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081Y1 -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081Y1
KR200464081Y1 KR2020120001588U KR20120001588U KR200464081Y1 KR 200464081 Y1 KR200464081 Y1 KR 200464081Y1 KR 2020120001588 U KR2020120001588 U KR 2020120001588U KR 20120001588 U KR20120001588 U KR 20120001588U KR 200464081 Y1 KR200464081 Y1 KR 200464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loc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현
Original Assignee
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현 filed Critical 박지현
Priority to KR2020120001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0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0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바디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착되어 전자기기가 수용된 수용부가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지지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Case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하거나 향상된 심미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에서 통신을 위해서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그 가격이 고가임은 물론 외표면의 특수 처리 등으로 인해 전자기기의 보호를 위한 다양한 수단들이 연구 및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를 휴대하는 경우 그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 바닥면 및 모서리 부분이 다른 물체와 접촉하여 흠집 또는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손의 파지에 의해 부분적인 마모가 초래하는 경우를 방지함은 물론,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양한 조작버튼 또는 키를 보호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여 외형을 보호하도록 하는 다양한 케이스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경우 DMB나 각종 동영상 등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는데, 주로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손으로 휴대하여 시청하거나 탁자 등과 같은 구조물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시청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전자기기를 휴대하여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장시간 시청시 손이나 팔 또는 목 등에 무리가 가중되어 편안한 시청을 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테이블 등과 같은 구조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시각에 일치되도록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없으므로 별도의 소품을 이용하여 지지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탈착공에 거치부재가 구성되어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전자기기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탈착공간에 거치부재 대신 상기 탈착공간을 마감하는 심미감제공부재가 구성되어 케이스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바디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착되어 전자기기가 수용된 수용부가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지지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는, 제1통공과 제2통공이 연결공을 통해 연결되는 탈착공; 상기 제1통공의 좌측변 상하측에 대응되는 바닥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힌지수용홈; 상기 제1통공의 좌측변 중앙부에 대응되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구; 상기 제2통공의 우측변에 대응되는 바닥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파지홈; 및 상기 제2통공의 상하측변 중앙부에 대응되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탈착공의 형상과 폭에 대응되도록 제1바디와 제2바디가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는 거치대; 상기 제1바디의 좌측변에 대응되는 내면에 외면을 향하여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구에 해당 접촉부위가 걸림 지지되는 걸림면; 상기 걸림면의 상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구에 걸림면의 지지시 힌지수용홈에 수용되는 힌지축의 상하측단부가 관통되는 힌지축관통공; 상기 걸림면의 대향부위인 외면에 형성되는 라운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힌지축을 축으로 하여 거치대의 회동시 제1통공의 외측면에 위치된 좌측변 단부가 라운드의 단부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는 방지턱; 상기 제2바디의 상하측변 내면 측에 돌출 형성되어 제2바디가 상기 제1걸림홈에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제2바디의 상하측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제1걸림홈에 걸림 동작시 제2바디의 상하측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바디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결착되어 전자기기가 수용된 수용부에 심미감을 제공하는 심미감제공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1통공과 제2통공이 연결공을 통해 연결되는 탈착공; 상기 제1통공의 좌측변 상하측에 대응되는 바닥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힌지수용홈; 상기 제1통공의 좌측변 중앙부에 대응되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구; 상기 제2통공의 우측변에 대응되는 바닥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파지홈; 상기 제2통공의 상하측변 중앙부에 대응되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걸림홈; 및 상기 제1통공의 상하측변 중앙부에 대응되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미감제공부는, 상기 탈착공을 커버하는 마감캡; 상기 마감캡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탈착공의 좌측변에 끼움 삽입되는 삽탈구; 상기 마감캡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탈착공의 상하측변에 끼움 삽입되는 복수개의 탈착구; 상기 탈착구에 돌출 형성되어 탈착구가 상기 탈착공의 상하측변에 끼움 삽입시 상기 수용부의 제2걸림홈과 제1걸림홈 중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하는 탈착돌기; 및 상기 마감캡의 탈착구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탈착돌기가 해당 걸림홈에 삽입시 또는 삽입 해제시 탈착구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탈착공에 거치부재가 구성되어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전자기기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탈착공간에 거치부재 대신 상기 탈착공간을 마감하는 심미감제공부재가 구성되어 케이스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각각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나타낸 전면 및 배면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있어서 거치부재가 탈착공에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있어서 거치부재에 의한 케이스의 경사조절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있어서 탈착공에 제1 실시예의 거치부재 대신 심미감제공부재가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각각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나타낸 전면 및 배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있어서 거치부재가 탈착공에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있어서 거치부재에 의한 케이스의 경사조절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있어서 탈착공에 제1 실시예의 거치부재 대신 심미감제공부재가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정면을 제외한 바디를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착되어 전자기기가 수용된 수용부(110)가 테이블 등과 같은 바닥면에 올려지는 경우 수용부(110)가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지지하여 사용자의 시각에 전자기기가 일치되도록 하는 거치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10)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바디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 본체에 해당 하는 것으로, 합성수지,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되, 전자기기와 견고한 접촉을 위해 다소의 탄성 또는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110)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정면(디스플레이부)을 제외한 바닥면, 좌측면, 우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의 외형에 대응되는 내형을 가진다. 또한,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면, 좌측면, 우측면, 상측면, 하측면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각종 기능버튼과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이 해당 부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110)는,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면 일측에 후술된 거치부(120)가 회동 가능하게 결착되도록 제1통공(111a)과 제2통공(111b)이 연결공(111c)을 통해 연결되어 'H'자 형상을 가지는 탈착공(111), 상기 제1통공(111a)의 좌측변 상하측에 대응되는 바닥면의 내측면(I)에 소정깊이로 음각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수용홈(112), 상기 제1통공(111a)의 좌측변 중앙부에 대응되는 내측면(I)에, 즉 힌지수용홈(112) 사이의 중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공(111c)을 향하여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구(113), 상기 제2통공(111b)의 우측변에 대응되는 바닥면의 외측면(O)에 소정깊이로 음각 형성되는 피파지홈(115), 상기 제2통공(111b)의 상하측변 중앙부에 대응되는 내측면(I)에 소정깊이로 음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걸림홈(116) 및 상기 제1통공(111a)의 상하측변 중앙부에 대응되는 내측면(I)에 소정깊이로 음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걸림홈(118)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거치부(120)는,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상기 구성부들에 회동 가능하게 결착되어 전자기기가 수용된 수용부(110)가 테이블 등과 같은 바닥면에 올려지는 경우 수용부(110)가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수용부(110)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시각에 전자기기가 일치되도록 하는 거치수단으로, 상기 탈착공(111)의 형상과 폭에 대응되도록 제1바디(121a)와 제2바디(121b)가 연결구(121c)를 통해 연결되어 'H'자 형상을 가지는 거치대(121), 상기 제1바디(121a)의 좌측변에 대응되는 내면(A)에 외면(B)을 향하여 소정깊이로 단차지도록 음각 형성되어 상기 걸림구(113)에 해당 접촉부위가 걸림 지지되는 걸림면(122), 상기 걸림면(122)의 상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구(113)에 걸림면(122)의 지지시 한 쌍의 힌지수용홈(112)에 수용되는 힌지축(123)의 상하측단부가 관통되는 한 쌍의 힌지축관통공(124), 상기 걸림면(122)의 대향부위인 외면(B)에 소정각도의 원호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라운드(125)의 단부에 형성되어 힌지축(123)을 축으로 하여 거치대(121)가 탈착공(111)으로부터 상기 바닥면의 외측면(O)을 향해 회동되는 경우 제1통공(111a)의 외측면(O)에 위치된 좌측변 단부가 라운드(125)의 단부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여 거치대(121)가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126), 상기 제2바디(121b)의 상하측변 내면(A) 측에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거치대(121)가 회동되지 않는 경우 거치대(121)가 탈착공(11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바디(121b)가 상기 제1걸림홈(116)에 걸림되도록 하는 한 쌍의 걸림돌기(127), 상기 걸림돌기(127)가 형성된 제2바디(121b)의 상하측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27)가 제1걸림홈(116)에 걸림 동작시 제2바디(121b)의 상하측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공(128) 및 상기 제2바디(121b)의 우측변에 대응되는 외면(B)에 음각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121)의 회동 동작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피파지홈(115)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제2바디(121b)의 파지 동작이 보다 간편히 이루어지도록 피파지홈(115)에 대응되는 파지홈(129)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거치부(120)에 의하면, 상기 수용부(110)의 탈착공(111)에 거치대(121)가 힌지축(123)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동됨으로써, 전자기기가 수용된 수용부(110)가 테이블 등과 같은 바닥면에 올려지는 경우 사용자의 시각에 전자기기가 일치되도록 하여 편안한 영상 시청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있어서 수용부(110)에 거치부(120)가 결착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거치대(121)의 제1바디(121a)에 형성된 힌지축관통공(124)에 힌지축(123)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관통공(124)이 위치된 걸림면(122)의 해당 부위가 수용부(110)의 탈착공(111)에 형성된 걸림구(113)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힌지축(123)의 상하측 단부가 수용부(110)의 힌지수용홈(112)에 각각 끼워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거치대(121)의 제2바디(121b)에 형성된 걸림돌기(127)가 수용부(110)의 제1걸림홈(116)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여 거치대(121)가 탈착공(11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후, 상기 거치부(120)가 결착된 수용부(110)에 휴대용 전자기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거치부(120)가 소정각도 회동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탈착공(111)이 형성된 수용부(110)의 바닥면 외측면(O)에 형성된 피파지홈(115)과 상기 피파지홈(115)에 대응되는 거치대(121)의 파지홈(129) 사이의 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거치대(121)의 제2바디(121b)가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121)가 수용부(110)의 바닥면 외측면(O) 측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면, 상기 수용부(110)의 제1걸림홈(116)에 걸림 지지된 거치대(121)의 걸림돌기(127)가 걸림돌기(127) 일측에 형성된 탄성공(128)에 따른 탄성에 의해 강제적으로 제1걸림홈(116)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거치대(121)의 제2바디(121b)가 수용부(110)의 외측면(O) 측으로 더 잡아 당겨지게 되면, 거치대(121)의 제1바디(121a)에 형성된 걸림면(122)과 수용부(110)의 걸림구(113)가 상기 힌지축(123)을 축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를 가지게 됨으로써, 거치대(121)는 수용부(110)의 외측면(O)을 향하여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수용부(110)의 탈착공(111) 중 제1통공(111a) 좌측변에 거치대(121)의 제1바디(121a)에 형성된 라운드(125)의 단부에 위치된 방지턱(126)이 걸림 지지되어 수용부(110)가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지지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수용부(1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탈착공(111)에 거치부(120)의 거치대(121)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전자기기를 수용한 수용부(110)가 경사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각에 전자기기의 정면이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용부(110)에 형성된 탈착공(111)에 거치부(120)의 거치대(121)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수용부(110)가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경사 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탈착공(111)에 거치부(120)를 결착하는 대신에, 탈착공(111)을 폐쇄하는 심미감제공부(130)가 수용부(110)와 다른 색상을 가지면서 결착되도록 하여 새로운 심미감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정면을 제외한 바디를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면에 결착되어 전자기기가 수용된 수용부(110)에 심미감을 제공하는 심미감제공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10)는,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심미감제공부(130)는, 상기 수용부(110)의 탈착공(111)에 탈착공(111)을 폐쇄시키도록 결착되어 전자기기가 수용된 수용부(110)에 심미감을 제공하는 폐쇄수단으로, 상기 탈착공(111)을 커버할 수 있도록 'ㅁ'자 형상을 가지는 마감캡(131), 상기 마감캡(131)의 저면(D)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탈착공(111)의 좌측변, 즉, 제1통공(111a)의 좌측변과 제2통공(111b)의 우측변에 끼움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탈구(132), 상기 마감캡(131)의 저면(D)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탈착공(111)의 상하측변 즉, 제1통공(111a)의 상하측변과 제2통공(111b)의 상하측변에 끼움 삽입되는 복수개의 탈착구(133), 상기 탈착구(133)에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탈착구(133)가 상기 탈착공(111)의 상하측변에 끼움 삽입시 상기 수용부(110)의 제2걸림홈(118)과 제1걸림홈(116) 중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하는 탈착돌기(134) 및 상기 마감캡(131)의 탈착구(133)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탈착돌기(134)가 형성된 탈착구(133)가 해당 걸림홈(118,116)에 삽입시 또는 삽입 해제시 상기 탈착구(133)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공(135)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심미감제공부(130)에 의하면, 상기 수용부(110)의 탈착공(111)에 수용부(110)와 다른 색상을 가지는 마감캡(131)이 탈착공(111)을 폐쇄하면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110)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있어서 수용부(110)에 거치부(120)가 결착될 때의 역순 동작에 의해 탈착공(111)이 개방된 상태에서, 마감캡(131)의 삽탈구(132)와 탈착구(133)가 탈착공(111)의 각 측변의 접촉되면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탈착구(133)의 경우 탈착돌기(134)가 수용부(110)의 제2걸림홈(118)과 제1걸림홈(116) 중 대응된 위치의 걸림홈에 각각 강제적으로 끼워져 걸림 지지되는데, 여기서, 상기 탈착구(133)에는 일측에 형성된 탄성공(135)에 의해 탄성이 제공되어 탈착돌기(134)가 해당 걸림홈에 강제적으로 걸림 지지되고, 이를 통하여, 마감캡(131)의 저면(D)은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면 외측면(O)에 접촉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마감캡(131)의 결착 해제는 결착될 때의 역순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수용부(1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탈착공(111)에 심미감제공부(130)의 마감캡(131)이 탈착공(111)을 폐쇄하면서 결착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10)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휴대용 전자기기의 바디를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착되어 전자기기가 수용된 수용부(110)가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지지하는 거치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0)는,
    제1통공(111a)과 제2통공(111b)이 연결공(111c)을 통해 연결되는 탈착공(111);
    상기 제1통공(111a)의 좌측변 상하측에 대응되는 바닥면의 내측면(I)에 형성되는 힌지수용홈(112);
    상기 제1통공(111a)의 좌측변 중앙부에 대응되는 내측면(I)에 형성되는 걸림구(113);
    상기 제2통공(111b)의 우측변에 대응되는 바닥면의 외측면(O)에 형성되는 파지홈(129); 및
    상기 제2통공(111b)의 상하측변 중앙부에 대응되는 내측면(I)에 형성되는 제1걸림홈(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20)는,
    상기 탈착공(111)의 형상과 폭에 대응되도록 제1바디(121a)와 제2바디(121b)가 연결구(121c)를 통해 연결되는 거치대(121);
    상기 제1바디(121a)의 좌측변에 대응되는 내면(A)에 외면(B)을 향하여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구(113)에 해당 접촉부위가 걸림 지지되는 걸림면(122);
    상기 걸림면(122)의 상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구(113)에 걸림면(122)의 지지시 힌지수용홈(112)에 수용되는 힌지축(123)의 상하측단부가 관통되는 힌지축관통공(124);
    상기 걸림면(122)의 대향부위인 외면(B)에 형성되는 라운드(125)의 단부에 형성되어 힌지축(123)을 축으로 하여 거치대(121)의 회동시 제1통공(111a)의 외측면(O)에 위치된 좌측변 단부가 라운드(125)의 단부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는 방지턱(126);
    상기 제2바디(121b)의 상하측변 내면(A) 측에 형성되어 제2바디(121b)가 상기 제1걸림홈(116)에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돌기(127); 및
    상기 걸림돌기(127)가 형성된 제2바디(121b)의 상하측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27)가 제1걸림홈(116)에 걸림 동작시 제2바디(121b)의 상하측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공(1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4. 휴대용 전자기기의 바디를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면에 결착되어 전자기기가 수용된 수용부(110)에 심미감을 제공하는 심미감제공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0)는,
    제1통공(111a)과 제2통공(111b)이 연결공(111c)을 통해 연결되는 탈착공(111);
    상기 제1통공(111a)의 좌측변 상하측에 대응되는 바닥면의 내측면(I)에 형성되는 힌지수용홈(112);
    상기 제1통공(111a)의 좌측변 중앙부에 대응되는 내측면(I)에 형성되는 걸림구(113);
    상기 제2통공(111b)의 우측변에 대응되는 바닥면의 외측면(O)에 형성되는 파지홈(129);
    상기 제2통공(111b)의 상하측변 중앙부에 대응되는 내측면(I)에 형성되는 제1걸림홈(116); 및
    상기 제1통공(111a)의 상하측변 중앙부에 대응되는 내측면(I)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걸림홈(1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미감제공부(130)는,
    상기 탈착공(111)을 커버하는 마감캡(131);
    상기 마감캡(131)의 저면(D)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탈착공(111)의 좌측변에 끼움 삽입되는 삽탈구(132);
    상기 마감캡(131)의 저면(D)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탈착공(111)의 상하측변에 끼움 삽입되는 복수개의 탈착구(133);
    상기 탈착구(133)에 돌출 형성되어 탈착구(133)가 상기 탈착공(111)의 상하측변에 끼움 삽입시 상기 수용부(110)의 제2걸림홈(118)과 제1걸림홈(116) 중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하는 탈착돌기(134); 및
    상기 마감캡(131)의 탈착구(133)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탈착돌기(134)가 해당 걸림홈(118,116)에 삽입시 또는 삽입 해제시 탈착구(133)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공(1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20120001588U 2012-02-29 2012-02-29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64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588U KR200464081Y1 (ko) 2012-02-29 2012-02-29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588U KR200464081Y1 (ko) 2012-02-29 2012-02-29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081Y1 true KR200464081Y1 (ko) 2012-12-10

Family

ID=5371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588U KR200464081Y1 (ko) 2012-02-29 2012-02-29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08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91Y1 (ko) 2013-07-24 2013-10-17 곽찬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0488083Y1 (ko) * 2018-06-26 2018-12-11 김진우 손가락 파지부재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210103345A (ko) * 2020-02-13 2021-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핸드폰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475B1 (ko) 2011-08-02 2011-11-30 전철수 지지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 및 지지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475B1 (ko) 2011-08-02 2011-11-30 전철수 지지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 및 지지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91Y1 (ko) 2013-07-24 2013-10-17 곽찬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0488083Y1 (ko) * 2018-06-26 2018-12-11 김진우 손가락 파지부재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210103345A (ko) * 2020-02-13 2021-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핸드폰 케이스
KR102317025B1 (ko) * 2020-02-13 2021-10-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핸드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348Y1 (ko)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
TWI630340B (zh) 固持裝置
KR101426915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KR101050264B1 (ko) 휴대폰 거치대
KR200464081Y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JP2016161934A (ja) カメラを具備した端末機用据置台
KR200466549Y1 (ko) 단말기용 핑거 홀더
JP2015521925A (ja) 保護具
KR101597196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51725Y1 (ko) 휴대폰용 거치대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KR101364700B1 (ko) 파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753173B1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080037399A (ko) 거치대 일체형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101346572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KR20130007162U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101559317B1 (ko) 손가락 고리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331564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20160129502A (ko) 스트랩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101187793B1 (ko) 거울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1370928B1 (ko)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KR200481933Y1 (ko) 링끼움구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468315Y1 (ko) 커버판넬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JP2020088560A (ja) 携帯端末用アクセサリ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