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832Y1 - 손목 및 팔목 보호대 - Google Patents

손목 및 팔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832Y1
KR200467832Y1 KR2020120000127U KR20120000127U KR200467832Y1 KR 200467832 Y1 KR200467832 Y1 KR 200467832Y1 KR 2020120000127 U KR2020120000127 U KR 2020120000127U KR 20120000127 U KR20120000127 U KR 20120000127U KR 200467832 Y1 KR200467832 Y1 KR 200467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sheet member
cuff
protector
velcro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실근
Original Assignee
유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실근 filed Critical 유실근
Priority to KR2020120000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8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41D13/0568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8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손목 및 팔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착용시 실질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도 혼자서도 한 손으로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며, 아픈부위를 건드림이 없이 그것도 사람마다 손목의 굵기가 각각 다르며 압박하고자 하는 부위의 상태가 각각 다르더라도 상황에 알맞게 압박강도를 적절히 조절하여가면서 파지하여 줄 수 있도록 특수하게 구성된 고품질 고품격의 손목 및 팔목 보호대를 제공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손목 및 팔목보호대는 기본적으로 전체가 신축성을 갖고 긴 장방형으로 된 시트부재(100)의 한쪽 끝단에는 벨크로테이프(찍찍이)(110)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부재(100)의 타측 끝단에는 2개의 조임끈(121)(122)의 일측 끝단을 봉재한다음 조임끈(121)(122)의 타측 끝단을 각각 시트부재(100) 중앙측 내면에 중간을 봉재하여 형성된 한쌍의 고리(131)(132)에 하나씩 삽입한 상태에서 고리(131)(13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2개의 조임끈(121)(122)의 타측 끝단을 벨크로테이프(찍찍이)(140)로 연결설치하여서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손목 및 팔목 보호대{Wrist and cuff strap}
본 고안은 손목 및 팔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운동 및 작업이나 또는 일상생활에서 다치기 쉬운 손목이나 팔목을 보호하기 위하여 손목 또는 팔목을 감싸도록 착용할 때 압박하는 상태로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손목 및 팔목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목 및 팔목 보호대는 일상생활이나 작업 또는 운동중에 손목 또는 팔목을 다쳤을 경우 손목 또는 팔목을 감싸주도록 착용하여 적당한 압박을 가해줌으로써 통증을 완화시켜주거나 또는 잡아주는 기능을 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종래의 손목 및 팔목보호대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신축성을 갖는 긴 장방형으로된 시트부재(10)의 한쪽 끝단에 벨크로테이프(찍찍이)(11)를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의 단순한 손목 및 팔목보호대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시트부재(10)의 내면에 손목 또는 팔목을 위치시킨 후 상기 시트부재(10)의 한쪽 끝단을 손이나 다른물체의 어느 한곳에 지지시켜 시트부재(1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킨 다음, 시트부재(1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11)를 손목 또는 팔목이 충분히 압박될 수 있는 정도로 잡아당겨 시트부재(10)의 다른 한쪽 끝단부에 부착함으로써 착용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손목 및 팔목보호대는 손목 또는 팔목을 압박하기 위하여 시트부재(10)의 일측 끝단을 손으로 파지하고 동시에 다른 한쪽의 벨크로테이프(11)를 잡아당겨 부착고정하여야 하지만, 손목 및 팔목보호대를 착용하는 모든 작업이 한 손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느 한쪽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쪽을 잡아당기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따라서 종래구성의 손목 및 팔목보호대로서는 한 손만으로는 충분한 힘을 가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충분한 힘으로 손목 또는 팔목을 시트부재(10)로 압박하여 통증을 완화시켜 주거나 잡아주는 기능을 충분히 달성하기 어려웠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신축성을 갖고 긴 장방형으로 된 시트부재(10)의 한쪽 끝단에 벨크로테이프(찍찍이)(11)를 형성하고, 타측의 상면에 손목을 끼워서 착용할 수 있도록 양쪽 끝단을 시트부재(10)에 재봉하여서된 고정밴드(12)를 형성하여서 구성된 손목보호대가 있는데 이는 사용시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1차적으로 고정밴드(12) 내부로 사용자의 손목을 집어넣어 통과시켜 손목이 감싸지도록 위치시킨 다음,
이러한 상태에서 2차적으로 시트부재(10) 한쪽 끝단에 형성한 벨크로테이프(11)를 사용자의 다른 한 손으로 잡아당기면서 시트부재(10)를 손목을 휘감싸듯이 감은 후 벨크로테이프(11)를 시트부재(10)에 부착함으로써 착용을 완료하게 된다.
다시 말해 1차적으로 고정밴드(12)에 손목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2차적으로 벨크로테이프(11)를 이용하여 시트부재(10)를 손목을 휘감듯이 착용하는 것이어서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도 혼자서도 한 손으로 충분히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선출원 고안의 손목보호대는 실제로 하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었다.
먼저 1차적으로 손목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고정밴드(12)가 시트부재(10)에 양쪽 끝단이 재봉된 상태이므로 실지로는 아프지 않은 한쪽 손만으로는 고정밴드(12)를 충분한 넓이로 벌린다는 것 자체가 어려웠으며, 그렇기 때문에 더 이상의 통증발생 없이 아픈 손목을 끼워넣기가 쉽지 않았다.
또한, 사람마다 손목의 굵기가 각각 다르며, 압박하고자 하는 부위의 상태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가해주고자 하는 압박강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주어야 하는데에도 불구하고 상기 고정밴드(12)로는 상황에 맞추어 압박강도를 조절하여 주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실지로 1차적으로 고정밴드(12)에 손목을 끼웠을 때 너무 강한 압박이 가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밴드(12)가 형성된 기존의 손목보호대는 실지로 한쪽 손 만으로는 착용이 매우 불편하고, 압박강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줄 수 없어서 통증을 완화시켜주거나 또는 잡아 주는 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1-2898호(출원일자:2001.05.10)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49772호(출원일자:2007.05.22)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7-2239호(출원일자:2007.02.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착용시 실질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도 혼자서도 한 손으로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며, 아픈부위를 건드림이 없이 그것도 사람마다 손목의 굵기가 각각 다르며 압박하고자 하는 부위의 상태가 각각 다르더라도 상황에 알맞게 압박강도를 적절히 조절하여가면서 파지하여 줄 수 있도록 특수하게 구성된 고품질 고품격의 손목 및 팔목 보호대를 제공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손목 및 팔목 보호대는 기본적으로 전체가 신축성을 갖고 긴 장방형으로 된 시트부재의 한쪽 끝단에는 벨크로테이프(찍찍이)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부재의 타측 끝단에는 2개의 조임끈의 일측 끝단을 봉재한다음 조임끈의 타측 끝단을 각각 시트부재 중앙측 내면에 중간을 봉재하여 형성된 한쌍의 고리에 하나씩 삽입한 상태에서 고리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2개의 조임끈의 타측 끝단을 벨크로테이프(찍찍이)로 연결설치하여서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손목 및 팔목 보호대는 2개의 조임끈이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아도 손쉽게 들어 올려지면서 손목 또는 팔목 삽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도 혼자서도 한 손으로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며, 아픈부위를 건드리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손목이나 팔목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압박하고자 하는 손목이나 팔목의 두께나 압박하고자 하는 부위의 상태가 각각 다르더라도 상황에 알맞게 압박강도를 적절히 조절하면서 1차적으로 압박부위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조임끈 및 이들을 연결설치하는 벨크로테이프를 잡아당겨 1차적으로 압박부위를 파지할 때, 압박패드가 압박하고자 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어서 착용이 용이하고 착용 후 통증을 완화시켜 주거나 또는 잡아 주는 효과가 크게 증대되어 지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복합적으로 발휘된다.
도 1, 도 2는 종래의 손목 보호대의 일 구성상태도로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사용상태도.
도 3, 도 4는 종래의 손목 보호대의 다른 구성상태도로서,
도 3은 사시도.
도 4는 사용상태도.
도 5, 도 6은 본 고안의 손목 및 팔목보호대의 일 구성상태도로서,
도 5는 사시도.
도 6은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7은 손목 및 팔목 삽입공간으로 손목을 삽입한 상태.
도 8은 2개의 조임끈을 연결설치하는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손목을 1차로 파지한 상태도.
도 9는 시트부재의 한쪽 끝단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손목을 2차로 파지 완료한 상태도.
도 10,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 상태도로서,
도 10은 일체형 압박패드를 형성한 상태도.
도 11은 착탈가능한 압팍패드를 형성한 상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11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손목 및 팔목보호대는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전체가 신축성을 갖고 긴 장방형으로 된 시트부재(100)의 한쪽 끝단에는 벨크로테이프(찍찍이)(110)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부재(100)의 타측 끝단에는 2개의 조임끈(121)(122)의 일측 끝단을 봉재한다음 조임끈(121)(122)의 타측 끝단을 각각 시트부재(100) 중앙측 내면에 중간을 봉재하여 형성된 한쌍의 고리(131)(132)에 하나씩 삽입한 상태에서 고리(131)(13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2개의 조임끈(121)(122)의 타측 끝단을 벨크로테이프(찍찍이)(140)로 연결설치하여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2개의 조임끈(121)(122)을 한쌍의 고리(131)(132)에 하나씩 삽입한 상태에서 잡아당겨 시트부재(100)의 타측 끝단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상향만곡부(100a)가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조임끈(121)(122)의 타측 끝단을 모은 후 벨크로테이프(찍찍이)(140)로 연결설치하여서,
상기 상향만곡부(100a) 내측으로 손목 또는 팔목 삽입공간(150)이 넓게 형성되어 지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시트부재(100)는 외면에만 각각의 벨크로테이프(110)(140)가 부착되도록 기모가 형성되어 진다.
한편,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재(100)의 타측 끝단과 한쌍의 고리(131)(132) 사이에 해당하는 시트부재(100) 내면에 압박패드(160)가 더 형성되어 질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압박패드(160)는 시트부재(100) 내면에 일체형으로 봉재되어져 형성되어 질 수도 있는 것은 물론,
첨부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패드(160) 저면에는 벨크로테이프(161)를 형성하고 시트부재(100) 내면에는 기모부(170)를 형성하고 압박패드(160)를 기모부(170)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왼쪽 손목이나 팔목에 이상이 있어 이 부분을 압박하여 주고자 할 경우를 가정하면, 먼저 도면상 오른쪽 손을 이용하여 2개의 조임끈(121)(122)을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2개의 조임끈(121)(122)이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아도 손쉽게 들어 올려지면서 손목 또는 팔목 삽입공간(150)이 매우 넓게 확보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넓게 확보된 손목 또는 팔목 삽입공간(150)으로 왼쪽 손을 집어 넣은 다음 압박하고자 하는 손목 또는 팔목에 위치시킨다.(이때, 사용자의 손이 크더라도 아무런 불편함이 없이 손쉽게 집어넣어 진다)
그런 다음 도 7과 같이 오른쪽 손을 이용하여 2개의 조임끈(121)(122)을 연결설치하는 벨크로테이프(140)를 잡아당겨 준다.
그러면 2개의 조임끈(121)(122)이 당겨지고 조임끈(121)(122)의 일측 끝단이 봉재된 시트부재(100)의 일측 끝단 또한 당겨지면서 손목 또는 팔목을 감싸게 되는데 이때, 상기 사용자는 본인의 손목 또는 팔목의 두께를 감안하여 너무 강하거나 너무 느슨하지 않게 조임끈(121)(122)이 잡아 당겨지도록 한 상태에서 벨크로테이프(140)를 시트부재(100)의 일측 끝단 외면에 부착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압박하고자 하는 손목이나 팔목의 두께에 상관없이 압박강도를 적절히 조절하면서 1차적으로 압박부위를 파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개의 조임끈(121)(122) 및 이들을 연결하는 벨크로테이프(140)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압박부위를 간편하게 파지한 다음에는 시트부재(100)의 타측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벨크로테이프(110)를 다시 오른쪽 손을 이용하여 잡아당기면서 시트부재(100)를 손목 또는 팔목을 휘감듯이 감은 후 벨크로테이프(110)를 시트부재(100) 외면에 부착함으로써 착용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손목 및 팔목 보호대는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도 혼자서도 한 손으로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며, 아픈부위를 건드림이 없이 그것도 사람마다 손목의 굵기가 각각 다르며, 압박하고자 하는 부위의 상태가 각각 다르더라도 상황에 알맞게 압박강도를 적절히 조절해가면서 파지하여 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2개의 조임끈(121)(122)을 한쌍의 고리(131)(132)에 하나씩 삽입한 상태에서 잡아당겨 시트부재(100)의 타측 끝단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상향만곡부(100a)가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조임끈(121)(122)의 타측 끝단을 모은 후 벨크로테이프(찍찍이)(140)로 연결설치하여서,
상기 상향만곡부(100a) 내측으로 손목 또는 팔목 삽입공간(150)이 더욱더 넓게 형성되어 지도록 한 경우에는 2개의 조임끈(121)(122)을 상측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없거나 조금만 들어올려도 되므로 손목 또는 팔목 삽입공간(150)에 손을 더욱 손쉽게 넣을 수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들로서, 첨부도면 도 10과 같이 상기 시트부재(100)의 타측 끝단과 한쌍의 고리(131)(132) 사이에 해당하는 시트부재(100) 내면에 일체형으로 봉재되어진 압박패드(160)를 형성하거나,
또는 첨부도면 도 11과 같이 압박패드(160) 저면에는 벨크로테이프(161)를 형성하고 시트부재(100) 내면에는 기모부(170)를 형성하여 압박패드(160)를 기모부(170)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시트부재(100) 착용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2개의 조임끈(121)(122) 및 이들을 연결설치하는 벨크로테이프(140)를 잡아당겨 1차적으로 압박부위를 파지할 때, 압박패드(160)가 압박하고자 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어서 착용이 용이하고 착용 후 통증을 완화시켜주거나 또는 잡아주는 효과가 크게 증대되어 진다.
100:시트부재 100a:상향만곡부
110,140,161:벨크로테이프 121,122:조임끈
131,132:고리 150:손목 또는 팔목 삽입공간
160:압박패드 170:기모부

Claims (6)

  1. 전체가 신축성을 갖고 긴 장방형으로 된 시트부재(100)의 한쪽 끝단에는 벨크로테이프(찍찍이)(110)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부재(100)의 타측 끝단에는 2개의 조임끈(121)(122)의 일측 끝단을 봉재한다음 조임끈(121)(122)의 타측 끝단을 각각 시트부재(100) 중앙측 내면에 중간을 봉재하여 형성된 한쌍의 고리(131)(132)에 하나씩 삽입한 상태에서 고리(131)(13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2개의 조임끈(121)(122)의 타측 끝단을 벨크로테이프(찍찍이)(140)로 연결설치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및 팔목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조임끈(121)(122)을 한쌍의 고리(131)(132)에 하나씩 삽입한 상태에서 잡아당겨 시트부재(100)의 타측 끝단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상향만곡부(100a)가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조임끈(121)(122)의 타측 끝단을 모은 후 벨크로테이프(찍찍이)(140)로 연결설치하여서,
    상기 상향만곡부(100a) 내측으로 손목 또는 팔목 삽입공간(150)이 상향만곡부(100a)의 올라간 높이 만큼 더 넓게 형성되어 지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및 팔목 보호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100)는 외면에만 각각의 벨크로테이프(110)(140)가 부착되도록 기모가 형성되어 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및 팔목 보호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100)의 타측 끝단과 한쌍의 고리(131)(132) 사이에 해당하는 시트부재(100) 내면에 압박패드(160)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및 팔목 보호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패드(160)는 시트부재(100) 내면에 일체형으로 봉재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및 팔목 보호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패드(160) 저면에는 벨크로테이프(161)를 형성하고 시트부재(100) 내면에는 기모부(170)를 형성하여서, 압박패드(160)를 기모부(170)로 부터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및 팔목 보호대.
KR2020120000127U 2012-01-05 2012-01-05 손목 및 팔목 보호대 KR200467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127U KR200467832Y1 (ko) 2012-01-05 2012-01-05 손목 및 팔목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127U KR200467832Y1 (ko) 2012-01-05 2012-01-05 손목 및 팔목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832Y1 true KR200467832Y1 (ko) 2013-07-08

Family

ID=5139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127U KR200467832Y1 (ko) 2012-01-05 2012-01-05 손목 및 팔목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8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462B1 (ko) 2015-05-12 2016-07-2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해부학 자료를 반영한 손목 의료기구
KR101853070B1 (ko) 2017-09-29 2018-06-04 김용태 엄지보호부가 구비된 손목 보호대
KR102007743B1 (ko) 2019-01-14 2019-08-07 주식회사 강한손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
KR20220040246A (ko) * 2020-09-23 2022-03-30 이석규 체결 편의성이 향상된 밴드 체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3562A1 (es) 1997-01-31 1998-08-06 Beatriz Javaloyes Bernacer Muñequera deportiva perfeccionada
US6360684B1 (en) * 1999-04-28 2002-03-26 Kenneth L. Quaglia Hand down indicator including pocket
US7278980B1 (en) * 2004-06-01 2007-10-09 Weber Orthopedic Inc. Hand brace
KR20080102819A (ko) * 2007-05-22 2008-11-26 (주)신성하나로산업 보호 막대가 수용된 손목 보호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3562A1 (es) 1997-01-31 1998-08-06 Beatriz Javaloyes Bernacer Muñequera deportiva perfeccionada
US6360684B1 (en) * 1999-04-28 2002-03-26 Kenneth L. Quaglia Hand down indicator including pocket
US7278980B1 (en) * 2004-06-01 2007-10-09 Weber Orthopedic Inc. Hand brace
KR20080102819A (ko) * 2007-05-22 2008-11-26 (주)신성하나로산업 보호 막대가 수용된 손목 보호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462B1 (ko) 2015-05-12 2016-07-2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해부학 자료를 반영한 손목 의료기구
KR101853070B1 (ko) 2017-09-29 2018-06-04 김용태 엄지보호부가 구비된 손목 보호대
KR102007743B1 (ko) 2019-01-14 2019-08-07 주식회사 강한손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
KR20220040246A (ko) * 2020-09-23 2022-03-30 이석규 체결 편의성이 향상된 밴드 체결구조
KR102456375B1 (ko) 2020-09-23 2022-10-18 이석규 체결 편의성이 향상된 밴드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2046A1 (en) Head band with securing device
KR200467832Y1 (ko) 손목 및 팔목 보호대
US20090090378A1 (en) Head band with securing device
KR101056986B1 (ko) 허리보호대
KR101832924B1 (ko) 압박감 및 밀착감 향상을 통해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허리 지지대
KR101853070B1 (ko) 엄지보호부가 구비된 손목 보호대
KR101754578B1 (ko) 안면당김기능을 갖는 마스크팩 지지밴드
JP6168662B2 (ja) 顎関節脱臼防止具
JP2018008004A (ja) 腰プロテクター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20005025U (ko) 허리보호대
KR101541481B1 (ko) 허리보호용 복대
CN206365971U (zh) 一种医用约束带
JP3165338U (ja) 帯留め
CN210785789U (zh) 一种儿童输液用固定板
JP4912337B2 (ja) 肩こり防止具
KR20110000852U (ko) 손목보호대
CN215024389U (zh) 一种新生儿无创呼吸机头套
JP3231905U (ja) レジスタンストレーニング用バンド
CN209827264U (zh) 一种一次性医用改良头套
CN211213745U (zh) 一种新型乳胶脚垫
CN202821756U (zh) 卧式牵引床颈椎牵引装置
CN210019353U (zh) 一种监测指脉氧约束装置
CN211300590U (zh) 一种新型约束带
CN210044234U (zh) 一种儿童用约束带
JP3118478U (ja) 顔面補正美容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