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987A -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6987A
KR20020016987A KR1020000050020A KR20000050020A KR20020016987A KR 20020016987 A KR20020016987 A KR 20020016987A KR 1020000050020 A KR1020000050020 A KR 1020000050020A KR 20000050020 A KR20000050020 A KR 20000050020A KR 20020016987 A KR20020016987 A KR 20020016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tension
frame
upper frame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협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50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6987A/ko
Publication of KR20020016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98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6Frames for plates or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팩 하우징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 하부 프레임중 어느 한 프레임의 좌우 내측면상에는 텐션구멍을 구비한 다수의 텐션리브와 후크형상의 돌기가 돌출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텐션리브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다른 프레임의 양측면상에는 상기 텐션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후크형상의 돌기와 상기 프레임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장착구멍이 교대로 형성되어 스냅핏구조로 별도의 초음파 융착장치 없이 한번에 결합 고정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ENGAGING STRUCTURE FOR BATTERY PACK HOUSING IN PORTABLE RADIOTELE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초음파 융착없이 간단히 결합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전원공급원으로 본체의 후면상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배터리팩(Battery Pack)이 장착된다.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소정의 로킹장치에 의해 로킹되며, 상기 배터리팩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가이드리브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의 하단 전, 후면상에는 단자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팩의 일측면상에 설치된 단자는 상기 본체의 후면상에 돌출된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구성을 가지며, 타측면상에 설치된 단자는 충전시 충전기의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구성을 갖게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이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상부 케이싱 프레임(101)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으로 구성된 본체(100)상에 배터리팩(200)이 접속된다.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02)의 후면상에는 소정의 안착면(10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면(103)의 일단에는 접속단자(106)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장착되는 배터리팩(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장치(10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200)을 상기 로킹장치(105)까지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리브(104)가 상기 안착면(103)의 양측면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팩(200)의 양측면상에는 상기 안착면(103)에 형성된 가이드리브(104)와 상응한 위치에 역시 상기 안착면(103)상의 가이드리브(104)와 결합가능한 가이드리브(204)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배터리팩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배터리팩(200)은 케이스를 이루는 상부프레임(201)과 하부프레임(202) 및 그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배터리셀(Battery Cell)(210)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셀(210)의 일단에는 단자하우징(211)상에 금속성 단자(212)가 권선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201)과 하부프레임(202)상에는 소정의 단자구멍(205, 203)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셀(210)의 단자하우징(211)상의 단자(212)가 동시에 상하 노출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202)상의 양측면상에는 상기 본체 하부 케이싱 프레임상에 형성된 가이드리브(104)와 결합구조를 갖는 다수의 가이드리브(20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 하부 프레임을 상호 결합시, 초음파융착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조립과정이 복잡해지며, 배터리팩의 형상에 따른 초음파 융착지그(Jig)를 제작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초음파융착과정을 거치지 않고 자체 구조만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스냅핏(Snap-Fit) 구조로 결합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및 배터리셀로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은 스냅핏(Snap-Fit) 구조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이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분리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과 상기 상부 프레임(10)상에 스냅핏(Snap-Fit)구조로 상호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20) 및 상기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상에 담지되는 배터리셀(Bettery Cell)(미도시됨)로 구성된다.
상기 스냅핏 구조는 텐션리브의 텐션구멍과 상기 텐션구멍에 삽입되는 후크형상의 돌기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배터리셀이 안착되는 내측면 좌우에는 소정의 탄성을 받는 다수의 텐션리브(12, 14)가 형성된다. 상기 텐션리브(12, 14)상에는 각각 텐션구멍(11)과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13)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3)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텐션리브(12, 14)의 텐션구멍(11)과 돌기(13)는 번갈아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그후, 상기 하부 프레임(20)의 내측면 좌우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텐션리브(12, 14)에 형성된 텐션구멍(11)과 돌기(13)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21)와 소정의 장착구멍(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21) 역시 후크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배터리셀 안착부(30)상에 배터리셀을 안착시킨후, 하부 프레임(20)을 결합하게 되면, 상기 하부 프레임(20)상의 돌기(21)는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텐션리브(12)에 형성된 텐션구멍(11)에 안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하부 프레임(20)의 장착구멍(23)상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텐션리브(14)에 형성된 돌기(13)가 안착되므로써 결합과 동시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테션리브(12, 14)가 상부 프레임(10)상에 형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상기 텐션리브(12, 14)가 하부 프레임(20)상에 형성될 수 있음을 자명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는 별도의 초음파 융착을 위한 상기 하우징의 가조립이나, 초음파융착장치가 필요없이, 하우징 사출시 형성되는 스냅핏구조에 의해 한번에 결합 고정되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간소화되며 제조원가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및 배터리셀로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은 스냅핏(Snap-Fit) 구조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프레임중 어느 한 프레임(10)의 좌우 내측면상에는 텐션구멍(11)을 구비한 다수의 텐션리브(12)와 후크형상의 돌기(13)가 돌출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텐션리브(14)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다른 프레임(20)의 양측면상에는 상기 텐션구멍(11)에 삽입될 수 있는 후크형상의 돌기(21)와 상기 프레임(10)의 돌기(13)가 삽입될 수 있는 장착구멍(23)이 교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
KR1020000050020A 2000-08-28 2000-08-28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 KR200200169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020A KR20020016987A (ko) 2000-08-28 2000-08-28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020A KR20020016987A (ko) 2000-08-28 2000-08-28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987A true KR20020016987A (ko) 2002-03-07

Family

ID=19685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020A KR20020016987A (ko) 2000-08-28 2000-08-28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69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85Y1 (ko) * 2010-10-26 2013-07-18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KR20140017837A (ko) * 2012-08-01 2014-0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85Y1 (ko) * 2010-10-26 2013-07-18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KR20140017837A (ko) * 2012-08-01 2014-0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67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US4160576A (en) Electric power supply connector especially for a fan of the flat type
KR20020016987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하우징 결합구조
KR200476198Y1 (ko)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구조
CN215644884U (zh) 电池模块及电池包
CN211655232U (zh) 一种车载冰箱的内置保险丝的直流插座
CN209981357U (zh) 一种电池的电极端子板、盖板组件和电池
KR20029723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와 배터리팩 결합장치
JP2003323870A (ja) 電池パック
JP2001035459A (ja) 電池ケース
CN219067320U (zh) 一种电源线/充电端子通用安装结构及清洁装置
KR20028010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착구조
CN219393649U (zh) 电池及电池装置
CN217692698U (zh) 一种电子烟用移动电源
CN215097854U (zh) 充电座端盖组件和充电座
KR200262295Y1 (ko)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건전지 케이스
KR20020030856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하우징 결합구조
CN220067885U (zh) 一种内嵌快拆式电动车智能控制器结构
KR200238089Y1 (ko)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KR20010098000A (ko) 스타터의 브러시커버
KR200141047Y1 (ko) 전지팩
KR200141045Y1 (ko) 전지팩
KR200141046Y1 (ko) 전지팩
KR100365799B1 (ko) 휴대폰용 충전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970003145Y1 (ko) 무선전화기의 핸드폰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