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103Y1 - 융착유닛을 교체할 수 있는 융착 장치 - Google Patents

융착유닛을 교체할 수 있는 융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103Y1
KR200464103Y1 KR2020100007557U KR20100007557U KR200464103Y1 KR 200464103 Y1 KR200464103 Y1 KR 200464103Y1 KR 2020100007557 U KR2020100007557 U KR 2020100007557U KR 20100007557 U KR20100007557 U KR 20100007557U KR 200464103 Y1 KR200464103 Y1 KR 200464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unit
fusion unit
storag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896U (ko
Inventor
김재경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7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10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8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1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7Auxiliary operation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Abstract

융착유닛을 교체할 수 있는 융착 장치가 제공된다. 본 융착 장치는, 제1 융착유닛이 장착되는 융착부 및 제2 융착유닛이 보관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보관부를 포함하며, 융착부에 장착된 제1 융착유닛은 보관부로 이송되어 보관 가능하고, 보관부에 보관된 제2 융착유닛은 융착부로 이송되어 장착가능하다. 이에 의해, 하나의 융착 장치로 융착유닛을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다품종 소량 생산시에 비용, 공간, 유지/관리의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융착유닛을 교체할 수 있는 융착 장치{Fusion apparatus having changable fusion units}
본 고안은 융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내장 부품 제조에 필요한 융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융착 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융착 장치(10)에는 융착유닛 상부(31-1)와 융착유닛 하부(31-2)로 구성되는 융착유닛(31)이 장착되어 있다.
융착 장치(10)는 융착유닛(31)을 이용하여 도어 트림(21)에 대해 융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융착유닛(31)에 따라 융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도어 트림은 사양은 한정된다.
즉, A사양 도어 트림(21)에 대해 융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융착유닛(31)으로, B사양 도어 트림에 대해 융착 공정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B사양 도어 트림에 대한 융착 공정을 위해서는, B사양 도어 트림에 대해 융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융착유닛이 장착된 별도의 융착 장치를 확보하여야 한다.
이에 따르면, 자동차 내장재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해당 차종의 사양별로, 융착 장비를 각각 확보할 것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소품종을 대량 생산하는 라인에서는 적합하지만, 다품종을 소량 생산 라인에서는 비용, 공간, 유지/관리의 부담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품종 소량 생산시에 비용, 공간, 유지/관리의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융착 장치로, 융착유닛을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융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융착 장치는, 제1 융착유닛이 장착되며, 장착된 제1 융착유닛으로 융착 공정을 수행하는 융착부; 및 제2 융착유닛이 보관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보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융착부에 장착된 상기 제1 융착유닛은 상기 보관부로 이송되어 보관 가능하고,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제2 융착유닛은 상기 융착부로 이송되어 장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융착유닛이 상기 보관부로 이송되어 보관되면, 상기 제2 융착유닛이 상기 융착부로 이송되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융착부는, 상면에 상기 제1 융착유닛이 장착되는 장착대;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는, 상면에 상기 제2 융착유닛이 보관되며,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한 보관대; 및 상승된 상기 보관대에 보관된 상기 제2 융착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에 상기 제2 융착유닛이 고정되면, 상기 보관대는 하강된 후 상기 장착대에 장착된 상기 제1 융착유닛을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 상기 제2 융착유닛이 고정되면, 상기 보관대는 상면의 높이가 상기 장착대 상면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관대에 상기 제1 융착유닛이 전달되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었던 상기 제2 융착유닛이 상기 고정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제1 융착유닛 위에 적층되고, 상기 보관대는 상기 제2 융착유닛이 직선 이동을 통해 상기 장착대로 이동가능한 높이로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대가 상기 제2 융착유닛이 직선 이동을 통해 상기 장착대로 이동가능한 높이로 하강한 후에, 상기 제2 융착유닛은 상기 장착대로 이송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융착 장치로 융착유닛을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다품종 소량 생산시에 비용, 공간, 유지/관리의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융착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융착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착 장치의 정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착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착 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융착 장치는 '이미 장착된 융착유닛'을 '다른 종류의 융착유닛'으로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A사양 도어 트림들에 대한 융착 공정과 B사양의 도어 트림들에 대한 융착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융착 장치는, A사양 도어 트림에 적합한 융착유닛으로 융착 공정을 수행한 후에, B사양 도어 트림에 적합한 융착유닛으로 교체하여 나머지 융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융착 장치는 도어 트림 사양에 적합한 융착유닛으로 교체하면서 융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융착 장치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 융착유닛, 즉 장착되지 않은 융착유닛을 보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융착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부(100)와 보관부(200)를 구비한다.
융착부(100)에는 융착유닛이 장착되며, 융착부(100)은 장착된 이 융착유닛을 이용하여 도어 트림에 대해 융착 공정을 수행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현재 융착부(100)에는 A사양 도어 트림(410)에 대한 융착 공정을 위한 A사양 융착유닛(310)이 장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융착부(100)는 장착된 A사양 융착유닛(310)으로 A사양 도어 트림(410)에 대한 융착 공정을 수행한다.
보관부(200)는 융착유닛이 보관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보관부(200)에는 융착유닛이 보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현재 보관부(200)에는 B사양 도어 트림에 대한 융착 공정을 위한 B사양 융착유닛(320)이 보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융착부(100)에 장착되어 있는 A사양 융착유닛(310)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융착 공정에 이용할 융착유닛이다. 반면, 보관부(200)에 보관되어 있는 B사양 융착유닛(320)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융착 공정이 아닌, 추후에 수행할 융착 공정에 이용하기 위해 보관되어 있는 융착유닛이다.
융착부(100)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A사양 융착유닛(310)은 보관부(200)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보관부(200)에 보관된 B사양 융착유닛(320)은 융착부(100)에 장착될 수 있다.
융착부(100)에서의 융착유닛 장착과 보관부(200)에서의 융착유닛 보관은 교환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융착부(100)에 장착된 A사양 융착유닛(310)을 보관부(200)로 이송하여 보관하면서, 보관부(200)에 보관된 B사양 융착유닛(320)을 융착부(100)로 이송하여 장착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부(100)는, 융착부 프레임(110), 상부 슬라이드(120), 융착유닛 상부 고정 클램프(130), 융착유닛 하부 고정 클램프(140), 에어/전기 단자(150) 및 융착유닛 하부 장착대(160)를 구비한다.
상부 슬라이드(120)는 A사양 융착유닛 상부(310-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수단이다.
융착유닛 상부 고정 클램프(130)는 A사양 융착유닛 상부(310-1)를 상부 슬라이드(120)에 고정시키는 수단이고, 융착유닛 하부 고정 클램프(140)는 A사양 융착유닛 하부(310-2)를 융착유닛 하부 장착대(160)에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에어/전기 단자(150)는 A사양 융착유닛 상부(310-1)로 에어와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융착유닛 하부 장착대(160)는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장착된 A사양 융착유닛(310)으로 융착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와 장착된 A사양 융착유닛(310)을 보관부(200)로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 융착유닛 하부 장착대(160)는 상승하여야 한다.
반면, 장착된 A사양 융착유닛(310)의 A사양 융착유닛 하부(310-2)를 융착유닛 하부 고정 클램프(140)에 고정시키거나 융착유닛 하부 고정 클램프(14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융착유닛 하부 장착대(160)는 하강하여야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200)는, 보관부 프레임(210), 상부 슬라이드(220), 융착유닛 고정부(230), 이송 보조 롤러(240) 및 융착유닛 보관대(250)를 구비한다.
상부 슬라이드(220)는 융착유닛 보관대(25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융착유닛 고정부(230)는 B사양 융착유닛(320)을 융착유닛 보관대(250)와 함께 하강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한편, 도 4에서 B사양 융착유닛(320)은, B사양 융착유닛 상부(320-1)와 B사양 융착유닛 하부(320-2)가 결합되어 합체된 상태이다.
융착유닛 보관대(250)는 B사양 융착유닛(320)이 보관되는 장소이다. 현재,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B사양 융착유닛(320)은 융착유닛 보관대(250)와 분리되어 고정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B사양 융착유닛(320)은 융착유닛 보관대(250) 위에 보관된다.
또한, 융착유닛 보관대(250)는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한데, 이 동작은 융착부(100)에 장착된 융착유닛과 보관부(200)에 보관된 융착유닛을 교체하기 위해 필요하다.
한편, 융착유닛 보관대(250)에는 이송 보조 롤러(240)가 마련되어 있다. 이송 보조 롤러(240)는 융착유닛의 이송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수단이다.
이하에서는, 융착부(100)에 장착된 A사양 융착유닛(310)과 보관부(200)에 보관된 B사양 융착유닛(320)을 교체하는 과정, 즉 1) 융착부(100)에 장착된 A사양 융착유닛(310)을 보관부(200)에 보관하고 2) 보관부(200)에 보관된 B사양 융착유닛(320)을 융착부(100)에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현재 B사양 융착유닛(3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유닛 보관대(250)로부터 분리되어 융착유닛 고정부(23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닌 융착유닛 보관대(250)에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하고, 위 과정에 대한 설명을 시작하겠다.
융착유닛 교체를 위해, 융착부(100)에 A사양 도어 트림(410)이 없는 상태에서, 먼저 A사양 융착유닛 상부(310-1)로부터 에어/전기 단자(150)를 분리시키고, 상부 슬라이드(120)를 하강시킨다.
이때, A사양 융착유닛 상부(310-1)과 A사양 융착유닛 하부(310-2)가 맞닿을 때까지, 상부 슬라이드(120)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A사양 융착유닛 상부(310-1)과 A사양 융착유닛 하부(310-2)를 결합시켜 합체한 후, 융착유닛 상부 고정 클램프(130)과 융착유닛 하부 고정 클램프(140)을 해제시킨다. 이후, 융착유닛 하부 장착대(160)을 상승시켜, 융착유닛 하부 장착대(160) 상면의 높이와 융착유닛 보관대(250) 상면의 높이를 일치시킨다.
한편, 보관부(200)의 상부 슬라이드(220)로 융착유닛 보관대(250)를 상승시킨 후에, 융착유닛 고정부(230)로 융착유닛 보관대(250)에 보관된 B사양 융착유닛(320)을 고정시키고, 상부 슬라이드(220)로 융착유닛 보관대(250)를 하강시킨다. 이때, 융착유닛 보관대(250)의 하강은, 융착유닛 보관대(250) 상면의 높이가 융착유닛 하부 장착대(160) 상면의 높이와 동일해질 때까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융착부(100)의 융착유닛 하부 장착대(160)에 위치한 A사양 융착유닛(310)을 보관부(200)의 융착유닛 보관대(250)로 이송시킨다. 이에 의해, A사양 융착유닛(310)은 보관부(200)의 융착유닛 보관대(250)에 보관되게 된다.
그리고, 융착유닛 고정부(230)에서 B사양 융착유닛(320)을 분리하여, B사양 융착유닛(320)을 A사양 융착유닛(310) 위에 적층시킨다. 이후, 상부 슬라이드(220)로 융착유닛 보관대(250)를 하강시키는데, B사양 융착유닛(320)이 직선 이동에 의해 융착유닛 하부 장착대(160)로 이송가능한 높이로 하강시킨다.
다음, B사양 융착유닛(320)을 융착유닛 하부 장착대(160)으로 이송시켜, B사양 융착유닛(320)을 융착부(100)에 장착하고, 상부 슬라이드(120)를 하강시킨다. 이때, 상부 슬라이드(120)는 B사양 융착유닛(320)의 B사양 융착유닛 상부(320-1)에 맞닿을 때까지 하강시킨다.
이후, 에어/전기 단자(150)를 B사양 융착유닛 상부(320-1)에 연결하고, 융착유닛 하부 장착대(160)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융착유닛 상부 고정 클램프(130)과 융착유닛 하부 고정 클램프(140)로 A사양 융착유닛 상부(310-1)과 A사양 융착유닛 하부(310-2)를 고정한 후, 융착유닛 하부 장착대(160)을 다시 상승시킨다.
이에 의해, 융착부(100)에 장착된 A사양 융착유닛(310)을 보관부(200)에 보관하고 보관부(200)에 보관된 B사양 융착유닛(320)을 융착부(100)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 과정에 의해, 융착부(100)에 장착된 B사양 융착유닛(320)을 보관부(200)에 다시 보관하고, 보관부(200)에 보관된 A사양 융착유닛(310)을 융착부(100)에 다시 장착하려면, 위 과정을 다시 반복하면 된다.
위 실시예에서는, 보관부(200)에 1개의 융착유닛이 보관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보관부(200)에 2개 이상의 융착유닛이 보관되며, 융착부(100)에서는 3개 이상의 융착유닛을 교체하면서 장착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융착부 110 : 융착부 프레임
120 : 상부 슬라이드 130 : 융착 유닛 상부 고정 클램프
140 : 융착 유닛 하부 고정 클램프 150 : 에어/전기 단자
160 : 융착 유닛 하부 장착대 200 : 보관부
210 : 보관부 프레임 220 : 상부 슬라이드
230 : 융착 유닛 고정부 240 : 이송 보조 롤러
250 : 융착 유닛 보관대 310 : A사양 융착 유닛
310-1 : A사양 융착 유닛 상부 310-2 : A사양 융착 유닛 하부
320 : B사양 융착 유닛 320-1 : B사양 융착 유닛 상부
320-2 : B사양 융착 유닛 하부 410 : A사양 도어 트림

Claims (7)

  1. 제1 융착유닛이 장착되며, 장착된 제1 융착유닛으로 융착 공정을 수행하는 융착부; 및
    제2 융착유닛이 보관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보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융착부에 장착된 상기 제1 융착유닛은 상기 보관부로 이송되어 보관 가능하고,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제2 융착유닛은 상기 융착부로 이송되어 장착가능하고,
    상기 융착부는,
    상면에 상기 제1 융착유닛이 장착되는 장착대;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는,
    상면에 상기 제2 융착유닛이 보관되며,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한 보관대; 및
    상승된 상기 보관대에 보관된 상기 제2 융착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융착유닛이 상기 보관부로 이송되어 보관되면, 상기 제2 융착유닛이 상기 융착부로 이송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상기 제2 융착유닛이 고정되면, 상기 보관대는 하강된 후 상기 장착대에 장착된 상기 제1 융착유닛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상기 제2 융착유닛이 고정되면, 상기 보관대는 상면의 높이가 상기 장착대 상면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대에 상기 제1 융착유닛이 전달되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었던 상기 제2 융착유닛이 상기 고정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제1 융착유닛 위에 적층되고,
    상기 보관대는 상기 제2 융착유닛이 직선 이동을 통해 상기 장착대로 이동가능한 높이로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대가 상기 제2 융착유닛이 직선 이동을 통해 상기 장착대로 이동가능한 높이로 하강한 후에, 상기 제2 융착유닛은 상기 장착대로 이송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장치.
KR2020100007557U 2010-07-19 2010-07-19 융착유닛을 교체할 수 있는 융착 장치 KR200464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557U KR200464103Y1 (ko) 2010-07-19 2010-07-19 융착유닛을 교체할 수 있는 융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557U KR200464103Y1 (ko) 2010-07-19 2010-07-19 융착유닛을 교체할 수 있는 융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96U KR20120000896U (ko) 2012-02-08
KR200464103Y1 true KR200464103Y1 (ko) 2012-12-11

Family

ID=4584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557U KR200464103Y1 (ko) 2010-07-19 2010-07-19 융착유닛을 교체할 수 있는 융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1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599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방법
KR20200047114A (ko) * 2018-10-26 2020-05-07 (주)서연오토비전 열융착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융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128B1 (ko) * 2013-08-28 2015-02-10 한일이화 주식회사 열풍융착기의 융착유니트세트 교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599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방법
KR20200047114A (ko) * 2018-10-26 2020-05-07 (주)서연오토비전 열융착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융착 방법
KR102126221B1 (ko) 2018-10-26 2020-06-25 (주)서연오토비전 열융착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96U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28640B (zh) 铝塑膜折边压边装置
EP2711233A3 (en) Power suppl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204688082U (zh) 应用了穿梭车的换电系统
KR200464103Y1 (ko) 융착유닛을 교체할 수 있는 융착 장치
CN204688080U (zh) 用于乘用车车载动力电池换电的穿梭车
CN203751666U (zh) 一种铰链螺丝组装机
CN208132344U (zh) 一种连接管接头的自动组装机
CN203372424U (zh) 一种采血管整理包装机
CN204604294U (zh) 一种汽车零件平板置物架
CN204525868U (zh) 一种快速换模机
CN204486328U (zh) 扣式电池放电机的下料系统
CN205380359U (zh) 元器件的激光焊接设备
CN205150749U (zh) 一种用于自走式暂存机的料框
CN205614902U (zh) 一种全自动剪片机
CN103112609B (zh) 一种线束绑扎辅助器
CN108045754B (zh) 一种储存柜及可对储存柜进行充电的运输机器人
CN201313214Y (zh) 自动烙铁
CN211594155U (zh) 风扇支架生产用附件供料装置的升降机构
CN204135632U (zh) 一种针筒更换机构
CN207624829U (zh) 一种电池支架和端板的快装机构
CN206172473U (zh) 一种ic供料固定装置
CN204361737U (zh) 扣式电池放电机
CN204361205U (zh) 扣式电池放电机的放电系统
CN104476070A (zh) 汽车纵梁前段后横梁总成加工工装
CN104526668B (zh) 一种配套用于电力工程施工抢险车上的组合式工具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