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549Y1 -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549Y1
KR200464549Y1 KR2020120009140U KR20120009140U KR200464549Y1 KR 200464549 Y1 KR200464549 Y1 KR 200464549Y1 KR 2020120009140 U KR2020120009140 U KR 2020120009140U KR 20120009140 U KR20120009140 U KR 20120009140U KR 200464549 Y1 KR200464549 Y1 KR 200464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vehicle
air
impelle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민형
Original Assignee
나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민형 filed Critical 나민형
Priority to KR2020120009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5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5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5Temperature regulation
    • B60H2001/00178Temperature regulation comprising an air passage from the HVAC box to the exterior of the cab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환기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블로워(20)의 구동모터(21)에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가 원웨이베어링(24,24′)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21)를 정회전시키면 상기 흡기임펠러(22)가 회전되어 실내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실내로 공급하고, 구동모터(21)를 역회전시키면 상기 배기임펠러(23)가 회전되면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환기덕트(10)를 통해 실외로 배출한다.
따라서, 창문을 열지 않고 차량의 실내공기를 외부로 환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냉각수단(30)을 건조시켜 냉각수단(30)을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를 냉각할 때 냉각수단(30)에 맺힌 물방울에 의해 실내의 습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의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환기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내부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되어, 차량에 구비된 가열수단(40) 또는 냉각수단(30)을 이용하여 차량에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이러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일단이 차량의 실내로 개방된 급기덕트(11)와, 상기 급기덕트(11)의 타단에서 분기되어 차량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개방된 실내측 흡기덕트(12)와 실외측 흡기덕트(13)로 구성된 환기덕트(10)와, 상기 급기덕트(11)의 내부에 구비된 블로워(20)와, 상기 급기덕트(11)의 내부에 구비되어 급기덕트(11)를 따라 이송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냉각수단(30) 및 가열수단(40)과, 상기 환기덕트(10)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와 실외측 흡기덕트(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댐퍼(50)와, 블로워(20) 및 개폐댐퍼(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60)로 구성된다.
상기 냉각수단(30)은 차량에 구비된 냉각사이클의 증발기를 이용하며, 상기 가열수단(40)은 차량 엔진의 열을 방출하는 라디에이터를 이용한다.
상기 개폐댐퍼(50)는 상기 제어스위치(60)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는 엑츄에이터가 구비되어, 차량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앉은 사용자가 상기 제어스위치(60)를 조작하여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와 실외측 흡기덕트(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60)를 조작하여 상기 개폐댐퍼(50)에 의해 실내측 흡기덕트(12)와 실외측 흡기덕트(13)중에 어느 하나가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블로워(20)를 작동시키면,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 또는 실외측 흡기덕트(13)를 통해 실내측 또는 실외측의 공기가 흡입되며, 흡입된 공기는 상기 급기덕트(11)를 통해 이송되면서 상기 냉각수단(30) 또는 가열수단(4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후 실내로 배출되어 실내온도를 저하 또는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차량은 일정시간마다 실내공기를 환기시키지 않을 경우,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상승되게 된다.
따라서, 일정시간 마다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바람이 강하게 실내로 유입되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우천 시 또는 매우 춥거나 더운 날에 창문을 열 경우, 비가 실내로 들이치거나 차량의 실내온도가 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온도를 냉각시킬 경우 공기 중의 습기가 응축되어 상기 냉각수단(30), 즉 증발기에 물방울형태로 맺히게 되며, 이와 같이 증발기에 맺힌 물방울에서 증발된 습기가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어 차량 실내의 습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54944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환기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이 차량의 실내로 개방된 급기덕트(11)와, 상기 급기덕트(11)의 타단에서 분기되어 차량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개방된 실내측 흡기덕트(12)와 실외측 흡기덕트(13)로 구성된 환기덕트(10)와, 상기 급기덕트(11)의 내부에 구비된 블로워(20)와, 상기 급기덕트(11)의 내부에 구비되어 급기덕트(11)를 따라 이송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냉각수단(30) 및 가열수단(40)과, 상기 환기덕트(10)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와 실외측 흡기덕트(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댐퍼(50)와, 상기 블로워(20)와 개폐댐퍼(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6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20)는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축(21a)에 구비된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는 서로 역방향으로 공회전되도록 배치된 원웨이베어링(24,24′)에 의해 상기 구동축(21a)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21)가 정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가 상호 교대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스위치(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21)와 개폐댐퍼(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을 더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제어스위치(60)를 조작하여 차량의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모드로 설정하면,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구동모터(21)를 역회전시켜 상기 배기임펠러(23)가 구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댐퍼(50)를 작동시켜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는 폐쇄되고, 상기 실외측 흡기덕트(13)가 개방되도록 하여, 배기임펠러(23)에 의해 상기 급기덕트(11)로 흡입된 차량의 실내공기가 상기 실외측 흡기덕트(13)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단(30)에 구비되어 냉각수단(30) 주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습도측정수단(80)의 신호를 수신하여 냉각수단(30) 주위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구동모터(21)를 역회전시켜 상기 배기임펠러(23)가 구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댐퍼(50)를 작동시켜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는 폐쇄되고 상기 실외측 흡기덕트(13)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급기덕트(11)와 실외측 흡기덕트(13)를 통해 차량의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여 냉각수단(30)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급기덕트(11)는 내부에 상기 흡기임펠러(22)가 구비되는 메인덕트(11a)와, 상기 메인덕트(11a)에서 분기되어 차량의 실내로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임펠러(23)가 구비되는 분기덕트(11b)로 구성되며, 상기 급기덕트(11)에 구비되어 메인덕트(11a)와 분기덕트(1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보조개폐댐퍼(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블로워(20)의 구동모터(21)에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가 원웨이베어링(24,24′)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21)를 정회전시키면 상기 흡기임펠러(22)가 회전되어 실내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실내로 공급하고, 구동모터(21)를 역회전시키면 상기 배기임펠러(23)가 회전되면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환기덕트(10)를 통해 실외로 배출한다.
따라서, 창문을 열지 않고 차량의 실내공기를 외부로 환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냉각수단(30)을 건조시켜 냉각수단(30)을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를 냉각할 때 냉각수단(30)에 맺힌 물방울에 의해 실내의 습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적용되는 원웨이베어링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일단이 차량의 실내로 개방된 급기덕트(11)와, 상기 급기덕트(11)의 타단에서 분기되어 차량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개방된 실내측 흡기덕트(12)와 실외측 흡기덕트(13)로 구성된 환기덕트(10)와, 상기 급기덕트(11)의 내부에 구비된 블로워(20)와, 상기 급기덕트(11)의 내부에 구비되어 급기덕트(11)를 따라 이송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냉각수단(30) 및 가열수단(40)과, 상기 환기덕트(10)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와 실외측 흡기덕트(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댐퍼(50)와, 상기 블로워(20)와 개폐댐퍼(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60)를 포함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제어스위치(60)는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어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앉은 사람이 제어스위치(60)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블로워(20)는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축(21a)에 구비된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스위치(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21)와 개폐댐퍼(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심팬용 임펠러를 이용하며, 원웨이베어링(24,24′)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축(2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흡기임펠러(22)는 정방향(본 실시예의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 또는 실외측 흡기덕트(13)로 공기를 흡입하여 급기덕트(11)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기임펠러(23)은 역방향(본 실시예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차량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외측 흡기덕트(13)를 통해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에 구비된 원웨이베어링(24,24′)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공회전되도록 상기 구동축(21a)에 결합되어, 구동모터(21)가 정회전되면 상기 흡기임펠러(22)가 회전되며, 구동모터(21)가 역회전되면 상기 배기임펠러(23)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원웨이베어링(24,24′)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내륜(24a) 및 외륜(24b)과, 상기 내륜(24a) 및 외륜(24b)의 사이에 구비된 복수개의 베어링핀(24c)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륜(24a) 또는 외륜(24b)에는 상기 베어링핀(24c)이 삽입되는 경사홈(24d)이 형성되어, 내륜(24a)이 일방향(도면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핀(24c)이 경사홈(24d)의 우측으로 밀려 외륜(24b)이 공회전된다.
반대로, 상기 내륜(24a)이 반대방향(도면의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베어링핀(24c)이 경사홈(24d)의 좌측으로 밀려 내륜(24a)과 외륜(24b)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내륜(24a)과 외륜(24b)이 고정되어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흡기임펠러(22)에 구비된 원웨이베어링(2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1)가 정방향(본 실시예의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내륜(24a)과 외륜(24b)이 상호 고정되어 구동축(21a)과 함께 흡기임펠러(22)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상기 배기임펠러(23)에 구비된 원웨이베어링(24′)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1)가 역방향(본 실시예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내륜(24a)과 외륜(24b)이 상호 고정되어 구동축(21a)과 함께 배기임펠러(23)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1)를 시계방향으로 정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임펠러(23)는 공회전되는 상태로 흡기임펠러(22)가 회전되어, 상기 개폐댐퍼(5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 또는 실외측 흡기덕트(13)를 통해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급기덕트(11)를 통해 실내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냉각수단(30) 또는 가열수단(40)을 작동시키면 상기 환기덕트(10)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가 냉각 또는 가열된 후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어 차량의 실내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1)를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기임펠러(22)가 공회전되는 상태에서 배기임펠러(23)가 회전되면서 차량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외측 흡기덕트(13)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냉각수단(30)에 습기가 맺혀 있을 경우, 환기덕트(10)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수단(30)의 습기가 건조된다.
상기 제어유닛(70)은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60)를 조작하면 조작스위치(60)에 의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블로워(20)의 구동모터(21)를 정역회전시키거나, 상기 개폐댐퍼(50)에 구비된 엑츄에이터(51)를 작동시켜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 또는 실외측 흡기덕트(13)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조작스위치(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블로워(20)의 구동모터(21)가 정회전되어 상기 흡기임펠러(22)가 회전되도록 하는 급기모드와, 상기 블로워(20)의 구동모터(21)가 역회전되어 상기 배기임펠러(23)가 회전되도록 하는 배기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70)은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60)를 조작하여 급기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구동모터(21)를 정회전시켜 흡기임펠러(22)가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댐퍼(50)를 제어하여 실내측 흡기덕트(12) 또는 실외측 흡기덕트(13)를 개폐함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외부공기 또는 차량의 실내공기를 흡입된 후 급기덕트(11)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60)를 조작하여 배기모드로 설정을 하면, 상기 제어유닛(70)은 구동모터(21)를 역회전시켜 상기 배기임펠러(23)가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댐퍼(50)를 제어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가 밀폐되고 상기 실외측 흡기덕트(13)가 개방되도록 하여, 배기임펠러(23)에 의해 차량의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실외로 배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블로워(20)의 구동모터(21)에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가 원웨이베어링(24,24′)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21)를 정회전시키면 상기 흡기임펠러(22)가 회전되어 실내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실내로 공급하고, 구동모터(21)를 역회전시키면 상기 배기임펠러(23)가 회전되면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환기덕트(10)를 통해 실외로 배출한다.
따라서, 창문을 열지 않고 차량의 실내공기를 외부로 환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냉각수단(30)을 건조시켜 냉각수단(30)을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를 냉각할 때 냉각수단(30)에 맺힌 물방울에 의해 실내의 습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는 원심용 임펠러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는 축류팬용 임펠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냉각수단(30)의 일측에는 냉각수단(30) 주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수단(80)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습도측정수단(80)의 신호를 수신하여 냉각수단(30) 주위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구동모터(21)를 역회전시켜 상기 배기임펠러(23)가 구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댐퍼(50)를 작동시켜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는 폐쇄시키고, 상기 실외측 흡기덕트(13)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급기덕트(11)와 실외측 흡기덕트(13)를 통해 차량의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습도측정수단(80)은 일반적인 습도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은 상기 냉각수단(30)을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는 상태에서 상기 냉각수단(30) 주위의 습도가 일정수준으로 상승되면, 사용자가 상기 구동모터(21)와 개폐댐퍼(5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자동으로 상기 환기덕트(10)를 통해 차량의 실내공기를 배출하여 냉각수단(30)을 건조시킨다.
따라서, 수동으로 상기 제어스위치(60)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냉각수단(30)에 의해 발생된 습기가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어 차량 실내의 습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급기덕트(11)는 내부에 상기 흡기임펠러(22)가 구비되는 메인덕트(11a)와, 상기 메인덕트(11a)에서 분기되어 차량의 실내로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임펠러(23)가 구비되는 분기덕트(11b)로 구성되며, 상기 급기덕트(11)에는 메인덕트(11a)와 분기덕트(1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보조개폐댐퍼(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분기덕트(11b)는 상기 메인덕트(11a)와 평행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상기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는 블로워(20)의 구동모터(21)에 구비된 구동축(21a)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덕트(11a)와 분기덕트(11b)의 내부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보조개폐댐퍼(14)는 상기 메인덕트(11a)와 분기덕트(11b)의 분기점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구동모터(21)가 정회전되어 흡기임펠러(22)가 작동될 때는 상기 분기덕트(11b)를 밀폐하고, 상기 구동모터(21)가 역회전되어 배기임펠러(23)가 작동될 때는 상기 메인덕트(11a)를 밀폐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가 메인덕트(11a)와 분기덕트(11b)에 각각 구비되어,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의 구동에 따라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흡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 환기덕트 20. 블로워
30. 냉각수단 40. 가열수단
50. 개폐댐퍼 60. 제어스위치
70. 제어수단 80. 습도측정수단

Claims (4)

  1. 일단이 차량의 실내로 개방된 급기덕트(11)와, 상기 급기덕트(11)의 타단에서 분기되어 차량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개방된 실내측 흡기덕트(12)와 실외측 흡기덕트(13)로 구성된 환기덕트(10)와, 상기 급기덕트(11)의 내부에 구비된 블로워(20)와, 상기 급기덕트(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덕트(11)를 따라 이송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냉각수단(30) 및 가열수단(40)과, 상기 환기덕트(10)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와 실외측 흡기덕트(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댐퍼(50)와, 상기 블로워(20)와 상기 개폐댐퍼(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6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20)는: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축(21a)에 구비된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는 서로 역방향으로 공회전되도록 배치된 원웨이베어링(24,24′)에 의해 상기 구동축(21a)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21)가 정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흡기임펠러(22)와 배기임펠러(23)가 상호 교대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스위치(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21)와 개폐댐퍼(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을 더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제어스위치(60)를 조작하여 차량의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모드로 설정하면,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구동모터(21)를 역회전시켜 상기 배기임펠러(23)가 구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댐퍼(50)를 작동시켜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는 폐쇄되고, 상기 실외측 흡기덕트(13)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배기임펠러(23)에 의해 차량의 실내공기가 상기 실외측 흡기덕트(13)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30)에 구비되어 냉각수단(30) 주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습도측정수단(80)의 신호를 수신하여 냉각수단(30) 주위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구동모터(21)를 역회전시켜 상기 배기임펠러(23)가 구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댐퍼(50)를 작동시켜 상기 실내측 흡기덕트(12)는 폐쇄되고 상기 실외측 흡기덕트(13)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급기덕트(11)와 실외측 흡기덕트(13)를 통해 차량의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여 냉각수단(30)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11)는
    내부에 상기 흡기임펠러(22)가 구비되는 메인덕트(11a)와,
    상기 메인덕트(11a)에서 분기되어 차량의 실내로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임펠러(23)가 구비되는 분기덕트(11b)로 구성되며,
    상기 급기덕트(11)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덕트(11a)와 분기덕트(1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보조개폐댐퍼(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20120009140U 2012-10-11 2012-10-11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0464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140U KR200464549Y1 (ko) 2012-10-11 2012-10-11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140U KR200464549Y1 (ko) 2012-10-11 2012-10-11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549Y1 true KR200464549Y1 (ko) 2013-01-08

Family

ID=5371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140U KR200464549Y1 (ko) 2012-10-11 2012-10-11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5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6131A (zh) * 2018-11-20 2020-05-2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通风单元
KR20210010288A (ko) * 2019-07-18 2021-01-27 김우진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899A (ja) * 1993-12-07 1995-06-20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調和機の換気制御装置
KR100665999B1 (ko) * 2006-03-20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KR20070082920A (ko) * 2006-02-20 2007-08-23 홍재호 입체형 블레이드와 구동 드라이브 유닛을 갖는 풍력 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899A (ja) * 1993-12-07 1995-06-20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調和機の換気制御装置
KR20070082920A (ko) * 2006-02-20 2007-08-23 홍재호 입체형 블레이드와 구동 드라이브 유닛을 갖는 풍력 발전 시스템
KR100665999B1 (ko) * 2006-03-20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6131A (zh) * 2018-11-20 2020-05-2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通风单元
KR20210010288A (ko) * 2019-07-18 2021-01-27 김우진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
KR102331628B1 (ko) 2019-07-18 2021-11-29 김우진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3332B2 (en) Heat exchange unit
CN102218986B (zh) 用于成角度主动式百叶窗的挠性驱动元件
JP2015101333A (ja) 車両の前部モジュール
JP5609764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105437918A (zh) 当停放时通风车厢的车辆hvac系统
JP2010100140A (ja) 車両用空調装置
EP3046786A1 (fr) Installation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pour habitacle de véhicule automobile
KR200464549Y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JP2011121430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6675057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4552712B2 (ja) 車両用換気装置
JP4556707B2 (ja) 車両用換気システム
JPS5938109A (ja) 車輛用換気装置
KR20150124243A (ko) 자동차 공기 조화기용 내외기
JP200430685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600792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0167876A (ja) 車両用空調装置
CN110057057B (zh) 空调器的扰流方法
KR101715158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0822627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JP200901256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319291Y1 (ko) 발을 향한 풍향조절수단을 가진 자동차용 공조유니트
KR10217046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33317B1 (ko) 블로워 통풍시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22880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