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783B1 -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783B1
KR100673783B1 KR1020050029418A KR20050029418A KR100673783B1 KR 100673783 B1 KR100673783 B1 KR 100673783B1 KR 1020050029418 A KR1020050029418 A KR 1020050029418A KR 20050029418 A KR20050029418 A KR 20050029418A KR 100673783 B1 KR100673783 B1 KR 100673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door
shaft
plate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339A (ko
Inventor
이정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9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783B1/ko
Priority to US11/398,764 priority patent/US20060226750A1/en
Publication of KR20060106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 홈바의 홈바도어 양측면에서 돌출된 회전축이 삽입되도록 홈바프레임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축홈이 함몰 형성되고, 이 축홈의 전면 개구에 전면판이 나사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며, 상기 축홈의 배면과 양측면이 후면판과 측면판에 의해 지지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이 축홈의 내부에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및 측면판에 의해 보다 견고히 지지되며, 상기 회전축에 전달된 압력으로 인해 상기 축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냉장고, 도어, 홈바도어, 회전축홈

Description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AXIS GROOVE REINFORCEMENT STRUCTURE REFRIGERATOR'S HOME-B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부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바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바도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홈부분의 분리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홈부분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홈부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냉장고 20 - 도어
30 - 개구부 40 - 홈바프레임
50 - 홈바도어 60 - 래치어셈블리
61 - 래치홈 70 - 걸쇠부재
71 - 걸쇠홈 80 - 댐퍼부재
81 - 댐퍼홈 82 - 회전축
90 - 축홈 91 - 안착홈
92 - 전면판 93 - 보강판
94 - 후면판 95 - 측면판
96 - 브래킷부
본 발명은 냉장고용 홈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바도어에 설치된 댐퍼부재의 회전축을 보다 견고히 지지하도록 된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도록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는 다수의 저장실이 구비되고, 상기 음식물을 수납 및 취출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일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 상기 냉장고 저장실의 개방된 일면은 상기 저장실의 개방면 전체를 덮어 막도록 된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근래에 상기 도어의 잦은 개/폐로 인한 냉기 누출을 방지함과 더불어, 사용자가 음료 등 비교적 사용이 잦은 음식물의 수납 및 취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냉장고 도어에 홈바가 구비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홈바는 상기 도어에 냉장고 저장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 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에 상기 도어와 별도로 개/폐 작동되는 홈바도어가 구비되어, 상기 냉장고 저장실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홈바도어를 개/폐하면서 상기 홈바도어의 내측, 통상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된 바스켓에 수용된 음식물을 수납 및 취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종래의 홈바도어는 도어의 개구부 틀을 형성하는 홈바프레임에 힌지부재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재는 통상 상기 홈바도어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봉형상을 이루고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이 돌출된 힌지부재가 상기 홈바프레임에 형성된 힌지홀에 상기 홈바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힌지부재는 경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고, 상기 홈바도어 및 홈바프레임이 통상 경도가 낮은 수지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힌지부재가 상기 홈바프레임에 형성된 힌지홀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부재가 직접 상기 홈바도어 및 홈바프레임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홈바도어의 양측면에 판형상의 힌지판을 부착하고, 이 힌지판에 핀과 링크를 연결하여 상기 홈바프레임에 체결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 역시, 상기 힌지판 또는 핀 또는 링크가 체결된 홈바도어 및 홈바프레임 부분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판과, 핀과, 링크 등의 많은 부품을 구비해야하므로, 제조원가의 상승 및 부품관리작업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홈바도어는, 상기 홈바도어를 열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개구된 개구부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홈바도어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스위치에 연결된 걸고리를 회전축을 축으로 회동시켜 상기 고정고리에서 이탈시키고, 상기 걸고리가 고정고리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가압하여 상기 홈바도어를 도어 외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도어의 개구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홈바도어의 외측면에 형성된 손잡이를 계속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홈바도어가 홈바프레임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위치까지 당겨내어 개방한다.
또, 상기 홈바프레임에서 완전히 이탈되어 자체 하중에 의해 자유 낙하되는 홈바도어를 상기 홈바도어의 외측면에서 지지하여 상기 홈바도어가 자유 낙하되어 상기 도어 등 타 부재와 충격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홈바도어의 개방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홈바도어는 그 양측 하단에 형성된 힌지판이 상기 홈바프레임에 고정된 링크에 걸쳐 회동되면서 상기 홈바도어가 홈바프레임에 대해 회동 개방되며, 상기 링크가 최대로 펼쳐지면 상기 링크의 최대 길이에 따라 상기 홈바도어의 회동 또는 이동이 중지되는 바, 통상 상기 홈바도어가 상기 도어의 전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개방된 후에 상기 링크의 지지력에 의해 정지되도록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홈바도어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여 사 용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이 증가되어 편의성이 저하됨은 물론, 상기 사용자가 손잡이를 홈바도어의 개방과 폐쇄 시에 항상 파지하고 있도록 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다른 작업 또는 다른 물건을 파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홈바도어는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홈바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조작으로 인한 사용자 조작이 더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홈바도어는 상기 걸고리 등의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상기 홈바프레임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힌지판이 이루는 회전축을 축으로 회동 낙하되고, 상기 링크에 의해 소정 지점에서 지지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자유 낙하되면서 가속된 홈바도어가 상기 최대로 펼쳐진 링크에 의해 중지되면서 상기 링크와 힌지판과 홈바도어의 양측면 또는 상기 홈바도어의 하단부와 상기 홈바프레임의 하단부가 상호 충격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 홈바도어의 개방은, 사용자가 홈바도어에 설치된 손잡이를 파지하고, 상기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홈바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잠금 해제된 홈바도어를 당겨냄과 더불어 자유 낙하되는 것을 지지하면서 상기 홈바도어의 개방을 이루도록 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됨은 물론, 사용자가 다른 작업 및 다른 물건을 파지한 상태에서는 상기 홈바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의 홈바도어에 대한 누름 조작만으로 상기 홈바도어가 회동 작동되면서 도어에 개구된 개구부의 개방을 이루도록 된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바도어의 외측면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홈바도어를 잠금 해제하여 개방하고, 상기 홈바도어의 외측면에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홈바도어를 폐쇄된 상태로 잠그도록 된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홈바도어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홈바도어와 홈바프레임에 함께 설치되는 댐퍼부재의 회전축을 견고히 지지하도록 된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의 내부와 외부를 소통시키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홈바프레임과, 일단부는 상기 홈바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면서 열림/닫힘 동작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홈바도어와, 상기 홈바도어 및 상기 홈바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쇠부재와, 상기 홈바도어가 상기 홈바프레임에 닫혔을 때 상기 걸쇠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의 홈바도어 및 홈바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걸쇠부재가 왕복 운동할 수 있는 홈을 가지며, 상기 걸쇠부 재가 상기 홈을 통해 삽입되면서 걸림상태로 되고, 상기 홈바도어에 가해지는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래치어셈블리와, 상기 홈바도어와 홈바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홈바도어의 회전에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홈바도어는 사용자가 상기 홈바도어를 상기 홈바프레임으로 닫으면서 상기 걸쇠부재가 상기 래치어셈블리의 홈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래치어셈블리에 걸려서 닫히고, 사용자가 상기 홈바도어의 외표면을 누름으로써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댐퍼부재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축이 상기 홈바프레임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축홈의 전면 개구가 전면판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축홈의 후면이 후면판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축홈의 양측면이 한 쌍의 측면판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후면판과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한 쌍의 측면판과, 상기 전면판은 동일한 나사 등의 고정수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바도어(50)가 냉장고(10) 도어(20)에 형성된 개구부(30)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바프레임(40)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바도어(50)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홈에 전면판과 보강판이 조립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이 축홈의 후면에 체결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홈에 전면판과 보강판이 덧대어진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10) 도어(20)에 형성된 개구부(30)에 홈바도어(50)가 설치된다.
상기 홈바도어는 그 양측단에서 외측으로 회전축역할을 하도록 돌출된 한 쌍의 댐퍼부재(80)로써 상기 도어의 개구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홈바도어(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단에 한 쌍의 댐퍼부재(80)가 각각 설치되고, 후술하는 홈바프레임(40)에 체결된 래치어셈블리(60)와 잠금/해제 작용되는 걸쇠부재(70)가 형성된 것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30)는 상기 냉장고(10) 저장실의 개방면을 덮어 막도록 형성된 도어(20)의 중앙부 등 일지점이 상기 냉장고(10) 저장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도어(20)의 전면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개구부(30)는 상기 도어(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바스켓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수납 및 취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스켓의 형성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바프레임(40)은 도 1내지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3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후술하는 홈바도어(50)가 설치되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홈바도어(50)의 작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개구부(30)의 내주에 밀착되는 틀형상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홈바프레임(40)은 상기 개구부(30)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틀로 구성됨과 더불어, 그 전면에 상기 도어(20)의 전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외장재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홈바프레임(40)의 양측 내면에는 후술하는 댐퍼부재(80)의 회전축(82)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축홈(90)이 형성된다.
상기 홈바도어(50)는 상기 개구부(30)의 전면을 덮어 막도록 상기 개구부(30)의 형상과 동일한 판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홈바프레임(40)에 개/폐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래치어셈블리(60)는 상기 홈바프레임(40)의 일단, 본 실시예에서는 홈바프레임(40)의 전면 상단에 형성된 래치홈(61)에 끼워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래치홈(61)은 상기 홈바프레임(40)의 전면 상단에서 내측으로 박스형상을 이루고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홈바도어(50)에 래치어셈블리가(60)가 체결되도록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면 일단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래치어셈블리(60)는 후술하는 걸쇠부재(7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그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롯이 전면에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래치홈(61)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래치어셈블리(60)는 상기 슬롯으로 걸쇠부재(70)가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걸쇠부재(70)의 선단이 상기 래치어셈블리(60)의 작용부(미도시)를 가압하여 상기 걸쇠부재(70)가 상기 래치어셈블리(60)의 내부에서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쇠부재(70)가 재차 가압되면서 상기 걸쇠부재(70)의 선단이 상기 래치어셈블리(60)의 작용부(미도시)를 눌러 상기 걸쇠부재(70)가 상기 래치어셈블리(60)로부터 이탈된다.
또, 상기 래치어셈블리(60)는 상기 홈바프레임(40)의 래치홈(61)에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홈바프레임(40)의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 등의 충진재에 매몰되어 고정된다.
상기 걸쇠부재(70)는 그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래치어셈블리(60)의 중앙에 개구된 슬롯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걸쇠부재(70)는 상기 래치어셈블리(60)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홈바도어(50)의 일측단에 조립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면 상단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걸쇠부재(70)의 체결은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면 상단에 개구된 걸쇠홈(71)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개구가 형성된 걸쇠부재(70)의 중앙부가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조립된다.
또, 상기 걸쇠부재(70)의 끝단에 상기 걸쇠홈(7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판이 구성되어 상기 걸쇠부재(70)가 상기 걸쇠홈(71)의 내측면에 걸쳐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댐퍼부재(80)는 한 쌍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을 이루는 댐퍼부재(80)가 상기 홈바도어(50)의 하부 양측단에 각각 설치된다.
또, 상기 댐퍼부재(80)는 내부에 탄성을 갖는 스프링 또는 유압을 갖는 오일 등이 회전축(82)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82)이 소정각도 이상 회전된 후에 그 회전이 감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댐퍼부재(80)는 상기 홈바도어(50)의 양측단 내부에 나사 등을 매개로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82)이 상기 홈바도어(50)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또, 상기 댐퍼부재(80)의 회전축(82)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상기 축홈(90)은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82)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회전축(82)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다각형 단면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홈바프레임(40)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홈(90)은 안착홈(91)을 포함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그 전면에 전면판(92)이 부착되고, 그 후면이 보강판(93)이 덧대어져 구성된다.
상기 안착홈(91)은 상기 축홈(90)의 전방 홈바프레임(40)의 전면이 내측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함몰되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전면판(92)이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92)은 상기 안착홈(91)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축홈(90)의 내부에 수용된 회전축(82)의 전면부를 지지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면판(92)은 상기 안착홈(91)의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됨과 더불어, 그 외측에서 체결되는 다수의 나사 등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안착홈(91)에 고정된다.
상기 보강판(93)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바프레임(40)에서 함몰된 축홈(90)의 배면부를 감싸도록 후면판(94)과, 한 쌍의 측면판(9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면판(94)은 상기 축홈(90)의 배면에 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후면판(94)은 상기 전면판(92)과 동일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판(95)은 상기 축홈(90)의 배면 양측을 지지하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전면판(92)과 나사 등을 매개로 체결되도록 상기 축홈(92)의 배면 양측에 상기 전면판(92)과 수평을 이루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축홈(90)의 배면 양측에 각각 밀착되도록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판(92)의 외부에서 체결된 나사 등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후면판(94)과 측면판(95)이 일체물로 형성되고, 이 일체물의 외부로 상기 홈바프레임(40)의 배면 형상에 의해 다수부에서 굴곡된 판 형상을 이루는 브래킷부(96) 더 형성되어 상기 브래킷부(96)가 홈바프레임(4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후면판(94)과 측면판(95)을 상기 홈바프레임(40)의 배면부에 고정시킨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의 조립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도어에 형성된 개구부(30)를 덮어 막도록 된 홈바도어(50)의 양측 내부에 댐퍼부재(8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댐퍼부재(80)의 측면을 통해 돌출된 회전축(82)은 상기 홈바도어(50)의 양측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조립된다.
상기 홈바도어(50)가 상기 개구부(30)에 체결된 홈바프레임(40)에 조립되면 서, 상기 홈바도어(50)의 양측면에서 돌출된 회전축(82)이 상기 홈바프레임(40)에 형성된 축홈(90)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축홈(90)은 일측이 개방된 홈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홈바도어(50)에 고정된 회전축(82)이 상기 축홈(90)의 전면 개구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회전축(82)이 축홈(90)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축홈(90)의 전면부분에 함몰된 안착홈(91)에 전면판(92)이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상기 축홈(90)의 전면부가 보강된다.
또, 상기 축홈(90)의 배면부, 즉 상기 홈바프레임(40)의 배면으로 돌출된 축홈(40)의 배면과 상기 축홈(90) 배면의 양측에 보강판(93) 덧대어지고, 상기 보강판(93)에 일체로 형성된 브래킷부(96)가 상기 홈바프레임(40)에서 나사 등 고정부재를 매개로 체결되어 상기 보강판(93)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보강판(93)이 고정되면서, 상기 보강판의 후면판(94)에 의해 상기 축홈(90)의 배면이 보강되고, 상기 보강판(93)의 측면판(95)에 의해 상기 축홈(90) 배면의 양측이 보강된다.
또, 상기 전면판(92)과 상기 측면판(95)은 동일한 나사 등의 고정부재로써 체결되어 상기 전면판(92)과 측면판(95)의 결속력이 증가됨은 물론, 상기 전면판(92)과 측면판(95)이 상호 지지된다.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냉장고(10)의 홈바도어(5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냉장고(10)의 도어(20)에 설치된 홈바도어(5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홈바도어(50)를 개방하도록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홈바도어(50)를 잠그는 걸쇠부재(70)와 래치어셈블리(60)가 상기 홈바도어(50)의 상단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홈바도어(50)의 상단을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방향으로 소정폭 가압한다.
상기 홈바도어(50)의 외측면 상단이 가압되면, 상기 홈바도어(50)의 하단에 설치된 댐퍼부재(80)의 회전축(82)을 축으로 상기 홈바도어(50)의 상단이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방향으로 소정폭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홈바도어(50)의 상단은 상기 홈바프레임(40)의 내측으로 함입되면서, 상기 홈바도어(50)의 내측면 상단에 체결된 걸쇠부재(70)가 상기 래치어셈블리(60)의 내부에서 더 삽입된다.
상기 걸쇠부재(70)가 래치어셈블리(60)의 내부에서 더 삽입되면서 상기 걸쇠부재(70)의 선단이 래치어셈블리(60)의 작용부(미도시)를 가압하여 상기 걸쇠부재(70)가 상기 래치어셈블리(60)로부터 이탈된다.
삭제
삭제
상기 홈바도어(50)는 자체 하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낙하되고, 이때 상기 홈바도어(50)의 하단에 형성된 댐퍼부재(80)의 회전축(82)을 축으로 상기 홈바도어(50)가 낙하 회동된다.
상기 홈바도어(50)가 자유낙하 회동된 후에, 상기 홈바도어(50)의 하단에 설치된 댐퍼부재(80)가 작동되면서, 상기 홈바도어(50)가 저속 회동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부재(80)는 상기 홈바도어(5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댐퍼부재(80)에서 홈바프레임(40)으로 돌출되어 고정된 회전축(82)을 축으로 회전되고, 상기 댐퍼부재(80)가 회전되면서 상기 댐퍼부재(8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 또는 오일이 회전되며, 이 스프링 또는 오일은 소정각도 이상에서 그 회전이 멈추거나 저지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되는 댐퍼부재(80)의 회전속도가 감쇄된다.
상기 댐퍼부재(80)의 회전속도가 감쇄됨과 더불어, 상기 댐퍼부재(80)가 체결된 홈바도어(50)의 회전속도가 감쇄되어 낙하 회동된다.
이때, 상기 댐퍼부재(80)의 회전축(82)에 상기 홈바도어(50)의 하중이 집중됨과 더불어, 상기 홈바도어(50)의 회전력이 전달되지만, 상기 회전축(82)에 밀착 된 축홈(90)이 상기 회전축(82)을 견고히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축홈(90)의 전면과 후면 및 양측면이 전면판(92)과 보강판(93)에 의해 보강되면서 지지된다.
또, 상기 전면판(92)이 상기 보강판(93)의 측면판(95)에 체결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82)의 전면부가 보다 견고히 지지되면서, 상기 홈바도어(50)의 낙하 회동이 지지된다.
삭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도어에 형성된 홈바도어가 사용자의 누름 조작만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되어 상기 홈바도어의 개/폐조작이 용이하게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냉장고 홈바의 홈바도어에 형성된 회전축이 홈바프레임에 형성된 축홈에 삽입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축홈의 외부에 체결되는 전면판과, 보강판에 의해 보강 지지되면서 상기 홈바도어의 회동압력이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개구부가 형성된 도어; 도어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홈바프레임; 그리고,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홈바프레임에 설치되고, 회전축을 구비하는 홈바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에 있어서,
    홈바도어의 회전축이 삽입되도록 홈바프레임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된 축홈;
    축홈의 개방된 일측을 막도록 홈바프레임에 체결되는 전면판; 그리고,
    축홈의 배면부에 위치하여 축홈의 배면 및 홈바프레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덧대어지도록 홈바프레임에 체결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보강판은 축홈의 배면에 덧대어지는 후면판과, 홈바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전면판과 대응되도록 축홈의 배면 양측에 위치하여 홈바프레임에 덧대어지는 측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전면판과 측면판이 동일한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상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전면판은 홈바프레임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전면판의 형상과 동일하게 함몰된 안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후면판과 측면판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후면판 및 측면판으로부터 확장된 브래킷부가 홈바프레임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KR1020050029418A 2005-04-08 2005-04-08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KR100673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418A KR100673783B1 (ko) 2005-04-08 2005-04-08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US11/398,764 US20060226750A1 (en) 2005-04-08 2006-04-06 Refrigerator having home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418A KR100673783B1 (ko) 2005-04-08 2005-04-08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339A KR20060106339A (ko) 2006-10-12
KR100673783B1 true KR100673783B1 (ko) 2007-01-24

Family

ID=3762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418A KR100673783B1 (ko) 2005-04-08 2005-04-08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489B1 (ko) 2007-04-04 201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홈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088A (ko) * 1997-11-17 1999-06-05 전주범 모니터의 엑스레이 보호회로
KR20000017827A (ko) * 1999-12-20 2000-04-06 박준배 피혁 표면의 다색무늬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088A (ko) * 1997-11-17 1999-06-05 전주범 모니터의 엑스레이 보호회로
KR20000017827A (ko) * 1999-12-20 2000-04-06 박준배 피혁 표면의 다색무늬 형성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990040088
202000001782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489B1 (ko) 2007-04-04 201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홈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339A (ko)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6338A (ko) 홈바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060226750A1 (en) Refrigerator having home bar
US8408664B2 (en) Damper embedded in a home bar door of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050108853A1 (en) Hinge assembly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of door of storage facility
KR20130053318A (ko) 판금재질의 래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3704122B2 (ja) 冷蔵庫ドアのハンドル組立体
KR100673783B1 (ko) 냉장고용 홈바의 축홈 보강구조
KR100673780B1 (ko) 냉장고용 홈바도어
KR100673775B1 (ko) 냉장고용 홈바
KR20060111002A (ko) 냉장고용 홈바
KR100746421B1 (ko) 냉장고용 홈바도어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06340A (ko) 냉장고용 홈바의 힌지부재
JP3153422B2 (ja) コンテナのヒンジ装置
KR100673779B1 (ko) 홈바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73781B1 (ko)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조립구조
EP1684039B1 (en) Refrigerated cabinet with an apparatus for keeping the door ajar
KR20060100149A (ko) 홈바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60128422A (ko) 프렌치 도어형 냉장고
KR200166856Y1 (ko) 양방향으로개폐가능한냉장고도어
KR100764282B1 (ko) 냉장고용 홈바
KR100756701B1 (ko) 냉장고용 홈바
KR20060100152A (ko) 냉장고용 홈바도어
KR100570299B1 (ko) 김치저장고의 힌지구조
JP3842521B2 (ja) 冷却貯蔵庫
KR20060120801A (ko) 냉장고용 홈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