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832Y1 -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832Y1
KR200465832Y1 KR2020110009174U KR20110009174U KR200465832Y1 KR 200465832 Y1 KR200465832 Y1 KR 200465832Y1 KR 2020110009174 U KR2020110009174 U KR 2020110009174U KR 20110009174 U KR20110009174 U KR 20110009174U KR 200465832 Y1 KR200465832 Y1 KR 200465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indoor unit
button
batter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원
이상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9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8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하나의 배터리 커버로 실내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부와 해정버튼을 모두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배터리 커버에는 텐션을 가지는 버튼누름를 구성한 것이며, 실내기 본체를 바라 보았을 때 디자인 측면에서 심플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실내기 본체를 금형을 통해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배터리 커버의 들뜸 현상과 같은 결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Digital dooe lock combination structure of battery cover}
본 고안은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기에 적용되는 배터리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배터리 커버로 배터리 수납부는 물론, 실내기의 해정버튼을 모두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배터리 커버를 분리시 실내기 본체에 형성되는 해정버튼의 누름이 방지되도록 배터리 커버에 텐션을 가지는 누름안내부를 구성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도어락은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모티스락과, 도어의 도어의 내외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모티스락의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손잡이가 결합되는 디지털도어락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포함하게 되며,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실내기의 본체(1)에는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 수납부(2), 그리고 모티스락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한 해정버튼(3)과 회전레버(Thumb Turn)(4)가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통상적으로 실내기 본체(1)의 상단측에는 배터리 수납부(2)를 형성시킨 후, 상기 배터리 수납부(2)는 배터리 커버(5)에 의해 보호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실내기 본체(1)의 하단측에는 상기 해정버튼(3)과 회전레버(4)가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기 본체(1)에 있어, 배터리 수납부(2)에만 배터리 커버(5)가 결합되는 구조는 실내기 본체(1)에 대한 외관이 미관상 수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배터리 수납부(2)만을 보호하기 위한 배터리 커버(5)를 적용할 때, 상기 배터리 커버(5)와 하단측 본체(1)에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경계선(S)이 만들어지면서, 상기 실내기 본체(1)을 정면에서 바라 보았을때 디자인 측면에서 심플하지 못하고 조잡한 느낌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해정버튼(3)과 회전레버(4)가 형성되는 실내기 본체(1)의 제 1 면(a1)과 배터리 수납부(2)를 덮게 되는 배터리 커버(5)의 제 2 면(a2)이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여야 하는데,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배터리 수납부(2)가 형성되는 실내기 본체(1)의 상단측 제 1 높이(h1)는 해정버튼(3)과 회전레버(4)가 형성되는 실내기 본체(1)의 하단측 제 2 높이(h2)는 서로 다를 수 밖에 없었으며(h1<h2),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h1,h2)를 가지도록 실내기 본체(1)를 금형 제작시 그 제작이 복잡할 수 밖에 없고, 특히 높이(h1,h2)에 대한 정밀 제작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배터리 커버(5)의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앞서 지적된 바와같이 배터리 커버(5)와 하단측 본체(1) 사이의 경계선(S)이 보다 확연하게 보여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배터리 커버로 실내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부와 해정버튼을 모두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배터리 커버에는 텐션을 가지는 버튼누름부를 구성함으로써, 실내기 본체를 바라 보았을 때 디자인 측면에서 심플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실내기 본체를 금형을 통해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배터리 커버의 들뜸 현상과 같은 결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는, 도어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전면부에 배터리 수납부와, 모티스락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한 해정버튼 및 회전레버를 구성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기 본체를 구성하되, 상기 실내기 본체의 전면부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와 상기 해정버튼을 동시에 덮어 보호하는 하나의 배터리 커버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해정버튼은 실내기 본체내의 기판에 실장되는 내부버튼(택스위치)에 실내기 본체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되는 외부버튼이 결합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실내기 본체내의 기판에 실장되는 내부버튼(택스위치)이 상기 실내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내기 본체의 전면부 가장자리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체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체와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버튼홀을 형성하고, 상기 버튼홀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실내기 본체에 결합시 해정버튼에 대한 누름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누름부를 결합 구성하며, 상기 버튼누름부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실내기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기 버튼누름부에 의한 해정버튼의 누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텐션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버튼누름부는 배터리 커버의 전면측에 노출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배터리 커버의 후면측에서 걸림되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크기보다 크게 설계되는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텐션부는 배터리 커버의 후면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상기 제 1,2 플레이트의 누름에 따른 유동을 지지 및 안내하는 텐션로드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실내기 본체에 결합시 해정버튼에 대한 누름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배터리 커버를 실내기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상기 해정버튼의 누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누름텐션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배터리 커버로 실내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부와 해정버튼을 모두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배터리 커버에는 텐션을 가지는 버튼누름부를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실내기 본체를 바라 보았을 때 디자인 측면에서 심플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실내기 본체를 금형을 통해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배터리 커버의 들뜸 현상과 같은 결함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디지털도어락의 실내기 본체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 디지털도어락의 실내기 본체에 대한 측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디지털도어락의 실내기 본체와 배터리 커버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실내기 본체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배터리 커버의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버튼누름부와 텐션부의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버튼누름부와 텐션부가 결합되는 배터리 커버를 실내기 본체에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버튼누름부와 텐션부에 의한 해정버튼의 누름 및, 해정버튼의 누름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배터리커버에 누름텐션부를 일체로 형성한 상태를 보인 배터리 커버의 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디지털도어락의 실내기 본체와 배터리 커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실내기 본체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배터리 커버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버튼누름부와 텐션부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버튼누름부와 텐션부가 결합되는 배터리 커버를 실내기 본체에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버튼누름부와 텐션부에 의한 해정버튼의 누름 및, 해정버튼의 누름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10)는, 도어의 외부면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실외기 본체와 대향되면서 전면부에 배터리 수납부(201)와, 모티스락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한 해정버튼(202) 및 회전레버(Thumb Turn)(203)를 구성하는 실내기 본체(2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실내기 본체(200)의 전면부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201)와 상기 해정버튼(202)을 동시에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해정버튼(202)은 실내기 본체(200)내의 기판에 실장되는 내부버튼(택스위치)(202a)에 실내기 본체(200)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되는 외부버튼(202b)이 결합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실내기 본체(200)내의 기판에 실장되는 내부버튼(택스위치)(202a)이 상기 실내기 본체(200)의 외부로 돌출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실내기 본체(200)의 전면부 가장자리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체(204)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1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체(204)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11)를 돌출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배터리 커버(10)에는 버튼홀(12)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홀(12)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10)를 실내기 본체(200)에 결합시 해정버튼(202)을 이루는 외부버튼(202b) 및/또는 내부버튼(202a)에 대한 누름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누름부(13)를 결합 구성하는 한편, 상기 버튼누름부(13)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10)를 실내기 본체(200)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기 버튼누름부(13)에 의한 해정버튼(202)의 외부버튼(202b) 및/또는 내부버튼(202a)에 대한 누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텐션부(14)를 형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버튼누름부(13)는 배터리 커버(10)의 전면측에 노출되는 제 1 플레이트(13a)와, 상기 배터리 커버(10)의 후면측에서 걸림되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13a)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13a)의 크기보다 크게 설계되는 제 2 플레이트(13b)가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텐션부(14)는 배터리 커버(10)의 후면측에 고정되는 고정부(14a)와, 상기 고정부(14a)와 상기 제 2 플레이트(13b)를 연결하여 상기 제 1,2 플레이트(13a)(13b)의 누름에 따른 유동을 지지 및 안내하는 텐션로드(14b)가 포함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10)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실내기 본체(200)에 마련되는 배터리 수납부(201)와 해정버튼(202)의 외부버튼(202b) 및/또는 내부버튼(202a)을 동시에 덮어 보호함으로써, 실내기 본체(200)에 대한 디자인 측면에서의 심플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실내기 본체(200)에 배터리 커버(1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10)에 형성되는 제 1,2 플레이트(13a)(13b)로 이루어지는 버튼누름부(13)를 누름으로써, 상기 배터리커버(10)에 의해 보호되는 해정버튼(202)의 외부버튼(202b) 및/또는 내부버튼(202a)에 대한 누름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버튼누름부(13)의 제 1 플레이트(13a)에 대한 누름 압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제 1,2 플레이트(13a)(13b)는 텐션부(14)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리턴되지만, 상기 제 2 플레이트(13b)에 의해 상기 제 1 플레이트(13a)는 상기 배터리 커버(10)의 버튼홀(12)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반면, 상기 배터리 수납부(202)에 수납되는 배터리 교체를 위해, 상기 실내기 본체(200)로부터 상기 배터리 커버(10)를 분리시킬 때, 상기 배터리 커버(10)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13b)에 텐션로드(14a)를 통해 연결되는 고정부(14a)를 포함하는 텐션부(14)의 텐션작용으로부터, 상기 해정버튼(202)을 이루는 외부버튼(202b) 및/또는 내부버튼(202a)에는 누름압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배터리 커버(10)는 상기 실내기 본체(200)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배터리 커버(10)와 실내기 본체(200)는 결합돌기(11)와 결합체(204)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배터리 커버(10)를 실내기 본체(20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 상기 배터리 커버(10)는 슬라이드 방식 즉, 위로 밀어올리는 방식으로 그 분리가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분리동작에서 해정버튼(202)을 이루는 외부버튼(202b) 및/또는 내부버튼(202a)과 버튼누름부(13)를 구성하는 제 2 플레이트(13b)의 사이에는 일정갭이 존재하므로, 상기 배터리 커버(10)가 분리될 때 상기 해정버튼(202)을 이루는 외부버튼(202b) 및/또는 내부버튼(202a)에 대한 누름은 발생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배터리 커버(10)를 분리시킬 때 해정버튼(202)을 이루는 외부버튼(202b) 및/또는 내부버튼(202a)의 누름에 따른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이는 배터리 커버(10)에 누름텐션부(20)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누름텐션부(20)는 상기 배터리커버(10)를 제작할 때, 일단이 상기 배터리커버(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커버(10)의 슬롯홀(21)에서 자유롭게 텐션작용하여 상기 해정버튼(202)을 이루는 외부버튼(202b) 및/또는 내부버튼(202a)을 사용자가 누를 수 있지만, 상기 배터리 커버(10)가 실내기 본체(200)로부터 슬라이드 방식으로 분리될 때에는 텐션작용하면서 상기 해정버튼(202)을 이루는 외부버튼(202b) 및/또는 내부버튼(202a)에 대한 누름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 것이며,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배터리 커버 11; 결합돌기
12; 버튼홀 13; 버튼누름부
13a,13b; 제 1,2 플레이트 14; 텐션부
14a; 고정부 14b; 텐션로드
20; 누름텐션부 100; 실외기 본체
200; 실내기 본체 201; 배터리 수납부
202; 해정버튼 202a; 내부버튼(택스위치)
202b; 외부버튼 203; 회전레버
204; 결합체

Claims (7)

  1. 도어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전면부에 배터리 수납부와, 모티스락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한 해정버튼 및 회전레버를 구성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기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실내기 본체의 전면부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와 상기 해정버튼을 동시에 덮어 보호하는 하나의 배터리 커버가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해정버튼은 실내기 본체내의 기판에 실장되는 내부버튼(택스위치)에 실내기 본체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되는 외부버튼이 결합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실내기 본체내의 기판에 실장되는 내부버튼(택스위치)이 상기 실내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본체의 전면부 가장자리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체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체와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버튼홀을 형성하고,
    상기 버튼홀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실내기 본체에 결합시 해정버튼에 대한 누름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누름부를 결합 구성하며,
    상기 버튼누름부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실내기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기 버튼누름부에 의한 해정버튼의 누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텐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누름부는 배터리 커버의 전면측에 노출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배터리 커버의 후면측에서 걸림되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크기보다 크게 설계되는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배터리 커버의 후면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상기 제 1,2 플레이트의 누름에 따른 유동을 지지 및 안내하는 텐션로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실내기 본체에 결합시 해정버튼에 대한 누름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배터리 커버를 실내기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상기 해정버튼의 누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누름텐션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
KR2020110009174U 2011-10-14 2011-10-14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 KR200465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74U KR200465832Y1 (ko) 2011-10-14 2011-10-14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74U KR200465832Y1 (ko) 2011-10-14 2011-10-14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832Y1 true KR200465832Y1 (ko) 2013-03-12

Family

ID=5135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174U KR200465832Y1 (ko) 2011-10-14 2011-10-14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83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504B1 (ko) 2017-12-22 2018-09-12 (주)성광유니텍 자력과 압저항을 이용하여 잠금 상태와 외부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창문 잠금장치와 잠금장치 시스템
KR101897507B1 (ko) * 2017-12-22 2018-10-29 (주)성광유니텍 압저항을 이용하여 외부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창문 잠금장치와 잠금장치 시스템
KR20190053724A (ko) * 2017-11-10 2019-05-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086A (ko) * 2010-06-23 2011-02-10 송한승 이동전화기 배터리 커버의 보호 장치
KR101071198B1 (ko) * 2011-05-12 2011-10-10 밀레시스텍(주) 밸런스 타입 배터리 수납부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086A (ko) * 2010-06-23 2011-02-10 송한승 이동전화기 배터리 커버의 보호 장치
KR101071198B1 (ko) * 2011-05-12 2011-10-10 밀레시스텍(주) 밸런스 타입 배터리 수납부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724A (ko) * 2017-11-10 2019-05-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락
KR102288991B1 (ko) * 2017-11-10 2021-08-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락
KR101897504B1 (ko) 2017-12-22 2018-09-12 (주)성광유니텍 자력과 압저항을 이용하여 잠금 상태와 외부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창문 잠금장치와 잠금장치 시스템
KR101897507B1 (ko) * 2017-12-22 2018-10-29 (주)성광유니텍 압저항을 이용하여 외부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창문 잠금장치와 잠금장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4793B (zh) 用于手腕带的固定装置、手表带、表和手腕带横销
USD621686S1 (en) Lock for a child safety barrier
KR200465832Y1 (ko)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
USD545662S1 (en) Door lock with security key code
US20120139266A1 (en) Top-and-bottom latch structure for lock
US20150014109A1 (en) Luggage Case with Double Lock
US20130091906A1 (en) Zipper Lock
US20130081281A1 (en) Retractable knife with a safety lock
KR101160811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USD915918S1 (en) Security tag with retractable pin
KR200478968Y1 (ko) 푸쉬 핸들의 강제잠금 구조체
KR200475818Y1 (ko)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
CN103998292A (zh) 座间储物箱的门
USD563767S1 (en) Push button rear activating unit for a gate latch assembly
US8967677B2 (en) Anti-intrusion lock
KR200462086Y1 (ko) 미닫이 창문용 버튼가압식 잠금장치
KR102253117B1 (ko) 카드 키를 이용해 수동으로 잠금 해제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
CN202891638U (zh) 一种弹开盖结构
JP2010174545A (ja) サッシ
JP2007152039A5 (ko)
JP4126181B2 (ja) 電気錠の切換えレバーと支持枠との構造
JP3192422U (ja) 開き戸用錠
CN106593141A (zh) 一种拉链锁
JP4460419B2 (ja) 防犯サムターン及びそれに用いる保護キャップ
JP3184984U (ja) 固定式錠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