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363Y1 - 양념통 홀더 - Google Patents

양념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363Y1
KR200340363Y1 KR20-2003-0033066U KR20030033066U KR200340363Y1 KR 200340363 Y1 KR200340363 Y1 KR 200340363Y1 KR 20030033066 U KR20030033066 U KR 20030033066U KR 200340363 Y1 KR200340363 Y1 KR 200340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container
holder
seasoning
rim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화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화실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화실업
Priority to KR20-2003-0033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3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3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41Glass or bottle holders for bottles; Decan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 등의 취급수단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양념통의 운반 취급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양념통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각종 양념류가 담겨지는 양념통(10)이 삽설 지지되는 홀더 본체(22) 및 이 홀더 본체(22)의 일측으로 구비된 손잡이(24)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 본체(22)는 양념통(10)의 상부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상부 림(221)과, 상기 양념통(10)의 하부를 안착 지지하기 위한 바닥면(222)이 구비된 하부 림(223) 및 상기 상 하부 림(221)(223)을 상호 연결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지지벽(224)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양념통(10)을 별도의 양념통 홀더(20)내에 삽설 지지함으로서 운반 취급이 보다 안정되고 간편 용이할 뿐 아니라 양념통을 직접 잡을 필요가 전혀 없어 보다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되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양념통 홀더{Condiment container holder}
본 고안은 손잡이 등의 취급수단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양념통의 운반 취급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양념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념통은, 각종 양념류를 담아 보관하면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일정량씩 간편하게 덜어내어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 양념통은 주로 프라스틱소재를 이용하여 원통(사각형태를 포함함)형태로 성형되며, 양념의 종류를 유관으로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이나 반투명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양념통은 외관상 거추장 스러움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 등의 취급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이의 운반시에는 양념통 자체를 직접 손으로 잡고 운반시킬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종래 상용되고 있는 양념통 구조에 따르면, 양념통의 운반 취급이 매우 불안정하고, 또한, 양념통의 외주면이 손자국 등에 의해 지저분하게되어 위생이 강조되는 양념통의 용도상 역으로 비위생적인 인상을 오히려 제공하게되어 제품의 용도 가치를 현저히 저하시키게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 등의 취급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양념통을 항상 안정되고 위생적으로 운반 취급이 가능하도록 한 양념통 홀더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의 구조를 보인 측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홀더의 일 실시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이 고정 지지된 양념통 홀더의 조립 측 단면도;
도4는 도3의 Ⅴ-Ⅴ선 단면도;
도5 및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홀더의 다른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양념통 20,200,300: 양념통 홀더
22: 홀더 본체 24: 손잡이
221: 상부 림 222: 바닥면
223: 하부 림 224: 연결 지지벽
225: 관통공 226, 227: 돌조들
228: 중간 림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종 양념류가 담겨지는 양념통이 삽설 지지되는 홀더 본체 및 이 홀더 본체의 일 측으로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한 양념통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홀더본체는 양념통의 상부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상부 림과, 상기 양념통의 하부를 안착 지지하기 위한 바닥면이 구비된 하부 림 및 상기 상 하부 림을 상호 연결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지지벽을 포함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림의 바닥면 중앙부로는 양념통의 저부 돌출턱이 관통 지지되는 동일 직경의 관통공이 더 형성되어 짐이 바람직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홀더 본체의 연결 지지벽과, 하부 림의 내주면및 바닥면으로는 양념통의 인출 조작을 용이하기 위한 다수의 돌조들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홀더 본체는 상 하부 림과의 사이에 중간 림을 더 형성하여 양념통의 보다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의 구성을 보인 측 단면도로서, 이러한 양념통(10)은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그 크기가 다양하다. 예컨대 각기 다른 용량을 갖도록 대중소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념통(10)은 각종 양념류를 포함하여 커피나 설탕, 프림 종류의 내용물 등도 간편하게 담아 사용할 수 있는 바, 그 내용물은 양념통(10)이라는 물품의 명칭 용도에 반드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양념통(10)은 각종 양념이 담아지는 원통형 통체(12)와, 이 통체(12)의 일방개방단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이에 복개되는 뚜껑(14)을 포함하는 바, 이러한 양념통(10)의 형태는 본 고안에서 특정되지 않고 이와 유사한 형태를 모두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통체(12)의 저부로는 돌출턱(16)이 일체로 더 형성되어 있으나, 여기서 돌출턱(16)의 형성은 양념통(10) 구성에서 반드시 필요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양념통(10)을 구성하는 통체(12) 및 뚜껑(14)은 프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통체(12)의 내부에 담겨지는 양념류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반투명 또는 투명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10)은 통체(12)의 내부로 양념류를 용이하게 덜어내어 사용하기 위한 스푼 형태의 인출도구(18)가 구비되어 있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10)을 삽설 지지하기 위한 양념통 홀더(20)의 구성을 보인 일 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양념통(10)이 삽설 지지된 상태의 측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양념통 홀더(20)는 각종 양념류가 담겨지는 양념통(10)이 삽설 지지되는 홀더 본체(22) 및 이 홀더 본체(22)의 일측으로 구비된 손잡이(24)를 포함한 구성이다.
양념통 홀더(20)는 그 근본 목적에 비추어 다양한 용량을 갖는 양념통(10)의 안착 지지가 가능하도록 해당 양념통(10)의 크기에 맞추어 성형됨은 물론이다.
홀더 본체(22)는 양념통(10)의 통체(12) 상부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상부림(221)과, 통체(12)의 저부 및 하부를 안착 지지하기 위한 바닥면(222)이 구비된 하부 림(223) 및 상기 상 하부 림(221)(223)을 상호 연결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지지벽(224)으로 구성된다.
연결 지지벽(224)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게 배열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예컨대 홀더 본체(22)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수 및 배치 간격을 가짐은 물론이다.
홀더 본체(22)를 구성하는 상부 및 하부 림(221)(223)은 양념통(10)의 삽설 조작이 용이하게 해당 통체(12)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이들 상 하부 림(221)(223)을 연결 지지벽(224)으로 분리 연결 구성함은 홀더 본체(22)를 통체로 형성하는 것에 비해 소재의 절감 및 취급에 따른 하중을 줄이고자 하는 경제적인 측면도 있지만, 홀더 본체(22) 내에 삽설 되는 양념통(10)을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여 양념통(10)의 내부에 들어 있는 양념 종류를 사용자가 유관으로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한 점에 더 비중이 있다.
또한, 하부 림(223)과 일체로 연장 형성된 바닥면(222)의 중앙부로는 양념통(10)을 구성하는 통체(12)의 저부 돌출턱(16)이 관통 지지되는 관통공(2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 본체(22)를 구성하는 연결 지지벽(224)과, 하부 림(223)의 내주면으로는 양념통(10)의 인출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안내 돌조들(226)이 길이 방향으로 더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면(222)으로도 양념통(10)의 저부를 받침하기 위한 또 다른 받침돌조(227)가 원주둘레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림(221)으로는 돌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더 형성될 수 도 있을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3 및 도4와 같이 안내 돌조들(226) 및 받침돌조(227)의 형성을 통해 홀더 본체(22)에 대한 양념통(10)의 삽설 조작시 통체(12)의 외주면이 상부 및 하부 림(221)(223)과 바닥면(222)에 대하여 전체적인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부분적인 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서, 전체 접촉에 따른 밀폐 압착 효과를 상쇄시켜 양념통(10)의 인출 조작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고른 지지력의 발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이들 돌조(226)(227)들은 연결 하부 림(223)과 연결 지지벽(224) 및 바닥면(222)에 대한 보강 기능을 아울러 수행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양념통(10)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내에 삽설하면, 그 외주면 상하부가 홀더본체(22)의 상부 및 하부 림(221)(223)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 저부 역시 바닥면(222)으로 형성된 관통공(224)에 대하여 돌출턱(16)이 상호 긴밀하게 관통 지지된다.
따라서, 양념통(10)은 홀더 본체(22)의 상 하부 림(221)(223)으로 형성된 돌조들(226)과, 바닥면(222)으로 형성된 관통공(224)에 대하여 양념통(10)의 상하부 및 저부의 돌출턱(16)이 상호 안정되게 받침되어 유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홀더 본체(22)의 일 측으로 형성된 손잡이(24)를 잡고 양념통(10)을 운반 취급하더라도 임의적인 분리 해탈이 방지되어 종래 손잡이가 직접 형성되지 않은 양념통(10)의 취급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양념통(10)은 하부 림(223)과 지지벽(224)으로 형성된 안내 돌조(226)와 더불어 바닥면(222)으로 형성된 받침 돌조(227)에 의해 부분적인 밀착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보다 신속 용이한 해탈 및 지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양념통(10)을 별도의 홀더(20)에 삽설 고정한 다음 취급함으로서, 세척 이외에는 양념통(10)을 손으로 직접 잡거나 할 필요가 전혀 없어 양념통에 손 자국 등이 남아 있지 않게 되어 보다위 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양념통 홀더(200)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2에 도시된 양념통 홀더(20)에 비하여 홀더본체(22)의 상 하부 림(221)(223)과의 사이에 중간 림(228)을 더 형성하여 양념통(10)의 보다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양념통 홀더(300)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4의 중간 림(228)이 설치된 홀더 본체(22)에 대하여 연결 지지벽(224)이 십자 형태로 더 연결 설치된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양념통을 별도의 양념통 홀더내에 삽설 지지함으로서 운반 취급이 보다 안정되고 간편 용이할 뿐 아니라 양념통을 직접 손으로 잡을 필요가 전혀 없어 보다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지라도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5)

  1. 각종 양념류가 담겨지는 양념통(10)이 삽설 지지되는 홀더 본체(22) 및 이 홀더 본체(22)의 일측으로 구비된 손잡이(2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양념통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홀더 본체(22)는 양념통(10)의 상부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상부 림(221)과, 상기 양념통(10)의 하부를 안착 지지하기 위한 바닥면(222)이 구비된 하부 림(223) 및 상기 상 하부 림(221)(223)을 상호 연결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지지벽(22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림(223)의 바닥면(222) 중앙부로는 양념통(10)의 저부 돌출턱(16)이 관통 지지되는 동일한 직경의 관통공(225)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홀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22)의 연결 지지벽(224)과, 하부 림(223)의 내주면 및 바닥면(222)으로는 양념통(10)의 인출 조작을 용이 및 지지보강을 위한 다수의 돌조(226)(227)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홀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22)의 상 하부 림(221)(223)과의 사이로는 보강용의 중간 림(228)이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홀더.
KR20-2003-0033066U 2003-10-22 2003-10-22 양념통 홀더 KR200340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066U KR200340363Y1 (ko) 2003-10-22 2003-10-22 양념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066U KR200340363Y1 (ko) 2003-10-22 2003-10-22 양념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363Y1 true KR200340363Y1 (ko) 2004-02-05

Family

ID=4934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066U KR200340363Y1 (ko) 2003-10-22 2003-10-22 양념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3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70Y1 (ko) * 2008-01-28 2010-02-12 이찬우 조미료통
KR101728422B1 (ko) 2015-01-09 2017-04-19 김영은 축봉이 결합된 방범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70Y1 (ko) * 2008-01-28 2010-02-12 이찬우 조미료통
KR101728422B1 (ko) 2015-01-09 2017-04-19 김영은 축봉이 결합된 방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2921C (en) Infant feeding and storage system
US2575770A (en) Nesting kitchen canister set
US5743423A (en) Snap-on package
US5135116A (en) Package containers for liquid products
US8146737B2 (en) Beverage cup carrier
US6439418B1 (en) Attaching system for a container and a base
US6719134B2 (en) Toilet plunger storage device
US5702009A (en) Bottle holder
CN112336141B (zh) 双壁式饮料容器及其使用方法
US20020121454A1 (en) Combined pill and water container
KR200340363Y1 (ko) 양념통 홀더
US3613958A (en) Merchandising and dispensing container
US4880020A (en) Traveling toothbrush holder
US7757845B2 (en) Kit comprising an ice-cream cone holder and a gift item
US2951619A (en) Pouring spout
JP2002347767A (ja) 市販ボトル用アダプタ
KR100463680B1 (ko) 포대 걸이대
KR102607335B1 (ko)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JP2002153369A (ja) カップホルダ
KR200277880Y1 (ko) 다 분할 용기
JP2510681Y2 (ja) 容器の蓋部に取り付けられるキャップ
KR200166626Y1 (ko) 화장품 용기 포장용 케이스
KR200275601Y1 (ko) 다용도 용기
RU51599U1 (ru) Структура контейнера, образованного из двух разных и противоположных элементов, взаимно соединенных посредством съем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узла
JP2591260Y2 (ja) 大型ポリタンク用コンテ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