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628B1 -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628B1
KR102331628B1 KR1020190165475A KR20190165475A KR102331628B1 KR 102331628 B1 KR102331628 B1 KR 102331628B1 KR 1020190165475 A KR1020190165475 A KR 1020190165475A KR 20190165475 A KR20190165475 A KR 20190165475A KR 102331628 B1 KR102331628 B1 KR 102331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air
inlet
indoor
bet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288A (ko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김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진 filed Critical 김우진
Publication of KR20210010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내 및 실외의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내기 유입구, 외기 유입구 및 외기 배출구를 서로 연통시켜 동일한 유로를 공유하도록 하되 체크밸브를 통해 실내외 공기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여 1개의 센서만으로 실내외의 공기질을 모두 측정할 수 있으며, 전기 등의 별도 동력을 사용하지 않는 체크밸브를 통해 실내외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single sensor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내 및 실외의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내기 유입구, 외기 유입구 및 외기 배출구를 서로 연통시켜 동일한 유로를 공유하도록 하되 체크밸브를 통해 실내외 공기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여 1개의 센서만으로 실내외의 공기질을 모두 측정할 수 있으며, 전기 등의 별도 동력을 사용하지 않는 체크밸브를 통해 실내외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주택, 사무실, 지하 공간 등의 실내 공간에서 하루 시간의 대부분을 생활한다. 이처럼 실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에게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은 일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건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인간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쾌적한 실내 환경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실내의 공기는 재실자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산화탄소(CO2)의 함량이 증가한다.
또한 최근 신축 또는 개축 건물에 입주 후 뚜렷한 병명 없이 눈이 따끔거리거나 목이나 코가 아프며, 두통 및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새집증후군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는 주택 건축자재, 가구, 가정용품 등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주로 합판이나 벽지 등의 건축자재, 페인트 및 접착제 등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로 알려져 있다.
한편, 미세먼지에 의한 실외의 대기오염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실외의 대기오염은 실내 공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실내 공기는 한정된 공간 속에서 인공적인 설비를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계속적으로 순환되고 있거나, 공기정화장치 없이 밀폐지역에서 오랫동안 생활함으로써 각종 오염물질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이 그 오염물질의 농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누적되어 점점 그 오염의 정도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내외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미생물, 포름알데히드, 석면, 납 및 미세먼지 등이 공기 안에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산화탄소는 실내에 사람이 모이게 되면 호흡작용에 의해 증가하게 되는데 그 자체에 의하여 중독을 일으키거나 신체장애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두통, 권태, 현기증, 구토, 불쾌감등의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환기의 불량으로 공기의 화학적 조성이 변화하고 온도, 습도 등의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특히 이산화탄소는 빌딩 환기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물질로, 이산화탄소의 농조 증가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와의 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일산화탄소는 무색무미, 무취의 기체로 무연탄과 각종 유류 등 연료의 불환전한 연소로 발생되며 특히 산소의 공급이 부족할 때 그 발생량을 급증시키는데 두통, 구역질, 현기증, 구토 또는 판단력 저하를 가져 올 수 있으며 저산소증에 의한 장기의 손상을 가져 올 수도 있다.
포름알데히드는 혜에 자극을 주고 폐기종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신경계통에 영향을 미칠수도 있으며 석면은 폐암, 소화기계통에 암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외에도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납, 오존, 라돈 등이 실내 공기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외에서 이러한 물질들의 발생이나 유출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감시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왔으나, 물리적으로 떨어진 두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실외 및 실내 공간과 연결되는 감지센서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측정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져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실내외 공기질 측정 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115913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 및 실외의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내기 유입구, 외기 유입구 및 외기 배출구를 서로 연통시켜 동일한 유로를 공유하도록 하되 체크밸브를 통해 실내외 공기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여 1개의 센서만으로 실내외의 공기질을 모두 측정할 수 있으며, 전기 등의 별도 동력을 사용하지 않는 체크밸브를 통해 실내외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는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내기 유입구; 실외 공기를 유입하거나 상기 내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외기 유입구;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를 다시 실외로 배출하는 외기 배출구;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외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감지센서; 상기 내기 유입구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내기 유입 팬; 및 상기 외기 유입구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외기 유입 팬;을 포함하며, 상기 내기 유입구, 상기 외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배출구는 서로 연통되어 동일한 유로를 공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내기 유입구; 실외 공기를 유입하거나 상기 내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외기 유입구;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를 다시 실외로 배출하는 외기 배출구;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외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감지센서; 및 양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내기 유입구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거나 상기 외기 유입구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양방향 회전팬;을 포함하며, 상기 내기 유입구, 상기 외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배출구는 서로 연통되어 동일한 유로를 공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배출구에는 각각 제1체크밸브 및 제2체크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크밸브는 안쪽으로만 열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체크밸브는 바깥쪽으로만 열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는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내기 유입구; 실외 공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구;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 및 실외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에 형성되며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외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감지센서; 상기 내기 유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내기 유입구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내기 유입 팬; 및 상기 외기 유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외기 유입구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외기 유입 팬;을 포함하며, 상기 내기 유입구, 상기 외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서로 연통되어 동일한 유로를 공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유입구 측에는 각각 제1체크밸브 및 제2체크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는 실내 및 실외의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내기 유입구, 외기 유입구 및 외기 배출구를 서로 연통시켜 동일한 유로를 공유하도록 하되 체크밸브를 통해 실내외 공기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1개의 센서만으로 실내외의 공기질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 등의 별도 동력을 사용하지 않는 체크밸브를 통해 실내외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실내외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이 전기 등의 별도 동력이 필요한 장치를 사용할 경우 측정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커져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 않은 체크밸브를 사용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가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할 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가 실외의 공기질을 측정할 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가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할 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가 실외의 공기질을 측정할 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가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할 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가 실외의 공기질을 측정할 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이하 '측정장치'라 함)는 실내측으로는 실내의 공기를 유입하는 내기 유입구(10)가 형성되고 실외측으로는 실외 공기를 유입하거나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외기 유입구(20) 및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를 다시 실외로 배출하는 외기 배출구(30)가 형성되며, 이러한 내기 유입구(10), 외기 유입구(20) 및 외기 배출구(30)는 서로 연통되어 동일한 유로를 공유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측정장치의 내부 유로에는 유입되는 실내외의 공기 중의 오염 가스, 미세 먼지 등을 검출하여 공기질을 측정하는 감지센서(40)와 내기 유입구(10) 또는 외기 유입구(20)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기 위한 내기 유입 팬(50) 및 외기 유입 팬(60)이 형성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측정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가 측정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내기 유입 팬(50) 및 외기 유입 팬(60)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방향 회전팬을 1개만 형성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내기 유입구(10)로 공기로 유입되도록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실외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외기 유입구(20)로 공기로 유입되도록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감지센서(40)를 통해 감지되는 오염가스의 종류로는 일산화탄소(CO) 및 이산화탄소(CO2)를 비롯하여, 이산화질소(NO2),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오존(O3) 등이 있으며, 특수하게 라돈(Rn:radon) 및 포름알데히드(HCHO: Formaldehyde) 등이 있다. 또한 물리적인 공기 오염으로 먼지, 온도 및 습도 등이 포함된다. 위의 가스 중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대표적인 물질로 톨루엔(Toluene), 벤젠(Benzene), 에틸벤젠(Ethylbenzene), 자일렌(Xylene) 및 스티렌(Styrene) 등이 있다.
상기 내기 유입구(10) 및 외기 배출구(30)에는 제1체크밸브(11) 및 제2체크밸브(31)가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크밸브(11)는 내기 유입구(10)에 안쪽으로만 열리도록 형성되어 실내의 공기가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측정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측정장치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작동하며, 제2체크밸브(31)는 외기 배출구(30)에 바깥쪽으로만 열리도록 형성되어 실외의 공기가 외기 배출구(30)를 통해 측정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측정장치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외기 배출구(3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작동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는 설정하기에 따라 항시 작동하거나, 검출을 수행하는 구동 주기 시간과 검출을 미수행하는 휴지 주기 시간으로 구분하여 구동과 휴지를 반복하면서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는 이하 작동 과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실내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에서 내기 유입 팬(50)을 구동시켜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실내의 공기가 제1체크밸브(11)를 안쪽으로 밀면서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후 감지센서(40)쪽으로 이동하여 감지센서(40)를 통과한 후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때, 감지센서(40)는 통과하는 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CO) 및 이산화탄소(CO2), 이산화질소(NO2),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오존(O3), 라돈(Rn:radon), 포름알데히드(HCHO: Formaldehyde) 등의 오염가스 및 미세 먼지의 농도를 검출하게 되는데,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의 양이 많으면 공기 중에 미량의 오염 가스 및 미세 먼지가 존재하더라도 감지센서(40)에서 검출되는 오염 가스 및 미세 먼지의 농도는 높게 검출될 수 있고 반대로,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의 양이 적으면 공기 중에 대량의 오염 가스 및 미세 먼지가 존재하더라도 감지센서(40)에서 검출되는 오염 가스 및 미세 먼지의 농도는 낮게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검출 농도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미도시)에서 내기 유입 팬(50)이 일정한 회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여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일정한 양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외기 유입구(2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내기 유입 팬(50)이 구동하여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제2체크밸브(31)는 음압에 의해 닫히고, 도 2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실내의 공기가 외기 배출구(30) 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내기 유입 팬(50)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 전체가 감지센서(40)를 통과한 후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실외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에서 외기 유입 팬(60)을 구동시켜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실외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실외의 공기가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후 감지센서(40)쪽으로 이동하여 감지센서(40)를 통과한 후 외기 배출구(30) 쪽으로 이동하여 제2체크밸브(31)를 바깥쪽으로 밀면서 실외로 배출되며, 제1체크밸브(11)는 양압에 의해 닫히게 된다. 이때, 감지센서(40)는 통과하는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CO) 및 이산화탄소(CO2), 이산화질소(NO2),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오존(O3), 라돈(Rn:radon), 포름알데히드(HCHO: Formaldehyde) 등의 오염가스 및 미세 먼지의 농도를 검출하게 되는데,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양이 많으면 공기 중에 미량의 오염 가스 및 미세 먼지가 존재하더라도 감지센서(40)에서 검출되는 오염 가스 및 미세 먼지의 농도가 높게 검출될 수 있고 반대로,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의 양이 적으면 공기 중에 대량의 오염 가스 및 미세 먼지가 존재하더라도 감지센서(40)에서 검출되는 오염 가스 및 미세 먼지의 농도가 낮게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검출 농도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미도시)에서 외기 유입 팬(60)이 일정한 회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여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일정한 양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내기 유입구(10)에 형성된 제1체크밸브(11)는 안쪽으로만 열리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의 일부가 내기 유입구(10) 쪽으로 이동하더라도 제1체크밸브(11)가 바깥쪽으로 열리지 않음으로써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지 못하고 되고, 이에 따라 도 3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실외의 공기가 감지센서(40)를 통과한 후 실내로는 배출되지 않고 외기 배출구(30)의 제2체크밸브(31)를 바깥쪽으로 밀면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외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 중 일부가 내기 유입구(10) 쪽으로 이동한 후 제1체크밸브(11)에 막혀 배출되지 못하고 내기 유입구(10)와 인접한 유로에 남아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실내 공기의 공기질 측정을 위해 내기 유입 팬(50)을 가동시킨 초기에는 내기 유입구(10)와 인접한 유로에 남아 있던 일부의 실외 공기가 감지센서(40)를 통과하게 되면서 실외 공기 중의 오염 가스 및 미세 먼지 농도가 감지센서(40)를 통해 측정되어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실외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다시 실내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경우 제어부(미도시)에서 실내 공기의 공기질 측정을 위해 내기 유입 팬(50)을 가동시킨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감지센서(40)가 측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내기 유입 팬(50)의 가동에 의해 내기 유입구(10)와 인접한 유로에 남아 있던 실외 공기를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 후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순수한 실내 공기 중의 오염 가스 및 미세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하여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가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할 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가 실외의 공기질을 측정할 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되,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이하 '측정장치'라 함)는 실내측으로는 실내의 공기를 유입하는 내기 유입구(10)가 형성되고 실외측으로는 실외의 공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구(20) 및 내기 유입구(10)와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출구(30)가 형성되며, 이러한 내기 유입구(10), 외기 유입구(20) 및 배출구(30)는 서로 연통되어 동일한 유로를 공유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측정장치의 배출구(30)에는 유입되는 실내외의 공기 중의 오염 가스, 미세 먼지 등을 검출하여 공기질을 측정하는 감지센서(40)가 형성되고, 내기 유입구(10) 및 외기 유입구(20)에는 각각 실내 및 실외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기 위한 내기 유입 팬(50) 및 외기 유입 팬(60)이 형성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측정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가 측정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기 유입구(10) 및 외기 유입구(20) 측에는 각각 제1체크밸브(11) 및 제2체크밸브(12)가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크밸브(11)는 내기 유입구(10) 측에 측정장치의 내측으로만 열리도록 형성되어 실내의 공기가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측정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실외의 공기가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작동하며, 제2체크밸브(12)는 외기 유입구(20) 측에 측정장치의 내측으로만 열리도록 형성되어 실외의 공기가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측정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실내의 공기가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작동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30)에는 제3체크밸브(13)가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체크밸브(13)는 배출구(30)에 바깥쪽으로만 열리도록 형성되어 내기 유입구(10) 및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측정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 및 실외의 공기가 배출구(3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고, 배출구(30)를 통해 실외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외의 공기가 배출구(30)를 통해 감지센서(40)로 진입하는 것을 막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는 설정하기에 따라 항시 작동하거나, 검출을 수행하는 구동 주기 시간과 검출을 미수행하는 휴지 주기 시간으로 구분하여 구동과 휴지를 반복하면서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는 이하 작동 과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실내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에서 내기 유입 팬(50)을 구동시켜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실내의 공기가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후 제1체크밸브(11)를 측정장치의 내측으로 밀면서 배출구(30)쪽으로 이동하여 감지센서(40)를 통과한 후 제3체크밸브(13)를 바깥쪽으로 밀면서 실외로 배출된다. 이때,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의 공기가 제2체크밸브(12)를 밀면서 제2체크밸브(12)는 닫힌 상태가 되기 때문에, 도 5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실내의 공기가 외기 유입구(20) 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실내 공기 전체가 감지센서(40)를 통과한 후 배출구(3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실외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에서 외기 유입 팬(60)을 구동시켜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실외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실외의 공기가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후 제2체크밸브(12)를 측정장치의 내측으로 밀면서 배출구(30)쪽으로 이동하여 감지센서(40)를 통과한 후 제3체크밸브(13)를 바깥쪽으로 밀면서 실외로 배출된다. 이때,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의 공기가 제1체크밸브(11)를 밀면서 제2체크밸브(11)는 닫힌 상태가 되기 때문에, 도 6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실외의 공기가 내기 유입구(10) 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실외 공기 전체가 감지센서(40)를 통과한 후 배출구(3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내 및 실외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내기 및 외기 유입구(10, 20)를 통해 유입된 실내 및 실외 공기 중 일부가 각각 외기 유입구(20) 및 내기 유입구(10) 쪽으로 이동한 후 제2체크밸브(12) 및 제1체크밸브(11)에 막혀 배출되지 못하고 외기 유입구(20) 및 내기 유입구(10)와 인접한 유로에 남아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실내 및 실외 공기의 공기질 측정을 위해 내기 유입 팬(50) 또는 외기 유입 팬(60)을 가동시킨 초기에는 내기 유입구(10) 및 외기 유입구(20)와 인접한 유로에 각각 남아 있던 일부의 실외 및 실내 공기가 감지센서(40)를 통과하게 되면서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실외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다시 실내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거나 실내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다시 실외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에서 내기 유입 팬(50) 또는 외기 유입 팬(60)을 가동시킨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감지센서(40)가 측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내기 유입구(10) 및 외기 유입구(20)와 인접한 유로에 각각 남아 있던 실외 및 실내 공기를 배출구(3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 후 내기 유입구(10) 및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순수한 실내 및 실외 공기 중의 오염 가스 및 미세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하여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배출구(30)에 바깥쪽으로만 열리는 제3체크밸브(13)를 형성하여 배출구(30)를 통해 실외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외의 공기가 배출구(30)를 통해 감지센서(40)로 진입하는 것을 막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되,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는 내기 유입구(10) 및 외기 유입구(20)로 이어지는 공간을 서로 분리하는 분리벽(60)이 형성되며, 이러한 분리벽(60)에 의해 내기 유입구(10) 및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실내 및 실외 공기가 각각 외기 유입구(20) 및 내기 유입구(10)로 유입되지 않고 바로 배출구(30)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공기질을 측정하는 경우, 체크밸브가 없더라도 내기 유입 팬(50)을 작동하여 내기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는 분리벽(60) 때문에 외기 유입구(20) 쪽으로 유입되지 않고 대부분이 배출구(30)측으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즉, 내기 유입구(10)에서 유입된 실내 공기는 분리벽(60)에 부딪친 후 대부분 배출구(30)로 배출되는 것이며, 분리벽(60)을 타고 넘어서 다시 외기 유입구(20) 측으로 이동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마찬가지 이유로 외기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는 대부분 배출구(30)로 배출되며 내기 유입구(1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은 매우 미미하다. 따라서 별도의 체크밸브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구성이 간소화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는 실내 및 실외의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내기 유입구, 외기 유입구 및 외기 배출구를 서로 연통시켜 동일한 유로를 공유하도록 하되 체크밸브를 통해 실내외 공기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여 1개의 센서만으로 실내외의 공기질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 등의 별도 동력을 사용하지 않는 체크밸브를 통해 실내외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실내외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이 전기 등의 별도 동력이 필요한 장치를 사용할 경우 측정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커져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 않은 체크밸브를 사용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내기 유입구
11 : 제1체크밸브
20 : 외기 유입구
30 : 외기 배출구
31 : 제2체크밸브
40 : 감지센서
50 : 내기 유입 팬
60 : 외기 유입 팬
<다른 실시예>
10 : 내기 유입구
11 : 제1체크밸브
12 : 제2체크밸브
13 : 제3체크밸브
20 : 외기 유입구
30 : 배출구
40 : 감지센서
50 : 내기 유입 팬
60 : 외기 유입 팬
<또 다른 실시예>
60 : 분리벽

Claims (5)

  1.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내기 유입구;
    실외 공기를 유입하거나 상기 내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외기 유입구;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를 다시 실외로 배출하는 외기 배출구;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외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감지센서;
    상기 내기 유입구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내기 유입 팬; 및
    상기 외기 유입구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외기 유입 팬;을 포함하며,
    상기 내기 유입구, 상기 외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배출구는 서로 연통되어 동일한 유로를 공유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배출구에는 각각 제1체크밸브 및 제2체크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크밸브는 안쪽으로만 열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체크밸브는 바깥쪽으로만 열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
  2.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내기 유입구;
    실외 공기를 유입하거나 상기 내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외기 유입구;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를 다시 실외로 배출하는 외기 배출구;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외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감지센서; 및
    양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내기 유입구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거나 상기 외기 유입구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양방향 회전팬;을 포함하며,
    상기 내기 유입구, 상기 외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배출구는 서로 연통되어 동일한 유로를 공유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배출구에는 각각 제1체크밸브 및 제2체크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크밸브는 안쪽으로만 열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체크밸브는 바깥쪽으로만 열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
  3. 삭제
  4.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내기 유입구;
    실외 공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구;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 및 실외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에 형성되며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외 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감지센서;
    상기 내기 유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내기 유입구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내기 유입 팬; 및
    상기 외기 유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외기 유입구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외기 유입 팬;을 포함하며,
    상기 내기 유입구, 상기 외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서로 연통되어 동일한 유로를 공유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기 유입구, 상기 외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 측에는 각각 제1체크밸브, 제2체크밸브 및 제3체크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크밸브 및 상기 제2체크밸브는 안쪽으로만 열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체크밸브는 바깥쪽으로만 열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
  5. 삭제
KR1020190165475A 2019-07-18 2019-12-12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 KR102331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010 2019-07-18
KR20190087010 2019-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288A KR20210010288A (ko) 2021-01-27
KR102331628B1 true KR102331628B1 (ko) 2021-11-29

Family

ID=7423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475A KR102331628B1 (ko) 2019-07-18 2019-12-12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005B1 (ko) * 2021-02-22 2022-09-02 주식회사 에어핏 실내외 공기질 측정 및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90998B1 (ko) 2021-11-04 2023-10-19 주식회사 엘텍 광학식 산소 측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1866A (ja) 2006-10-20 2008-05-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200464549Y1 (ko) 2012-10-11 2013-01-08 나민형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5913A (ko) * 2016-04-10 2017-10-18 (주)공존연구소 실내외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IoT 자동환기장치
KR20180060306A (ko) * 2016-11-28 2018-06-07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먼지 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1866A (ja) 2006-10-20 2008-05-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200464549Y1 (ko) 2012-10-11 2013-01-08 나민형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288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8522B2 (en) Ventilation system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HVAC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process thereof
KR102331628B1 (ko) 실내외 공기질 단일센서 측정장치
WO2018018989A1 (zh) 一种双循环式新风系统和新风机
RU2595288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наружения газа
KR101505022B1 (ko) 공기 오염 검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50298B1 (ko) 창호 탈부착형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CN202693567U (zh) 用于室内环境装饰装修材料有害物质检测的环境测试舱
MY143255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2000707B1 (ko)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KR20180045896A (ko)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KR102159458B1 (ko)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KR200388903Y1 (ko) 내기의 열효율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환기시스템
KR20170089046A (ko) 환기 장치 및 환기 시스템
JP4796584B2 (ja) 抗原曝露室システム
CN204787019U (zh) 通风设备
KR102147799B1 (ko) 천장 매립형 공기청정기
KR102057600B1 (ko)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KR20190063681A (ko) 급속 환기 댐퍼를 갖는 전열교환기
FR3097031A1 (fr) systeme de contrôle de la qualité de l’air dans un espace intérieur
CN205939530U (zh) 高效新风净化机
KR20200036141A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20170089047A (ko) 환기 시스템
Zhang et al. Experimental Study on PM2. 5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ilter Units in Enclosed Environments
KR20220089826A (ko)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
KR20220039196A (ko) 창문형 환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