평바(30)는 선단부가 제2 수직바(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수평바(30)가 차선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하고, 상기 수평바(30)에 구비된 무선통신수단(1) 등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에는 상기 제1 수직바(10)와 수평바(30)를 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차선에서 벗어나도록 한 상태에서 수평바(30)에 구비된 무선통신수단(1) 등을 유지보수할 수 있다.
따라서, 차선을 가로막을 필요가 없어서 차선이 막힘에 따라 차량정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행하는 차량이 작업자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직바(10)는 하단이 상기 지지대(4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본체(11)와, 상기 바본체(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블록(12)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30)는 기단부가 상기 승강블록(12)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승강블록(12)에 연결되어 승강블록(12)과 수평바(3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13)이 구비됨으로, 상기 수평바(30)를 차선에서 벗어난 위치로 회동시킨 후 수평바(30)를 하강시켜 수평바(30)에 구비된 무선통신수단(1) 등을 손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에는 수평바(3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31)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직바(20)에는 상기 제1 수직바(10) 쪽으로 연장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와 고정핀(31)이 삽입고정되는 결합홈(21a)이 형성된 결합부(21)가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된 관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바(30)의 외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시 상기 결합부(21)의 결합홈(21a)에 삽입된 수평바(3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수평바(30)의 선단부가 결합홈(21a)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관체(22)와, 상기 고정관체(22)에 연결되어 고정관체(22)를 전후진시키는 액츄에이터(23)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수평바(30)의 선단부를 제2 수직바(2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에는 고정핀(31)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21)에는 상기 고정핀(31)이 결합되는 결합홈(21a)이 형성되어, 바람에 의해 수평바(30)의 중간부가 휘어지면서 수평바(30)의 선단부가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평바(30)를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평바(30)에 구비된 무선통신수단(1)의 교체 또는 유지, 보수을 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는 상기 무선통신수단(1) 이외에, 상기 수평바(30)에 구비된 다양한 장비를 교체 또는 유지, 보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수단(13)은 윈치를 이용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승강구동수단(13)은 상기 승강블록(12)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를 이용하거나, 유압이나 구동모터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수단(13)은 상기 승강블록(12)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승강구동수단(13)은 상기 수평바(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직바(10)는 바본체(11)의 하단에 손잡이를 결합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나, 상기 제1 수직바(10)에 별도의 구동모터를 연결하여,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제1 수직바(10)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본체(11)의 일측에 상기 승강블록(12)을 위치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승강블록(12)을 설정된 높이로 상승시킨 후 상기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블록(12)이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 수직바(10)의 일측에는 상기 수평바(30)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30)는 기단부가 상기 연장부(14)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평바(30)에는 상기 수평바(3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13)이 연결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4)는 상기 제1 수직바(10)의 둘레면에서 전방 또는 후방, 즉, 상기 차선 또는 아일랜드(3)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30)는 상기 연장부(14)의 선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수평바(30)가 회동하강될 때 수평바(30)에 구비된 무선통신수단(1)이 상기 제1 수직바(10)의 측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에는 수평바(3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31)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직바(20)에는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바(30)가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바(30)의 선단부가 제2 수직바(2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수단(13)은 상기 제1 수직바(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바(30)에 연결되는 윈치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와 결합부(21)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바(30)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수평바(30)의 선단부가 상기 결합부(21)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수직바(10)를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바(30)가 차선의 상부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30)가 차선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수단(13)을 조작하여 수평바(30)를 하측으로 회동되도록하면, 수평바(30)에 구비된 무선통신수단(1)의 위치가 낮아져, 작업자가 무선통신수단(1)을 손쉽게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는 수평바(30)의 기단부가 상기 제1 수직바(1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수평바(30)의 기단부가 바본체(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블록(12)에 고정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구조가 간단할 뿐 아니라, 수평바(30)의 기단부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1 수직바(10)에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4)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바(30)는 상기 연장부(14)에 힌지결합되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바(30)를 회동하강시킬 때 수평바(30)와 수평바(30)에 구비된 무선통신수단(1)이 제1 수직바(10)와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평바(30)를 회동하강시킬 때 수평바(30)에 구비된 무선통신수단(1)이 제1 수직바(10)의 측면에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수직바(10)가 지지대(4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평바(30)는 기단부가 상기 제1 수직바(10)에 결합되어 제1 수직바(10)와 수평바(30)가 함께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직바(10)를 바닥면에 고정결합하고, 상기 제1 수직바(10)에 상기 수평바(30)의 기단부가 결합되는 회전통체(15)를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 수직바(10)는 고정된 상태로 수평바(30)만 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통체(15)를 상기 제1 수직바(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하거나, 상기 수평바(30)의 기단부를 상기 회전통체(15)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수평바(3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평바(30)는 기단부가 상기 제1 수직바(10)에 결합되고 선단부는 상기 제2 수직바(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직바(20)의 구조를 생략하여, 상기 제3 수평바(30)가 상기 제1 수직바(1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 제1 수직바 20. 제2 수직바
30. 수평바 40. 지지대

Claims (6)

  1.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선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의 무선통신수단(1)을 비롯한 다양한 장비가 구비되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에 있어서,
    차선의 일측바닥면에 구비된 지지대(4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수직바(10)와,
    기단부가 상기 제1 수직바(10)에 결합되며 중간부에 상기 장비가 구비되는 수평바(30)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수직바(10)를 회전시켜 상기 수평바(30) 및 수평바(30)에 구비된 장비가 차선의 상부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하단이 차선의 타측 바닥면에 고정된 제2 수직바(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바(30)는 선단부가 제2 수직바(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에는 수평바(3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31)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직바(20)에는 상기 제1 수직바(10)쪽으로 연장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수평바(30)의 선단부와 고정핀(31)이 삽입고정되는 결합홈(21a)이 형성된 결합부(21)가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된 관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21)의 외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시 상기 결합부(21)의 결합홈(21a)에 삽입된 수평바(3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수평바(30)의 선단부가 결합홈(21a)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관체(22)와,
    상기 고정관체(22)에 연결되어 고정관체(22)를 전후진시키는 액츄에이터(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바(10)는
    하단이 상기 지지대(4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본체(11)와,
    상기 바본체(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블록(12)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30)는 기단부가 상기 승강블록(12)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승강블록(12) 또는 수평바(30)에 연결되어 승강블록(12)과 수평바(3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바(10)의 일측에는 상기 수평바(30)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30)는 기단부가 상기 연장부(14)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평바(30)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바(3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30002422U 2013-04-02 2013-04-02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 KR200468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422U KR200468529Y1 (ko) 2013-04-02 2013-04-02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422U KR200468529Y1 (ko) 2013-04-02 2013-04-02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529Y1 true KR200468529Y1 (ko) 2013-08-22

Family

ID=5139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422U KR200468529Y1 (ko) 2013-04-02 2013-04-02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5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909B1 (ko) * 2017-05-12 2018-10-22 대보정보통신(주) 겐트리 설치물 이동장치
KR102131336B1 (ko) * 2020-04-10 2020-07-07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고속도로 통행료수납시스템에서 사고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통합 차로 제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121Y1 (ko) 2000-10-25 2001-04-02 김재현 차량 통과높이 제한구의 제한대 완충장치
KR101163530B1 (ko) * 2011-06-14 2012-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KR20120118593A (ko) * 2011-04-19 2012-10-29 주용산업주식회사 차량 탑재부에 대한 높이 제한 경고장치
KR20120132812A (ko) * 2011-05-30 2012-12-10 휴앤에스(주) 하이패스 다차로의 위반차량 매칭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121Y1 (ko) 2000-10-25 2001-04-02 김재현 차량 통과높이 제한구의 제한대 완충장치
KR20120118593A (ko) * 2011-04-19 2012-10-29 주용산업주식회사 차량 탑재부에 대한 높이 제한 경고장치
KR20120132812A (ko) * 2011-05-30 2012-12-10 휴앤에스(주) 하이패스 다차로의 위반차량 매칭 시스템
KR101163530B1 (ko) * 2011-06-14 2012-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909B1 (ko) * 2017-05-12 2018-10-22 대보정보통신(주) 겐트리 설치물 이동장치
KR102131336B1 (ko) * 2020-04-10 2020-07-07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고속도로 통행료수납시스템에서 사고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통합 차로 제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EP3007953B1 (de) Schutzwand für den schutz von personen vor fahrenden schienenfahrzeugen
JP4231842B2 (ja) 機械室レス型エレベータのかご用の上部安全柵
EP2766292B1 (de) Aufzug
KR101536248B1 (ko) 전동식 터널진입차단장치
KR101933458B1 (ko) 사고인지 기능이 향상된 랙 피니언 방식 터널진입차단장치
DE202009016761U1 (de) Transporteinrichtung für Druckplatten
KR200468529Y1 (ko)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용 겐트리
KR101163530B1 (ko)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KR102395114B1 (ko) 차량용 2단 주차설비
CN104831965B (zh) 一种智能化可升降式立体停车库及其工作方法
CN104131719B (zh) 一种机械式立体停车设备
US5110250A (en) Double-story parking apparatus having telescopic access
CN105134011A (zh) 一种窗户
KR101547811B1 (ko) 랙 피니언 방식 터널진입차단장치
EP1792801A2 (de) Schienenfahrzeug mit einem Schiebetritt und Schiebetrittkassette
KR101001687B1 (ko) 승강식 조명타워
CN205100134U (zh) 一种远程可控式限高门架
KR20120062061A (ko)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WO2014040583A1 (de) Abschlussvorrichtung mit durchfahrsicherung
KR20010000835U (ko) 코일 외권부의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DE20314496U1 (de) Vorrichtung zum Anheben und Wieder-Absenken eines Abschnittes eines Oberleitungskettenwerkes
CN217080454U (zh) 盾构隧道电瓶机车防撞安全装置
KR100997257B1 (ko)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KR101721699B1 (ko) 구조적인 안전성과 우수한 작업성을 갖는 이동식 셀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