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743B1 -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 - Google Patents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743B1
KR102007743B1 KR1020190004681A KR20190004681A KR102007743B1 KR 102007743 B1 KR102007743 B1 KR 102007743B1 KR 1020190004681 A KR1020190004681 A KR 1020190004681A KR 20190004681 A KR20190004681 A KR 20190004681A KR 102007743 B1 KR102007743 B1 KR 102007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protector
thumb
tim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한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한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한손
Priority to KR102019000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8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7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wrist support ; Compression devices for tennis elbow (epicondy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1/00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out driving mechanisms, e.g. egg timers
    • G04F1/005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out driving mechanisms, e.g. egg timers using electronic timing, e.g. coun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등과 손목 및 엄지손가락 일부분을 감싸도록 착용되는 보호대; 및 상기 보호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타이머는 상기 보호대 사용자에게 작업시간의 완료 시점을 알림하여 주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WRIST BAND FOR BLIND PERSON WITH TIMER FUNCTION}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에게 작업시간을 알림하여 주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손목을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손목을 압박하고 옳바르게 균형을 잡아주며, 통증을 완화시켜주도록 착용 가능한 손목 밴드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작업시간을 알림하여 주는 타이머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시간의 경과 또는 완료 시점을 알림하여 줄 수 있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목 보호대는 생활속에서 작업이나 운동을 통해 다치게 되거나 또는 통증이 유발된 경우, 손목 일부분을 감싸두도록 착용한 후, 적당한 압박을 가해줌으로써,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중,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보호대 중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7832호에 손목 및 팔목 보호대가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손목 및 팔목 보호대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 구성은 전체가 신축성을 갖고 긴 장방형으로 된 시트부재(10)의 한쪽 끝단에는 벨크로테이프(찍찍이)(11)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부재(10)의 타측 끝단에는 2개의 조임끈(21)(22)의 일측 끝단을 봉재한다음 조임끈(21)(22)의 타측 끝단을 각각 시트부재(10) 중앙측 내면에 중간을 봉재하여 형성된 한쌍의 고리(31)(32)에 하나씩 삽입한 상태에서 고리(31)(3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2개의 조임끈(21)(22)의 타측 끝단을 벨크로테이프(찍찍이)(14)로 연결설치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손목 및 팔목 보호대는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사용자 혼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손목 및 팔목 보호대는 사용자 혼자서도 착용이 가능하고, 손목을 압박한다는 점은 긍정적이나, 손목 및 팔목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손가락 등을 함께 압박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시각장애인의 고용 확대 대안을 위해 안마사를 업으로 할 수 있도록 합헙한다는 판결(2008년, 헌법재판소의 판결)이 났으며, 이에, 많은 시각장애인들이 헬스키퍼 및 바우처 안마원 등을 업으로 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시각장애인들은 주로 손으로 아픈부위를 누르거나 근육을 압박하여 마사지를 하는데, 주로 손끝이나 손바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압박하게 된다.
이중에서도 국소부위 마사지를 위해 엄지를 이용하여 신체를 압박하게 되는데, 엄지 손각락에 많은 힘이 들어가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많은 마사지사들이 근로를 마친 뒤에는 주로 손목 보호대와 같은 아대를 착용하여 휴식을 하게 되는데, 휴식을 하는 동안에도 주거 활동을 위해 손을 쓰게 되어 통증 유박을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통증을 지속시켜 심하게는 근로를 못하게 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손목 보호대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아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을 하지만, 단순히 손목이나 팔목 보호에만 그쳐, 마사지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엄지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들이 마사지사로서의 지속적인 근로와 안정된 근로를 위하여 손목이나 팔목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엄지손가락을 함께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시각장애인들이 손목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대를 착용하고 마사지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시간의 경과 정도를 알기가 어려워 마사지 작업시간이 초과되는 등 대처가 미흡한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7832호(2013.07.01.)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43239호(2017.12.2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목을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손목을 압박하고 옳바르게 균형을 잡아주며, 통증을 완화시켜주도록 착용 가능한 손목 밴드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작업시간을 알림하여 주는 타이머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시간의 경과 또는 완료 시점을 알림하여 줄 수 있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는 손등과 손목 및 엄지손가락 일부분을 감싸도록 착용되는 보호대; 및 보호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타이머는 보호대 사용자에게 작업시간의 완료 시점을 알림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손목을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손목을 압박하고 옳바르게 균형을 잡아주며, 통증을 완화시켜주도록 착용 가능한 손목 밴드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작업시간을 알림하여 주는 타이머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시간의 경과 또는 완료 시점을 알림하여 줄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을 압박하여 옳바르게 균형을 잡아주고 손목의 통증을 완화시켜주되, 엄지를 감싸는 엄지보호부가 구비되어 엄지의 움직임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엄지보호부가 구비되되, 상기 엄지보호부에 엄지손가락이 끼워진 후, 탄력밴드를 통해 한번 더 엄지손가락 외주면을 감싸줌으로써, 두번 지지하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압박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엄지손가락을 안정적으로 보호해 주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손목 및 팔목 보호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서 보호대를 착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서 보호대의 내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서 보호대의 외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의 착용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6a는 엄지보호부와 탄력밴드 사이에 엄지손가락이 끼워진 도면, 도 6b는 손목보호부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싼 후 고리를 관통한 도면, 도 6c는 사용자의 손목에 손목보호부가 감겨져 부착된 도면, 도 6d 및 도 6e는 탄력밴드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감겨져 착용이 완료된 상태의 손바닥측과 손등측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서 타이머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서 작업시간 설정에 따른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서 구간설정에 따른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는 손목을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손목을 압박하고 옳바르게 균형을 잡아주며, 통증을 완화시켜주도록 착용 가능한 손목 밴드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작업시간을 알림하여 주는 타이머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시간의 경과 또는 완료 시점을 알림하여 줄 수 있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즉 손등과 손목 및 엄지손가락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호대(100)를 통해 작업을 하는 시각장애인의 손가락과 손목을 보호하고, 작업시간에 따른 완료 시점을 소리, 음성 또는 진동 등을 통해 알림하여 줌으로써, 설정된 작업시간 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보호대(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을 내측으로 명시하였으며, 반대되어 노출되는 부분을 외측으로 명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또한, 손목보호대는 사용자의 오른손과 왼손에 착용되는 구성이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질 뿐 구성은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오른손에 착용되는 손목보호대를 도시하고 이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왼손에 착용되는 손목보호대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즉 본 명세서에 도시 및 명시된 사용자의 오른손에 착용되는 손목보호대에 한정하지 않고, 오른손 뿐만 아니라 왼손에 착용되는 손목보호대에 관한 기술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보호대(100)에 구비된 암부착수단(131), 수부착수단(132) 및 탈부착수단(141)은 벨크로로 이루어져 탈부착이 가능한 구성으로 명시되었음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는 손등과 손목 및 엄지손가락 일부분을 감싸도록 착용되는 보호대(100), 상기 보호대(100)에 부착되어 작업시간을 알림하여 주는 타이머(200) 및 상기 보호대(100)에 타이머(20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탈부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호대(100)는 사용자의 손목뿐만 아니라 엄지손가락을 함께 압박하고 지지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타이머(200)는 보호대(100) 사용자에게 작업시간의 완료 시점을 알림하여 줌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작업시간의 완료 시점을 알림하여 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타이머(200)는 탈부착부(300)에 의해 보호대(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탈부착부(300)는 벨크로, 자석, 똑딱이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대(100)가 구성간 벨크로에 의해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서됨에 따라, 상기 탈부착부(300) 또한 벨크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벨크로가 구비된 보호대(100)의 몸체부(110), 엄지보호부(120) 또는 손목보호부(130) 중 선택된 한 곳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서 보호대를 착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서 보호대의 내측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서 보호대의 외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보호대(100)는 손등과 손목 및 엄지손가락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손목뿐만 아니라 엄지손가락을 함RP 압박하고 지지하되, 엄지손가락을 압박하는 구조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압박력을 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110), 엄지보호부(120), 손목보호부(130) 및 탄력밴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후술되는 엄지보호부(120)와 일체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등과 손목 및 엄지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엄지보호부(120)와 자연스럽게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와 엄지보호부(120)는 전체적인 호리병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엄지보호부(120)는 엄지손가락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부(110)는 손등과 손목 일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엄지보호부(120) 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면인 내주면에 커버(111)가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111)는 몸체부(110), 엄지보호부(120) 및 손목보호부(130)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져,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땀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와 엄지보호부(120) 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손목보호부(130) 내주면 일부분에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사용자의 손등과 손목 및 엄지손가락과 접촉되는 부분 모두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커버(111)는 몸체부(110), 엄지보호부(120) 및 손목보호부(130)의 테두리를 따라 바느질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10)와 엄지보호부(120) 사이에 구획공간(112)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몸체부(110) 및 엄지보호부(120)와 커버(111) 사이에 형성되는 구획공간(112)에는 완충패드(11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패드(112a)는 몸체부(110)와 엄지보호부(120)에 대응되는 호리병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손목보호대의 두께감과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충격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획공간(112)은 몸체부(110)와 엄지보호부(120)의 내주면과 커버(111) 사이에 하측이 개구된 포켓(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포켓(113)은 손목보호대가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면, 엄지손가락과 손등 일부를 지지하도록 스틱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질의 지지대(113a)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측으로 개구되어 지지대(113a)가 상기 공간을 통해 포켓(113)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지지대(113a)는 스틱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굽힘 및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인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 또는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길이를 포함하는 손 크기에 맞추어 다양한 길이 및 폭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포켓(113)에 다양한 길이 및 폭을 갖는 지지대(113a)를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지지대(113a)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포켓(113)의 형성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몸체부(110)와 엄지보호부(120)의 외주면과 커버(111)의 내주면을 바느질함으로써, 구획공간(112) 내부를 구획하여 포켓(113)이 형성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첨부된 도면에는 포켓(113)이 하나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바느질을 다수회에 걸쳐 함으로써, 하측이 개구된 형태의 포켓(113)이 복수 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다수 개 형성된 포켓(113)에 지지대(113a)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손목보호대를 사용자의 오른손 또는 왼손에 착용하는 경우, 착용되는 손 이외의 나머지 한 손을 통해 착용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때, 한 손으로 착용하는 만큼 손목보호대를 착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나아가, 강한 압박을 하기 위해 후술되는 손목보호부(130) 또는 탄력밴드(140)를 잡아당기기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목보호대는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고리(114)가 구비되고, 후술되는 손목보호부(130)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싼 후, 상기 고리(114)를 관통하여 감겨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다시 감겨 몸체부(110) 외주면 또는 손목보호부(130)의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도 사용자 혼자서도 한 손으로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리(114)를 관통한 손목보호부(130)을 당기는 과정만으로도 강한 압박력을 줄 수 있어, 압박강도를 적절히 조절해가면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114)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몸체부(110) 외주면에 구비되어 손목보호부(130)가 관통된다.
이때, 고리(114)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보호대의 상,하측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측은 외측을 향하고, 하측은 몸체부(110) 중간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손목보호부(130)가 고리(114)를 관통하게되면, 상기 고리(114)의 경사진 기울기에 의해 고리(114)를 관통한 손목보호부(130) 역시 기울어진 형태로 결합되는데, 기울어진 형태로 결합된 손목보호부(130)에 의해 몸체부(110)와 손목보호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즉 사용자의 손이 끼워지는 공간은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손목에서 엄지손가락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밀착력 향상에 따라 압박 또한 강하게 할 수 있다.
엄지보호부(120)는 엄지손가락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몸체부(110)와 자연스럽게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엄지보호부(120)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내주면에 결합된 커버(111)에 의해 구획공간(112)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구획공간(112) 내에 경질의 지지대(113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구된 포켓(113)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겉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엄지보호부(12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주면에 양 끝이 결합되는 고정밴드(1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밴드(121)는 엄지보호부(120)와 고정밴드(121)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을 통해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밴드(121)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관계없이 손목보호대의 착용이 가능하며, 고정밴드(121)의 신축성에 의해 간편하게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손목보호부(130)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몸체부(110)와 연결되는 것으로, 몸체부(110) 외주면에 구비된 고리(114)를 관통한 후, 몸체부(110) 외주면 또는 손목보호부(130) 외주면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몸체부(110) 및 손목보호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암부착수단(131)이 구비되고, 상기 손목보호부(130)의 끝단 외주면에 상기 암부착수단(131)에 부착 또는 분리 가능한 수부착수단(13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손에 손목보호대가 착용되는 과정에서 손목보호부(130)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고, 고리(114)를 관통시킨 후, 관통된 손목보호부(130)의 끝단에 형성된 수부착수단(132)을 몸체부(110) 또는 손목보호부(130) 외주면에 구비된 암부착수단(131)에 부착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손목을 압박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손목보호부(130)는 외주면에 구비된 암부착수단(131)이 내주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손목보호부(130)는 외주면과 내주면에 모두에 암부착수단(131)이 구비되고, 외주면 끝단 일부분에 수부착수단(13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손목보호부(130)가 고리(114)를 관통하여 손목을 감은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부착되는 경우, 상기 손목보호부(130)의 내주면이 외측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측으로 노출된 손목보호부(130)의 내주면에 후술되는 탄력밴드(140)가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탄력밴드(140)가 엄지손가락을 휘감은 후, 부착되는 과정에서 손목보호부(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부착수단(131)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탄력밴드(140)는 엄지보호부(120)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엄지손가락이 끼워진 엄지보호부(120)의 겉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탄력밴드(140)는 일단이 엄지보호부(120)에 연결되며, 타단은 내주면에 탈부착수단(141)이 구비된다.
이에, 엄지보호부(120)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면, 상기 탄력밴드(140)를 엄지손가락 겉으로 휘감은 후,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암부착수단(131)이나 손목보호부(130) 내주면에 구비된 암부착수단(131)에 탈부착수단(141)이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엄지손가락을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탄력밴드(14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축성에 의해 엄지손가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엄지손가락을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엄지보호부가 구비된 손목 보호대의 착용 과정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의 착용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6a는 엄지보호부와 탄력밴드 사이에 엄지손가락이 끼워진 도면, 도 6b는 손목보호부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싼 후 고리를 관통한 도면, 도 6c는 사용자의 손목에 손목보호부가 감겨져 부착된 도면, 도 6d 및 도 6e는 탄력밴드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감겨져 착용이 완료된 상태의 손바닥측과 손등측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보호부(120)와 고정밴드(121) 사이에 형성된 부분에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고정밴드(121)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엄지손가락의 겉면 일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손목보호대가 사용자의 손에 임시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보호부(130)를 사용자의 손목에 휘감은 후, 고리(114)를 관통시킨다.
다음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114)를 관통한 손목보호부(130)를 손목에 감겨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다시 감아 끝단에 구비된 수부착수단(132)이 암부착수단(131)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손목을 압박할 수 있게된다.
이때, 고리(114)에 의해 손목보호부(130)가 회전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혼자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손목보호대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d 및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밴드(140)를 엄지손가락, 즉 엄지보호부(120) 겉면을 감싸도록 휘감은 후, 탈부착수단(141)이 암부착수단(131)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엄지손가락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타이머(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서 타이머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타이머(200)는 탈부착부(300)를 통해 보호대(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사용자에게 작업시간에 따른 알림을 하여 주는 것으로, 전원공급부(210), 버튼부(220), 제어부(230) 및 알림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타이머(20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대(100)에 탈부착되어 신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보호대(1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신축성을 갖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가 가벼우며, 신축성을 갖는 직물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합성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공급부(210)는 타이머(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210)는 타이머(200)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크기가 작은 수은전지가 교체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내장형 배터리(battery)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버튼부(220)는 타이머(200) 외측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작업의 시작과 종료 및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시작버튼(221), 종료버튼(222) 및 모드설정버튼(2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버튼부(22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200) 외측으로 노출되어 각각 누름에 따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터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시간 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로터리스위치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타이머(200) 외주면에 상기 로터리스위치 외주연을 따라 아날로그 시계 이미지가 인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로터리스위치는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구조의 스위치를 의미하며, 아날로그 시계 이미지는 시곗바늘로 시간을 나타내는 시계의 바탕에 인돼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시작버튼(221)은 작업의 시작을 설정하거나 작업시간 또는 구간별 작업시간의 설정과정에서의 시(時)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구간별 작업시간의 설정과정에서 구간 횟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료버튼(222)은 작업의 종료를 설정하거나 작업시간 또는 구간별 작업시간의 설정과정에서의 분(分)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작업시간 또는 구간별 작업시간이 경과하는 과정에서 언제든지 작업을 종료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드설정버튼(223)은 작업시간 또는 구간별 작업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설정된 결과에 대한 완료 또는 설정 과정이 단계별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모드설정버튼(223)을 조작하여 작업시간 소요에 따른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구간별 작업시간 소요에 따른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작업시간 또는 구간별 작업시간 각각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30)는 작업시간의 완료 시점에 따른 알림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작업시간설정모듈(231), 구간설정모듈(232) 및 알림모듈(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230)는 플렉시블한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신축성을 갖도록 이루어진 밴드 특성상 사용자의 손이나 손목에 감겨지는 경우, 제어부(230) 또한 함께 감겨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기판으로 이루어져 유연한 움직임을 갖도록 구성되되,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한 도선으로 구성되어 기판을 따라 함께 휘어짐으로써, 단선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제어부(230)를 보호할 수 있도록 기판 외주면에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코팅은 외압에 의해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PC난 PCV 또는 실리콘필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작업시간설정모듈(231)은 시작버튼(221)과 종료버튼(222)을 통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와 분을 각각 입력하여 작업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미리 입력하여 저장하고, 시작버튼(221)을 조작하여 작업이 시작되면, 설정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시점에서 알림부(240)를 통해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간설정모듈(232)은 작업에 따른 구간별 작업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간설정모듈(232)은 작업이 구간별(단계별)로 나누어져 진행되는 경우, 각 구간마다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간별 작업에 따른 시간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사지 작업을 6개의 구간으로 수행하는 경우, 총 작업시간이 1시간이며, 각각의 구간별 작업시간이 10분으로 이루어진 과정에서 구간설정모듈(232)을 통해 설정된 구간 횟수는 6회이며, 각 구간별 작업시간은 1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구간별 작업이 완료, 즉 10분마다 알림부(240)를 통해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는 정해신 구간별 작업시간에 따라 하나의 작업이 완료되면 다음 작업으로 용이하게 넘어가 전체적인 작업시간 내에 구간별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에서 구간별 작업시간이 설정되지 않고 전체적인 작업시간만 알림하여 주는 경우, 구간별 작업시간 내에 작업을 완료하지 못해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알림하여 주더라도 구간별 작업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부연하면,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6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진 구간별 작업시간이 각각 11분씩 소요된 경우, 마지막 6번째 구간의 작업에서는 총 5분의 지연이 발생되었기 때문에 총 1시간의 작업시간 내에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서 6번째 구간의 작업은 5분밖에 시행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구간별 작업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알림모듈(233)은 작업시간설정모듈(231)에서 설정된 작업시간 또는 구간설정모듈(232)에서 설정된 구간별 작업시간이 소진되면 알림부(240)를 통해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에게 총 작업이 완료되거나 또는 구간별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알림하여 줌으로써, 작업에 따른 시간이 완료되었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알림부(240)는 사용자에게 작업시간 또는 구간별 작업시간을 알림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알림부(240)는 소리, 음성 또는 진동 등을 통해 알림하여 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버튼부(220)와 제어부(230) 및 알림부(240)를 통해 알림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서 작업시간 설정에 따른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설정된 작업시간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림하여 주는 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작업이 시작되는 경우, 기존에 설정된 작업시간에 따라 작업을 진행할 것인지 또는 새로운 작업시간을 설정하여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S11)을 한다.
일 예로, 기존에 설정된 작업시간에 따라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시작버튼(221)을 동작시키면(S12),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종료되는 시점에서 알림부(240)를 통해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설정된 작업시간이 소진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14).
다른 예로, 새로운 작업시간을 설정하여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 모드설정버튼(223)을 동작시켜 시작버튼(221)과 종료버튼(222)을 통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와 분을 각각 입력한 후, 상기 모드설정버튼(223)을 한번더 동작시키면(S13), 새로운 작업시간이 입력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시작버튼(221)을 동작시키면(S11), 입력되어 저장된 새로운 작업시간에 따른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4).
이때, 작업시간에 따라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종료버튼(222)을 동작시키면(S15), 알림이 이루어지지 않고 작업시간 경과에 따른 값이 초기화되어 처음과정부터 타이머가 동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설정된 작업시간이 소진되면, 이에 따른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해진 작업시간 내에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에서 구간설정에 따른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먼저, 작업시간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것인지 또는 구간별 작업시간에 따라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S21)을 한다.
이때, 작업시간에 따른 알림 또는 구간별 작업시간에 따른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판단하는 것은, 모드설정버튼(223)을 짧게 또는 길게 누르는 과정을 통해 구분되도록 구성되거나, 모드설정버튼(223)을 1회 누르거나 또는 2회 이상 누르는 과정을 통해 구분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모드설정버튼(223)이 로터리스위치로 형성되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설정된 작업시간에 따라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은 도 8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작업시간에 따라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것인지 또는 구간별 작업시간에 따라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S21)을 실시한 후, 구간별 작업시간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림하여 주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구간별 작업시간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림하여 주는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간별 작업에 따른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 기존에 설정된 구간별 작업시간에 따라 작업을 진행할 것인지 또는 새로운 구간별 작업시간을 설정하여 구간별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S22)을 한다.
일 예로, 기존에 설정된 구간별 작업시간에 따라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시작버튼(221)을 동작시키면(S24), 설정된 구간별 작업시간에 따라 구간별 작업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각각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구간별로 설정된 작업시간이 소진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25).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모든 구간에 따른 작업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작업시간에 따른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모든 구간별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26).
다른 예로, 새로운 구간별 작업시간을 설정하여 구간별 작업에 따른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 모드설정버튼(223)을 동작시켜 시작버튼(221)을 통해 구간 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모드설정버튼(223)과 시작버튼(221) 및 종료버튼(222)을 이용하여 각 구간마다 작업시간을 설정한 후, 설정된 구간 횟수에 따른 작업시간 입력이 모두 완료면 모드설정버튼(223)을 한번더 동작시키면(S23), 구간마다 각각의 새로운 작업시간이 입력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시작버튼(221)을 동작시키면, 입력되어 저장된 새로운 구간별 작업시간에 따른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25~S26)
이때, 구간별 작업시간에 따라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종료버튼(222)을 동작시키면(S25), 알림이 이루어지지 않고 구간별 작업시간 경과에 따른 값이 초기화되어 처음과정부터 타이머가 동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손목을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손목을 압박하고 옳바르게 균형을 잡아주며, 통증을 완화시켜주도록 착용 가능한 손목 밴드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작업시간을 알림하여 주는 타이머(200)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시간의 경과 또는 완료 시점을 알림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손목을 압박하여 옳바르게 균형을 잡아주고 손목의 통증을 완화시켜주되, 엄지를 감싸는 엄지보호부(120)가 구비되어 엄지의 움직임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엄지보호부(120)가 구비되되, 상기 엄지보호부(120)에 엄지손가락이 끼워진 후, 탄력밴드(140)를 통해 한번 더 엄지손가락 외주면을 감싸줌으로써, 두번 지지하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압박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엄지손가락을 안정적으로 보호해 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보호대 110 : 몸체부
111 : 커버 112 : 구획공간
112a : 완충패드 113 : 포켓
113a : 지지대 114 : 고리
120 : 엄지보호부 121 : 고정밴드
130 : 손목보호부 131 : 암부착수단
132 : 수부착수단 140 : 탄력밴드
141 : 탈부착수단 200 : 타이머
210 : 전원공급부 220 : 버튼부
221 : 시작버튼 222 : 종료버튼
223 : 모드설정버튼 230 : 제어부
231 : 작업시간설정모듈 232 : 구간설정모듈
233 : 알림모듈 240 : 알림부
300 : 탈부착부

Claims (10)

  1. 손등과 손목 및 엄지손가락 일부분을 감싸도록 착용되는 보호대(100); 및
    상기 보호대(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타이머(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타이머(200)는
    상기 보호대(100) 사용자에게 작업시간의 완료 시점을 알림하여 주고, 설정된 작업시간 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타이머(2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10);
    작업의 시작과 종료 및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비되는 버튼부(220);
    작업시간의 완료 시점에 따른 알림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30); 및
    상기 제어부(230)로부터 수신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튼부(220)는
    작업의 시작을 설정하는 시작버튼(221);
    작업의 종료를 설정하는 종료버튼(222); 및
    작업시간을 설정하는 모드설정버튼(223);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모드설정버튼(223)을 통해 설정된 작업시간에 따라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시작버튼(221)과 종료버튼(222)을 통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와 분을 각각 입력하여 작업시간을 설정하는 작업시간설정모듈(231);
    상기 작업시간설정모듈(231)에서 설정된 작업시간이 소진되면 알림부(240)를 통해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알림모듈(233); 및
    작업에 따른 구간별 작업시간을 설정하는 구간설정모듈(23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알림모듈(233)은
    구간설정모듈(232)에서 설정된 구간별 작업시간 소진에 따른 알림 메시지가 각각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구간설정모듈(232)은
    상기 모드설정버튼(223)을 조작하여 구간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시작버튼(221)과 모드설정버튼(223)을 이용하여 구간 횟수를 설정하고, 구간별 작업시간을 시작버튼(221)과 종료버튼(222)을 통해 각 작업에 소요되는 시와 분을 각각 입력하여 구간별 작업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230)는
    플렉시블한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100)는
    손등과 손목의 일부분을 감싸는 몸체부(110);
    엄지손가락을 감싸도록 상기 몸체부(110)와 연결된 엄지보호부(120);
    손목을 감싸도록 상기 몸체부(110)와 연결된 손목보호부(130); 및
    상기 엄지보호부(120)의 겉면을 감싸도록 엄지보호부(120)에 연결된 탄력밴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타이머(200)는
    상기 몸체부(110), 엄지보호부(120) 또는 손목보호부(130) 중 선택된 한 곳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200)는 탈부착부(300)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 엄지보호부(120) 또는 손목보호부(130) 중 선택된 한 곳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탈부착부(300)는 벨크로, 자석, 똑딱이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04681A 2019-01-14 2019-01-14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 KR102007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81A KR102007743B1 (ko) 2019-01-14 2019-01-14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81A KR102007743B1 (ko) 2019-01-14 2019-01-14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743B1 true KR102007743B1 (ko) 2019-08-07

Family

ID=6762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681A KR102007743B1 (ko) 2019-01-14 2019-01-14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7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887A (ko) 2020-02-05 2021-08-13 주식회사 강한손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KR20240029464A (ko) 2022-08-26 2024-03-05 퓨어앤텍 주식회사 쿨링수단을 갖는 손목 압박밴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32Y1 (ko) 2012-01-05 2013-07-08 유실근 손목 및 팔목 보호대
CN103494370A (zh) * 2013-10-23 2014-01-08 刘祥 一种设有时钟的护腕
JP2016533828A (ja) * 2013-09-02 2016-11-04 ミレー イノベーション 特に母指cm関節症の場合の母指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手装具
KR101774147B1 (ko) * 2016-03-15 2017-09-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손목 보호대
KR20170143239A (ko) 2016-06-21 2017-12-29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경보밴드
KR101853070B1 (ko) * 2017-09-29 2018-06-04 김용태 엄지보호부가 구비된 손목 보호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32Y1 (ko) 2012-01-05 2013-07-08 유실근 손목 및 팔목 보호대
JP2016533828A (ja) * 2013-09-02 2016-11-04 ミレー イノベーション 特に母指cm関節症の場合の母指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手装具
CN103494370A (zh) * 2013-10-23 2014-01-08 刘祥 一种设有时钟的护腕
KR101774147B1 (ko) * 2016-03-15 2017-09-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손목 보호대
KR20170143239A (ko) 2016-06-21 2017-12-29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경보밴드
KR101853070B1 (ko) * 2017-09-29 2018-06-04 김용태 엄지보호부가 구비된 손목 보호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887A (ko) 2020-02-05 2021-08-13 주식회사 강한손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KR20240029464A (ko) 2022-08-26 2024-03-05 퓨어앤텍 주식회사 쿨링수단을 갖는 손목 압박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6492B2 (en) Wearable holder for securing a smart watch
KR101853070B1 (ko) 엄지보호부가 구비된 손목 보호대
KR102007743B1 (ko)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
GB0210889D0 (en) Gar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6161214A (ja) 頭被覆体およびゴーグル
KR20100010454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귀걸이부를 가지는 안면 마스크
KR20080000609U (ko) 손목시계용 밴드
JP3211589U (ja) ワイヤレス指輪型バーコード・リーダー
CN211354027U (zh) 一种大小可调的绝缘手套
JP3179565U (ja) 手首サポータ
CN211328096U (zh) 一种易穿戴拳击手套
CN107837137B (zh) 一种多功能的手功能锻炼工具
CN208065680U (zh) 手指训练装置
US20100081981A1 (en) Wrist support
JP2021134430A (ja) 手首用サポーター
JP2004097453A (ja) ハンドマッサージ機
CN209392325U (zh) 手部关节活动装置及其手套
JP5979769B1 (ja) 腕時計用固定補助具及びこれを備えた腕時計
CN111437166A (zh) 一种穿戴式按摩器
CN103976810A (zh) 医用护手手套
CN110623407A (zh) 一种理发用的多功能围衣
CN220089940U (zh) 一种穴位按摩手套
CN219182876U (zh) 一种新型旋钮可调节松紧的护手腕
KR102114828B1 (ko) 격투기용 보호 장갑
JP2003172787A (ja) ランニング用腕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