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035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035A
KR20190056035A KR1020170153024A KR20170153024A KR20190056035A KR 20190056035 A KR20190056035 A KR 20190056035A KR 1020170153024 A KR1020170153024 A KR 1020170153024A KR 20170153024 A KR20170153024 A KR 20170153024A KR 20190056035 A KR20190056035 A KR 20190056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sposed
housing
region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532B1 (ko
Inventor
심규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5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5/2251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상기 렌즈가 배치되고 외주면에 원형의 제1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사산 아래로 돌출되는 원형의 기판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렌즈배럴; 상기 렌즈 배럴 아래에 배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1기판과 상기제1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모듈; 및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원형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모듈이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결합부는 상기 기판 결합부 외주면으로부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은 상기 돌출부의 제2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실시예는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가 대중화됨에 따라 다양한 계층과 연령대에 걸쳐 자동차 보급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차에는, 차량의 보호 또는 교통사고의 객관적인 자료를 위한 블랙박스 용 카메라, 차량 후미의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화면을 통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후진 시에 안전을 기할 수 있게 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카메라, 차량의 주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주변 감지 카메라 등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카메라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부품 수 감소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고, 부품 간에 결합 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상기 렌즈가 배치되고 외주면에 원형의 제1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사산 아래로 돌출되는 원형의 기판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렌즈배럴; 상기 렌즈 배럴 아래에 배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1기판과 상기제1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모듈; 및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원형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모듈이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결합부는 상기 기판 결합부 외주면으로부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은 상기 돌출부의 제2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단일의 모듈로 형성되는 렌즈모듈을 하우징에 나사 결합시키므로, 별도의 케이스 또는 스크류가 불필요하여 제조 공정 시간 및 비용이 줄어들고,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렌즈모듈과 하우징 사이에 에폭시 도포 형역을 형성함으로써, 하우징과 렌즈모듈간에 결합을 견고히 유지하고,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브라켓과 하우징의 결합 시 정렬부가 삽입홀에 삽입되므로, 원형의 하우징 및 렌즈모듈의 결합방향이 지정되어 촬영물의 방향 또한 설정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판모듈과 렌즈모듈 간에 후크 결합을 통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과 렌즈모듈의 결합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하면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과 브라켓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모듈(10)과 하우징(40)의 결합에 의해 외형의 일부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렌즈모듈(10)은 렌즈배럴(14)과, 상기 렌즈배럴(14)에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렌즈배럴(14)의 내부에는 상기 렌즈부(12)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렌즈부(12)는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부(12)는 복수의렌즈가 광축이 일치하도록 상, 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렌즈는 외부로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14)은 상기 렌즈모듈(10)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렌즈배럴(14)의 상부에는 상기 렌즈부(12) 중 최상측에 배치되는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렌즈캡(1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캡(11)은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렌즈부(12) 중 최상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가장자리 영역을 지지한다. 즉, 상기 렌즈캡(11)에 형성된 홀에 의해 상기 최상측에 배치되는 렌즈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최상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렌즈캡(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14)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부(16)가 배치된다. 상기 제1결합부(16)는 상기 렌즈배럴(14)의 베이스(14a) 보다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6)는 후술할 상기 하우징(40)의 제2결합부(4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제1나사산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은 상기 렌즈모듈(10)의 하측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40)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다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내부공간(44)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40)의 내면 중 상기 렌즈모듈(10)이 결합되는 방향인 상측에는 상기 제1결합부(16)가 나사 결합되는 제2결합부(42)가 배치된다. 상기 제2결합부(42)는 상기 제1결합부(16)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 또는 홈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40)과 상기 렌즈모듈(10)이 결합은 상기 제1결합부(16)가 상기 제2결합부(42)에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제2나사산이라 이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16)의 단면적은 상기 베이스(14a)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렌즈모듈(10)이 상기 하우징(40)에 결합 시, 상기 베이스(14a)의 가장자리 영역의 하면은 상기 하우징(40)의 상면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6)의 높이는 상기 제2결합부(42)의 높이에 대응된다.
상기 하우징(4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부품은, 기판모듈(50), 커넥터(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모듈(50)은, 제1기판(52), 상기 제1기판(52)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기판(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모듈(50)은 상기 제1기판(52), 상기 제1기판(54)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기판(54) 및 상기 제1기판(52)과 상기 제2기판(54)을 지지하는 프레임(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52)은 상기 렌즈모듈(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기판(52)의 상면에는 상기 렌즈부(12)의 광축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57)가 구비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57)는 상기 렌즈부(12)와 광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렌즈부(12)에 모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킴으로써 촬영물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54)은 상기 제1기판(52)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기판(54)의 하면에는 상기 커넥터(80)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80)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4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0)는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각 구성들로 전원이 제공되거나,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구동을 위한 전기적인 신호 들을 송, 수신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0)은 상기 제1기판(52)과 상기 제2기판(54)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0)에 의해 상기 제1기판(52)과 상기 제2기판(54)은 상, 하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0)은 4개의 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70)의 각 변에는 상기 제2기판(54)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지지부(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72)에는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결합홀(7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54)은 단면이 네 개의 변을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54)의 단면 형상은 상기 프레임(70)의 내주면 단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기판(54)의 측면 중 상기 결합홀(74)과 마주하는 영역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55, 도 4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54)이 상기 프레임(70)에 결합 시, 상기 돌출부(55)가 상기 결합홀(74)에 삽입되어 상기 제2기판(54)이 상기 프레임(70)에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52)은 상기 프레임(7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의 하측에는 브라켓(9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90)은 상기 카메라 모듈(100)을 설치 영역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00)이 차량 내부에 배치된다 할 때, 상기 브라켓(90)은 차량 내부 설치 영역에 상기 카메라 모듈(10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92)를 가진다. 일 예로, 상기 결합부(92)는 단면이 상기 하우징(40)의 하면에 대응되는 몸체(91)의 가장자리 영역(9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92)에는 홀(92, 도 6참조)이 형성되어 스크류가 상기 홀을 관통하여 설치 영역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00)을 설치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90)과 상기 하우징(40)은 스크류(S)를 통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레킷(90)와 상기 하우징(40)의 각 결합면에는 상기 스크류(S)과 결합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90)에는 상기 커넥터(80)가 통과되기 위한 홀(9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80)는 일단이 상기 제2기판(54)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40)에 형성되는 홀(47a, 도 5 참조)과, 상기 브라켓(90)에 형성되는 홀(94)을 통과하여 타단이 상기 하우징(4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렌즈모듈(10)와 상기 하우징(40)의 사이에는 에폭시(Epoxy)가 도포되는 에폭시 영역(2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렌즈모듈(10)의 상기 제1결합부(16)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40)의 상기 제2결합부(42)의 내주면 사이에는 에폭시가 도포될 수 있다. 에폭시는 상기 렌즈모듈(10)을 상기 하우징(40)에 결합 시, 상기 제1결합부(16)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결합부(42)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도포됨으로써 상기 하우징(40)과 상기 렌즈모듈(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40)과 상기 렌즈모듈(10)은 보다 견고하게 결합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에폭시 영역(20)으로 인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종래 별도의 실링부재를 배치한 것과 대비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모듈과 기판모듈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모듈(50)은 후크(Hook)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렌즈모듈(10) 중 상기 제1결합부(16)의 하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16)의 단면적 보다 좁은 단면적의 기판 결합부(17)가 형성된다. 상기 렌즈모듈(10) 중 상기 제1결합부(16)의 하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기판 결합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결합부(17)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 결합부(17)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9)는 상기 기판 결합부(17)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부가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9)는 상기 기판 결합부(17) 외주면으로부터 렌즈 모듈(10)에 배치되는 광학계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으로부터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9)는 ‘L’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모듈(50) 중 상면이 상기 렌즈모듈(10)과 마주하는 상기제1기판(52)에는 상기 돌출부(19)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5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52)은, 상기 돌출부(19)와 마주하는 상기 제1기판(52)의 가장자리 영역의 일부가 도피되어 홈 또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9)와 걸림홈(52)에 의해 렌즈모듈과 기판부의 방향성 있는 결합이 용이하고, 기판과 렌즈모듈 결합 이후에도 센서의 상하좌우의 위치에 대한 파악이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렌즈모듈(10)과 상기 기판모듈(50)의 결합 시, 상기 기판 결합부(17)의 하면이 상기 제1기판(52)의 상면과 마주하도록 결합된다. 이 때, 상기 돌출부(19)가 상기 걸림홈(52)의 걸림 혹은 대응되는 배치가 이루어져, 상기 렌즈모듈(10)과 상기 기판모듈(50)의 결합 상태가 고정되거나 결합시 가이드를 수행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판(52)의 상면과 상기 기판 결합부(17)의 하면 사이에는 에폭시(Epoxy) 영역(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영역(51)은, 상기 제1기판(52)의 상면 중 상기 기판 결합부(17)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영역(51)은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기판(52)의 가장자리 영역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에폭시 영역(51)은 하나의 링 형상의 단일 폐곡선 형상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계곡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폭시 영역(51)으로 인해, 상기 렌즈모듈(10)과 상기 기판모듈(50)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기판 결합부(17)를 상기 에폭시 영역(51)에 정렬시켜 상기 제1기판(52)과 결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상기 렌즈부(12)와 상기 이미지 센서(57)는 보다 용이하게 광축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에폭시 영역(51)이 상기 렌즈모듈(10)과 상기 기판모듈(50)의 결합 시, 상기 렌즈부(12)와 상기 이미지 센서(57)가 광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에서 기인하는 효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하면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과 브라켓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40)의 하면에는 상기 커넥터(80)를 외부와 노출시키기 위한 홀(47a)이 형성된 단자 결합부(47)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 결합부(47)는 상기 하우징(4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홀(47a)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단자가 상기 단자 결합부(47)에 결합되면, 상기 커넥터(80)가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자 결합부(47)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부단자와 후크 결합되기 위한 후크부(4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48)는 상기 단자 결합부(47)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48)는 경사면과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외부단자에 형성된 별도의 고정부(미도시)가 상기 후크부(48)에 걸림될 수 있다.
상기 단자 결합부(47)가 상기 하우징(40)의 하면 중심에 배치된다 할 때, 상기 하우징(40)의 하면 중 상기 단자 결합부(47)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는 영역에는 정렬부(4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46)는 상대적으로 상기 하우징(40)의 하면 가장자리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46)는 상기 하우징(4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90) 중 상기 정렬부(46)와 마주하는 영역에는 상기 정렬부(46)가 삽입되는 삽입홀(9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40)과 상기 브라켓(90)의 결합 시, 상기 정렬부(46)가 상기 삽입홀(95)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정렬부(46)와 상기 삽입홀(95)은 각각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브라켓(90)과 상기 하우징(40)의 결합 시, 상기 정렬부(46)가 상기 삽입홀(95)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40) 또는 상기 브라켓(90)의 결합 방향을 지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원형의 상기 하우징(40)은, 상기 정렬부(46)로 인해 결합 방향이 지정되므로, 촬영물의 방향 또한 설정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특히 원형의 몸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작업자가 방향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정렬부로 인해 결합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작업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단일의 모듈로 형성되는 렌즈모듈을 하우징에 나사 결합시키므로, 별도의 케이스 또는 스크류가 불필요하여 제조 공정 시간 및 비용이 줄어들고,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렌즈모듈과 하우징 사이에 에폭시 도포 형역을 형성함으로써, 하우징과 렌즈모듈간에 결합을 견고히 유지하고,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브라켓과 하우징의 결합 시 정렬부가 삽입홀에 삽입되므로, 원형의 하우징 및 렌즈모듈의 결합방향이 지정되어 촬영물의 방향 또한 설정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판모듈과 렌즈모듈 간에 후크 결합을 통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렌즈;
    상기 렌즈가 배치되고 외주면에 원형의 제1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사산 아래로 돌출되는 원형의 기판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렌즈배럴;
    상기 렌즈 배럴 아래에 배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1기판과 상기제1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모듈; 및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원형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모듈이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결합부는 상기 기판 결합부 외주면으로부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은 상기 돌출부의 제2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결합부와 상기 제1기판 사이에 에폭시(Epoxy)가 도포되는 카메라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모듈은,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돌출부의 제2 영역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에서 오버랩되는 카메라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의 상면과 상기 렌즈모듈의 하면 사이에는, 링(Ring) 형상의 에폭시(Epoxy) 도포 영역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며, 설치 영역에 상기 렌즈모듈이 결합된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는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정렬부가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 중 상기 정렬부와 마주하는 영역에는 상기 정렬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 중 가장자리 영역에 인접하여 단일로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면 형상은 원형인 카메라 모듈.



KR1020170153024A 2017-11-16 2017-11-16 카메라 모듈 KR102430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024A KR102430532B1 (ko) 2017-11-16 2017-11-16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024A KR102430532B1 (ko) 2017-11-16 2017-11-16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35A true KR20190056035A (ko) 2019-05-24
KR102430532B1 KR102430532B1 (ko) 2022-08-09

Family

ID=6668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024A KR102430532B1 (ko) 2017-11-16 2017-11-16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481A1 (ko) * 2021-08-18 2023-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810A (ko) * 2008-07-21 2010-01-29 주식회사 카모스 자동차 부착용 카메라
KR20110028767A (ko) * 2009-09-14 2011-03-22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모듈
JP2013042359A (ja) * 2011-08-16 2013-02-28 Ricoh Co Ltd 撮像装置
KR101428842B1 (ko) * 2011-11-08 2014-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810A (ko) * 2008-07-21 2010-01-29 주식회사 카모스 자동차 부착용 카메라
KR20110028767A (ko) * 2009-09-14 2011-03-22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모듈
JP2013042359A (ja) * 2011-08-16 2013-02-28 Ricoh Co Ltd 撮像装置
KR101428842B1 (ko) * 2011-11-08 2014-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481A1 (ko) * 2021-08-18 2023-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532B1 (ko)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0784B2 (en) Camera assembly with shielded imager circuit
KR100862104B1 (ko) 차량 탑재 카메라 구조
US20110063498A1 (en) Camera module for vehicles
US10288831B2 (en) Method for assembling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lens unit
KR102280348B1 (ko) 카메라 모듈
CN105791642B (zh) 摄像头模块和用于车辆的摄像头
KR20160057723A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433450B1 (ko) 카메라 모듈
KR101111230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JP2010078772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500655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US20180224622A1 (en) Camera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JP2008070790A (ja) 撮像装置
KR20190056035A (ko) 카메라 모듈
KR102415400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CN110603807B (zh) 相机模块及车辆
US20100245660A1 (en) Camera
JP5499828B2 (ja) 撮像装置
CN210075396U (zh) 车载摄像头总成及车辆
KR102353918B1 (ko) 카메라
KR20190017388A (ko) 차량용 카메라
KR20210051767A (ko) 카메라 모듈
KR20190014868A (ko) 차량용 카메라
KR100771282B1 (ko)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
EP4369699A1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