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258Y1 -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 - Google Patents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258Y1
KR200466258Y1 KR2020110008511U KR20110008511U KR200466258Y1 KR 200466258 Y1 KR200466258 Y1 KR 200466258Y1 KR 2020110008511 U KR2020110008511 U KR 2020110008511U KR 20110008511 U KR20110008511 U KR 20110008511U KR 200466258 Y1 KR200466258 Y1 KR 200466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nector
inlet
lower side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039U (ko
Inventor
장상윤
Original Assignee
장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윤 filed Critical 장상윤
Priority to KR2020110008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258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0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2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92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extendable or pivo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와 연결된 관형상의 메인연결관(10)과, 상기 메인연결관(10)의 하측에 연결된 결합연결부(20)와, 상기 결합연결부(20)의 하측에 연결된 결합요입부(30)와, 상기 결합요입부(30)의 하측에 연결된 관형상의 서브연결관(40)과, 상기 서브연결관(40)의 하측에 연결된 후드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부면이 개방된 구형상의 결합연결구와 상기 결합연결구가 내측에 안착되도록 반구형상의 결합요입구를 형성하여 각도를 용이하게 가변하고, 결합요입구의 내측으로 굴곡지는 결합거치턱을 형성하여 자체 하중으로 인한 결합연결구의 낙하를 방지하며, 결합개구의 일측에 장방형의 결합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연결구를 편리하게 분해 또는 조립하고, 결합절개부의 일측에 한 쌍의 절개밀착구를 형성하여 각도가 가변된 후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 { local ventilation system of the arm types for Easy to change the angle }
본 고안은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면이 개방된 구형상의 결합연결구와 상기 결합연결구가 내측에 안착되도록 반구형상의 결합요입구를 형성하여 각도를 용이하게 가변하고, 내측으로 굴곡지는 결합거치턱을 형성하여 자체 하중으로 인한 낙하를 미연에 방지하며, 결합개구의 일측에 장방형의 결합절개부를 형성하여 결합연결구를 용이하게 조립하고, 결합절개부의 일측에 한 쌍의 절개밀착구를 형성하여 각도가 가변된 후 견고하게 고정되는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소배기장치는 공장이나 음식점 등과 같은 현장에서 발생되는 인체에 해로운 유해가스, 분진 또는 각종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국소배기장치는 유해가스, 분진 또는 각종 냄새가 발생되는 위치에 따라 후드고정식과 후드이동식으로 구분되며 후드고정식은 발생위치의 상부에 후드를 고정하여 상기 후드로부터 덕트를 연결하여 유해가스, 분진 또는 각종 냄새를 배출하고, 후드이동식은 발생위치로 후드를 이동하거나 후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유해가스, 분진 또는 각종 냄새의 배출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최근에는 상기 후드고정식과 후드이동식을 겸용하여 길이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국소배기장치가 작업현장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국소배기장치를 나타내보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국소배기장치는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측과 연결되는 엘보(2)와, 풍량조절을 위한 댐퍼(3) 및 암부재와의 연결을 위한 후드 서포트(4)를 갖고 있으며 상하 및 좌우회전이 가능한 후드(5)와, 상기 엘보(2)와 후드(5)를 연결하는 적어도 4개의 다관절 암구조물(8)과, 상기 다관절 암구조물(8)을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러버링(6)을 이용하여 양단이 엘보(2)와 후드(5)상에 결합되는 플렉시블호스(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국소배기장치는 2개 이상의 다관절 암구조물(8)과 플렉시블호스(7)를 조합한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다관절 암구조물(8)은 x,y축으로만 각도를 가변할 수 있고, z축에 대한 각도변화는 이루어지지 못하여 후드가 다양한 위치로 이동되어야 하는 작업현장에는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국소배기장치는 다관절 암구조물(8)을 다수개 추가하여 각도를 가변하고 있으나 내부 연결구조가 복잡하여 정비 및 유지보수가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의 목적은 하부면이 개방된 구형상의 결합연결구와 상기 결합연결구가 내측에 안착되는 반구형상의 결합요입구를 형성하여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각도를 가변하고, 결합요입구의 수평측 센터에서 상측으로 이동된 부분을 절개하여 내측으로 굴곡지는 결합거치턱을 형성하여 국소배기장치의 자체 하중으로 인하여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결합개구의 일측에 장방형의 결합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연결구의 요입시 결합절개부를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를 실행하고, 결합절개부의 일측에 한 쌍의 절개밀착구를 형성하여 원하는 각도로 가변된 후 그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는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D)와 연결되어 분진, 냄새 및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국소배기장치(1)로서 상기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D)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연결플랜지(11)가 형성된 관형상의 메인연결관(10)과, 상부에 상기 메인연결관(10)과 연결되는 관형상의 결합연결관(21)과 상기 결합연결관(21)의 하측에 연결되어 하부면에 연결통풍구(23)가 형성된 구형상의 결합연결구(22)로 이루어진 결합연결부(20)와, 상기 결합연결구(22)가 안착되도록 반구형상의 결합요입구(31)와 상기 결합연결구(22)가 요입되도록 상기 결합요입구(31)의 상부면이 개방된 결합개구(32)와 상기 결합요입구(31)의 하부면에 연결된 관형상의 결합요입관(33)으로 이루어진 결합요입부(30)와, 상기 결합요입부(30)의 하측에 연결되는 관형상의 서브연결관(40)과, 상기 서브연결관(40)의 하측에 연결되는 관형상의 후드연결관(51)과 상기 후드연결관(51)의 하측에 분진 및 유해가스가 흡입되도록 내부가 빈 반구형상의 후드본체(52)로 이루어진 후드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모든 방향으로 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부면이 개방된 구형상의 결합연결구와 상기 결합연결구가 내측으로 요입되는 반구형상의 결합요입구가 형성됨으로써, 결합요입구의 내경과 결합연결구의 외경이 상호 접촉되며 회전하게 되어 각도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고,
둘째, 내부로 요입된 결합연결구의 상부면에 결합요입구가 걸릴 수 있도록 결합요입구의 수평측 센터에서 상측으로 이동된 부분을 절개하여 내측으로 굴곡지는 결합거치턱을 형성함으로써, 국소배기장치가 자체하중으로 인하여 낙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결합개구의 일측에 장방형의 결합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결합개구의 내부로 결합연결구가 요입될 때 결합절개부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조립 또는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넷째, 결합절개부가 밀착되도록 결합절개부의 일측에 볼트가 구비된 한 쌍의 절개밀착구를 형성함으로써, 각도가 가변된 후 그 위치에서 볼트를 조여주어 편리하게 고정 또는 가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국소배기장치를 나타내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각도변화를 나타내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보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D)와 연결되어 분진 및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국소배기장치(1)로서 상기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D)와 연결된 관형상의 메인연결관(10)과, 상기 메인연결관(10)의 하측에 연결된 결합연결부(20)와, 상기 결합연결부(20)의 하측에 연결된 결합요입부(30)와, 상기 결합요입부(30)의 하측에 연결된 관형상의 서브연결관(40)과, 상기 서브연결관(40)의 하측에 연결된 후드부(5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메인연결관(10)은 상기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와 연결되도록 상측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연결플랜지(1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연결부(20)는 상기 메인연결관(10)의 하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연결관(10)의 구경보다 넓은 관형상의 결합연결관(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연결관(21)의 하측에 하부면에 개방된 연결통풍구(23)가 형성된 구형상의 결합연결구(2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메인연결관(10)과 결합연결부(20)의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연결관(21)의 일측 구경에 관통되는 무드볼트(미도시)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요입부(30)는 상기 결합연결구(22)가 내측에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반구형상의 결합요입구(3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연결구(22)가 상측방향에서 요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요입구(31)의 상부면이 개방된 결합개구(3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요입구(31)의 하부면에 연결된 관형상의 결합요입관(3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요입부(30)의 결합개구(32)는 내부로 요입된 결합연결구(22)의 구경 상부에 결합요입부(30)가 거치될 수 있도록 수평측 센터에서 상측으로 이동된 부분을 절개하여 내측으로 굴곡지는 결합거치턱(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개구(32)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연결구(22)의 요입이 용이하도록 하측방향으로 장방형의 결합절개부(31a)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절개부(31a)의 외측에 상기 결합절개부(31a)를 밀착하도록 내부에 볼트(B)가 관통되는 결합공(35a)이 형성된 한 쌍의 절개밀착구(35)가 구비된다.
상기 서브연결관(40)은 하측방향으로 길이변화가 필요할 때 상황에 맞는 길이를 가지는 또 다른 서브연결관(40)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후드부(50)는 상기 서브연결관(40)의 하측에 연결되도록 일측 구경에 무드볼트(미도시)가 구비된 관형상의 후드연결관(51)이 형성되고, 상기 후드연결관(51)의 하측에 분진 및 유해가스가 흡입되도록 내부가 빈 반구형상의 후드본체(52)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고안에 따른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는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D)와 연결되어 내부에서 발생된 유해가스, 분진 및 냄새를 상기 후드부(50)를 통하여 흡입하여 상기 메인덕트(D)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 냄새 및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후드부(50)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D)의 하측에 연결된 메인연결관(10)의 하부에 구형상의 결합연결구(20)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연결구(20)가 내측에 안착되도록 반구형상의 결합요입구(30)를 형성함으로써, 요입된 결합연결구(20)의 외경이 상기 결합요입구(30)의 내경을 따라 전방향으로 회전되어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각도를 가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요입된 결합연결구(22)의 상부면에 걸릴 수 있도록 결합요입구(31)의 수평측 센터에서 상측으로 이동된 부분을 절개하여 내측으로 굴곡지는 결합거치턱(34)을 형성함으로써, 자체하중으로 인하여 하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연결구(22)가 결합개구(32)로 요입시 결합절개부(31a)가 대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개구(32)의 일측에 장방형의 결합절개부(31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연결구(22)의 요입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절개부(31a)를 밀착하도록 내부에 볼트(B)가 관통되는 결합공(35a)이 형성된 한 쌍의 절개밀착구(35)를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각도를 가변한 후 볼트(B)를 조여주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결합연결부(20)와 결합요입부(30)를 추가하여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의 변화를 줄 수 있게 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비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가변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국소배기장치 10 : 메인연결관
11 : 연결플랜지 20 : 결합연결부
21 : 결합연결관 22 : 결합연결구
23 : 연결통풍구 30 : 결합요입부
31 : 결합요입구 31a : 결합절개부
32 : 결합개구 33 : 결합요입관
34 : 결합거치턱 35 : 절개밀착구
35a : 결합공 D : 메인덕트
B : 볼트

Claims (4)

  1.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D)와 연결되어 분진, 냄새 및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국소배기장치(1)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D)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연결플랜지(11)가 형성된 관형상의 메인연결관(10)과;
    상부에 상기 메인연결관(10)과 연결되는 관형상의 결합연결관(21)과 상기 결합연결관(21)의 하측에 연결되어 하부면에 연결통풍구(23)가 형성된 구형상의 결합연결구(22)로 이루어진 결합연결부(20)와;
    상기 결합연결구(22)가 안착되도록 반구형상의 결합요입구(31)와, 상기 결합연결구(22)가 요입되도록 상기 결합요입구(31)의 상부면이 개방된 결합개구(32)와, 상기 결합요입구(31)의 하부면에 연결된 관형상의 결합요입관(33)으로 이루어진 결합요입부(30)와;
    상기 결합요입부(30)의 하측에 연결되는 관형상의 서브연결관(40)과;
    상기 서브연결관(40)의 하측에 연결되는 관형상의 후드연결관(51)과 상기 후드연결관(51)의 하측에 분진 및 유해가스가 흡입되도록 내부가 빈 반구형상의 후드본체(52)로 이루어진 후드부(50)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요입부(30)의 결합개구(32)는 내부로 요입된 결합연결구(22)의 상부면에 걸릴 수 있도록 센터에서 상측으로 이동된 부분을 절개하여 내측으로 굴곡지는 결합거치턱(3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개구(32)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연결구(22)의 요입이 용이하도록 하측방향으로 장방형의 결합절개부(31a)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절개부(31a)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절개부(31a)를 밀착하도록 내부에 볼트(B)가 관통되는 결합공(35a)이 형성된 한 쌍의 절개밀착구(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10008511U 2011-09-22 2011-09-22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 KR200466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511U KR200466258Y1 (ko) 2011-09-22 2011-09-22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511U KR200466258Y1 (ko) 2011-09-22 2011-09-22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039U KR20130002039U (ko) 2013-04-01
KR200466258Y1 true KR200466258Y1 (ko) 2013-04-08

Family

ID=5138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511U KR200466258Y1 (ko) 2011-09-22 2011-09-22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2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026B1 (ko) * 2019-07-31 2020-02-24 나현석 주방용 후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43B1 (ko) * 2015-01-23 2015-07-14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국소배기장치용 후드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165A (ko) * 2009-05-14 2010-11-24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로스터용 배기후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165A (ko) * 2009-05-14 2010-11-24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로스터용 배기후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026B1 (ko) * 2019-07-31 2020-02-24 나현석 주방용 후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039U (ko) 201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1134377A (ru) Вентилятор
KR101156595B1 (ko) 관절형 국소배기장치
ITMC20070118A1 (it) Cappa aspirante per cucine di innovativa concezione.
CN109306969A (zh) 通风扇容纳和安装系统
KR200466258Y1 (ko)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
JP2014238198A (ja) 空調設備の清掃機
EP3348920A1 (en) Air guide structure
EP2228607A2 (en) 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box with changeable direction inlet ports and outlet ports
KR101133703B1 (ko) 로스터용 배기후드
JP6204182B2 (ja) 自在ダクト
US11879630B2 (en) Light fixture
KR20050082213A (ko) 분진제거용 암타입 덕트
KR200292936Y1 (ko) 실험실용 다관절식 후드 시스템
JP2009045644A (ja) 吸引ノズル
CN104165134B (zh) 风扇及其用于风扇的喷嘴
JP6204183B2 (ja) 自在ダクト
US20170108234A1 (en) Ventilation unit
JP2011112313A (ja) 空調用レジスタ
KR100904379B1 (ko)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CN205717429U (zh) 一种用于抽油烟机的消除噪音装置
JP6440252B2 (ja) 吹出口装置
JP2015113988A (ja) 換気グリル
US20230158435A1 (en) Air cleaner
AU2014101239A4 (en) An air discharge nozzle for a blower
CN203501288U (zh) 一种抽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