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106Y1 -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106Y1
KR200467106Y1 KR2020130002169U KR20130002169U KR200467106Y1 KR 200467106 Y1 KR200467106 Y1 KR 200467106Y1 KR 2020130002169 U KR2020130002169 U KR 2020130002169U KR 20130002169 U KR20130002169 U KR 20130002169U KR 200467106 Y1 KR200467106 Y1 KR 200467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d
hole
support plate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성
Original Assignee
정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유성 filed Critical 정유성
Priority to KR2020130002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1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1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Landscapes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커넥터(또는 커넥터 스트립)의 성형 과정에서 생긴 불량, 예를 들면 버르(burr) 및 휨(뒤틀림) 등을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 커넥터(또는 커넥터 스트립)의 성형 과정에서 생긴 불량, 예를 들면 버르 및 휨 등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VISUAL INSPECTION APPARATUS FOR CONNECTOR}
본 고안은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커넥터(또는 커넥터 스트립)의 성형 과정에서 생긴 불량, 예를 들면 버르(burr) 및 휨(뒤틀림) 등을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기기나 전자기기의 소형화, 박형화, 다기능화 및 경량화의 진전에 수반하여, 이들 기기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각종 부품에 대해서도 소형화와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과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 구조 또한 소형화(공간 절약화)와 박형화의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가 접합되는 인쇄회로기판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칩이나 기타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패드와, 상기 패드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쇄 회로부와, 탭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인쇄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탭부에는 고형의 솔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솔더를 통해 커넥터가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커넥터 스트립)의 일례가 2008년 7월 23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68398호에 도시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68398호에 개시된 커넥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는 접속핀과, 인쇄회로기판의 탭부에 접합되는 바디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탭부에 접합이 견고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솔더가 녹아 삽입되는 핀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커넥터는 전도성이 우수한 동 또는 동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을 성형 프레스에 의해 펀칭하거나, 재단한 후 절곡하여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커넥터는 롤 형태로 공급된 후 사용처에 따라 상기 접속핀을 개별적으로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다수개의 접속핀이 포함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의 탭부에 접합할 때, 커넥터의 성형과정에서 생긴 불량, 예를 들면 버르(burr)나 휨 등으로 인해 탭부와의 접합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불량으로 인한 접합 불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커넥터의 불량을 사전에 검사해야 하는데, 기존에는 커넥터의 성형 불량을 단지 검사자의 육안 검사에 의지하기 때문에 커넥터의 불량 판별력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효과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불량을 선별해내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검사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일례가 상기에서 언급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68398호(공개일 : 2008. 07. 23)에 개시된 바 있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68398호에서는 프레임 상에 구비되며 접속핀이 상부를 향하도록 수직 공급되는 커넥터 스트립의 바디부가 통과되어 이송되도록 쌍을 이루는 다수의 회전롤러가 구비된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 스트립의 접속핀을 정면에서 검사하는 수평 카메라와,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 스트립의 접속핀을 상면에서 검사하는 수직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카메라에는 광원을 제공하는 조명수단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스트립 검사장치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68398호는 다소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품 단가가 높아 경쟁력이 낮고, 상기 커넥터 스트립의 이송 동작과 연동하여 카메라의 촬영 동작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연동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검사가 어렵다. 더욱이, 영상을 촬영하는 수평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검사 과정에서 카메라 등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10-2008-0068398 A, 2008. 07. 23.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 커넥터(또는 커넥터 스트립)의 성형 과정에서 생긴 불량, 예를 들면 버르 및 휨 등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커넥터의 이송동작과 카메라의 촬영동작을 연동시켜 상기 커넥터의 불량 판별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커넥터를 이송하는 인입 및 인출측에 설치된 한 쌍의 이송롤러를 진행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안정적으로 하향 설치하여 상기 커넥터가 상기 이송롤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지지판(101)과,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어 외부에서 인입되는 커넥터(1)를 이송하는 제1 이송수단(110)과, 상기 제1 이송수단(110)과 이격되어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1 이송수단(110)을 통해 이송된 상기 커넥터(1)를 외부로 인출하는 제2 이송수단(120)과,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 사이의 상기 지지판(101)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 사이로 이송되는 상기 커넥터(1)를 조명하는 조명부(130)와, 상기 조명부(130)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 사이로 이송되는 상기 커넥터(1)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200)가 장착된 촬영부(140)와, 상기 제2 이송수단(12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수단(120)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커넥터(1)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싱부(150)와, 상기 센싱부(150)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부(140)에 장착된 카메라(200)의 셔터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200)의 셔터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장치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모듈부(160)와, 상기 조명부(130)와 상기 촬영부(140) 사이에 설치되되, 일측부가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 사이의 상기 지지판(101) 상부에 상기 조명부(130)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볼트 체결 방식으로 체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촬영부(140)에 체결되어 상기 촬영부(140)와 상기 조명부(130)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초점 조정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이송수단(110)은 타측 중앙부에는 반구형의 홈부(111a-2)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11a)와, 상기 몸체부(111a)로부터 연장된 바(bar) 형상의 가지부(111b)를 포함하는 제1 상단커버(111)와, 타측 중앙부에는 반구형의 홈부(112a-2)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12a)와, 상기 몸체부(112a)로부터 연장된 바(bar) 형상의 가지부(112b)를 포함하는 제2 상단커버(112)와, 양측부가 하부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곡된 양측부가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되, 상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가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의 홈부(111a-2, 112a-2)가 서로 대향하여 체결되고, 상부 중앙에는 상기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의 홈부(111a-2, 112a-2)와 연통하는 중앙홀(113a)이 형성되어 있는 하단커버(113)와, 베어링(114a)과, 상기 베어링(114a)의 중공에 끼워진 회전축(114b)과, 상기 회전축(114b)의 상부에 끼워진 스냅링(114c)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114a)은 상기 제1 상단커버(111)의 몸체부(111a)의 타측 중앙부에 마련된 홈부(111a-2)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114b)의 하부는 상기 하단커버(113)의 중앙홀(113a)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1 이송롤러(114)와, 베어링(115a)과, 상기 베어링(115a)의 중공에 끼워진 회전축(115b)과, 상기 회전축(115b)의 상부에 끼워진 스냅링(115c)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115a)은 상기 제2 상단커버(112)의 몸체부(112a)의 타측 중앙부에 마련된 홈부(112a-2)에 상기 제1 이송롤러(114)의 베어링(114a)과 대칭 구조로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115b)의 하부는 상기 하단커버(113)의 중앙홀(113a)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2 이송롤러(115)와,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1 이송롤러(114)의 회전축(114b)의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축 결합홈(116a)과, 상기 축 결합홈(116a)과 이격되어 체결홀(116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116b)의 반대측 상부에는 각도 조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각도 조정홀(116c)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각도 조정블럭(116)과,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2 이송롤러(115)의 회전축(115b)의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축 결합홈(117a)과, 상기 축 결합홈(117a)과 이격되어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볼트 체결되는 체결홀(11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117b)의 반대측 상부에는 각도 조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각도 조정홀(117c)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각도 조정블럭(117)과,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된 LM 레일(118a)과, 상기 제1 각도 조정부(116)의 체결홀(116b)을 통해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이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LM 레일(118a)의 폭방향으로 양측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을 직선운동시키는 LM 블럭(118b)을 포함하는 이동 가이드부(118)와,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의 일측면과 상기 하단커버(113)의 내측벽(113d)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이송롤러(114)가 상기 이동 가이드부(118)에 의해 상기 하단커버(113)의 내측벽(113d)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16)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이송수단(120)은 타측 중앙부에는 반구형의 홈부(121b)와, 'ㅓ'자 형상의 홈부(121c)가 형성된 제1 상단커버(121)와, 타측 중앙부에는 반구형의 홈부(122b)와, 'ㅓ'자 형상의 홈부(122c)가 형성된 제2 상단커버(122)와, 양측부가 하부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곡된 양측부가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되, 상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상단커버(121, 122)가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상단커버(121, 122)의 홈부(121b, 122b, 121c, 122c)가 서로 대향하여 체결되고, 상부 중앙에는 상기 제1 및 제2 상단커버(121, 122)의 홈부(121b, 122b, 121c, 122c)와 각각 연통하는 중앙홀(123a)과 센서 설치홀(123c)이 형성되어 있는 하단커버(123)와, 베어링(124a)과, 상기 베어링(124a)의 중공에 끼워진 회전축(124b)과, 상기 회전축(124b)의 상부에 끼워진 스냅링(124c)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124a)은 상기 제1 상단커버(121)의 타측 중앙부에 마련된 홈부(121b)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124b)의 하부는 상기 하단커버(123)의 중앙홀(123a)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1 이송롤러(124)와, 베어링(125a)과, 상기 베어링(125a)의 중공에 끼워진 회전축(125b)과, 상기 회전축(125b)의 상부에 끼워진 스냅링(125c)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125a)은 상기 제2 상단커버(122)의 타측 중앙부에 마련된 홈부(122b)에 상기 제1 이송롤러(124)의 베어링(124a)과 대칭 구조로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125b)의 하부는 상기 하단커버(123)의 중앙홀(123a)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2 이송롤러(125)와,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1 이송롤러(124)의 회전축(124b)의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축 결합홈(126a)과, 상기 축 결합홈(126a)과 이격되어 체결홀(126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126b)의 반대측 상부에는 각도 조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각도 조정홀(126c)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각도 조정블럭(126)과,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2 이송롤러(125)의 회전축(125b)의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축 결합홈(127a)과, 상기 축 결합홈(127a)과 이격되어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볼트 체결되는 체결홀(12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127b)의 반대측 상부에는 각도 조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각도 조정홀(127c)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각도 조정블럭(127)과,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된 LM 레일(128a)과, 상기 제1 각도 조정부(126)의 체결홀(126b)을 통해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26)이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LM 레일(128a)의 폭방향으로 양측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26)을 직선운동시키는 LM 블럭(128b)을 포함하는 이동 가이드부(128)와,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26)의 일측면과 상기 하단커버(123)의 내측벽(123f)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이송롤러(124)가 상기 이동 가이드부(128)에 의해 상기 하단커버(123)의 내측벽(123f)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26)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부(150)는 상기 제1 및 제2 상단커버(121, 122)의 홈부(121c, 122c)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ㅕ'자 형상의 홀과, 상기 하단커버(123)의 센서 설치홀(123c) 내부에 설치되고 적외선 빔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빔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화이버 센서(151)와, 상기 광화이버 센서(151)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볼트(152)와, 상기 광화이버 센서(151)가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를 통해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는 센서 고정부(153)와,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의 외주연을 감싸는 탄성 스프링(154)과,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와 상기 하단커버(123) 사이에 개재된 와셔(155)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고정부(153)는 몸체부(153a)와, 상기 몸체부(153a)의 양측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일체로 절곡되어 연장된 가지부(153b)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53a)의 양측부에 마련된 관통홀(153a-1)에는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의 하부가 관통하여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가지부(153b)의 상부에는 센서 고정홀(153b-1)이 형성되어 상기 광화이버 센서(151)의 발광부와 수광부가 각각 고정되며,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는 하부가 상기 와셔(155)와, 상기 하단커버(123)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123d)과, 상기 센서 고정부(153)의 몸체부(153a)에 형성된 관통홀(153a-1)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센서 고정부(153)를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고정하되,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를 조임방향으로 조이면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와 체결된 상기 센서 고정부(153)가 상기 지지판(101)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어 상기 광화이버 센서(151)가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며, 상기 탄성 스프링(154)은 상기 하단커버(123)의 상부 배면과 상기 센서 고정부(153)의 몸체부(153a) 사이의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의 외주연에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광화이버 센서(151)의 발광부와 수광부는 상기 제2 이송수단(120)을 통해 이송되는 커넥터(1)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홀 패턴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생성된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부(16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명부(130)는 전방으로 이송되는 커넥터(1)에 조명을 제공하는 다수의 조명등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장착된 하우징(131)과, 상기 하우징(131)의 전면에 체결되어 하우징(131)의 전면을 밀폐하는 커버(132)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31)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전방을 향하도록 수납되고 상기 커버(132)에 의해 밀폐되는 1면을 제외한 3면을 감싸도록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 벽체(131a)와, 상기 벽체(131a)의 상부에 일체로 체결되어 상기 벽체(131a)의 천정을 밀폐하는 덮개(131b)와, 상기 벽체(131a)의 하부에 일체로 체결되어 상기 벽체(131a)의 바닥을 밀폐하는 동시에 볼트 체결홀(131c-1)을 통해 상기 하우징(131)을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하는 바닥판(131c)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131a)의 내측면 중 상기 커버(132)와 대향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선이 인입되는 전선 인입구(131a-1)와, 상기 전선 인입구(131a-1)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체결홈(131a-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체(131a)의 내측면 중 상기 커버(132)와 수직한 방향으로의 양측면에는 상기 커버(132)의 체결홀(132a)과 정렬된 체결홀(131a-2a)을 통해 상기 커버(132)가 나사 체결되는 고정편(131a-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촬영부(140)는 상기 카메라(200)가 상면 상에 장착되는 받침판(141)과, 일측부가 상기 받침판(141)의 일측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일체로 체결된 벽판(142)과,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부가 상기 받침판(141)의 타측부와 경첩에 의해 체결되며 타측부가 상기 벽판(142)의 타측부 상부에 거치되는 덮개(143)와, 상기 조명부(13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받침판(141)의 전면(前面)부에 하부방향으로 일체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초점 조정부(170)와 체결되는 체결판(144)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판(141)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장방형 또는 타원형 구조의 장착홀(14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홀(141a)에는 상기 카메라(200)의 하부에 설치된 장착볼트가 관통하여 너트를 통해 상기 받침판(141)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카메라(200)는 상기 장착볼트를 통해 상기 장착홀(141a) 내에서 상기 조명부(130)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넥터(1)를 촬영하기 위한 초점을 조정하며, 상기 받침판(141)의 타측부에는 상기 덮개(143)와 상기 경첩을 통해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경첩의 일측부가 나사 체결되는 경첩 체결홀(141b)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 덮개(143)의 일측부에는 상기 경첩의 타측부가 나사 체결되는 경첩 체결홀(143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덮개(143)는 상기 경첩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카메라(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200)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초점 조정부(170)는 상기 조명부(130)와 상기 촬영부(140) 사이의 상기 지지판(101) 상부에 체결된 초점 조정판(171)과, 상기 촬영부(14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초점 조정판(171)의 일측부에 일체로 수직 절곡되어 볼트 체결홀(172a)을 통해 상기 촬영부(140)의 체결판(144)과 볼트 체결되는 체결판(172)을 포함하되, 상기 초점 조정부(170)의 체결판(172)은 볼트 체결홀(172a)을 상기 촬영부(140)의 체결판(144)의 볼트 체결홀(144a)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판(172)을 상기 촬영부(140)의 체결판(144)에 밀착시킨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이들을 상호 체결하여 상기 촬영부(140)를 상기 초점 조정부(140)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지지판(101)에 장착하고, 상기 초점 조정판(171)은 몸체부(171a)와, 상기 몸체부(171a)의 일측부로부터 신장된 가지부(171b)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71a)는 서로 이격 배치된 총 2개의 조정홀(171a-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정홀(171a-1)을 통해 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가지부(171b)는 상기 몸체부(171a)로부터 신장된 부위의 반대측에 위치한 타측부에 상기 체결판(172)이 하부방향으로 일체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71a)에 형성된 조정홀(171a)은 장방형 또는 타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초점 조정부(170)를 지지판(101)에 체결되는 위치를 조정가능하여 상기 카메라(200)와 상기 조명부(130) 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 커넥터(또는 커넥터 스트립)의 성형 과정에서 생긴 불량, 예를 들면 버르 및 휨 등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제2 이송수단 내에 센싱부를 설치하여 상기 제2 이송수단을 통해 인출되기 전 커넥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통해 카메라의 셔터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편리성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커넥터의 이송동작과 카메라의 촬영동작을 연동시켜 상기 커넥터의 불량 판별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카메라의 양측부와 상부를 덮도록 촬영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볼트 조임 방식의 제1 및 제2 각도 조정블럭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이송롤러의 각도를 커넥터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조정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의 이송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볼트 조임방식으로 센싱부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검사자가 상기 커넥터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간편하게 상기 커넥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초점 조정부를 통해 카메라가 장착된 촬영부를 지지판에 체결 고정하고, 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와 상기 커넥터 간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카메라의 초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에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이송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이송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이송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이송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명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명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촬영부 및 초점 조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촬영부 및 초점 조정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에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100)는 지지판(101)과, 인입측 이송수단(110)(이하, 제1 이송수단이라 함)과, 인출측 이송수단(120)(이하, 제2 이송수단이라 함)과, 조명부(130)와, 촬영부(140)와, 센싱부(150)와, 제어 모듈부(160)와, 초점 조정부(170)를 포함한다.
지지판(101)은 판상 구조로, 그 상부에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 조명부(130), 촬영부(140), 센싱부(150), 제어 모듈부(160), 초점 조정부(170)가 볼트 체결되도록 각 구성요소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 체결홈(101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101)의 하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다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다리를 통해 지지판(101)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향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다리의 구조는 제한을 두지 않고, 원통 구조 또는 육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판(101)의 하부 각 모서리에 하나씩,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이송수단(110)을 설명하기 위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이송수단(110)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1 이송수단(110)은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와, 하단커버(113)와, 제1 및 제2 이송롤러(114, 115)와, 제1 및 제2 각도 조정블럭(116, 117)과, 이동 가이드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는 지지판(101)의 상부에 볼트 체결된 하단커버(113)의 상부에 서로 대칭 구조로 체결되고, 제1 상단커버(1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1a)와, 몸체부(111a)로부터 연장된 가지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1a)는 하단커버(113)의 상부에 볼트 체결되기 위하여 일측 모서리에 볼트 체결홀(111a-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중앙부에는 대략 반구형의 홈부(111a-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지부(111b)는 바(bar) 형상으로 몸체부(111a)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단커버(112)는 제1 상단 커버(111)와 마찬가지로 몸체부(112a)와, 몸체부(112a)로부터 연장된 가지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2a)는 하단커버(113)의 상부에 볼트 체결되기 위하여 일측 모서리에 볼트 체결홀(112a-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중앙부에는 대략 반구형의 홈부(112a-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지부(112b)는 바 형상으로 몸체부(112a)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는 하단커버(113)의 상부에 서로 대칭 구조로 체결되어 있되,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구(102)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인입구(102)에는 커넥터(1, 도 3참조)가 인입된다.
인입구(102)로 인입된 커넥터(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이송롤러(114, 115)를 통해 제2 이송수단(120)으로 이송되고, 이때, 커넥터(1)는 제1 이송수단(11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의 가지부(111b, 112b)의 상부를 따라 제2 이송수단(120)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된 후 제2 이송수단(120)의 제1 및 제2 상단커버(121, 122, 도 6참조) 사이에 형성된 인출구(103, 도 6참조)를 통해 인출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커버(113)는 상부가 지지판(101)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향 설치되어 상부와 지지판(101) 사이에 제1 및 제2 이송롤러(111, 112)와, 제1 및 제2 각도 조정블럭(116, 117)과, 이동 가이드부(118)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양측부가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단커버(113)의 상부 모서리에는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의 볼트 체결홈(111a-1, 112a-1)과 각각 정렬되는 다수의 볼트 체결홈(113b)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가 그 상부에 볼트 체결되고, 상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된 하부에는 다수의 볼트 체결홀(113c)이 형성되어 지지판(101)의 상부에 볼트 체결된다.
또한, 하단커버(113)의 중앙에는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의 반구형 홈부(111a-2, 112a-2)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홀과 수직으로 연통하는 타원형의 중앙홀(1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홀(113a)과, 반구형 홈부(111a-2, 112a-2)의 내주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이송롤러(114, 115)가 각각 삽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롤러(114)는 베어링(114a)과, 베어링(114a)의 중앙부에 끼워진 회전축(114b)과, 베어링(114a)이 회전하는 중 회전축(114b)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축(114b)이 베어링(114a)의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축(114b)의 상부에 체결되는 스냅링(114c)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114a)은 회전축(114b)의 상부에 끼워져 회전축(114b)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1 이송롤러(114)의 회전축(114b)의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의 상부에 형성된 축 결합홈(116a)에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어 고정된다.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 바람직하게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일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이송롤러(114)의 회전축(114b)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축 결합홈(11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의 상부 일측에는 축 결합홈(116a)과 이격되어 이동 가이드부(118)의 LM(Linear Motion) 블럭(118b)의 상부에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을 체결하는 체결홀(116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홀(116b)의 반대측 상부에는 각도 조정용 볼트(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는 각도 조정홀(116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의 각도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정될 수 있는데, 먼저, 체결홀(116b)을 통해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을 LM 블럭(118b)의 상부에 볼트 체결하고, 상기 각도 조정용 볼트를 각도 조정홀(116c)을 관통시켜 상기 각도 조정용 볼트의 하부가 LM 블럭(118b)의 상부면까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각도 조정용 볼트를 조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기 각도 조정용 볼트의 하부가 LM 블럭(118b)의 상부면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지지되어 각도 조정홀(116c)의 반대측인 체결홀(116b)에 체결된 체결용 볼트를 축으로 각도 조정홀(116c)이 형성된 측이 위로 올라가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은 체결홀(116b) 측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이 체결홀(116b) 측(즉, 커넥터(1)가 이송되는 방향측)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짐에 따라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의 축 결합홈(116a)에 체결되는 이송축(114b) 또한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이 기울어진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된다. 결국 이송축(114b)에 결합된 베어링(114a)은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이송롤러(114)는 제1 상단커버(111)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한편, 제2 이송롤러(11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롤러(114)와 마찬가지로 베어링(115a)과, 회전축(115b)과, 스냅링(115c)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베어링(115a)은 회전축(115b)의 상부에 끼워져 회전축(115b)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2 이송롤러(115)의 회전축(115b)의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각도 조정블럭(117)의 상부에 형성된 축 결합홈(117a)에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어 고정된다.
제2 이송롤러(115)는 제1 이송롤러(114)와 마찬가지로 커넥터(1)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된다. 즉, 제2 이송롤러(115)는 이송축(115b)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 각도 조정블럭(117)에 의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다.
제2 각도 조정블럭(117)의 상부 일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송롤러(115)의 이송축(115b)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축 결합홈(117a)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일측에는 축 결합홈(117a)과 이격되어 지지판(101)의 상부에 제2 각도 조정블럭(117)을 체결하는 체결홀(117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117b)의 반대측 상부에는 각도 조정용 볼트(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는 각도 조정홀(117c)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각도 조정블럭(117)의 각도 조정방법은 제1 각도 조정블럭(116)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기서는 제2 각도 조정블럭(117)의 각도 조정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의 각도 조정방법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제1 및 제2 이송롤러(114, 115)를 커넥터(1)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2°정도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이송롤러(114, 115)가 커넥터(1)를 이송방향으로 눌러주어 커넥터(1)가 이송 중에 제1 및 제2 이송롤러(114, 11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은 체결홀(116b)을 통해 이동 가이드부(118)의 LM 블럭(118b)의 상부에 체결된다. 이동 가이드부(118)는 지지판(101)의 상부에 볼트 체결된 LM 레일(118a)과, LM 레일(118a)의 폭방향으로 양측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LM 블럭(118b)을 포함한다.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은 LM 블럭(118b)의 상부에 볼트 체결됨에 따라 LM 블럭(118b)의 직선운동과 연동하여 직선운동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제1 이송롤러(114) 또한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이송롤러(114)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제2 이송롤러(115)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 가이드부(118)를 설치하여 제1 이송롤러(114)를 직선운동시키는 이유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를 제1 및 제2 이송롤러(114, 115) 사이에 쉽게 인입시키기 위함이다. 즉, 검사할 커넥터(1)는 그 종류에 따라 폭방향으로 두께가 다를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다양한 두께를 갖는 커넥터(1)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이송롤러(114, 115) 사이의 간격을 유동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커넥터(1)를 제1 및 제2 이송롤러(114, 115)로 인입시키기 전에 제1 이송롤러(114)가 제2 이송롤러(1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이송롤러(114)에 외력을 가하면, 외력에 의해 제1 이송롤러(114)가 이동 가이드부(118)를 통해 직선운동하여 제1 및 제2 이송롤러(114, 115) 사이의 간격은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이송롤러(114, 115)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에서 커넥터(1)를 제1 및 제2 이송롤러(114, 115) 사이로 인입시키면 그만큼 커넥터(1)를 간편하게 인입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의 일측면과 하단커버(113)의 내측벽 사이에는 제1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이송롤러(114)가 이동 가이드부(118)에 의해 하단커버(113)의 내측벽(113d, 도 5참조)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탄성부재에는 그에 상응하는 복원력이 충전되고, 이런 상태에서 제1 이송롤러(114)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충전된 복원력으로 인해 제1 이송롤러(114)는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일례로, 일측부가 하단커버(113)의 내측벽(113d) 방향으로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도시되지 않음) 내부에서 일부가 직선운동하고 타측부는 하단커버(113)의 내측벽(113d)에 체결된 봉 형상의 중심바(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중심바의 외주연을 감싸고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의 일측면과 상기 하단커버(113)의 내측벽 사이에 개재된 탄성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1)를 제1 및 제2 이송롤러(114, 115) 사이에 인입시키기 위하여 제1 이송롤러(114)를 제2 이송롤러(11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16)에는 제1 이송롤러(114)가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 탄성부재에 기인한 반발력이 가해지고, 이런 상태에서 제1 및 제2 이송롤러(114, 115) 사이에 커넥터(1)를 인입시킨 후 제1 이송롤러(114)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반발력에 의해 제1 이송롤러(114)는 원위치로 이동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이송수단(120)을 설명하기 위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이송수단(120)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제2 이송수단(120)은 제1 및 제2 상단커버(121, 122)와, 하단커버(123)와, 제1 및 제2 이송롤러(124, 125)와, 제1 및 제2 각도 조정블럭(126, 127)과, 이동 가이드(128)와, 제2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및 제2 상단커버(121, 122)와, 하단커버(213)를 제외한 제1 및 제2 이송롤러(124, 125)와, 제1 및 제2 각도 조정블럭(126, 127)과, 이동 가이드(128) 및 상기 제2 탄성부재는 도 5에 도시된 제1 이송수단(11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 이송롤러(124)는 베어링(124a)과, 회전축(124b)과, 스냅링(124c)을 포함하고, 제2 이송롤러(125)는 베어링(125a)과, 회전축(125b)과, 스냅링(125c)을 포함하며, 제1 각도 조정블럭(126)에는 축 결합홈(126a)과, 체결홀(126b)과, 각도 조정홀(126c)이 형성되어 있고, 제2 각도 조정블럭(127)에는 축 결합홈(127a)과, 체결홀(127b)과, 각도 조정홀(127c)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 가이드부(128)는 LM 레일(128a)과, LM 블럭(128b)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1 이송수단(110)과 동일함에 따라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제1 이송수단(110)의 내용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제1 상단커버(1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커버(123)의 상부에 볼트 체결되기 위하여 일측 모서리에 볼트 체결홀(121a)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중앙부에는 제2 상단커버(122)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반구형의 홈부(121b)와 'ㅓ'자 형상의 홈부(121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상단커버(122)는 제1 상단커버(121)와 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상단 커버(121)와 마찬가지로 하단커버(123)의 상부에 볼트 체결되기 위하여 일측 모서리에 볼트 체결홀(122a)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중앙부에는 제1 상단커버(121)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반구형의 홈부(122b)와 'ㅓ'자 형상의 홈부(122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상단커버(121, 122)는 하단커버(123)의 상부에 서로 대칭되도록 체결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수단(110)으로부터 이송된 커넥터(1, 도 3참조)가 인출되는 인출구(103)가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체결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커버(123)의 상부 모서리에는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의 볼트 체결홈(121a, 122a)과 각각 정렬되는 다수의 볼트 체결홈(123b)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가 그 상부에 볼트 체결되고, 상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된 하부에는 다수의 볼트 체결홀(123e)이 형성되어 지지판(101)의 상부에 볼트 체결된다.
또한, 하단커버(123)의 중앙에는 제1 및 제2 상단커버(121, 122)의 반구형 홈부(121b, 122b)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홀과 수직으로 연통하는 타원형의 중앙홀(1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홀(123a)과, 홈부(121b, 122b)의 내주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이송롤러(124, 125)가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하단커버(123)의 상부 일측에는 중앙홀(123a)과 이격 배치되어 센싱부(150)의 광화이버 센서(151)가 설치되는 센서 설치홀(123c)이 장방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센싱부(150)는 제1 및 제2 상단커버(121, 122)의 홈부(121c, 122c)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대략 'ㅕ'자 형상의 홀과 하단커버(123)의 센서 설치홀(123c) 내부에 설치되어 제2 이송수단(120)을 통해 이송되는 커넥터(1)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홀 패턴(도시되지 않음)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 모듈부(160, 도 1참조)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센싱부(150)를 제2 이송수단(120) 내에 설치하는 이유는 작업 편리성과 정확하게 커넥터(1)를 검사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센싱부(150)를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 촬영부(140)를 이용한 커넥터(1) 촬영시 광화이버 센서(151)가 카메라(200)에 노출되어 촬영되는 등과 같이 불필요한 영상이 촬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에서와 같이 센싱부(150)는 제2 이송수단(120) 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센싱부(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빔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빔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화이버 센서(151)와, 높이 조정볼트(152)와, 센서 고정부(153)와, 탄성 스프링(154)과, 와셔(155)를 포함한다.
센서 고정부(1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53a)와, 몸체부(153a)의 양측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일체로 절곡되어 연장된 가지부(153b)를 포함하는 것으로 대략 'ㅛ'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부(153a)의 양측부에는 관통홀(153a-1)이 마련되어 있고, 관통홀(153a-1)에는 높이 조정볼트(152)의 하부가 관통하여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된다. 그리고, 가지부(153b)의 상부에는 광화이버 센서(151)의 발광부와 수광부가 각각 고정되는 센서 고정홀(153b-1)이 형성되어 있다.
가지부(153b)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가지부(153b)의 센서 고정홀(153b-1)에 각각 고정되는 발광부와 수광부는 직선상에서 서로 정렬되고, 이에 따라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빔이 수광부를 통해 수광되는 여부에 따라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하는 커넥터(1)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제어 모듈부(160)로 제공한다.
높이 조정볼트(152)는 하부가 와셔(155)와, 하단커버(123)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123d)과, 센서 고정부(153)의 몸체부(153a)에 형성된 관통홀(153a-1)을 관통하여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어 센서 고정부(153)를 지지판(101)의 상부에 고정한다. 그리고, 하단커버(123)의 상부 천정면과 센서 고정부(153)의 몸체부(153a) 사이의 높이 조정볼트(152)의 외주연에는 완충 작용을 하는 탄성 스프링(154)이 개재되어 있다.
광화이버 센서(151)의 발광부와 수광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송수단(120)을 통해 이송되는 커넥터(1)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홀 패턴(도시되지 않음)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생성된 감지신호를 제어 모듈부(160)로 제공하는데, 이때 커넥터(1)의 종류에 따라 상기 홀 패턴의 크기 및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커넥터(1)의 감지 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광부와 수광부의 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발광부와 수광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역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정볼트(152)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높이 조정볼트(152)를 조임방향으로 조이면 높이 조정볼트(152)와 체결된 센서 고정부(153) 또한 조임방향, 즉 지지판(101)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결국 광화이버 센서(151)의 높이 또한 하부방향으로 하강하여 높이가 조정된다.
광화이버 센서(151)의 높이 조정은 발광부와 수광부마다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발광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발광부가 고정되어 있는 가지부(153b-1) 측의 높이 조정볼트(152)를 선택적으로 조여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송수단(120)은 지지판(101) 상에서 제1 이송수단(110)과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 사이의 지지판(101) 상에는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을 통해 그 전방으로 이송되는 커넥터(1)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명부(13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명부(13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명부(130)는 그 전방으로 이송되는 커넥터(1)에 조명을 제공하는 다수의 조명등,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이 내부에 장착된 하우징(131)과, 하우징(131)의 전면에 체결되어 하우징(131)의 전면을 밀폐하는 커버(132)를 포함한다.
하우징(13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LED가 실장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전방을 향하도록 수납된 대략 사각 박스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132)에 의해 밀폐되는 1면을 제외한 3면을 감싸도록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 벽체(131a)와, 벽체(131a)의 상부에 일체로 체결되어 벽체(131a)의 천정을 밀폐하는 덮개(131b)와, 벽체(131a)의 하부에 일체로 체결되어 벽체(131a)의 바닥을 밀폐하는 동시에 볼트 체결홀(131c-1)을 통해 하우징(131)을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하는 바닥판(131c)을 포함한다.
벽체(131a)의 내측면 중 커버(132)와 대향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이 인입되는 전선 인입구(131a-1, 도 2참조)와, 전선 인입구(131a-1)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체결홈(131a-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벽체(131a)의 내측면 중 커버(132)와 수직한 방향으로의 양측면에는 커버(132)의 체결홀(132a)과 정렬된 체결홀(131a-2a)을 통해 커버(132)가 나사 체결되는 고정편(131a-2)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13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1)의 전면(前面)을 밀폐하도록 체결되고, 하우징(131)의 내부에 장착된 조명등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투명한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화이트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촬영부(140) 및 초점 조정부(17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촬영부(140) 및 초점 조정부(17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촬영부(140)는 카메라(200)가 상면 상에 장착되는 받침판(141)과, 일측부가 받침판(141)의 일측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일체로 체결된 벽판(142)과, 대략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부가 받침부(141)의 타측부와 경첩(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체결되며 타측부가 벽판(142)의 타측부 상부에 거치되는 덮개(143)와, 조명부(13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받침판(141)의 전면(前面)부에 하부방향으로 일체로 수직 절곡되어 초점 조정부(170)와 체결되는 체결판(144)을 포함한다.
받침판(141)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장방형 또는 타원형 구조의 장착홀(14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홀(141a)에는 카메라(200)의 하부에 설치된 장착볼트(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여 너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받침판(141)에 고정된다.
카메라(200)는 상기 장착볼트를 통해 장착홀(141a) 내에서 조명부(130)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넥터(1)를 촬영하기 위한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너트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장착볼트의 조임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장착홀(141a)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장착볼트를 가이드시켜 카메라(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41)의 타측부에는 덮개(143)와 상기 경첩을 통해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경첩의 일측부가 나사 체결되는 경첩 체결홀(141b)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덮개(143)의 일측부에는 상기 경첩의 타측부가 나사 체결되는 경첩 체결홀(14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덮개(143)는 상기 경첩에 의해 회동하여 카메라(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카메라(200)의 상부를 덮어 보호한다.
한편, 초점 조정부(17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30)와 촬영부(140) 사이의 지지판(101) 상부에 체결된 초점 조정판(171)과, 촬영부(14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초점 조정판(171)의 일측부에 일체로 수직 절곡되어 볼트 체결홀(172a)을 통해 촬영부(140)의 체결판(144)과 볼트 체결되는 체결판(172)를 포함한다.
초점 조정부(170)의 체결판(172)은 볼트 체결홀(172a)을 촬영부(140)의 체결판(144)의 볼트 체결홀(144a)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체결판(172)을 촬영부(140)의 체결판(144)에 밀착시킨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이들을 상호 체결한다. 이에 따라 촬영부(140)는 초점 조정부(140)에 체결된 상태로 지지판(101)에 장착되게 된다.
초점 조정판(171)은 대략 'ㅠ'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 초점 조정판(171)는 몸체부(171a)와, 몸체부(171a)의 일측부로부터 신장된 가지부(171b)를 포함한다. 이때, 가지부(171b)에는 전술한 체결판(172)이 하부방향으로 일체로 절곡되어 있다.
몸체부(171a)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 배치된 총 2개의 조정홀(171a-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정홀(171a-1)을 통해 볼트가 체결되어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된다. 그리고, 가지부(171b)는 몸체부(171a)로부터 신장된 부위의 반대측에 위치한 타측부에 전술한 체결판(172)이 하부방향으로 일체로 절곡되어 있다.
몸체부(171a)에 형성된 조정홀(171a)은 초점 조정부(170)를 지지판(101)에 체결되는 위치를 조정가능하도록 장방형 또는 타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통해 카메라(200)와 조명부(130) 간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커넥터(1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카메라(200)의 렌즈를 조정하지 않더라도 카메라(200)의 초점 조정이 용이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부(160)은 지지판(101)의 상부 일측에 체결되고, 제1 케이블(156)을 통해 센싱부(150)의 광화이버 센서(1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중앙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제어 모듈부(160)는 상기 중앙 제어장치의 제어에 응답하여 제1 케이블(156)을 통해 센싱부(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50)의 광화이버 센서(151)는 상기 중앙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 모듈부(16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발광부를 통해 빔을 수광부로 조사하고, 수광부는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빔의 수광 여부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모듈부(160)로 전송한다.
제어 모듈부(160)는 센싱부(15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를 상기 제2 케이블을 통해 상기 중앙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 제어장치는 제어 모듈부(160)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촬영부(140)에 장착된 카메라(200)의 촬영동작(셔터)을 제어한다. 즉, 상기 중앙 제어장치는 제어 모듈부(160)로부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트리거(trigger) 신호를 제공받아 촬영부(140)에 장착된 카메라(200)의 셔터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촬영부(140)에 카메라(200)를 장착하고, 조명부(130)의 내부에 실장된 조명등을 동작시켜 전방으로 조명을 비추는 상태에서, 커넥터 어레이 권취부로부터 공급된 다수의 커넥터(1)가 체결되어 있는 커넥터 어레이를 제1 이송수단(110)에 마련된 인입구(102)를 통해 인입시킨 후 제2 이송수단(120)에 마련된 인출구(103)를 통해 인출하여 외부에 설치된 권취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일부를 권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 어레이는 상기 권취롤러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일정 속도로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을 통해 이송되며, 이 과정에서 카메라(200)는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커넥터 어레이에 체결된 각 커넥터(1)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해당 커넥터의 불량 및 결함 등을 검사하게 된다.
카메라(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싱부(150)의 광화이버 센서(151)를 통해 감지된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셔터 동작이 동작되는데, 광화이버 센서(151)는 제2 이송수단(120)을 통해 인출되기 직전의 커넥터에 형성된 감지홀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광화이버 센서(151)가 제2 이송수단(120)의 인출구(103)를 통해 인출되기 직전의 커넥터를 감지하고, 광화이버 센서(151)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카메라(200)는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 사이를 통과하는 커넥터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검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각 커넥터가 커넥터 어레이 내에서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광화이버 센서(151)가 설치되는 위치, 즉 광화이버 센서(151)가 감지하는 커넥터와 무관하게 광화이버 센서(151)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대응하여 카메라(200)의 셔터 동작을 제어하면, 이와 일치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커넥터를 정확하게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 101 : 지지판
102 : 인입구 103 : 인출구
110 : 제1 이송수단 111 : 제1 상단커버
112 : 제2 상단커버 113 : 하단커버
114 : 제1 이송롤러 115 : 제2 이송롤러 116 : 제1 각도 조정블럭 117 : 제2 각도 조정블럭
118 : 이동 가이드 118a : LM 레일
118b : LM 블럭 120 : 제2 이송수단
121 : 제1 상단커버 122 : 제2 상단커버
123 : 하단커버 124 : 제1 이송롤러
125 : 제2 이송롤러 126 : 제1 각도 조정블럭
127 : 제2 각도 조정블럭 128 : 이동 가이드
128a : LM 레일 128b : LM 블럭
130 : 조명부 131 : 하우징
131a : 벽체 131b : 덮개
131c : 바닥판 132 : 커버
140 : 촬영부 141 : 받침판
142 : 벽판 143 : 덮개
144 : 체결판 150 : 센싱부
151 : 광화이버 센서 152 : 높이 조정볼트
153 : 센서 고정부 154 : 탄성 스프링
155 : 와셔 160 : 제어 모듈부
170 : 초점 조정부 171 : 초점 조정판
172 : 체결판

Claims (7)

  1. 지지판(101);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어 외부에서 인입되는 커넥터(1)를 이송하는 제1 이송수단(110);
    상기 제1 이송수단(110)과 이격되어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1 이송수단(110)을 통해 이송된 상기 커넥터(1)를 외부로 인출하는 제2 이송수단(120);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 사이의 상기 지지판(101)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 사이로 이송되는 상기 커넥터(1)를 조명하는 조명부(130);
    상기 조명부(130)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 사이로 이송되는 상기 커넥터(1)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200)가 장착된 촬영부(140);
    상기 제2 이송수단(12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수단(120)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커넥터(1)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싱부(150);
    상기 센싱부(150)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부(140)에 장착된 카메라(200)의 셔터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200)의 셔터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장치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모듈부(160); 및
    상기 조명부(130)와 상기 촬영부(140) 사이에 설치되되, 일측부가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110, 120) 사이의 상기 지지판(101) 상부에 상기 조명부(130)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볼트 체결 방식으로 체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촬영부(140)에 체결되어 상기 촬영부(140)와 상기 조명부(130)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초점 조정부(17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수단(110)은,
    타측 중앙부에는 반구형의 홈부(111a-2)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11a)와, 상기 몸체부(111a)로부터 연장된 바(bar) 형상의 가지부(111b)를 포함하는 제1 상단커버(111);
    타측 중앙부에는 반구형의 홈부(112a-2)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12a)와, 상기 몸체부(112a)로부터 연장된 바(bar) 형상의 가지부(112b)를 포함하는 제2 상단커버(112);
    양측부가 하부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곡된 양측부가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되, 상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가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의 홈부(111a-2, 112a-2)가 서로 대향하여 체결되고, 상부 중앙에는 상기 제1 및 제2 상단커버(111, 112)의 홈부(111a-2, 112a-2)와 연통하는 중앙홀(113a)이 형성되어 있는 하단커버(113);
    베어링(114a)과, 상기 베어링(114a)의 중공에 끼워진 회전축(114b)과, 상기 회전축(114b)의 상부에 끼워진 스냅링(114c)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114a)은 상기 제1 상단커버(111)의 몸체부(111a)의 타측 중앙부에 마련된 홈부(111a-2)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114b)의 하부는 상기 하단커버(113)의 중앙홀(113a)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1 이송롤러(114);
    베어링(115a)과, 상기 베어링(115a)의 중공에 끼워진 회전축(115b)과, 상기 회전축(115b)의 상부에 끼워진 스냅링(115c)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115a)은 상기 제2 상단커버(112)의 몸체부(112a)의 타측 중앙부에 마련된 홈부(112a-2)에 상기 제1 이송롤러(114)의 베어링(114a)과 대칭 구조로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115b)의 하부는 상기 하단커버(113)의 중앙홀(113a)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2 이송롤러(115);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1 이송롤러(114)의 회전축(114b)의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축 결합홈(116a)과, 상기 축 결합홈(116a)과 이격되어 체결홀(116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116b)의 반대측 상부에는 각도 조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각도 조정홀(116c)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각도 조정블럭(116);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2 이송롤러(115)의 회전축(115b)의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축 결합홈(117a)과, 상기 축 결합홈(117a)과 이격되어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볼트 체결되는 체결홀(11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117b)의 반대측 상부에는 각도 조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각도 조정홀(117c)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각도 조정블럭(117);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된 LM 레일(118a)과, 상기 제1 각도 조정부(116)의 체결홀(116b)을 통해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이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LM 레일(118a)의 폭방향으로 양측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을 직선운동시키는 LM 블럭(118b)을 포함하는 이동 가이드부(118); 및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16)의 일측면과 상기 하단커버(113)의 내측벽(113d)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이송롤러(114)가 상기 이동 가이드부(118)에 의해 상기 하단커버(113)의 내측벽(113d)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16)에 일정한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수단(120)은,
    타측 중앙부에는 반구형의 홈부(121b)와, 'ㅓ'자 형상의 홈부(121c)가 형성된 제1 상단커버(121);
    타측 중앙부에는 반구형의 홈부(122b)와, 'ㅓ'자 형상의 홈부(122c)가 형성된 제2 상단커버(122);
    양측부가 하부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곡된 양측부가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되, 상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상단커버(121, 122)가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상단커버(121, 122)의 홈부(121b, 122b, 121c, 122c)가 서로 대향하여 체결되고, 상부 중앙에는 상기 제1 및 제2 상단커버(121, 122)의 홈부(121b, 122b, 121c, 122c)와 각각 연통하는 중앙홀(123a)과 센서 설치홀(123c)이 형성되어 있는 하단커버(123);
    베어링(124a)과, 상기 베어링(124a)의 중공에 끼워진 회전축(124b)과, 상기 회전축(124b)의 상부에 끼워진 스냅링(124c)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124a)은 상기 제1 상단커버(121)의 타측 중앙부에 마련된 홈부(121b)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124b)의 하부는 상기 하단커버(123)의 중앙홀(123a)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1 이송롤러(124);
    베어링(125a)과, 상기 베어링(125a)의 중공에 끼워진 회전축(125b)과, 상기 회전축(125b)의 상부에 끼워진 스냅링(125c)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125a)은 상기 제2 상단커버(122)의 타측 중앙부에 마련된 홈부(122b)에 상기 제1 이송롤러(124)의 베어링(124a)과 대칭 구조로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125b)의 하부는 상기 하단커버(123)의 중앙홀(123a)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2 이송롤러(125);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1 이송롤러(124)의 회전축(124b)의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축 결합홈(126a)과, 상기 축 결합홈(126a)과 이격되어 체결홀(126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126b)의 반대측 상부에는 각도 조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각도 조정홀(126c)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각도 조정블럭(126);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2 이송롤러(125)의 회전축(125b)의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축 결합홈(127a)과, 상기 축 결합홈(127a)과 이격되어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볼트 체결되는 체결홀(12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127b)의 반대측 상부에는 각도 조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각도 조정홀(127c)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각도 조정블럭(127);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된 LM 레일(128a)과, 상기 제1 각도 조정부(126)의 체결홀(126b)을 통해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26)이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LM 레일(128a)의 폭방향으로 양측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26)을 직선운동시키는 LM 블럭(128b)을 포함하는 이동 가이드부(128); 및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26)의 일측면과 상기 하단커버(123)의 내측벽(123f)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이송롤러(124)가 상기 이동 가이드부(128)에 의해 상기 하단커버(123)의 내측벽(123f)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 조정블럭(126)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150)는 상기 제1 및 제2 상단커버(121, 122)의 홈부(121c, 122c)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ㅕ'자 형상의 홀과, 상기 하단커버(123)의 센서 설치홀(123c) 내부에 설치되고 적외선 빔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빔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화이버 센서(151)와, 상기 광화이버 센서(151)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볼트(152)와, 상기 광화이버 센서(151)가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를 통해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는 센서 고정부(153)와,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의 외주연을 감싸는 탄성 스프링(154)과,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와 상기 하단커버(123) 사이에 개재된 와셔(155)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고정부(153)는 몸체부(153a)와, 상기 몸체부(153a)의 양측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일체로 절곡되어 연장된 가지부(153b)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53a)의 양측부에 마련된 관통홀(153a-1)에는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의 하부가 관통하여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가지부(153b)의 상부에는 센서 고정홀(153b-1)이 형성되어 상기 광화이버 센서(151)의 발광부와 수광부가 각각 고정되며,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는 하부가 상기 와셔(155)와, 상기 하단커버(123)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123d)과, 상기 센서 고정부(153)의 몸체부(153a)에 형성된 관통홀(153a-1)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센서 고정부(153)를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고정하되,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를 조임방향으로 조이면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와 체결된 상기 센서 고정부(153)가 상기 지지판(101)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어 상기 광화이버 센서(151)가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며,
    상기 탄성 스프링(154)은 상기 하단커버(123)의 상부 배면과 상기 센서 고정부(153)의 몸체부(153a) 사이의 상기 높이 조정볼트(152)의 외주연에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광화이버 센서(151)의 발광부와 수광부는 상기 제2 이송수단(120)을 통해 이송되는 커넥터(1)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홀 패턴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생성된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부(160)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30)는 전방으로 이송되는 커넥터(1)에 조명을 제공하는 다수의 조명등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장착된 하우징(131)과, 상기 하우징(131)의 전면에 체결되어 하우징(131)의 전면을 밀폐하는 커버(132)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31)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전방을 향하도록 수납되고 상기 커버(132)에 의해 밀폐되는 1면을 제외한 3면을 감싸도록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 벽체(131a)와, 상기 벽체(131a)의 상부에 일체로 체결되어 상기 벽체(131a)의 천정을 밀폐하는 덮개(131b)와, 상기 벽체(131a)의 하부에 일체로 체결되어 상기 벽체(131a)의 바닥을 밀폐하는 동시에 볼트 체결홀(131c-1)을 통해 상기 하우징(131)을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하는 바닥판(131c)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131a)의 내측면 중 상기 커버(132)와 대향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선이 인입되는 전선 인입구(131a-1)와, 상기 전선 인입구(131a-1)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체결홈(131a-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체(131a)의 내측면 중 상기 커버(132)와 수직한 방향으로의 양측면에는 상기 커버(132)의 체결홀(132a)과 정렬된 체결홀(131a-2a)을 통해 상기 커버(132)가 나사 체결되는 고정편(131a-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40)는 상기 카메라(200)가 상면 상에 장착되는 받침판(141)과, 일측부가 상기 받침판(141)의 일측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일체로 체결된 벽판(142)과,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부가 상기 받침판(141)의 타측부와 경첩에 의해 체결되며 타측부가 상기 벽판(142)의 타측부 상부에 거치되는 덮개(143)와, 상기 조명부(13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받침판(141)의 전면(前面)부에 하부방향으로 일체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초점 조정부(170)와 체결되는 체결판(144)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판(141)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장방형 또는 타원형 구조의 장착홀(14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홀(141a)에는 상기 카메라(200)의 하부에 설치된 장착볼트가 관통하여 너트를 통해 상기 받침판(141)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카메라(200)는 상기 장착볼트를 통해 상기 장착홀(141a) 내에서 상기 조명부(130)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넥터(1)를 촬영하기 위한 초점을 조정하며,
    상기 받침판(141)의 타측부에는 상기 덮개(143)와 상기 경첩을 통해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경첩의 일측부가 나사 체결되는 경첩 체결홀(141b)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 덮개(143)의 일측부에는 상기 경첩의 타측부가 나사 체결되는 경첩 체결홀(143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덮개(143)는 상기 경첩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카메라(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200)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정부(170)는 상기 조명부(130)와 상기 촬영부(140) 사이의 상기 지지판(101) 상부에 체결된 초점 조정판(171)과, 상기 촬영부(14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초점 조정판(171)의 일측부에 일체로 수직 절곡되어 볼트 체결홀(172a)을 통해 상기 촬영부(140)의 체결판(144)과 볼트 체결되는 체결판(172)을 포함하되,
    상기 초점 조정부(170)의 체결판(172)은 볼트 체결홀(172a)을 상기 촬영부(140)의 체결판(144)의 볼트 체결홀(144a)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판(172)을 상기 촬영부(140)의 체결판(144)에 밀착시킨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이들을 상호 체결하여 상기 촬영부(140)를 상기 초점 조정부(140)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지지판(101)에 장착하고,
    상기 초점 조정판(171)은 몸체부(171a)와, 상기 몸체부(171a)의 일측부로부터 신장된 가지부(171b)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71a)는 서로 이격 배치된 총 2개의 조정홀(171a-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정홀(171a-1)을 통해 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101)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가지부(171b)는 상기 몸체부(171a)로부터 신장된 부위의 반대측에 위치한 타측부에 상기 체결판(172)이 하부방향으로 일체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71a)에 형성된 조정홀(171a)은 장방형 또는 타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초점 조정부(170)를 지지판(101)에 체결되는 위치를 조정가능하여 상기 카메라(200)와 상기 조명부(130) 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
KR2020130002169U 2013-03-22 2013-03-22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 KR200467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169U KR200467106Y1 (ko) 2013-03-22 2013-03-22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169U KR200467106Y1 (ko) 2013-03-22 2013-03-22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106Y1 true KR200467106Y1 (ko) 2013-05-27

Family

ID=5357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169U KR200467106Y1 (ko) 2013-03-22 2013-03-22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1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140B1 (ko) * 2021-06-17 2022-02-08 박성수 부품검사용 비전 검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140B1 (ko) * 2021-06-17 2022-02-08 박성수 부품검사용 비전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5242B1 (en) Vision testing device with enhanced image clarity
JP2004069612A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認識装置並びに部品実装装置
WO2012066796A1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複数備えた照明システム
JP2009530665A5 (ko)
KR200467106Y1 (ko) 커넥터 영상 검사장치
KR101601693B1 (ko) 전자 펜
JP3176803U (ja) 検査用照明装置
KR101190514B1 (ko) 편광필름을 이용한 머신 비전 시스템
KR20170093624A (ko) 전자부품 적재상태 점검장치
TWI528018B (zh) 貼片機檢測裝置
CN114632709A (zh) 端子检测平台
CN201628190U (zh) 光源
KR100479535B1 (ko) 반도체 패키지의 리드촬영장치
KR101408361B1 (ko) 부품 실장기의 부품 인식장치
CN110434585B (zh) 装配设备
KR101510815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CN117309767B (zh) 一种线扫光源模组及检测设备
CN103521961A (zh) 一种多光源焊线机视觉系统
JP4840920B2 (ja) 電子部品装着機
KR102051969B1 (ko) 고속 검사가 가능하고 조명 교체 및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라인스캔 검사장치 및 그의 자동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JP3750383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電子部品認識装置および電子部品認識方法
JP2009103664A (ja) Ptpシートの検査装置
CN217643903U (zh) 一种用于电路板的组装机构及自动组装系统
KR102012668B1 (ko) 고밀집 칩 사이즈 패키지(CSP:Chip Size Package) LED 모듈을 이용한 라인 조명 시스템
CN215640816U (zh) 透光孔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