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062Y1 -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062Y1
KR200467062Y1 KR2020110009453U KR20110009453U KR200467062Y1 KR 200467062 Y1 KR200467062 Y1 KR 200467062Y1 KR 2020110009453 U KR2020110009453 U KR 2020110009453U KR 20110009453 U KR20110009453 U KR 20110009453U KR 200467062 Y1 KR200467062 Y1 KR 200467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aft
body block
shaft suppor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4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657U (ko
Inventor
박덕교
Original Assignee
박덕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덕교 filed Critical 박덕교
Priority to KR2020110009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6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6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6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61Knobs or handles with protective cover, buffer or shock absor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들부와 함께 회전하는 축지지부에 의해 동작하도록 보디 블럭 내부에 댐핑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핸들부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에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서서히 닫히도록 한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댐핑수단이 핸들부가 닫히기 전 미리 정해진 완충각도 범위 내에서만 천천히 닫히도록 구성함으로써, 록킹과 언록킹 동작이 너무 늦게 이루어지지 않고 신속하고 안전하게 닫힘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HANDLE WITH DAMPING FOR DOORS AND WINDOWS}
본 고안은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를 개방하기 위해 돌려진 핸들부가 완전하게 닫히는 전에 너무 급작스럽게 동작하지 못하도록 댐핑기능을 추가함으로써, 구성요소들이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격하게 닫히면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 등을 줄여 줄 수 있도록 한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에는 이들의 개폐를 위하여 손잡이가 구비된다. 특히, 이들 손잡이는 창문과 같이 실내측에만 장착되는 것과, 도어와 같이 실내외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 구분된다. 아래의 특허문헌에는 이러한 창호에 장착되는 핸들 중에서 회전식으로 록킹/언록킹하는 손잡이를 보여준다.
특허문헌1에 개시된 도어 락은, 핸들고정나사(218)를 이용하여 외부 핸들(130)을 샤프트(150)에 고정시켜 주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즉, 샤프트(150)는 일단이 외부 핸들(130)에 끼워지게 하고, 이 외부 핸들(130)의 외주로부터 핸들고정나사(218)를 체결하여 샤프트(150)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
특허문헌2의 핸들 결합구조는, 창문(10)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설치되는 핸들(1)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문(10)에 고정되는 스탠드(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탠드(2)의 축지공(2a)에 걸림되는 걸림턱(3b)과, 걸림턱(3b) 외측으로 각형 축부(3c)를 형성한 슬리브(3)와, 상기 슬리브(3)의 각형 축부(3c)에 대응하는 각형 축공(1a)이 형성된 핸들(1)과, 상기 핸들(1) 및 각형 축부(3c)를 관통하도록 형성한 나사구멍(5)과, 상기 나사구멍(5)에 결합되며 하단이 슬리브(3) 내측에 결합되는 샤프트(4)에 접하는 볼트(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와 같은 방식의 핸들 고정 방식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창호를 개방시 회전된 핸들이 너무 급격하게 닫히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발생된 충격은 손잡이를 구성하는 다른 요소들에 전달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손잡이가 파손으로 이어지게 되어 내구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소음이 발생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하였다.
2) 핸들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볼트라든가 핸들고정나사)가 핸들이 설치된 측에 노출되기 때문에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3) 핸들을 고정시킨 다음 고정수단을 그대로 두게 되면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마감부재를 필요로 하였다.
4) 핸들 뿐만 아니라 다른 샤프트라든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들을 각각 별도로 고정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실용등록 제0363713호(2004.09.22) 한국실용등록 제0409630호(2006.02.17)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핸들부와 함께 회전하는 축지지부에 의해 동작하도록 보디 블럭 내부에 댐핑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핸들부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에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서서히 닫히도록 한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댐핑수단이 핸들부가 닫히기 전 미리 정해진 완충각도 범위 내에서만 천천히 닫히도록 구성함으로써, 록킹과 언록킹 동작이 너무 늦게 이루어지지 않고 신속하고 안전하게 닫힘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손잡이는, 전면에 마감부재가 구비되며 창호 등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보디 블럭;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보디 블럭의 배면으로부터 끼워져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단부가 마감부재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된 축지지부; 상기 보디 블럭의 외부로 돌출된 축지지부의 일단에 끼워져서 이 축지지부의 타단으로부터 체결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핸들부; 상기 축지지부의 타단에 그 회전중심축과 나란하게 끼워지는 샤프트; 상기 보디 블럭의 배면을 마감하여 그 바깥쪽으로 돌출된 샤프트를 회전지지해 주는 리어 플레이트; 및 상기 걸림턱과의 회전간섭을 받아 상기 보디 블럭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스톱퍼 및 이 회전스톱퍼에 의해 동작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댐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스톱퍼는 핸들부가 닫혀진 상태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완충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간섭이 이루어지게 하여 급속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샤프트는정사각형의 단면의 크기가 다른 2단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는 상기 샤프트가 빠지지 않고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해 주는 회전지지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보디 블럭과 축지지부 사이에는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슬리브가 축지지부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보디 블럭과 슬리브 사이에는 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축지지부와 핸들부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각각 회전방지용의 돌기부와 이 돌기부가 미끌리지 않도록 끼워지도록 수용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핸들부에는 미끌림 방지 및 미관을 위한 마감부재가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마지막으로, 상기 완충각도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핸들부가 닫히는 순간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회전각도에서는 급격하게 닫히지 않게 되므로, 핸들부가 급격하게 닫히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없앨 수 있다.
2) 또한, 이러한 충격의 완화로 손잡이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충격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손잡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닫히기 전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핸들부가 신속하고 빠르게 그리고 소음의 발생없이 동작할 수 있게 된다.
4) 구성요소들을 끼워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여 체결 등을 최소화함으로써, 손잡이의 조립 공정이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끼움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성요소들을 잘못 조립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어 그만큼 더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핸들을 고정시켜 주는 고정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핸들 뿐만 아니라 손잡이의 전체적인 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의 전체 구성중 댐퍼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이미지.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미지.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완충작용을 일으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하여 리어 플레이트를 분리한 상태의 배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의 전체 구성중 댐퍼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이미지이고,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미지이며,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완충작용을 일으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하여 리어 플레이트를 분리한 상태의 배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손잡이는, 창호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보디 블럭(100), 록/언록 동작을 위한 핸들부(300), 핸들부(300)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축지지부(200) 및 샤프트(400), 상기 보디 블럭(100)의 배면을 마감하기 위한 리어 플레이트(500), 그리고 상기 핸들부(300)에 의해 회전동작되는 축지지부(200)가 급격하게 닫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댐핑수단(600)을 포함한다.
특히, 축지지부(200)는 보디 블럭(100)의 배면을 통해 그 앞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상기 핸들부(300)가 끼워져서 체결고정된다. 이때의 체결고정은 상기 축지지부(200)로부터 고정수단을 통해 핸들부(300)가 체결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400)는 2단으로 단턱(410)진 정사각형 단면으로 제작되며, 상기 리어 플레이트(500)에 의하여 빠지지 않고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댐핑수단(600)은 핸들부(300)가 닫힌 순간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완충각도(θ2) 범위 내에서만 완충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핸들부(300)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 오는 시간이 너무 길지 않게 한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디 블럭(100)은 창호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블럭으로서 내부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중공 형태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마감부재(110)가 구비된다. 마감부재(110)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되어 보디 블럭(100)에 원터치 방식으로 장착되며, 특히 그 중앙에는 축지지부(200)가 보디 블럭(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장착구멍(111)이 관통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마감부재(110)는 나사와 같은 체결방식으로 장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보디 블럭(100)은 배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배면에는 리어 플레이트(500)로 마감된다. 이러한 리어 플레이트(5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디 블럭(100)은 내부에 상기 장착구멍(111)과 마주보는 위치에 안착구멍(120)이 관통형성되며, 이 안착구멍(120)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게 각각 적어도 1개씩의 나사체결부(130)가 형성된다. 특히, 안착구멍(120)은 단턱지게 형성함으로써, 축지지부(200)가 이 단턱진 부분에 걸쳐지게 하여 안정적으로 회전안내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지지부(200)는 핸들부(300)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연결되며, 핸들부(300)의 회전을 샤프트(4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축지지부(200)는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윈기둥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체결구멍(230)이 형성된다.
체결구멍(230)에는 샤프트(400)가 끼워지기 때문에 샤프트(400)가 미끌리지 않도록 그 단면 형상이 샤프트(400)와 동일한 형태, 예를 들어서 정사각형 형태로 형성한다. 그리고, 체결구멍(230)은 안쪽면 중앙에 나사부(미도시됨)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231)을 이 체결구멍(230)으로 끼워서 핸들부(300)를 체결고정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축지지부(200)는 그 단부가 보디 블럭(100)의 배면으로부터 장착구멍(111)에 끼워져서 보디 블럭(10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게 되는데, 이때 축지지부(200)는 안착구멍(130)의 단턱 부분에 안착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축지지부(200)는 보디 블럭(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부의 외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적어도 2개의 돌기부(220)가 형성된다. 이 돌기부(220)는 축지지부(200)의 단부가 핸들부(300)에 끼워져서 장착후에 핸들부(300)를 회전시키더라도 미끌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축지지부(200)에는 외주면애 걸림턱(240)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240)은 후술하게 될 댐핑수단(600)의 회전스톱퍼(610)와 회전간섭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이러한 회전간섭에 대해서는 댐핑수단(600)의 설명시 함께 설명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축지지부(200)에는 슬리브(210)를 더 구비하여 보디 블럭(100)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210)는 축지지부(200)에 끼워지며, 축지지부(200)와 보디 블럭(100) 사이에서 베어링과 같은 역할을 하게 한다. 이러한 슬리브(210)는 상기 안착구멍(120)에 걸쳐져서 그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면서 축지지부(200)를 회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축지지부(200)에는 링(2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링(211)은 슬리브(210)가 끼워진 축지지부(200)에 끼워져서 완충역할을 하게 된다. 즉, 링(211)은 슬리브(210)라든가 축지지부(200)와 보디 블럭(100) 사이에 공차 등에 의하여 유격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유격을 없애 동작이 부드럽고 조용하게 동작할 수 있게 안내하게 된다.
핸들부(300)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며, 일단부에는 상기 보디 블럭(100)의 앞쪽으로 돌출된 축지지부(2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헤드부(310)가 형성된다.
특히, 이 헤드부(310)에는 축지지부(2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수용부(311)가 형성된다. 이때, 수용부(311)는 일종의 장착구멍으로서, 그 단면은 상기 돌기부(220)를 포함하여 축지지부(200)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작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부(300)에는 길이방향으로 마감부재(3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마감부재(320)는 핸들부(300)에 압입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나사 등으로 체결하는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이러한 마감부재(320)는 핸들부(300)를 잡았을 때 미끌리지 않고 그립감이 좋게 할 뿐만 아니라 핸들부(300)의 전체 미관을 고려하여 그 형상과 모양을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핸들부(300)는 수용부(311)를 축지지부(200)의 단부에 끼운 상태에서, 이 축지지부(200)의 체결구멍(230)으로부터 체결수단(231)을 체결함에 따라 축지지부(200)와 일체로 고정된다.
샤프트(400)는 창호나 문틀 등에 장착되는 잠금장치(미도시됨)를 실질적으로 회전시켜 록킹/언록킹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축을 말한다.
이러한 샤프트(400)는 축지지부(200)에 끼워져서 그 중심축 상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샤프트(400)는 축지지부(200)가 회전하더라도 미끌리지 않는 단면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샤프트(40)는 상기 축지지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구멍(230)에 끼워지게 되는데, 이 체결구멍(230)의 단면과 같은 정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 물론, 샤프트(40)와 이 체결구멍(230)의 단면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샤프트(400)는 일단이 축지지부(200)에 끼워지고 타단이 보디 블럭(100)의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이때, 샤프트(400)는 보디 블럭(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2단으로 단턱진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단턱(410)은 후술하게 될 리어 플레이트(500)와 맞닿았을 때에 샤프트(400)가 보디 블럭(100)과의 사이에 유격없이 회전이 가능한 곳에 형성한다. 여기서, 단턱(410)은 서로 다른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2단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샤프트(400)의 단차진 부분을 말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샤프트(400)는 정사각형 단면이 큰 부분을 체결구멍(230)에 끼우고, 단면이 작은 부분이 보디 블럭(100)의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
리어 플레이트(500)는 보디 블럭(100)의 배면을 마감하는 마감판으로서, 상기 샤프트(4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회전지지구멍(510)이 형성된다. 특히, 이 회전지지구멍(510)은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샤프트(400)의 내접하는 원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회전지지구멍(510)은 샤프트(400)의 단면이 작은 정사각형이 내접하는 원의 크기로 제작함으로써, 샤프트(400)가 이 회전지지구멍(510)에 끼워져서 회전가능할 뿐만 아니라 크기가 큰 정사각형 부분이 이 회전지지구멍(510)에 걸리게 되어 보디 블럭(100)으로부터 샤프트(40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리어 플레이트(500)에는 회전지지구멍(510)을 중심으로 상술한 나사체결부(130)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구멍(520)이 형성되며, 이 체결구멍(520)에는 체결나사(521)가 끼워져서 나사체결부(130)에 체결고정된다.
댐핑수단(600)은, 보디 블럭(1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턱(240)과 회전간섭이 이루어지는 회전스톱퍼(610), 그리고 이 회전스톱퍼(620)에 의해 동작하는 댐퍼(620)를 포함한다.
회전스톱퍼(610)는 걸림턱(240)과 접촉되는 제1접촉면과 댐퍼(620)와 접촉되는 제2접촉면을 갖는다. 특히, 핸들부(3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여기에 체결고정된 축지지부(200)가 함께 회전하고, 이에 따라 걸림턱(240)은 제1접촉면과 접촉하여 회전스톱퍼(6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스톱퍼(610)는, 걸림턱(240)과 접촉하는 순간, 즉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는 순간이 핸들부(300)가 완전히 닫혔을 때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완충 각도(θ2)만큼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핸들부(300)와 함께 축지지부(200)는, 도 2a와 같이, 보디 블럭(100)에 상하로 놓여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핸들부(300)는 창호의 열기 위해 돌리게 되면, 도 2b와 같이 최대 회전각도(θ1), 예를 들어서 40°각도 만큼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부(300)가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면 원래의 위치(도 2a 참조)로 되돌아 가는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240)과 제1접촉면이 맞닿는 위치는, 도 2c와 같이, 핸들부(300)가 완전히 닫힌 순간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완충 각도(θ2), 예를 들어서, 10~20°각도(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5°)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댐퍼(620)는 제2접촉면과 맞닿도록 보디 블럭(100) 내부에 설치되며, 통상적으로 완충작용에 사용되는 기술을 이용한다.
특히, 댐퍼(620)는, 도 2a와 같이 핸들부(3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눌려져서 댐핑에 필요한 힘이 저장된 상태로 있게 한다. 그리고, 댐퍼(620)는, 도 2b와 도 2c와 같이, 핸들부(300)가 완전히 열린 최대 회전각도(θ1)에서 완충각도(θ2) 를 뺀 나머지 구간에서는 댐핑작용이 일어지지 않도록 해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댐퍼(620)는, 도 2c와 같이 핸들부(300)가 완충 각도(θ2)의 범위에 들게 되면 회전스톱퍼(610)가 제2접촉면을 누르게 되어 댐핑력을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핸들부(300)는 최대 회전각도(θ1)에서 완충각도(θ2)를 제외한 구간에서는 급격하게 회전하게 되나, 이 완충각도(θ2) 구간에서는 댐핑수단(600)에 의해 천천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디 블록 내부에 댐핑수단을 구비하여, 핸들부가 닫히기 직전에 서서히 닫히도록 함으로써, 완충작용과 함께 소음의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0 : 보디 블럭 110 : 마감부재
111 : 장착구멍 120 : 안착구멍
130 : 나사체결부 200 : 축지지부
210 : 슬리브 211 : 링
220 : 돌기부 230 : 체결구멍
231 : 체결수단 300 : 핸들부
310 : 헤드부 311 : 수용부
320 : 마감부재 400 : 샤프트
500 : 리어 플레이트 510 : 회전지지구멍
520 : 체결구멍 521 : 체결나사
600 : 댐핑수단 610 : 회전스톱퍼
620 : 댐퍼

Claims (7)

  1. 전면에 마감부재(110)가 구비되며 창호 등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보디 블럭(100); 외주면에 걸림턱(240)이 형성되고, 상기 보디 블럭(100)의 배면으로부터 끼워져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단부가 마감부재(1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된 축지지부(200); 상기 보디 블럭(100)의 외부로 돌출된 축지지부(200)의 일단에 끼워져서 이 축지지부(200)의 타단으로부터 체결되는 체결수단(231)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핸들부(300); 상기 축지지부(200)의 타단에 그 회전중심축과 나란하게 끼워지는 샤프트(400); 상기 보디 블럭(100)의 배면을 마감하여 그 바깥쪽으로 돌출된 샤프트(400)를 회전지지해 주는 리어 플레이트(500); 및 상기 걸림턱(240)과의 회전간섭을 받아 상기 보디 블럭(1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스톱퍼(610) 및 이 회전스톱퍼(610)에 의해 동작하는 댐퍼(620)를 포함하는 댐핑수단(60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스톱퍼(610)는 핸들부(300)가 닫혀진 상태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완충각도(θ2) 범위 내에서 회전간섭이 이루어지게 하여 급속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샤프트(400)는 정사각형의 단면의 크기가 다른 2단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500)에는 상기 샤프트(400)가 빠지지 않고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해 주는 회전지지구멍(5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 블럭(100)과 축지지부(200) 사이에는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슬리브(210)가 축지지부(200)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 블럭(100)과 슬리브(210) 사이에는 링(2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200)와 핸들부(300)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각각 회전방지용의 돌기부(220)와 이 돌기부(220)가 미끌리지 않도록 끼워지도록 수용부(311)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300)에는 미끌림 방지 및 미관을 위한 마감부재(320)가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각도(θ2)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
KR2020110009453U 2011-10-25 2011-10-25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 KR200467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453U KR200467062Y1 (ko) 2011-10-25 2011-10-25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453U KR200467062Y1 (ko) 2011-10-25 2011-10-25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657U KR20130002657U (ko) 2013-05-03
KR200467062Y1 true KR200467062Y1 (ko) 2013-05-23

Family

ID=5242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453U KR200467062Y1 (ko) 2011-10-25 2011-10-25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807A (ko) 2019-10-08 2021-04-16 이동혁 창호 개폐 모듈용 회전식 핸들의 감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735B1 (ko) * 2014-09-12 2015-05-18 김덕호 교체용 도어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807A (ko) 2019-10-08 2021-04-16 이동혁 창호 개폐 모듈용 회전식 핸들의 감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657U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409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KR101154803B1 (ko) 시트 래치 구조
US20180080248A1 (en) Silent door lock
JP6073950B2 (ja) 押し引きモーチスロック
JP2010531938A (ja) ドア用の操作ハンドル
BG64399B1 (bg) Обков за прозорци и/или врати
KR200467062Y1 (ko)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
KR10090325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US10676969B2 (en) Vehicle door handle
KR200451017Y1 (ko) 매립형 가구 손잡이
JP4907489B2 (ja) シリンダ錠及びこれを備えた解錠装置
FI120272B (fi) Jaettu kara
KR101267374B1 (ko) 조립이 용이한 창호용 손잡이 및 그 조립 방법
KR101570829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
JP5094157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637930B1 (ko) 도어 잠금장치
JP3141545U (ja) ランナーユニット
CN219491957U (zh) 一种通道锁
KR102647751B1 (ko) 창호 개폐 모듈용 회전식 핸들의 감속장치
CN111561801A (zh) 一种自动开门冰箱
JP5064170B2 (ja) シリンダ錠及びこれを備えた解錠装置
KR20180009223A (ko) 회전 잠금 기능을 가진 플랩 힌지용 댐퍼
KR100673783B1 (ko)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EP2329087B1 (en) Door handle
KR102248001B1 (ko) 유리문의 도어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