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818Y1 -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 - Google Patents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818Y1
KR200475818Y1 KR2020130008614U KR20130008614U KR200475818Y1 KR 200475818 Y1 KR200475818 Y1 KR 200475818Y1 KR 2020130008614 U KR2020130008614 U KR 2020130008614U KR 20130008614 U KR20130008614 U KR 20130008614U KR 200475818 Y1 KR200475818 Y1 KR 200475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 insertion
lock
insertion port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호
정태훈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30008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8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8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2Keys with devices for indicating whether the last operation was locking or un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에 관한 것으로서, 자물쇠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열쇠 삽입구와; 상기 열쇠 삽입구와 일 측이 고정결합되고 외면에는 상기 열쇠 삽입구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형성되는 연결 고정구와; 상기 연결 고정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측에는 절개 결합부가 형성되는 걸림구와; 상기 연결 고정구와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 측에는 상기 절개 결합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정·역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열쇠 삽입구와 연결 고정구를 정·역 회전작동시키면서도 상기 표시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작동 결합부가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의 회전작동에 따라 걸림부와 연결 고정구 및 열쇠 삽입구가 연동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자물쇠의 잠금 여부 및 열쇠의 작동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The key capable of confirming the lock or unlock}
본 고안은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쇠의 손잡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자물쇠의 잠금 여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쇠와 자물쇠는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자동전자장치에 의한 자물쇠가 개발되어 열쇠가 없는 자물쇠의 사용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술이 발전되어 다양한 형태의 잠금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종래의 수동식 타입의 암수 구조로 이루어진 열쇠와 자물쇠로 구성된 잠금장치는 여전히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종래의 수동식 잠금장치인 열쇠와 자물쇠를 이용하는 경우, 이용자는 항상 열쇠를 가지고 다니면서 문이나 기타 필요한 곳에 채워진 자물쇠를 잠금해제하거나 사용 후 다시 잠궈 놓고 있지만, 인구 고령화와 바쁜 현대 생활에 쫓기어 살아가는 많은 사람이 열쇠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자물쇠를 잠갔는지 아니면 잠그지 않았는지 잊어버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어, 이로 인해 많은 불편이 야기되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이용자에 따라 천차만별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크고 작은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되므로 이를 예방하거나 사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수동식 열쇠를 사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열쇠잠금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고안이나 발명이 안출된 바 있다.
종래에 안출된 열쇠의 잠금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실용신안공개번호 2001-324호의 ‘록킹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열쇠’와 특허공개 2003-68023호의 ‘열쇠의 수동식 잠금 확인방법’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 안출된 잠금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열쇠는 그 구성과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과 생산성이 떨어지고, 실용성과 내구성이 약하며 장기간 사용시 부품의 성능저하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6802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잡이의 회전작동에 따라 걸림부와 연결 고정구 및 열쇠 삽입구가 연동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자물쇠의 잠금 여부 및 열쇠의 작동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손잡이, 걸림부, 연결 고정구, 열쇠 삽입구를 분리구성하여 손상이나 교체시 해당되는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물쇠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열쇠 삽입구와; 상기 열쇠 삽입구와 일 측이 고정결합되고 외면에는 상기 열쇠 삽입구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형성되는 연결 고정구와; 상기 연결 고정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측에는 절개 결합부가 형성되는 걸림구와; 상기 연결 고정구와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 측에는 상기 절개 결합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정·역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열쇠 삽입구와 연결 고정구를 정·역 회전작동시키면서도 상기 표시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작동 결합부가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쇠 삽입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전, 후면 길이방향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 홈과 잠금 공이 형성되고, 일 측 끝단에는 상기 연결 고정구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고정구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는 열쇠 삽입구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하부 수직 방향에는 끼움 결합홈이 형성되고, 외면 일 측에는 열쇠 삽입구의 작동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구는 원통 형상으로 일 측에는 일부 절단되는 절개 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부 내면 중앙에는 끼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고정구와 걸림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의 회전작동에 따라 걸림부와 연결 고정구 및 열쇠 삽입구가 연동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자물쇠의 잠금 여부 및 열쇠의 작동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 걸림부, 연결 고정구, 열쇠 삽입구를 분리구성하여 손상이나 교체시 해당되는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부품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본원고안인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10)는 자물쇠에 삽입되는 열쇠 삽입구(20)와, 상기 열쇠 삽입구(20)와 결합되는 연결 고정구(30)와, 상기 연결고정구(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구(40)와, 상기 연결 고정구(3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정·역 회전작동을 통해 걸림구(40)를 회전작동시키면서 열쇠 삽입구(20)를 회전작동시키는 손잡이(5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고정구(30)와 걸림구(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자물쇠에 삽입되는 열쇠 삽입구(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전, 후면 길이방향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 홈(22)과 잠금 공(24)이 형성되고, 일 측 끝단에는 상기 연결 고정구(30)와 결합되는 돌출부(26)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열쇠 삽입구(20)는 자물쇠에 삽입되고 전, 후면에 형성되는 잠금 홈(22)과 잠금 공(24)의 인식 및 회전작동을 통해 자물쇠를 잠금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6)는 소정구간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결 고정구(30)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고정구(3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열쇠 삽입구(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열쇠 삽입구(20)와 결합되는 연결 고정구(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는 열쇠 삽입구(20)의 돌출부(26)와 결합되는 결합홈(32)이 형성되며, 하부 수직 방향에는 끼움 결합홈(34)이 형성되고, 외면 일 측에는 열쇠 삽입구(20)의 작동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3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 고정구(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일 측에 열쇠 삽입구(20)의 돌출부(26)와 결합되는 결합홈(32)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끼움 결합홈(34)을 형성하며, 외면에는 열쇠 삽입구(20)의 작동 여부를 나타낸 표시부(36)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끼움 결합홈(32)은 " T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표시부(36)는 각종 문자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상기 연결고정구(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구(40)는 원통 형상으로 일 측에는 일부 절단되는 절개 결합부(42)가 형성되고 하부 내면 중앙에는 끼움 돌기(44)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구(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 결합부(42)를 형성하면서 하부 내면 중앙으로 끼움 돌기(44)를 소정구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끼움 돌기(44)는 끼움 결합홈(32)와 대응되는 " T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 고정구(3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정·역 회전작동을 통해 걸림구(40)를 회전작동시키면서 열쇠 삽입구(20)를 회전작동시키는 손잡이(50)는 연결 고정구(30)와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일 측에 손잡이 결합홈(51)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사용자의 회전작동을 위한 회전부(52)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결합홈(51)의 상부에는 상기 절개 결합부(42)의 내부에 배치되어 정·역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열쇠 삽입구(20)와 연결 고정구(30)를 정·역 회전작동시키면서도 상기 표시부(36)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작동 결합부(53)가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손잡이(50)는 열쇠 삽입부(20)와 걸림구(40)와 결합된 연결 고정구(30)와 손잡이 결합홈(51)이 결합되면서 상기 회전부(52)의 작동에 따라 작동 결합부(53)가 연동작동하여 상기 열쇠 삽입구(20)와 연결 고정구(30) 및 걸림구(40)를 회전작동시키면서도 상기 표시부(36)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작동 결합부(53)는 절개 결합부(42)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52)의 작동에 따라 정·역 회전작동하여 자물쇠를 고정 또는 폐쇄하면서도 표시부(36)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사용자가 열쇠 삽입구(20)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전, 후면 길이방향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 홈(22)과 잠금 공(24)이 형성되고, 일 측 끝단에는 상기 연결 고정구(30)와 결합되는 돌출부(26)가 일체로 형성되는 열쇠 삽입구(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열쇠 삽입구(20)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는 열쇠 삽입구(20)의 돌출부(26)와 결합되는 결합홈(32)이 형성되며, 하부 수직 방향에는 " T "자 형상의 끼움 결합홈(34)이 형성되고, 외면 일 측에는 열쇠 삽입구(20)의 작동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36)가 형성되는 연결 고정구(30)와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 고정구(30)의 외면에는 원통 형상으로 일 측에는 일부 절단되는 절개 결합부(42)가 형성되고 하부 내면 중앙에는 끼움 결합홈(34)와 끼움 결합되는 " T "자 형상의 끼움 돌기(44)가 형성되는 걸림구(4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고정구(30)에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일 측에 손잡이 결합홈(51)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사용자의 회전작동을 위한 회전부(52)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결합홈(51)의 상부에는 상기 절개 결합부(42)의 내부에 배치되어 정·역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열쇠 삽입구(20)와 연결 고정구(30)를 정·역 회전작동시키면서도 상기 표시부(36)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작동 결합부(53)가 돌출형성되는 손잡이(50)를 장착하면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물쇠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자물쇠에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10)를 구성하는 열쇠 삽입구(2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50)를 구성하는 회전부(52)를 일 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면, 상기 절개 결합부(42)의 내부에 배치된 작동 결합부(53)는 상기 회전부(5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작동하면서 상기 걸림구(40)를 구성하는 절개 결합부(42)의 일 측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 결합부(53)는 연결 고정구(30)의 표시부(36)를 개방함으로써 사용자는 열쇠를 회전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 결합부(53)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은 걸림구(40)를 거쳐 연결 고정구(30)와 열쇠 삽입구(20)에 전달되고 상기 열쇠 삽입구(20)는 자물쇠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물쇠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자물쇠에 열쇠 삽입구(20)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50)를 구성하는 회전부(52)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면, 상기 절개 결합부(42)의 내부에 배치된 작동 결합부(53)는 상기 회전부(5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작동하면서 상기 걸림구(40)를 구성하는 절개 결합부(42)의 반대 측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 결합부(53)는 연결 고정구(30)의 표시부(36)를 폐쇄함으로써 사용자는 열쇠를 회전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 결합부(53)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은 걸림구(40)를 거쳐 연결 고정구(30)와 열쇠 삽입구(20)에 전달되고 상기 열쇠 삽입구(20)는 자물쇠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
20 : 열쇠 삽입구,
30 : 연결 고정구,
40 : 걸림구,
50 : 손잡이.

Claims (5)

  1. 자물쇠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열쇠 삽입구(20)와;
    상기 열쇠 삽입구(20)와 일 측이 고정결합되고 외면에는 상기 열쇠 삽입구(20)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36)가 형성되는 연결 고정구(30)와;
    상기 연결 고정구(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측에는 절개 결합부(42)가 형성되는 걸림구(40)와;
    상기 연결 고정구(30)와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 측에는 상기 절개 결합부(42)의 내부에 배치되어 정·역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열쇠 삽입구(20)와 연결 고정구(30)를 정·역 회전작동시키면서도 상기 표시부(36)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작동 결합부(53)가 돌출형성되는 손잡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쇠 삽입구(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전, 후면 길이방향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 홈(22)과 잠금 공(24)이 형성되고, 일 측 끝단에는 상기 연결 고정구(30)와 결합되는 돌출부(26)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고정구(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는 열쇠 삽입구(20)의 돌출부(26)와 결합되는 결합홈(32)이 형성되며, 하부 수직 방향에는 끼움 결합홈(34)이 형성되고, 외면 일 측에는 열쇠 삽입구(20)의 작동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40)는 원통 형상으로 일 측에는 일부 절단되는 절개 결합부(42)가 형성되고 하부 내면 중앙에는 끼움 돌기(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고정구(30)와 걸림구(4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
KR2020130008614U 2013-10-21 2013-10-21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 KR200475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614U KR200475818Y1 (ko) 2013-10-21 2013-10-21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614U KR200475818Y1 (ko) 2013-10-21 2013-10-21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818Y1 true KR200475818Y1 (ko) 2015-01-05

Family

ID=5258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614U KR200475818Y1 (ko) 2013-10-21 2013-10-21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81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2389A (zh) * 2015-04-22 2015-09-16 汤学年 可转动的错孔开启钥匙
CN108979323A (zh) * 2018-07-23 2018-12-11 杨喜兰 一种防止忘锁门的提醒钥匙
CN111206827A (zh) * 2020-01-18 2020-05-29 张北杏 一种可确认门锁保险栓状态的钥匙
WO2023218461A1 (en) * 2022-05-11 2023-11-16 Arcire Alexandru Lock setting indicating device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362A (ja) * 1994-07-21 1996-02-06 Yukitaka Oida 施錠確認キーホルダー
JPH10121801A (ja) * 1996-10-22 1998-05-12 Tasky Anstalt 状態表示付きの鍵
KR20030068023A (ko) * 2002-02-09 2003-08-19 이호철 열쇠의 수동식 잠금 확인 방법
KR20080047080A (ko) * 2006-11-24 2008-05-28 임지홍 잠금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열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362A (ja) * 1994-07-21 1996-02-06 Yukitaka Oida 施錠確認キーホルダー
JPH10121801A (ja) * 1996-10-22 1998-05-12 Tasky Anstalt 状態表示付きの鍵
KR20030068023A (ko) * 2002-02-09 2003-08-19 이호철 열쇠의 수동식 잠금 확인 방법
KR20080047080A (ko) * 2006-11-24 2008-05-28 임지홍 잠금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열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2389A (zh) * 2015-04-22 2015-09-16 汤学年 可转动的错孔开启钥匙
CN108979323A (zh) * 2018-07-23 2018-12-11 杨喜兰 一种防止忘锁门的提醒钥匙
CN108979323B (zh) * 2018-07-23 2020-06-09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防止忘锁门的提醒钥匙
CN111206827A (zh) * 2020-01-18 2020-05-29 张北杏 一种可确认门锁保险栓状态的钥匙
WO2023218461A1 (en) * 2022-05-11 2023-11-16 Arcire Alexandru Lock setting indicating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0168B1 (en) Tubular pin tumbler lock unit
US7428836B2 (en) Door lock having reinforced strength
KR200475818Y1 (ko) 잠금 여부 표시기능을 구비한 열쇠
US8584495B2 (en) Exchangeable cylinder lock assembly
US7958757B1 (en) Cam lock for a cabinet
US20120279264A1 (en) Padlock with indication device
US6993943B1 (en) Electric Padlock
US20110025075A1 (en) Window tilt latch
US20080016928A1 (en) Interchangeable lock core cylinder
US7581421B2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a support structure to support a tailpiece and a retaining plate
KR200421611Y1 (ko) 도어 손잡이의 잠금핀 구조
JP4509142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200444785Y1 (ko) 좌/우 겸용 도어 잠금 장치
KR20170007038A (ko) 레버캠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US8220300B2 (en) Thin lock
KR101599410B1 (ko) 디지털 도어록의 턴-노브 개폐장치
KR101498259B1 (ko) 잠금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열쇠
US7293439B1 (en) Combination padlock
JP4462553B2 (ja) 鎖錠装置
JP5964218B2 (ja) 平面ハンドル
KR20070107293A (ko)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JP6534323B2 (ja) シリンダー付き非常解錠装置
KR20080047080A (ko) 잠금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열쇠
JP2006288487A (ja) キー変換式錠
JP6559026B2 (ja) 錠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