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985Y1 -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985Y1
KR200467985Y1 KR2020100010974U KR20100010974U KR200467985Y1 KR 200467985 Y1 KR200467985 Y1 KR 200467985Y1 KR 2020100010974 U KR2020100010974 U KR 2020100010974U KR 20100010974 U KR20100010974 U KR 20100010974U KR 200467985 Y1 KR200467985 Y1 KR 200467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cquisition
unit
acquisition module
stay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072U (ko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Priority to KR2020100010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98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0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9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를 포함하는 인사이드 미러부; 상기 인사이드 미러부가 장착되는 스테이부; 상기 스테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영상획득모듈; 및 상기 스테이부를 수용하는 스테이부 지지부 및 상기 영상획득모듈을 수용하는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따라서, 비교적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영상획득모듈의 영상획득부를 차량 내부에 공간을 별도로 두지 않으면서, 지지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An inside mirror apparatus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획득 모듈을 인사이드 미러 장치에 간편하게 결합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자동차의 운전석이 위치한 앞좌석에는 주행시에 전면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을 차단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차내 유입을 방지하면서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윈드실드 글래스가 장착 되어 있고, 이 윈드실드 글래스를 비롯하여 앞좌석 측면의 윈도우 글래스에는 운전자의 후방시야와 측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인사이드 미러(inside mirror)와 아웃사이드 미러(outside mirror)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사이드 미러 장치는 이너미러(inner mirror) 또는 룸미러(room mirror)라고도 하며,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거나 좌우회전 또는 유턴을 하기 전에 후방의 상황을 살피기 위하여 주시하는 것으로, 인사이드 미러를 통해 전후방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사이드 미러 장치는 윈드실드 글래스의 차실 내측 면의 상부에 부착됨으로써, 주행 시에 운전자가 후속 차량의 동태와 차간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전에 기여하게 된다.
한편, 최근 들어 차량에서의 블랙 박스 또는 차선이탈 경고시스템(LDW;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등의 다양한 시스템이 탑재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시스템의 탑재로 인하여 차량 내부의 공간에 대한 공간 확보 및 기능 추가로 인한 추가적인 조립 과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영상획득모듈을 인사이드 미러 장치에 결합시켜 차량 내부의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영상획득모듈이 인사이드 미러 장치에 간편하게 탈착될 수 구조의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를 포함하는 인사이드 미러부; 상기 인사이드 미러부가 장착되는 스테이부; 상기 스테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영상획득모듈; 및 상기 스테이부를 수용하는 스테이부 지지부 및 상기 영상획득모듈을 수용하는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영상획득모듈은 전면 커버부 및 후면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부 및 상기 후면 커버부는 상기 영상획득모듈 지지부에 각각 스냅 핏(snap-fit) 결합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면 커버부 및 상기 후면 커버부는 각각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는 상기 후크부와 대응되는 일정 영역에 결합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는 상기 결합 돌기부에 각각 스냅 핏(snap-fit) 결합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상기 전면 커버부 상단부는 절곡되어, 스테이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스테이부가 결합되는 차량측 고정부를 안내하는 안내 홈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획득모듈 지지부, 전면 커버부 및 후면 커버부는 일정 영역에서 절곡되어, 상기 영상 획득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영상획득모듈 지지부, 전면 커버부 및 후면 커버부가 절곡되기 이전의 영역에 형성되는 공기 통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면 커버부와 상기 스테이부가 이격된 간격에 따라 형성되는 제1공기 배출구 및 상기 후면 커버부와 상기 스테이부가 이격된 간격에 따라 형성되는 제2공기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발생된 열은 상기 공기 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공기 배출구를 통해 차량 앞유리 쪽으로 방출되고, 상기 제2공기 배출구를 통해 차실 내측으로 방출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비교적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영상획득모듈의 영상획득부를 차량 내부에 공간을 별도로 두지 않으면서, 지지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영상획득부를 차량 내부에서 노출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태양의 직사광선 등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면 커버부의 연장부에 형성된 안내 홈을 따라 차량측 고정부가 미러 스테이부와 결합되도록 하여, 인사이드 미러를 차량에 손쉽고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영상 획득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차량 앞유리 쪽과 차실 내측으로 분산 방출하여 열의 방출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영상 획득부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로부터 전면 커버부 및 후면 커버부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영상 획득부의 수리 또는 교체작업 등이 필요한 경우에도, 인사이드 미러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후면 커버부만을 제거하여 작업할 수 있으므로, A/S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사이드 미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의 지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전면 커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c는 전면 커버부가 결합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후면 커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c는 후면 커버부가 결합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사이드 미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인사이드 미러(inside mirror) 장치는 거울(11), 미러 하우징(15) 및 스테이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거울(11)은 가로로 형성되어 차량의 운전자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반사면을 형성한다. 거울(11)은 일반적으로 미러(Mirror)로 칭할 수 있다.
미러 하우징(15)은 테두리 상에서 거울(11)을 수용하며, 인사이드 미러 장치의 외형을 형성한다. 미러 하우징(15)은 거울(11)을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패킹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부(17)는 거울(11)이 부착된 미러 하우징(15)을 차량 내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테이부(17)는 일단이 미러 하우징(15)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단은 차량 내부에 장착될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는 인사이드 미러부(100), 스테이부(120), 영상획득모듈(130) 및 지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사이드 미러부(100)는 미러(미도시)와 미러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미러는 미러 하우징(110)의 일 끝단에 부착되어,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후방의 상황을 볼 수 있도록 거울 역할을 한다. 미러 하우징(110)은 미러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지니며, 미러로 상기 공간을 덮는 구조로 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미러 하우징의 소정의 공간에 영상획득모듈(200)의 제어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후술하는 영상 획득부에서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반도체 칩, 메모리 및 인쇄회로 기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구성은 당업계에 일반적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미러 하우징(110)은 테두리 상에서 패킹 소자에 의하여 미러를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상기 인사이드 미러부의 구조 및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스테이부(120)는 미러 하우징(110)을 차량 내부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금속 주물품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부(120)는 차량의 내부에 미러 하우징을 장착시키는 장착부(121)와, 미러 하우징 및 장착부를 연결해 주는 관절 역할을 하는 연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121)는 차량 내부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차량 내부에 장착된 고정부(미도시)와 도킹되어 미러 하우징(110)을 차량 내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22)는 소정의 몸체를 구비하여 미러 하우징(110)과 일체로 연결되거나, 소정의 착탈이 가능한 상태로 미러 하우징(110)을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테이부(120)는 후술하는 지지부(140)의 스테이부 지지부(140b)에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방법으로, 예를 들면, 스테이부의 일정영역에 구비되는 결합돌기(121a)가 스테이부 지지부(140b)에 구비되는 결합홀(141)에 체결됨으로써,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스테이부의 형상 및 구조, 스테이부가 스테이부 지지부에 체결되는 구조는 제품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따라서, 본 고안에서 스테이부의 형상 및 구조, 스테이부의 체결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영상획득모듈(130)은 전면 커버부(131), 영상 획득부(133) 및 후면 커버부(도 3의 도면부호 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획득부(133)는 영상 입력 센서에 의하여 입력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구성으로, 소정의 입력영상 획득하는 카메라가 될 수 있고, 소정의 영상 입력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등에 의하여 입력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입력 센서에 의하여 입력영상을 획득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입력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CD), CMOS, 기타 당업계에 알려진 영상 획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영상 입력 센서에 의해 획득된 전기적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입력 받아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등에 의하여 소정의 입력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부(131) 및 후면 커버부(도 3의 도면부호 135)는 후술하는 지지부(140)의 영상획득모듈 지지부(140a)와 함께, 상기 영상 획득부(133)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커버부 및 후면 커버부가 상기 영상획득모듈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영상 획득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 커버부(131) 및 후면 커버부(도 3의 도면부호 135)는 소정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후크(hook)부를 포함하고 있어, 지지부(140)의 영상획득모듈 지지부(140a)에 각각 원터치 스냅 핏(snap-fit)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통해 상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스테이부(120)와 영상획득모듈(130)을 수용하면서, 이들 구성들을 지지하며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획득모듈 지지부(140a)와 스테이부 지지부(14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획득모듈 지지부(140a)는 후술할 바와 같은 결합 돌기부를 포함하고 있어, 전면 커버부 및 후면 커버부에 구비되는 후크부와 체결되어 스냅 핏(snap-fit) 결합을 이루게 되고, 상기 스테이부 지지부(14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부의 일정영역에 구비되는 결합돌기(121a)가 스테이부 지지부(140b)에 구비되는 결합홀(141)에 체결됨으로써, 상호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150은 제1공기 배출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의 지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다만,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사이드 미러부의 구성은 제외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의 지지부는 영상획득모듈이 수용되는 영상획득모듈 지지부 영역(A) 및 스테이부가 수용되는 스테이부 지지부 영역(B)을 포함한다.
다만, 본 고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지부의 구성을 영상획득모듈 지지부 영역과 스테이부 지지부 영역으로 구분하였을 뿐, 상기 영상획득모듈 지지부 영역과 스테이부 지지부 영역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들 영역을 분리하여 형성한 후, 상호 결합시킬 수도 있다. 다만, 별도로 형성한 경우,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영상획득모듈 지지부 영역에 떨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영상획득모듈 지지부 영역은 스테이부 지지부 영역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상획득모듈 지지부 영역(A)은 영상획득모듈의 전면 커버부(131) 및 후면 커버부(135)와 함께, 영상 획득부(133)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스테이부 지지부 영역(B)은 장착부(121) 및 연결부(122)를 포함하는 스테이부가 체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을 제공한다.
한편, 영상획득모듈 지지부(A), 전면 커버부(131) 및 후면 커버부(135)는 영상 획득부(133)가 수용되는 공간(C)을 형성하기 위해 일정영역에서 절곡되어 있다.
이러한 절곡은 각 차량의 앞유리창이 이루는 경사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영상획득모듈 지지부(A), 전면 커버부(131) 및 후면 커버부(135)는 영상 획득부(133)가 수용되는 공간(C)을 형성하기 위해 절곡되는 각은 영상 획득부(133)가 차량의 정면을 향해 설치되어, 차량 정면의 영상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제품별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 커버부 및 후면 커버부 사이의 공간에 공기 통로(1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획득부(133)가 수용되는 공간(C) 이외의 스테이부 지지부 영역(B)에서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빈 공간은 공기 통로(152)로 사용된다.
즉, 영상획득모듈 지지부(A), 전면 커버부(131) 및 후면 커버부(135)는 일정영역에서 절곡되어, 영상 획득부(133)가 수용되는 공간(C)을 형성하고, 영상획득모듈 지지부(140a), 전면 커버부(131) 및 후면 커버부(135)가 절곡되기 이전의 영역은 빈 공간으로 남겨져 공기 통로(152)로 사용된다.
상기 공기 통로(152)는 영상 획득부(133)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경로로써, 상기 발생 열은 공기 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제1공기 배출구(150) 및 제2공기 배출구(151)을 통해 방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공기 배출구(150)는 차량 앞유리를 향해 있고, 상기 제2공기 배출구(151)는 차실 내측으로 향해 있어, 영상 획득부(133)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차량 앞유리 쪽과 차실 내측으로 분산하여 방출할 수 있다.
한편, 제1공기 배출구(150) 및 제2공기 배출구(151)의 크기는 전면 커버부(131) 및 후면 커버부(135)가 스테이부와 이격되는 간격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이격되는 간격이 클 수록 배출구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즉, 상기 전면 커버부와 상기 스테이부가 이격된 간격에 따라 제1공기 배출구가 정의되며, 상기 후면 커버부와 상기 스테이부가 이격된 간격에 따라 제2공기 배출구가 정의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비교적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영상획득모듈의 영상획득부를 차량 내부에 공간을 별도로 두지 않으면서, 지지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영상획득부를 차량 내부에서 노출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해 상기 미러부를 소정 각도 만큼 조절하더라도 영상획득모듈은 스테이부와 함께 차량 내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미러와 영상획득부가 서로 간섭을 받지 않고 효율적인 시야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영상 획득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차량 앞유리 쪽과 차실 내측으로 분산 방출하여 열의 방출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영상 획득부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주요 기술적 사상인 영상획득모듈의 구조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전면 커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c는 전면 커버부가 결합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면 커버부는 제1전면 커버부(131a) 및 제2전면 커버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커버부의 상단부는 절곡되어, 스테이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이때, 스테이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제1전면 커버부(131a)로 구분하고, 절곡되기 이전의 전면 커버부를 제2전면 커버부(131b)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서 전면 커버부를 제1전면 커버부 및 제2전면 커버부로 구분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획득부가 수용되는 공간(도 3의 C영역)과 공기 통로(도 3의 도면부호 152)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 커버부가 절곡되는 일정영역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a를 참조하면, 제1전면 커버부 및 제2전면 커버부는 영상획득모듈 지지부의 결합 돌기부와 스냅 핏(snap-fit) 결합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후크부(132)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후크부(132)는 결합 돌기부와 대응되는 일정 영역에 위치하며, 또한, 결합 돌기부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제1전면 커버부 및 제2전면 커버부 각각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고안에서 상기 후크부의 형성위치 및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 제품의 설계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전면 커버부의 일정 영역에 영상 획득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획득부의 가장자리에는 나사를 끼우는 볼팅 홀을 구비하도록 하고, 제2전면 커버부에는 나사 홈을 구비한 볼팅부(134a)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볼팅 홀에 나사를 통과시켜 끼운 후, 나사가 볼팅부에 고정됨으로써, 영상 획득부를 제2전면 커버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영상 획득부가 제2전면 커버부에 고정되는 것은 나사 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후크 결합, 볼트 너트 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전면 커버부(131b)는 중앙 부분에 영상 획득부(미도시)가 차량 정면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통홀(134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영상 획득부는 영상획득모듈 지지부 영역, 전면 커버부 및 후면 커버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수용되므로, 수용된 상태에서 차량 정면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2전면 커버부의 중앙 부분에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부의 상단부는 절곡되어, 스테이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부의 연장부, 즉, 제1전면 커버부(131a)에는 상기 스테이부와 결합되는 차량측 고정부를 안내하는 안내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전면 커버부(131a)에 형성된 안내 홈을 따라 차량측 고정부가 미러 스테이부와 결합되도록 하여, 인사이드 미러를 차량에 손쉽고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는 제1전면 커버부 및 제2전면 커버부의 후크부와 스냅 핏(snap-fit) 결합을 할 수 있도록 결합 돌기부(142)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결합 돌기부(142)는 양측면(140a)의 전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후크부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위치하며, 또한, 상기 후크부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고안에서 양측면의 전면부의 일정영역에 위치하는 결합 돌기부(142)는 상기 후크부와 스냅 핏(snap-fit) 결합되도록 형성된다면, 그 형성위치 및 형상에 제한없이, 각 제품의 설계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전면 커버부(131)의 후크부(132)와 지지부(140) 중 영상획득모듈 지지부(140a)의 결합돌기부(142)가 스냅 핏(snap-fit) 결합에 의해 체결된다.
일반적으로, 보호수단으로 내부 구성물들을 외부에서 둘러싸 보호하는 케이스를 사용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품의 형상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조립형으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케이스들을 서로 조립하기 위해서는 조립수단이 필요하고, 다양한 조립수단들 가운데서 스냅 핏(snap-fit) 체결구조는 특히 플라스틱 부품의 조립에 가장 적합한 체결방법이다. 이 방법은 플라스틱 부품 자체에 결합될 수 있는(interlocking) 형상을 성형하여, 다른 부품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스냅 핏 체결구조는 외팔보형 스냅 핏 구조(cantilever snap-fit), 고리형 스냅 핏 구조(annular snap-fit), 비틀림형 스냅 핏 구조(torsional snap-fit) 등으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외팔보형 스냅 핏 구조가 많이 사용된다. 외팔보형 스냅 핏 구조는 부품의 기본벽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 끝단에 갈고리 모양(hook) 등을 구비하여 그와 결합되는 부품이 체결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본 고안에서는 내부 구성물이 영상 획득물에 해당하고, 갈고리 모양 등을 구비하는 케이스들이 전면 커버부 및 후면 커버부에 해당하며, 그와 결합되는 부품이 영상획득모듈 지지부에 해당한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전면 커버부에 후크부를 구비하고, 지지부에 결합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호 체결되는 외팔보형 스냅 핏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전면 커버부에 결합돌기부가 형성되고, 지지부에 후크부가 형성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후면 커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c는 후면 커버부가 결합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후면 커버부는 제1후면 커버부(135a) 및 제2후면 커버부(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서 후면 커버부를 제1후면 커버부 및 제2후면 커버부로 구분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획득부가 수용되는 공간(도 3의 C영역)과 공기 통로(도 3의 도면부호 152)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후면 커버부가 절곡되는 일정영역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a를 참조하면, 제1후면 커버부 및 제2후면 커버부는 영상획득모듈 지지부의 결합 돌기부와 스냅 핏(snap-fit) 결합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후크부(136)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후크부(136)는 결합 돌기부와 대응되는 일정 영역에 위치하며, 또한, 결합 돌기부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제1후면 커버부 및 제2후면 커버부 각각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고안에서 상기 후크부의 형성위치 및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 제품의 설계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는 후면 커버부의 후크부와 스냅 핏(snap-fit) 결합을 할 수 있도록 결합 돌기부(143)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결합 돌기부(143)는 양측면(140a)의 후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되, 후면 커버부의 후크부의 위치와 대응할 수 있도록 위치하며,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돌기부는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b에서와 같이, 양측면(140a)의 전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결합 돌기부(142)는 전면 커버부의 후크부의 형성위치와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부를 연속적인 라인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후면 커버부의 후크부는 개수와 무관하게 결합 돌기부에 체결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양측면의 후면부의 일정영역에 위치하는 결합 돌기부(143)는 상기 후크부와 스냅 핏(snap-fit) 결합되도록 형성된다면, 그 형성위치 및 형상에 제한없이, 각 제품의 설계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4b에서, 양측면(140a)의 전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결합 돌기부(142)도 연속적인 라인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5c를 참조하면, 후면 커버부(135)의 후크부(136)와 지지부(140) 중 영상획득모듈 지지부(140a)의 결합 돌기부(143)가 스냅 핏(snap-fit) 결합에 의해 체결된다.
스냅 핏(snap-fit) 결합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후면 커버부에 후크부를 구비하고, 지지부에 결합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호 체결되는 외팔보형 스냅 핏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후면 커버부에 결합 돌기부가 형성되고, 지지부에 후크부가 형성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스냅 핏 결합에 의하여 전면 커버부 및 후면 커버부를 영상획득모듈 지지부에 결합시킴으로써, 나사에 의한 볼팅 작업이 없어,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로부터 전면 커버부 및 후면 커버부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영상 획득부의 수리 또는 교체작업 등이 필요한 경우에도, 인사이드 미러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후면 커버부만을 제거하여 작업할 수 있으므로, A/S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인바,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인사이드 미러부 120 :스테이부
130 : 영상획득모듈 131 : 전면 커버부
131a : 제1전면 커버부 131b : 제2전면 커버부
133 : 영상획득부 132, 136 : 후크부
134a : 볼팅부 134b : 관통홀
135 : 후면 커버부
135a : 제1후면 커버부 135b : 제2후면 커버부
140 : 지지부 142, 143 : 결합돌기부
150 : 제1공기 배출구 151 : 제2공기 배출구
152 : 공기 통로

Claims (12)

  1. 미러를 포함하는 인사이드 미러부;
    상기 인사이드 미러부가 장착되는 스테이부;
    상기 스테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영상획득모듈; 및
    상기 스테이부를 수용하는 스테이부 지지부 및 상기 영상획득모듈을 수용하는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는 상기 스테이부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영상획득모듈은,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영상획득모듈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영상 획득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전면 커버부 및 후면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커버부 및 상기 후면 커버부 사이에는 공기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 커버부 및 상기 후면 커버부는 각각 상기 스테이부와 이격되어 제1공기 배출구 및 제2공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영상획득모듈 지지부에 스냅 핏(snap-fit) 결합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부 및 상기 후면 커버부는 각각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획득모듈 지지부는 상기 후크부와 대응되는 일정 영역에 결합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는 상기 결합 돌기부에 각각 스냅 핏(snap-fit) 결합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부는 연속적인 라인 형태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부의 상단부는 절곡되어, 스테이부를 향해 연장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부의 연장부에는 상기 스테이부와 결합되는 차량측 고정부를 안내하는 안내 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발생된 열은 상기 공기 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공기 배출구를 통해 차량 앞유리 쪽으로 방출되고, 상기 제2공기 배출구를 통해 차실 내측으로 방출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12. 삭제
KR2020100010974U 2010-10-26 2010-10-26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KR200467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974U KR200467985Y1 (ko) 2010-10-26 2010-10-26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974U KR200467985Y1 (ko) 2010-10-26 2010-10-26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072U KR20120003072U (ko) 2012-05-04
KR200467985Y1 true KR200467985Y1 (ko) 2013-07-18

Family

ID=4660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974U KR200467985Y1 (ko) 2010-10-26 2010-10-26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9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737B1 (ko) 2014-07-17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통합형 인사이드 미러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987A (ko) * 2000-08-28 2002-03-07 윤종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
KR20030022015A (ko) * 2001-09-06 2003-03-15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차량 주위의 영상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987A (ko) * 2000-08-28 2002-03-07 윤종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
KR20030022015A (ko) * 2001-09-06 2003-03-15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차량 주위의 영상수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072U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6281B2 (ja) カメラカバー
KR101111230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JP5005186B2 (ja) 車載カメラ構造
JP6922705B2 (ja) センサー搭載構造
JP6922706B2 (ja) センサー搭載構造
JP4718243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車載用デジタルカメラ、車載カメラ付きドアミラー
KR102123496B1 (ko) 센서 탑재 구조
JP6885315B2 (ja) センサー搭載構造
US20050046696A1 (en) Vehicle camera and light in a common housing
KR20110028767A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20180110093A (ko) 자동차의 광학 탐지 시스템의 세척을 위한 디바이스
JP5186866B2 (ja) ラジエターグリルへの車載カメラ取付方法及びラジエターグリルへの車載カメラ取付構造
JP7188300B2 (ja) センサ取付構造
JP4271149B2 (ja) 像検出装置を支持するように設計された車両用の外側バックミラーアセンブリ
US20190275958A1 (en) Structure for mounting a rear view camera on a vehicle
WO2011132344A1 (ja) カメラユニット取付方法及びカメラユニット
US8330815B2 (en) Vehicle-mounted camera system
KR200467985Y1 (ko)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US20160185296A1 (en) Vehicle black box mountable on rear-view mirror support
US11180088B2 (en) Mounting assembly for an exterior attachment device, rearview device and motor vehicle
JP6760047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KR20150013304A (ko) 로고안에 포함된 후방 카메라
KR100896052B1 (ko) 카메라모듈 교체가 가능한 카메라 어셈블리
KR20190056035A (ko) 카메라 모듈
CN217099892U (zh) 保险杠总成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