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474B1 - 완충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완충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474B1
KR101321474B1 KR1020110100684A KR20110100684A KR101321474B1 KR 101321474 B1 KR101321474 B1 KR 101321474B1 KR 1020110100684 A KR1020110100684 A KR 1020110100684A KR 20110100684 A KR20110100684 A KR 20110100684A KR 101321474 B1 KR101321474 B1 KR 101321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tting
fixing
cov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6541A (ko
Inventor
김기호
Original Assignee
웰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474B1/ko
Priority to PCT/KR2012/003631 priority patent/WO2013051774A1/ko
Publication of KR2013003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B65D85/325Containers with compartments formed by erecting on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65D5/5016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formed by folding inwardly of extensions hinged to the side edge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되어 덮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바닥부와 대향되며, 상기 연결부로부터 절곡되어 연결되는 덮개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바닥부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측면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덮개부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측면부; 상기 제 1측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바닥부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1고정부; 상기 제 1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에 접착되는 제 1접착부; 상기 제 1접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덮개부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2고정부; 및 상기 제 2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2측면부에 접착되는 제 2접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고정부는 수납되는 상품의 일측을 끼우기 위한 수 개의 제 1끼움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고정부는 상기 수납되는 상품의 타측을 끼우기 위한 수 개의 제 2끼움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끼움홀은 수납되는 상품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는 제 1지지부 및 제 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끼움홀은 수납되는 상품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는 제 3지지부 및 제 4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완충 포장용기{SHOCK ABSORB PACKAGE}
본 발명은 완충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품의 품질 보전을 위하여 상품의 형상에 따라 끼우는 홈을 달리 구성하여 달걀 등과 같이 유통 및 보관 중에 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이 될 수 있는 상품을 보호하고, 인쇄, 가공, 포장재 운송비 절감 및 폐기의 편리성 등의 특정 기능성을 두루 제공할 수 있는 완충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기는 달걀과 같은 깨어지기 쉬운 상품의 유통과정에서 서로 부딪쳐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완충재를 사용되고 있다.
특히 달걀 등과 같이 파손이 쉬운 상품의 일반적인 유통은 상자에 안치한 상태에서 완충재(종이, 스티로폼, Air Cap 등) 충진 또는 칸막이 등으로 보강하거나, 합성수지재(PET) 또는 펄프를 금형(Pulp Mold)으로 가압하여 달걀을 안치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도록 입체 구성하여 유통 및 보관하였다.
또한 종래의 달걀을 포함한 상품에 대한 포장용기는 포장용기의 측벽부분이 막혀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품에 대한 내용물의 파손 등의 확인이 어려웠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품을 견고히 고정하고, 유통 중 충격으로부터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기능성을 두루 제공할 수 있는 완충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되어 덮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바닥부와 대향되며, 상기 연결부로부터 절곡되어 연결되는 덮개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바닥부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측면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덮개부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측면부; 상기 제 1측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바닥부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1고정부; 상기 제 1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에 접착되는 제 1접착부; 상기 제 1접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덮개부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2고정부; 및 상기 제 2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2측면부에 접착되는 제 2접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고정부는 수납되는 상품의 일측을 끼우기 위한 수 개의 제 1끼움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고정부는 상기 수납되는 상품의 타측을 끼우기 위한 수 개의 제 2끼움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끼움홀은 수납되는 상품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는 제 1지지부 및 제 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끼움홀은 수납되는 상품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는 제 3지지부 및 제 4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 1지지부의 중앙부는 U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지지부의 양측면은 2개의 지지편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지지부는 U자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지지부의 지지편의 외측면은 수납되는 상품과의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의 끝단의 둘레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2측면부의 단부에는 결합돌기와 고정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측면부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과,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되는 상품의 일측을 끼우기 위한 수 개의 제 1끼움홀을 포함하되, 상기 제 1끼움홀은 수납되는 상품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는 제 1지지부 및 제 2지지부를 포함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되어 덮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바닥부와 대향되며, 상기 연결부로부터 절곡되어 연결되되, 상기 수납되는 상품의 타측을 끼우기 위한 수 개의 제 2끼움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 2끼움홀은 수납되는 상품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는 제 3지지부 및 제 4지지부를 포함하는 덮개부; 중앙부에 손잡이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바닥부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측면부; 및 중앙부에 손잡이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덮개부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덮개부가 접혀져 결합될 경우 상기 제 1측면부의 손잡이홈과 상기 제 2측면부의 손잡이홈은 서로 대향되며, 상기 제 1지지부의 중앙부는 U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부의 양측면은 2개의 지지편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지지부는 U자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지지부의 지지편의 외측면은 수납되는 상품과의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의 끝단의 둘레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완충 포장용기를 재단한 상태에서 접어서 제작되므로 제조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부와 덮개부를 포함한 완충 포장용기를 펼친 상태에서 상표, 디자인 및 법적표시사항 등을 포함한 광고면을 미리 인쇄한 후에 재단할 수 있어 별도의 광고용 간지 등을 부착하거나 삽입하는 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달걀을 포함한 상품을 포장한 상태에서 포장용기의 측면을 통하여 파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포장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합성수지나 펄프 가공지의 경우 사용 후 폐기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데 반해, 본 발명에 의한 완충 포장용기는 접어진 상태로 운반되므로 물류비용이 절감될뿐만 아니라 사용후 접은 상태로 폐기되므로 부피가 최소화되며, 동시에 완충 포장용기의 재생이 가능하므로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를 조립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를 조립한 상태의 덮개부가 열린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를 반으로 접은 상태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를 조립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의 부분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를 조립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를 조립한 상태의 덮개부가 열린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의 전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를 반으로 접은 상태의 전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용기를 조립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완충 포장용기(10)는 바닥부(100), 연결부(200), 덮개부(300), 제 1측면부(400), 제 2측면부(500), 제 1고정부(600), 제 1접착부(700), 제 2고정부(800), 및 제 2접촉부(9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완충 포장용기(10)는 달걀을 포함한 란 및 컵 등의 다양한 상품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용기이다.
바닥부(100)는 완충 포장용기(10)의 밑면으로서, 수납되는 상품과의 일정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제 1고정부(600)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00)는 바닥부(100)로부터 절곡 가능하게 연장된 부분이며, 상기 바닥부(100)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200)의 반대편 역시 절곡되어 덮개부(300)와 연결된다.
덮개부(300)는 바닥부(100)와 대향되며, 상기 연결부(200)로부터 절곡되어 연결된다.
제 1측면부(400)는 연결부(200)와 연결된 바닥부(100)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2측면부(500)는 연결부(200)와 연결된 덮개부(300)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측면부(400)와 제 2측면부(500)는 상품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달걀의 경우 일측은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반구 형태쪽보다 뾰족한 형태쪽이 더 긴 비대칭형이므로 뾰족한 부분이 결합하는 제 1측면부(400)를 제 2측면부(500)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하여 달걀 형상에 부합하는 위치에 후술할 제 1고정부(600) 및 제 2고정부(800)가 위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 2측면부(500)의 단부에는 결합돌기(510)와 고정돌기(520)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 1측면부(400)의 단부에는 결합돌기(510)가 끼워지는 결합홈(410)과, 고정돌기(520)가 끼워지는 고정홈(420)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측면부(500)의 결합돌기(510)와 제 1측면부(400)의 결합홈(410)이, 제 2측면부(500)의 고정돌기(520)와 제 1측면부(400)의 고정홈(420)이 서로 결합되어 끼워진다.
제 1고정부(600)는 제 1측면부(400)에서 절곡 가능하게 연장되며, 바닥부(100)와 대향되게 형성된다.
제 1접착부(700)는 제 1고정부(600)에서 절곡 가능하게 연장되며, 연결부(200)에 접착된다. 상기 제 1접착부(700)는 상기 연결부(200)의 중단부에 접착되어 후술할 제 2고정부(800)가 덮개부(300) 및 제 1고정부(600)와 대향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고정부(800)는 제 1접착부(700)에서 절곡 가능하게 연장되며, 덮개부(300) 및 제 1고정부(600)와 대향되게 형성된다.
제 2접착부(900)는 제 2고정부(800)에서 절곡 가능하게 연장되며, 제 2측면부(500)에 접착된다.
따라서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접착부(700)는 연결부(200)와, 제 2접착부(900)는 제 2측면부(500)와 접착되어 완충 포장용기(10)의 보관 및 유통시 부피가 최소화되어 많은 양의 완충 포장용기(10)를 한꺼번에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고정부(600)는 수납되는 상품의 일측을 끼우기 위한 수 개의 제 1끼움홀(610)을 형성하고, 상기 제 2고정부(800)는 상기 수납되는 상품의 타측을 끼우기 위한 수 개의 제 2끼움홀(81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끼움홀(610)은 수납되는 상품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는 제 1지지부(611) 및 제 2지지부(6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끼움홀(810)은 수납되는 상품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는 제 3지지부(811) 및 제 4지지부(8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부(611)의 중앙부는 U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부(611)의 양측면은 2개의 지지편(611a)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지지부(612)는 U자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부(611)의 지지편(611a)의 외측면은 수납되는 상품과의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돌기(61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돌기(611b)는 제 1지지부(611)와 제 2지지부(612)의 끝단의 둘레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특히 제 1끼움홀(610)의 제 1지지부(611)의 중앙부와 제 2지지부(612)의 중앙부는 제 2끼움홀(810)의 제 3지지부(811)의 중앙부와 제 4지지부(812)의 중앙부에 비해 U자 형상이 더 깊게 형성되어 있다.
달걀(A)을 예로 들면, 달걀(A)의 일측은 뾰족하게 형성되며, 달걀(A)의 타측은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뾰족한 형태를 가진 달걀(A)의 일측을 제 1끼움홀(610)의 제 1지지부(611) 및 제 2지지부(612)에 내입시키고, 반구형을 가진 달걀(A)의 타측을 제 2끼움홀(810)의 제 3지지부(811) 및 제 4지지부(812)에 내입시키는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 1지지부(611)와 제 2지지부(612)는 U자 형상이 깊게 형성되어 있고, 제 1지지부(611)의 지지편(611a)은 완충돌기(611b)를 가지고 있어 달걀(A)의 뾰족한 부분을 내입시킨 후 내입시킨 달걀(A)을 약간 돌린 상태에서 달걀(A)의 반구형의 부분을 제 2끼움홀(810)에 내입시키면 보다 견고하게 달걀(A)이 고정되어 보관 및 유통시 파손의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제 1끼움홀(610)의 제 1지지부(611)와 제 2지지부(612)의 둘레의 일측에 제 1홈(613)이 형성되어 있어 달걀(A)이 제 1끼움홀(610)에 내입될 경우 제 1고정부(600)가 보다 견고히 달걀(A)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경우에 따라서 제 1끼움홀(610)의 지지편(611a)과 완충돌기(611b)는 제 2끼움홀(810)의 제 3지지부(811)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 1지지부(611) 및 제 3지지부(811)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6개의 달걀(A)이 내입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4개 혹은 다양하게 달걀의 개수를 증감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부(100), 연결부(200), 덮개부(300), 제 1측면부(400) 및 제 2측면부(500)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노출된 부분 전체를 넓은 광고면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결국 광고를 위한 간지를 별도로 제작하여 삽입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목적하는 광고를 소비자에게 보다 쉽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완충 포장용기(10)는 도 1과 같이 재단된 상태에서 연결부(200)를 기준으로 덮개부(300) 및 바닥부(100)를 접고, 바닥부(100)와 연결되어 있는 제 1측면부(400), 제 1고정부(600), 제 1접착부(700), 제 2고정부(800) 및 제 2접착부(900)를 순차적으로 접은 상태에서 연결부(200)에 제 1접착부(700)를 접착시켜 고정하고, 덮개부(300)에 연결되어 있는 제 2측면부(500)에 제 2접착부(900)를 접착시켜 완충 포장용기(10)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완충 포장용기(10)에 상품(A)을 넣어 포장하고자 할 경우, 바닥부(100)와 대향하고 있는 제 1고정부(600)에 형성된 제 1끼움홀(610)에 상품(A)의 아래부분을 내입시킨 상태에서 덮개부(300)와 대향하고 있는 제 2고정부(800)를 상품(A)의 윗부분이 덮이도록 한 후, 결합돌기(510) 및 고정돌기(520)를 결합홈(410) 및 고정홈(420)에 끼워 제 1측면부(400) 및 제 2측면부(500)를 결합하면 완충 포장용기(10)의 포장은 완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완충 포장용기(10)의 재질은 종이류 등 판재로 구성되므로 사용 후 폐기할 때에도 종이 등 소재에 따라 분리수거 할 수 있고, 재생 또한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라고 볼 수 있고, 완충 포장용기(10)를 접어서 폐기할 수 있으므로 부피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완충 포장용기(10)를 통해 달걀을 포함한 란을 포장하여 보관할 경우, 연결부(200)가 넓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냉장고에서 냉장 보관할 때 상기 연결부(200)가 바닥과 접하도록 하면 달걀이 누운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달걀이 누운 상태로 보관되는 것은 달걀 기실(공기방)의 호흡 작용을 원활하게 하며, 배아원반이 위로 향하고 난황을 잡고 있는 알끈의 상태가 균형을 유지하므로 달걀의 신선도를 오래토록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끼움홀(610) 및 제 2끼움홀(810)이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포장되는 상품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 1끼움홀(610) 및 제 2끼움홀(810)의 제 1지지부(611), 제 2지지부(612), 제 3지지부(811) 및 제 4지지부(812)의 형상 및 모양은 포장되는 상품의 형상에 맞게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인 완충 포장용기(10)는 바닥부(100), 연결부(200), 덮개부(300), 제 1측면부(400), 및 제 2측면부(500)를 포함한다.
바닥부(100)는 수납되는 상품의 일측을 끼우기 위한 수 개의 제 1끼움홀(110)을 포함하되, 상기 제 1끼움홀(110)은 수납되는 상품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는 제 1지지부(111) 및 제 2지지부(112)를 포함한다.
연결부(200)는 바닥부(100)로부터 절곡되어 덮개부(300)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00)를 바닥에 접하도록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완충 포장용기(10)를 세워서 보관하게 된다.
덮개부(300)는 바닥부(100)와 대향되며, 연결부(200)로부터 절곡되어 연결되되, 상기 수납되는 상품의 타측을 끼우기 위한 수 개의 제 2끼움홀 (310)을 포함하며, 상기 제 2끼움홀(310)은 수납되는 상품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는 제 3지지부(311) 및 제 4지지부(312)를 포함한다.
제 1측면부(400)는 중앙부에 손잡이홈(41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00)와 연결된 바닥부(100)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1측면부(400)의 양측면에는 제 2측면부(500)의 요홈(520a)과 결합되는 요홈(420)이 형성된다.
제 2측면부(500)는 중앙부에 손잡이홈(51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00)와 연결된 덮개부(300)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2측면부(500)의 양측면에는 요홈(520a)이 형성된 고정편(5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측면부(500)의 고정편(520)의 요홈(520a)과 제 1측면부(400)의 요홈(420)이 결합되어 바닥부(100), 연결부(200) 및 덮개부(300)는 서로 연결됨으로써 완충 포장용기(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 2측면부(500)의 고정편(520)이 제 1측면부(400)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제 1측면부(400)의 요홈(420)이 제 2측면부(5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부(100), 연결부(200) 및 덮개부(300)가 접혀져 결합될 경우 상기 제 1측면부(400)의 손잡이홈(410)과 상기 제 2측면부(500)의 손잡이홈(510)은 서로 대향된다. 상기 제 1지지부(111)의 중앙부는 U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부(111)의 양측면은 2개의 지지편(111a)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지지부(112)는 U자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지지부(111)의 지지편(111a)의 외측면은 수납되는 상품과의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돌기(111b)가 형성된다. 상기 완충돌기(111b)는 제 1지지부(111)와 제 2지지부(112)의 끝단의 둘레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6 내지 도 8에서 언급한 상기 지지편(111a) 및 완충돌기(111b)를 포함한 제 1끼움홀(110) 및 제 2끼움홀(310)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언급한 제 1끼움홀(610) 및 제 2끼움홀(810)과 동일한 구성요소로서 그 기능 및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고 볼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완충 포장용기
100: 바닥부
200: 연결부
300: 덮개부
400: 제 1측면부 410: 결합홈 420: 고정홈
500:제 2측면부 510: 결합돌기 520: 고정돌기
600: 제 1고정부 610: 제 1끼움홀 611: 제 1지지부 611a: 지지편 611b: 완충돌기 612: 제 2지지부 613: 제 1홈
700: 제 1접착부
800: 제 2고정부 810: 제 2끼움홀 811: 제 3지지부 812: 제 4지지부
900; 제 2접촉부
A: 달걀 또는 상품

Claims (5)

  1.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되어 덮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바닥부와 대향되며, 상기 연결부로부터 절곡되어 연결되는 덮개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바닥부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측면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덮개부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측면부;
    상기 제 1측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바닥부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1고정부;
    상기 제 1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에 접착되는 제 1접착부;
    상기 제 1접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덮개부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2고정부; 및
    상기 제 2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2측면부에 접착되는 제 2접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고정부는 수납되는 상품의 일측을 끼우기 위한 수 개의 제 1끼움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고정부는 상기 수납되는 상품의 타측을 끼우기 위한 수 개의 제 2끼움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끼움홀은 수납되는 상품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는 제 1지지부 및 제 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끼움홀은 수납되는 상품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는 제 3지지부 및 제 4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지지부의 중앙부는 U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지지부의 양측면은 2개의 지지편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지지부는 U자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지지부의 지지편의 외측면은 수납되는 상품과의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의 끝단의 둘레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측면부의 단부에는 결합돌기와 고정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측면부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과,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용기.
  5. 수납되는 상품의 일측을 끼우기 위한 수 개의 제 1끼움홀을 포함하되, 상기 제 1끼움홀은 수납되는 상품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는 제 1지지부 및 제 2지지부를 포함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되어 덮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바닥부와 대향되며, 상기 연결부로부터 절곡되어 연결되되, 상기 수납되는 상품의 타측을 끼우기 위한 수 개의 제 2끼움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 2끼움홀은 수납되는 상품의 가압력에 의해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는 제 3지지부 및 제 4지지부를 포함하는 덮개부;
    중앙부에 손잡이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바닥부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측면부; 및
    중앙부에 손잡이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덮개부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덮개부가 접혀져 결합될 경우 상기 제 1측면부의 손잡이홈과 상기 제 2측면부의 손잡이홈은 서로 대향되며, 상기 제 1지지부의 중앙부는 U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부의 양측면은 2개의 지지편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지지부는 U자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지지부의 지지편의 외측면은 수납되는 상품과의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의 끝단의 둘레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용기.
KR1020110100684A 2011-10-04 2011-10-04 완충 포장용기 KR101321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684A KR101321474B1 (ko) 2011-10-04 2011-10-04 완충 포장용기
PCT/KR2012/003631 WO2013051774A1 (ko) 2011-10-04 2012-05-09 완충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684A KR101321474B1 (ko) 2011-10-04 2011-10-04 완충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541A KR20130036541A (ko) 2013-04-12
KR101321474B1 true KR101321474B1 (ko) 2013-10-22

Family

ID=4804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684A KR101321474B1 (ko) 2011-10-04 2011-10-04 완충 포장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1474B1 (ko)
WO (1) WO2013051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3976B2 (en) * 2017-06-06 2020-01-28 Home Depot Product Authority, Llc Packaging for light bulbs
CN108860909A (zh) * 2018-07-26 2018-11-23 德清县钟管尚坝包装纸箱厂 物流用多泡灯置放盒
KR102078723B1 (ko) * 2019-09-23 2020-02-19 에스피엔지(주) 과일 포장용 난좌
CN110963141A (zh) * 2019-12-27 2020-04-07 宜昌市广鹏印业有限公司 全套玻璃茶具的电商输送包装内盒体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125A (ko) * 2004-05-15 2004-07-23 주식회사 비원씨엔알 판지를 이용한 란 포장 용기
KR200359298Y1 (ko) * 2004-06-03 2004-08-16 노황우 계란 포장용 상자
JP2010274970A (ja) 2009-05-29 2010-12-09 Panasonic Corp 梱包用緩衝材
JP2011016560A (ja) 2009-07-09 2011-01-27 Oshitani Sangyo Kk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緩衝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6683U (ko) * 1979-08-03 1981-03-12
KR200400831Y1 (ko) * 2005-08-22 2005-11-09 노승연 계란 포장용 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125A (ko) * 2004-05-15 2004-07-23 주식회사 비원씨엔알 판지를 이용한 란 포장 용기
KR200359298Y1 (ko) * 2004-06-03 2004-08-16 노황우 계란 포장용 상자
JP2010274970A (ja) 2009-05-29 2010-12-09 Panasonic Corp 梱包用緩衝材
JP2011016560A (ja) 2009-07-09 2011-01-27 Oshitani Sangyo Kk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緩衝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541A (ko) 2013-04-12
WO2013051774A1 (ko)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365B1 (ko) 계란포장용 상자
KR101209665B1 (ko) 냉장유통을 위한 달걀 포장용기
KR101321474B1 (ko) 완충 포장용기
KR101023191B1 (ko) 과일용 포장 상자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KR101689277B1 (ko) 계란 포장박스
RU2664953C2 (ru)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флакон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продукта и упаковку
KR200453822Y1 (ko) 포장용기
KR20220055701A (ko) 완충 포장 상자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KR100654153B1 (ko) 포장용 상자, 괘선형성방법 및 포장용 상자의 제조 방법
KR20200000081U (ko) 달걀 포장박스
KR102401852B1 (ko) 달걀 수납 케이스용 포장박스
KR102622785B1 (ko) 계란 포장 용기
KR20130115201A (ko) 삼단 포장 상자
KR102427314B1 (ko) 다기능 포장용 상자
KR200468148Y1 (ko) 이중 커버를 구비하는 포장 상자
KR200442598Y1 (ko) 포장용 완충 구조물
JP3178795U (ja) ペットボトル又は飲料缶用簡易飲料ケース
JP2003312734A (ja) 板材運搬具
KR200456721Y1 (ko) 조립용 포장상자
KR101394632B1 (ko)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포장 상자
KR200236136Y1 (ko) 포장용 칸막이
KR20090028906A (ko) 계란판 구조물
JP5067842B2 (ja) コップ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