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051Y1 - 용기 포장 케이스 - Google Patents

용기 포장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051Y1
KR200468051Y1 KR2020110004790U KR20110004790U KR200468051Y1 KR 200468051 Y1 KR200468051 Y1 KR 200468051Y1 KR 2020110004790 U KR2020110004790 U KR 2020110004790U KR 20110004790 U KR20110004790 U KR 20110004790U KR 200468051 Y1 KR200468051 Y1 KR 200468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se body
lower case
case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456U (ko
Inventor
강기전
임승란
박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2020110004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05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4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0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65D11/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of drawer-and-she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 포장 케이스는, 용기의 하부 측면을 밀착 지지하여, 용기가 수용공간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 몸체, 및 하부 케이스 몸체와 결합되어 용기가 수용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며, 용기의 상부 측면을 밀착 지지하여, 하부 고정부와 함께 용기가 수용공간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상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투명한 상부 케이스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포장 케이스{CASE FOR PACKAGING BOTTLE}
본 고안은 용기 포장을 위한 용기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병 형상의 용기에 수납되는 물질은 화학약품, 화장품, 주류, 음료수 등 그 종류와 용도가 다양하고, 수납되는 물질의 성질에 따라서 용기 역시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내부에 수납되는 물질의 변질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수납 물질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에 주안을 두고 제작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술한 용기를 보호하는 것 외에도 외관상으로 고급스럽게 보이기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포장 케이스에 담아 판매 및 진열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고안은 용기를 외관상 고급스러워 보이게 포장하고, 용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용기 포장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보관된 용기가 내부에서 상하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포장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용기를 보호하는 것 외에도 외관상 고급스러우면서, 수용된 용기의 내용 확인이 용이하고, 별도의 진열 도구 없이 그 자체가 훌륭한 진열 요소가 될 수 있는 용기 포장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사용 시에도 스푼이나 기타 악세서리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용기 포장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포장 케이스는, 용기의 하부 측면을 밀착 지지하여, 용기가 수용공간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 몸체, 및 하부 케이스 몸체와 결합되어 용기가 수용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며, 용기의 상부 측면을 밀착 지지하여, 하부 고정부와 함께 용기가 수용공간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상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투명한 상부 케이스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는 하부 및 상부 케이스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어 용기 포장 케이스의 수용공간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용기는 하부 및 상부 고정부에 의해서 용기 포장 케이스의 수용공간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포장 케이스는 내부에 보관된 용기가 상하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부에 보관된 용기가 외부의 충격을 받는 것을 일착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고정부는 상부 케이스 몸체의 상부 격벽에 홈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상부 고정부가 형성되는 상부 격벽의 두께는 주변보다 얇게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상부 케이스 몸체의 두께는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이 적은 것이 당연하고, 이에 상부 케이스 몸체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의 높이를 고려할 때, 상부 케이스 몸체의 상부 격벽의 두께를 무작정 두껍게 할 수는 없으며, 더욱이, 상부 고정부를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하는 것은 수용공간의 높이를 낮추게 되고, 이는 결국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용기의 용량에 제한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부 케이스 몸체의 상부 격벽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두껍게 하되, 용기의 상면이 맞닿은 상부 고정부를 홈 형상으로 제공하여, 용기의 높이에 주는 제한을 최소화하고, 상부 케이스 몸체의 상부 격벽의 두께는 상부 고정부가 형성되는 부분만을 제외하고는 두껍게 제조할 수 있다.
참고로, 상부 케이스 몸체에서 상부 고정부를 위한 부분만을 얇게 형성하는 경우, 용기의 상면에 제공될 수 있는 제품의 상품명 혹은 제조회사의 로고 등이 시각적으로 더 가깝게 느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부 고정부에는 상술한 인쇄층의 확대를 위한 볼록면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부 고정부를 상기 상부 케이스 몸체의 상부 격벽에서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용기 포장 케이스가 동일한 높이로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할 때, 상부 고정부를 홈 형상으로 제공하는 것보다는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용기의 높이가 조금 낮아지겠지만, 상부 고정부의 특정 부분이 얇아지지 않아 외부 충격에 더 강한 장점이 있다. 참고로, 연속적이라 함은, 상부 고정부가 끊어지지 않은 링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불연속적이라 함은, 상부 고정부가 여러 개의 돌기로 나누어져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의 측부 격벽은 하부 케이스 몸체의 상면을 기준으로 두께가 얇아져 걸림 턱을 형성할 수 있으며, 걸림 턱은 하부 케이스 몸체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밀착될 수 있다.
일단 걸림 턱을 제공하여, 걸림 턱이 하부 케이스 몸체의 상면 둘레를 따라서 안착되게 하고, 이에 하부 케이스 몸체가 상부 케이스 몸체 내부로 무한정 삽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앞서 상부 케이스 몸체의 상부 격벽의 경우처럼, 상부 케이스 몸체의 측부 격벽 역시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외부 충격에 더 강한 이점이 있겠으나, 용기 포장 케이스의 전체적인 부피를 고려할 때는 바람직하지 않고, 용기 포장 케이스의 전체적인 무게를 고려할 때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부 케이스 몸체의 측부 격벽을 두껍게 하되, 하부 케이스 몸체의 아래로는 그 두께를 얇게 하여, 상부 케이스 몸체의 측부 두께에 의해서 용기 포장 케이스가 좌우로 너무 커지는 것을 막고, 외부 충격에 강하면서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 몸체가 하부 케이스 몸체에 결합되면, 걸림 턱에 밀착된 상면 가장자리에서 전반사가 일어나 상면 가장자리는 가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하부 케이스 몸체의 상면의 면적이 가시적으로 조금 더 좁아 보이고, 내부에 수용된 용기는 오히려 크게 부각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하부 및 상부 케이스 몸체가 결합되어 있을 때, 하부 케이스 몸체의 상면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부 케이스의 측부 격벽에는 하부 케이스 몸체의 하부 단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홈 형상의 손잡이 홀더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 홀더를 파지한 상태에서 쉽게 상부 케이스 몸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손잡이 홀더로 노출되는 하부 케이스 몸체의 하부 측면을 손으로 고정하고, 상부 케이스 몸체를 들어올려 하부 케이스 몸체로부터 상부 케이스 몸체를 분리하기 용이하다.
또한, 하부 케이스 몸체는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확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부 케이스 몸체의 하단부는 플랜지부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플랜지부는 앞서 설명한 걸림 턱과 함께 하부 케이스 몸체가 상부 케이스 몸체 내부로 무한정 삽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 몸체 내부에는 서랍식 수납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서랍식 수납부는 하부 케이스 몸체의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랍식 수납부의 인출이 용이하게 서랍식 수납부의 외측에는 인출 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을 떠내기 위한 인출 스푼이 개시된다. 인출 스푼은 내용물을 담기 위해서 아래로 볼록한 스푼 헤드, 스푼 헤드와 일체로 연장되는 스푼 바디, 및 스푼 바디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스푼 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인입부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 홈을 갖는 연장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푼 바디의 인입부의 양 단부는 수용 홈의 내측에 밀착되게 하되, 양 단부 사이에는 폭이 좁아져 수용 홈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스푼 바디의 인입부를 수용 홈에 밀어 넣거나 뺄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인입부의 양단부는 수용 홈에 밀착되기 때문에 스푼 바디는 연장 바디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푼 바디의 삽입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인출 스푼은 앞서 언급한 용기 포장 케이스의 서랍식 수납부에 보관될 수 있고, 특히, 인출 스푼은 스푼 바디 및 연장 바디로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다.
본 고안의 용기 포장 케이스는 용기를 외관상 고급스러워 보이게 포장하고, 용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용기 포장 케이스는 용기의 하부 및 상부를 측면에서 밀착하는 하부 및 상부 고정부를 제공하여, 용기 포장 케이스 내부에 보관된 용기가 상하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용기 포장 케이스는 용기의 상부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상부 고정부를 홈 또는 돌기로 제공함으로써,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용기의 높이를 낮추지 않고 용기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용기 포장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몸체의 측부 격벽을 하부 케이스 몸체의 아래로 얇게 하여, 상부 케이스 몸체의 측부 두께에 의해서 용기 포장 케이스가 좌우로 너무 커지는 것을 막고, 외부 충격에 강하면서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용기 포장 케이스에서 상부 케이스 몸체가 하부 케이스 몸체에 결합될 때, 걸림 턱에 밀착된 상면 가장자리에서 전반사가 일어나 상면 가장자리는 가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시각적으로 하부 케이스 몸체의 상면의 면적이 가시적으로 조금 더 좁아 보이고, 내부에 수용된 용기는 오히려 크게 부각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포장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 포장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기 포장 케이스에서 상부 고정부에 의해서 용기가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포장 케이스에서 상부 고정부에 의해서 용기가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용기 포장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포장 케이스의 상부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 스푼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포장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 포장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기 포장 케이스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용기 포장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포장 케이스(100)는 하부 케이스 몸체(110) 및 상부 케이스 몸체(120)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 몸체(110) 및 상부 케이스 몸체(120)는 상호 결합되어 그 내부에 용기(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01)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상부 케이스 몸체(120)는 상부 격벽(121) 및 상부 격벽(121)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4개의 측부 격벽(122)들을 포함하여,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 몸체(110)는 측부 격벽(122)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외측면을 갖도록 그 외형이 결정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부 케이스 몸체는 중공의 원기둥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직육면체 외에도 다른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하부 케이스 몸체는 상부 케이스 몸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 몸체(110)는 용기(10)의 하부 측면을 밀착 지지하여, 용기(10)가 수용공간(101)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하부 고정부(11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하부 고정부(115)는 용기(10)의 하부 일부를 수용하는 홈 형상으로 제공되고, 홈 내부에는 용기(10)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 돌기(117)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하부 고정부(115)는 하부 케이스 몸체(110)의 상면에서 돌출된 돌기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돌기는 하나의 연장된 링 형상이나 서로 분리된 여러 개의 돌기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 몸체(120)는 하부 케이스 몸체(110)와 결합되어 용기(10)가 수용공간(10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며, 구체적으로, 용기(10)는 하부 및 상부 케이스 몸체(110, 120)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어 용기 포장 케이스(100)의 수용공간(101)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 몸체(120)는 용기(10)의 상부 측면을 밀착 지지하여, 하부 고정부(115)와 함께 용기(10)가 수용공간(101)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상부 고정부(125)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부 케이스 몸체(120)는 내부의 용기(10)가 가시될 수 있게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즉, 용기(10)는 하부 및 상부 케이스 몸체(110, 120) 사이에 끼어 용기 포장 케이스(100)의 수용공간(101)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하부 및 상부 고정부(115, 125)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고가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일수록, 보다 안전한 보관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부 케이스 몸체(120)는 두꺼운 측벽으로 제공되어야 하지만, 전체적인 외관을 고려할 때 하부 케이스 몸체(110)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부 케이스 몸체(120) 상부 측벽을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그 하부 측벽을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용기 포장 케이스(100)는 내부에 보관된 용기(10)가 상하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의 충격을 받는 것을 일착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상부 고정부(125)는 상부 케이스 몸체(120)의 상부 격벽(121)에 홈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상부 고정부(125)가 형성되는 상부 격벽(121)의 두께는 주변보다 얇게 제공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케이스 몸체(120)의 두께는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이 적은 것이 당연하고, 이에 상부 케이스 몸체(120)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용기(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01)의 높이를 고려할 때, 상부 케이스 몸체(120)의 상부 격벽(121)의 두께를 무작정 두껍게 할 수는 없으며, 더욱이, 상부 고정부(125)를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하는 것은 수용공간(101)의 높이를 낮추게 되고, 이는 결국 수용공간(101)에 수용되는 용기(10)의 용량에 제한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부 케이스 몸체(120)의 상부 격벽(121)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두껍게 하되, 용기(10)의 상면이 맞닿은 상부 고정부(125)를 홈 형상으로 제공하여, 용기(10)의 높이에 주는 제한을 최소화하고, 상부 케이스 몸체(120)의 상부 격벽(121)의 두께는 상부 고정부(125)가 형성되는 부분만을 제외하고는 두껍게 제조할 수 있다.
참고로, 상부 케이스 몸체에서 상부 고정부를 위한 부분만을 얇게 형성하는 경우, 용기의 상면에 제공될 수 있는 제품의 상품명 혹은 제조회사의 로고 등이 시각적으로 더 가깝게 느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부 고정부에는 상술한 인쇄층의 확대를 위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125a)가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몸체(120a)의 상면에 위로 볼록한 볼록면(127a)을 형성하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125b)가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몸체(120b)의 저면에 아래로 볼록한 볼록면(127b)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위아래 면에 각각 볼록면을 제공하거나 다른 광학적 효과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225)를 상기 상부 케이스 몸체(220)의 상부 격벽(221)에서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용기 포장 케이스(100)가 동일한 높이로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할 때,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125)를 홈 형상으로 제공하는 것보다는 수용공간(101)에 수용될 수 있는 용기(10)의 높이가 조금 낮아지겠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225)의 특정 부분이 얇아지지 않아 외부 충격에 더 강한 장점이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의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참고로, 연속적이라 함은, 상부 고정부가 끊어지지 않은 링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불연속적이라 함은, 상부 고정부가 여러 개의 돌기로 나누어져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케이스 몸체(120)의 측부 격벽(122)은 하부 케이스 몸체(110)의 상면을 기준으로 두께가 얇아져 걸림 턱(126)을 형성할 수 있으며, 걸림 턱(126)은 하부 케이스 몸체(110)의 상면 가장자리(116)를 따라서 밀착될 수 있다.
일단 걸림 턱(126)을 제공하여, 걸림 턱(126)이 하부 케이스 몸체(110)의 상면 둘레를 따라서 안착되게 하고, 이에 하부 케이스 몸체(110)가 상부 케이스 몸체(120) 내부로 무한정 삽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앞서 상부 케이스 몸체(120)의 상부 격벽(121)의 경우처럼, 상부 케이스 몸체(120)의 측부 격벽(122) 역시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외부 충격에 더 강한 이점이 있겠으나, 용기 포장 케이스(100)의 전체적인 부피를 고려할 때는 바람직하지 않고, 용기 포장 케이스(100)의 전체적인 무게를 고려할 때도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부 케이스 몸체(120)의 측부 격벽(122)을 두껍게 하되, 하부 케이스 몸체(110)의 아래로는 그 두께를 얇게 하여, 상부 케이스 몸체(120)의 측부 격벽(122) 두께에 의해서 용기 포장 케이스(100)가 좌우로 너무 커지는 것을 막고, 외부 충격에 강하면서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 몸체(120)가 하부 케이스 몸체(110)에 결합되면, 걸림 턱(126)에 밀착된 상면 가장자리(116)에서 전반사가 일어나 상면 가장자리(116)는 가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하부 케이스 몸체(110)의 상면의 면적이 가시적으로 조금 더 좁아 보이고, 내부에 수용된 용기(10)는 오히려 크게 부각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상부 케이스 몸체(120)에서 걸림턱(126) 상부의 두꺼운 측벽이 동일한 두께 또는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케이스 몸체(120)의 상부 격벽에 비해 측벽을 너무 얇으면 외형적으로 부자연스러울 수 있으나, 상부 격벽과 측벽 간의 경계에서 측벽을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고, 하부로 내려올수록 측벽 두께를 얇게 하여 자연스러운 외관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수용공간이 약간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용기에 대한 시선 집중을 더욱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가 있다.
또한, 하부 및 상부 케이스 몸체(110, 120)가 결합되어 있을 때, 하부 케이스 몸체(110)의 상면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부 케이스 몸체(120)의 측부 격벽(122)에는 하부 케이스 몸체(110)의 하부 단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하부 케이스 몸체(110)의 외측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홈 형상의 손잡이 홀더(128)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 홀더(128)를 파지한 상태에서 쉽게 상부 케이스 몸체(120)를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손잡이 홀더(128)로 노출되는 하부 케이스 몸체(110)의 하부 측면을 손으로 고정하고, 상부 케이스 몸체(120)를 들어올려 하부 케이스 몸체(110)로부터 상부 케이스 몸체(120)를 분리하기 용이하다.
또한, 하부 케이스 몸체(110)는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확장된 플랜지부(11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부 케이스 몸체(120)의 하단부는 플랜지부(118)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플랜지부(118)는 앞서 설명한 걸림 턱(126)과 함께 하부 케이스 몸체(110)가 상부 케이스 몸체(120) 내부로 무한정 삽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 몸체(110) 내부에는 서랍식 수납부(1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서랍식 수납부(130)는 하부 케이스 몸체(110)의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서랍식 수납부(130)에는 도 7에 도시된 인출 스푼이 분리된 형태로 수납될 수 있으며, 기타 내용물의 보증서, 내용물과 관련된 주의사항, 간단한 메시지 등이 보관될 수가 있다. 특히, 홍삼 엑기스와 같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를 포장하는 경우, 상기 설명된 인출 스푼이 함께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랍식 수납부(130)를 통해서 인출 스푼 등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가 있다.
또한, 서랍식 수납부(130)의 인출이 용이하게 서랍식 수납부(130)의 외측에는 인출 끈(131)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출 끈(131)이 손잡이 홀더와 일치하는 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인출 끈(131)의 외부 노출이 용이하고 파지가 용이하도록 할 수가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 스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을 떠내기 위한 인출 스푼(300)이 도시되어 있다. 인출 스푼(300)은 내용물을 담기 위해서 아래로 볼록한 스푼 헤드(310), 스푼 헤드(310)와 일체로 연장되는 스푼 바디(320), 및 스푼 바디(32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스푼 바디(320)의 단부에 형성된 인입부(322)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 홈(332)을 갖는 연장 바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푼 바디(320)의 인입부(322)는 원단부(distal end; 322a) 및 근단부(proximal end; 322b)를 포함하며, 이 양 단부(322a, 322b)는 수용 홈(332)의 내측에 밀착되게 하되, 양 단부 사이에는 폭이 좁아져 수용 홈(332)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스푼 바디의 인입부(322)를 수용 홈(332)에 밀어 넣거나 뺄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인입부(322)의 양 단부(322a, 322b) 수용 홈(332) 내측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스푼 바디(320)는 연장 바디(3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푼 바디(320)의 삽입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인출 스푼(300)은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용기 포장 케이스의 서랍식 수납부(130)에 보관될 수 있고, 특히, 인출 스푼(300)은 스푼 바디(320) 및 연장 바디(330)로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용기 포장 케이스 110:하부 케이스 몸체
115:하부 고정부 128:손잡이 홀더
120:상부 케이스 몸체 121:상부 격벽
122:측부 격벽 125:상부 고정부
126:걸림 턱 130:서랍식 수납부
131:인출 끈 300:인출 스푼
310:스푼 헤드 320:스푼 바디
322:인입부 330:연장 바디

Claims (12)

  1. 용기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포장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부 측면을 밀착 지지하여, 상기 용기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 몸체; 및
    상기 하부 케이스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며, 상기 용기의 상부 측면을 밀착 지지하여, 상기 하부 고정부와 함께 상기 용기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상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투명한 상부 케이스 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의 측부 격벽은 상기 하부 케이스 몸체의 상면을 기준으로 두께가 얇아져 걸림 턱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 턱은 상기 하부 케이스 몸체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밀착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 몸체의 상면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측부 격벽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 몸체의 하부 단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홈 형상의 손잡이 홀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포장 케이스.
  2. 용기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포장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부 측면을 밀착 지지하여, 상기 용기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 몸체; 및
    상기 하부 케이스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며, 상기 용기의 상부 측면을 밀착 지지하여, 상기 하부 고정부와 함께 상기 용기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상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투명한 상부 케이스 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용기의 상면에 형성되는 인쇄층의 확대를 위하여, 상기 상부 고정부에는 상기 인쇄층의 확대를 위한 볼록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포장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 몸체의 상부 격벽에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포장 케이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몸체가 상기 하부 케이스 몸체에 결합되면,
    상기 걸림 턱에 밀착된 상기 상면 가장자리에서 전반사가 일어나 상기 상면 가장자리는 가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포장 케이스.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 몸체는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확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 몸체의 하단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포장 케이스.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 몸체의 상부 격벽에 홈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상부 고정부가 형성되는 상기 상부 격벽의 두께는 주변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포장 케이스.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 몸체 내부에는 서랍식 수납부가 배치되며,
    상기 서랍식 수납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 몸체의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포장 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수납부의 외측에는 상기 서랍식 수납부를 상기 하부 케이스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인출 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포장 케이스.
  11. 삭제
  12. 삭제
KR2020110004790U 2011-05-31 2011-05-31 용기 포장 케이스 KR200468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790U KR200468051Y1 (ko) 2011-05-31 2011-05-31 용기 포장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790U KR200468051Y1 (ko) 2011-05-31 2011-05-31 용기 포장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456U KR20120008456U (ko) 2012-12-10
KR200468051Y1 true KR200468051Y1 (ko) 2013-07-18

Family

ID=4751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790U KR200468051Y1 (ko) 2011-05-31 2011-05-31 용기 포장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0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998B1 (ko) * 2020-05-19 2021-08-10 한병기 보온/보냉 유지용 배달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320Y1 (ko) * 2001-10-23 2002-02-19 양성원 돌비빔기 세트용 포장 케이스
JP2009126555A (ja) * 2007-11-26 2009-06-11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収納容器および吸収性物品収納体
KR20100001141U (ko) * 2008-07-24 2010-02-03 고영훈 조미알 포장구조
KR20100006962U (ko) * 2008-12-30 2010-07-08 대성실업(주) 엘이디 전구 포장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320Y1 (ko) * 2001-10-23 2002-02-19 양성원 돌비빔기 세트용 포장 케이스
JP2009126555A (ja) * 2007-11-26 2009-06-11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収納容器および吸収性物品収納体
KR20100001141U (ko) * 2008-07-24 2010-02-03 고영훈 조미알 포장구조
KR20100006962U (ko) * 2008-12-30 2010-07-08 대성실업(주) 엘이디 전구 포장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456U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932B1 (ko)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0218554B1 (ko) 용기 캐리어
US20130213855A1 (en) Transport and presentation box
CA2606763A1 (en) Bottle carrier
JP2015013690A (ja) 輸送および化粧箱
KR200468051Y1 (ko) 용기 포장 케이스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KR101321474B1 (ko) 완충 포장용기
WO2003031285A1 (en) Vacuum cleaner package
KR20120066334A (ko) 와인병 포장 케이스
JP2006264700A (ja) ボトル収容用手提げ紙袋
JP6038487B2 (ja) リフィル皿保護容器
KR101953986B1 (ko) 와인병 보호 커버
KR200335714Y1 (ko) 김치냉장고용 와인케이스
KR20100008261U (ko) 세트 화장품용기 보관 케이스 어셈블리
JP4927402B2 (ja) コンパクト容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中皿保護容器
KR200495381Y1 (ko) 종이재 안경테 포장용기
KR102473849B1 (ko) 일체형 성찬식 컵
JP4510356B2 (ja) リフィル皿用保護容器
JP4331497B2 (ja) リフィル皿用保護容器
KR200350489Y1 (ko) 주류병 포장상자
CN208947982U (zh) 一种酒瓶泡沫包装盒
KR200415342Y1 (ko) 물품 보관용기
KR200340363Y1 (ko) 양념통 홀더
KR200401492Y1 (ko) 내용물 잔량 확인이 용이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