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348Y1 -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348Y1
KR200453348Y1 KR2020100012940U KR20100012940U KR200453348Y1 KR 200453348 Y1 KR200453348 Y1 KR 200453348Y1 KR 2020100012940 U KR2020100012940 U KR 2020100012940U KR 20100012940 U KR20100012940 U KR 20100012940U KR 200453348 Y1 KR200453348 Y1 KR 200453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roove
multimedia device
protective case
re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철우
Original Assignee
인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철우 filed Critical 인철우
Priority to KR2020100012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3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 게임기, DVD 플레이어 등의 최첨단의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기기용 케이스를 손으로 들고 다닐 경우에 손가락을 하부에 돌출된 링형고리에 끼움으로써, 이동중 케이스의 놓침을 방지함에 따라 멀티미디어기기의 손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는, 멀티미디어기기를 수용하는 하판을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하판의 상면에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된 횡방향의 함몰장홈과; 상기 함몰장홈의 후방인 상기 하판의 하면에 상부로 함몰되게 형성된 고리장착 함몰홈과; 상기 함몰장홈의 중간과 고리장착 함몰홈의 전방을 상호 연결하는 종방향의 연통장홀과; 상기 함몰장홈에 회전되게 장착되고, 중간에는 상기 연통장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종방향의 돌출 회전축이 구비된 힌지축과, 상기 돌출 회전축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 고정되어 상기 고리장착 함몰홈에 회전 이탈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링형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Case of portable multimedia device}
본 고안은 핸드폰, 게임기, DVD 플레이어 등의 최첨단의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기기용 케이스를 손으로 들고 다닐 경우에 손가락을 하부에 돌출된 링형고리에 끼움으로써, 이동중 케이스의 놓침을 방지함에 따라 멀티미디어기기의 손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자 기술의 진보로 인하여 무선통신 단말기(핸드폰), 게임기, DVD 플레이어 등의 최첨단의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에 멀티미디어기기는 다양한 기능의 부가에 따른 전자적 요소로 인하여 내충격성, 방수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고가인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보호 케이스가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 중 핸드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를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97129호의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이하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도 8은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을 수용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배면 상부에 형성되어 힌지공(11a)을 구비하는 힌지부(11)와; 상기 힌지부(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케이스(10)를 경사지게 세워주는 서포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11)는 케이스(10)의 배면 양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20)는 철봉으로 절곡형성되어 양측 상부에는 힌지공(11a)에 끼워지는 힌지핀(21)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의 배면에는 서포트(20)가 끼워지는 요홈(12)과 서포트(20)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13) 및 인출홈(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는, 가정,직장 또는 야외 등에서 핸드폰 케이스를 책상이나 일반 구조물 등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용이하게 세워 놓은 상태에서 핸드폰의 액정화면을 편리하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핸드폰 케이스를 손으로 감싸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핸드폰 케이스를 쉽게 놓침에 따라, 핸드폰이 손상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서포트의 하부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여 핸드폰 케이스를 세우는 과정에서 경사진 상태의 서포트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없음에 따라, 핸드폰 케이스를 세우는 과정에서 서포트의 기울기가 완만하게 변화되어 핸드폰이 수납된 케이스가 눕혀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서포트를 지지하는 힌지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고 서포트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케이스를 사용자가 수취할 경우에 수취감(그립감)이 저하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멀티미디어기기용 케이스를 손으로 들고 다닐 경우에 손가락을 하부에 돌출된 링형고리에 끼움에 따라, 이동중 케이스의 놓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링형고리를 직각으로 돌출시켜 세운 다음 케이스를 경사지게 세워 액정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링형고리와 연결된 힌지축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링형고리가 직각으로 회전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힌지축을 록킹 시킴으로써, 링형고리가 돌출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링형고리가 직각으로 회전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링형고리를 360도로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 케이스를 차량의 전면창이나 인스트루먼트패널 등에 부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는, 멀티미디어기기를 수용하는 하판을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하판의 상면에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된 횡방향의 함몰장홈과; 상기 함몰장홈의 후방인 상기 하판의 하면에 상부로 함몰되게 형성된 고리장착 함몰홈과; 상기 함몰장홈의 중간과 고리장착 함몰홈의 전방을 상호 연결하는 종방향의 연통장홀과; 상기 함몰장홈에 회전되게 장착되고, 중간에는 상기 연통장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종방향의 돌출 회전축이 구비된 힌지축과, 상기 돌출 회전축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 고정되어 상기 고리장착 함몰홈에 회전 이탈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링형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통장홀은, 상기 돌출 회전축이 후방의 수평 및 하부의 수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몰장홈은, 함몰장홈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커버 부착홈과, 상기 커버 부착홈에 부착되어 상기 힌지축을 커버하는 커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축의 회전 각도를 단속하여 힌지축에 구비된 돌출 회전축을 수평이나 수직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힌지축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축 록킹부는,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인 상기 돌출 회전축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된 구형돌기와, 상기 힌지축이 장착되는 함몰장홈의 전방과 상기 힌지축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판의 하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구형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록킹 함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형고리는 상,하로 분리되어 부착을 통해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돌출 회전축의 단부에 형성된 확장축부와, 상기 링형 고리의 전방에 형성되어 돌출 회전축의 확장축부를 포함하는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감싸며 고정되는 확장홈을 포함하는 연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형고리는, 전방에 구비되어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가 구비된 수평부와, 수평부의 양단에서 원호형으로 형성된 원형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장착 함몰홈은, 상기 수평부의 전면이 밀착되고 하단의 모서리부가 라운드부로 형성된 전방 밀착면과, 전방 밀착면의 양측에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형링부의 외주연이 밀착되고 후방에는 인출홈이 형성된 원호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형고리가 케이스의 하판에서 직각으로 회전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링형고리를 부착면에 고정하는 고리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 고정부는, 후판에 구비된 흡착부와, 후판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각각의 내측에는 상기 링형고리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양 탄성판과, 상기 양 탄성판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어 있는 양 브라켓과, 상기 양 브라켓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조임너트를 조임을 통해 양 탄성판의 양측 거리를 좁혀 상기 링형고리를 고정하는 볼트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멀티미지어기기용 보호케이스는, 멀티미디어기기용 케이스를 손으로 들고 다닐 경우에 손가락을 하부에 돌출된 링형고리에 끼움으로써, 이동중 케이스의 놓침을 방지함에 따라 멀티미디어기기의 손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형고리를 직각으로 회전시켜 돌출되게 세운 상태에서 케이스를 경사지게 세워 화면을 시청함으로써, 화면의 시청중 케이스가 눕혀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링형고리와 연결된 힌지축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링형고리가 직각으로 회전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힌지축을 록킹 시킴에 따라 링형고리가 돌출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링형고리가 쉽게 접히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링형고리가 직각으로 회전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링형고리를 360도로 회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손가락을 링형고리에 좀더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보호 케이스를 차량의 전면창이나 인스트루먼트패널 등에 부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 케이스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저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도 5a는 링형고리를 고리장착 함몰홈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링형고리를 직각으로 회전시켜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 케이스를 경사지게 세워 화면을 보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 케이스를 고리 고정부를 통해 연결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b는 고정 상태 사시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 케이스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저부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도 5a는 링형고리를 고리장착 함몰홈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링형고리를 직각으로 회전시켜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는, 핸드폰, 게임기, DVD 플레이어 등의 멀티미디어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1)는 각종 멀티미디어기기(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여러 형태로 구성되는데 통상적으로 하판(11)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는, 상기 하판(11)의 상면에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장홈(2)과, 상기 함몰장홈(2)의 후방인 상기 하판(11)의 하면에 상부로 함몰되게 형성된 고리장착 함몰홈(3)과, 상기 함몰장홈(2)과 고리장착 함몰홈(3)을 상호 연결하는 연통장홀(4)과, 상기 함몰장홈(2)에 회전되게 장착되고 중간에는 상기 연통장홀(4)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종방향의 돌출 회전축(51)이 구비된 힌지축(5)과, 상기 돌출 회전축(51)에 연결부(7)를 통해 연결 고정되어 상기 고리장착 함몰홈(3)에 회전 이탈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링형고리(6)를 포함한다.
즉, 상기 함몰장홈(2)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11)의 상면에 하부로 함몰되게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힌지축(5)이 자체적으로 회전되게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함몰장홈(2)은, 함몰장홈(2)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커버 부착홈(21)과, 상기 커버 부착홈(21)에 부착되어 상기 힌지축(5)의 커버하는 커버판(22)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커버판(22)은 힌지축(5)의 상부를 커버함에 따라 힌지축(5)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리장착 함몰홈(3)은, 도 4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몰장홈(2)의 후방인 상기 하판(11)의 하면에서 상부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링형고리(6)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링형고리(6)는,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는데, 전방에 구비되어 전면(611)과 후면(612)을 포함하는 수평부(61)와, 수평부(61)의 양단에서 원호형으로 형성된 원형링부(6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리장착 함몰홈(3)은, 상기 링형고리(6)를 구성하는 수평부(61)의 전면(611)이 밀착되고 하단의 모서리부가 라운드부(311)로 형성된 전방 밀착면(31)과, 전방 밀착면(31)의 양측에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링형고리(6)의 원형링부(62)의 외주연이 밀착되는 원호형면(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원호형면(32)의 후방에는 손톱을 삽입시켜 링형고리(6)의 후방을 용이하게 인출하는 역할을 하는 인출홈(33)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라운드부(311)은 링형고리(6)가 직각으로 회전되어 돌출될 경우에 힌지축(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통장홀(4)은,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몰장홈(2)의 중간과 고리장착 함몰홈(3)의 전방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하는 것으로, 종방향의 장홀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통장홀(4)은, 상기 돌출 회전축(51)이 후방의 수평 및 하부의 수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출 회전축(51)을 직각으로만 회전되게 단속하는 역할도 함께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축(5)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11)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함몰장홈(2)에 자체적으로 회전되게 횡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5)은 중간의 후방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종방향으로 관통되게 구비된 연통장홀(4)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종방향의 돌출 회전축(5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돌출 회전축(51)은 링형고리(6)의 전방에 연결되어 링형고리(6)와 힌지축(5)을 상호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조작을 링형고리(6)를 직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연동되어 직각으로 회전됨으로써, 돌출 회전축(51)은 링형고리(6)를 직각으로 돌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형고리(6)는,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 회전축(51)에 연결부(7)를 통해 전방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전방에 구비되어 전면(611)과 후면(612)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7)가 구비된 수평부(61)와, 수평부(61)의 양단에서 원호형으로 형성된 원형링부(62)를 포함한다. 따라서 링형고리(6)가 고리장착 함몰홈(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수평부(61)의 전면(611)이 상기 고리장착 함몰홈(3)의 전방에 밀착됨으로써 링형고리(6)의 삽입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링형고리가 고리장착 함몰홈(3)에 직각으로 회전되어 이탈된 상태에서는 수평부(61)의 전면이 상기 케이스(1)의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돌출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형고리(6)는 돌출 회전축(51)과 연결을 위하여 상,하로 분리되게 제조된 후, 접착제의 부착을 통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연결부(7)는, 상기 링형고리(6)의 수평부(61)에 구비되는 것으로, 돌출 회전축(51)의 단부에 형성된 확장축부(71)와, 상기 링형고리(6)의 전방에 형성되어 돌출 회전축(51)의 확장축부(71)를 포함하는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감싸며 고정되는 확장홈(721)을 포함하는 연결홈(7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7)는 링형고리(6)를 360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링형고리(6)가 직각으로 회전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링형고리(6)에 좀 더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는,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5)의 회전 각도를 단속하여 힌지축(5)에 구비된 돌출 회전축(51)을 수평이나 수직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되게 하는 힌지축 록킹부(8)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힌지축 록킹부(8)는, 힌지축(5)의 외주연과 상기 함몰장홈(2)의 전방 및 상기 커버판(22)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축(5)의 외주면인 상기 돌출 회전축(51)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된 구형돌기(81)와, 상기 힌지축(5)이 장착되는 함몰장홈(2)의 전방과 상기 힌지축(5)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판(22)의 하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구형돌기(8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록킹 함몰홈(8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5)이 회전되어 돌출 회전축(51)과 링형고리(6)가 수평상태로 상기 고리장착 함몰홈(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힌지축(5)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형돌기(81)가 함몰장홈(2)의 전방에 형성된 록킹 함몰홈(8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링형고리(6)의 수평 삽입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힌지축(5)이 직각으로 회전되어 돌출 회전축(51)과 링형고리(6)가 수직 상태로 케이스(1)의 하판(11)에서 돌출된 상태에서는, 힌지축(5)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형돌기(81)가 상기 커버판(22)의 하부에 형성된 록킹 함몰홈(8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링형고리(6)의 수직 돌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를 이동중 사용할 경우에는, 고리장착 함몰홈(3)의 후방에 형성된 인출홈(33)에 손톱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여 링형고리(6)의 후방을 하판(11)의 외부로 인출한다.
다음 상기 링형고리(6)를 힌지축(5)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회전시켜 하판(11)의 하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돌출시킨다.
그런 다음 링형고리(6)에 손가락을 관통되게 끼운 다음, 멀티미디어기기를 들고 이동하면서 액정화면을 시청하거나 통화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케이스(1)의 하면에서 돌출된 링형고리(6)에 손가락을 끼워 멀티미디어기기를 이동중에 사용함으로써, 이동중 케이스(1)의 놓침을 방지함에 따라 멀티미디어기기의 손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 케이스를 경사지게 세워 화면을 보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를 책상이나 구조물 등에 경사지게 세워 화면을 시청할 경우에는, 먼저 고리장착 함몰홈(3)의 후방에 형성된 인출홈(33)에 손톱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여 링형고리(6)의 후방을 하판(11)의 외부로 인출한다.
다음 상기 링형고리(6)를 힌지축(5)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링형고리(6)가 하판(11)의 하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이때 링형고리(6)를 구성하는 수평부(61)의 전면(611)과 케이스(1) 하판(11)의 하면이 상호 밀착되게 한다. 즉 상기 링형고리(6)를 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그런 다음 수직 상태의 링형고리(6)의 하부를 책상이나 구조물 등의 설치면에 밀착시키면서 케이스(1)를 경사지게 세움으로써 멀티미디어기기의 화면을 시청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링형고리(6)를 직각으로 회전시켜 돌출시킨 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케이스(1)를 경사지게 세움으로써, 화면의 시청중 케이스(1)가 눕혀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링형고리(6)를 구성하는 수평부(61)의 전면(611)과 케이스(1) 하판(11)의 하면이 상호 밀착되게 함으로써, 화면의 시청중 케이스(1)가 눕혀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 케이스를 고리 고정부를 통해 연결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b는 고정 상태 사시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B-B선 단면도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형고리(6)가 케이스(1)의 하판(11)에서 직각으로 회전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링형고리(6)를 부착면에 고정하는 고리 고정부(9)를 더 포함한다. '
상기 고리 고정부(9)는, 후판(91)에 구비된 흡착부(92)와, 후판(91)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각각의 내측에는 상기 링형고리(6)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형 돌출부(931)가 형성되어 있는 양 탄성판(93)과, 상기 양 탄성판(93)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어 있는 양 브라켓(94)과, 상기 양 브라켓(94)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조임너트(952)를 조임을 통해 양 탄성판(93)의 양측 거리를 좁혀 상기 링형고리(6)를 고정하는 볼트축(95)을 포함한다.
즉 상기 양 탄성판(93)의 구형 돌출부(931)의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진 링형고리(6)를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축(95)에 체결된 조임너트(952)를 조임으로써, 양 탄성판(93)의 사이 간격을 줄임에 따라 링형고리(6)를 상기 고리 고정부(9)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리 고정부(9)의 통해 보호 케이스를 차량의 전면창이나 인스트루먼트패널 등에 부착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케이스
11 : 하판
2 : 함몰장홈
21 : 커버 부착홈
22 : 커버판
3 : 고리장착 함몰홈
31 : 전방 밀착면
311 : 라운드부
32 : 원호형면
33 : 인출홈
4 : 연통장홀
5 : 힌지축
51 : 돌출 회전축
6 : 링형고리
61 : 수평부
611 : 전면, 612 : 후면
62 : 원형링부
7 : 연결부
71 : 확장축부
72 : 연결홈
721 : 확장홈
8 : 힌지축 록킹부
81 : 구형돌기
82 : 록킹 함몰홈
9 : 고리 고정부
91 : 후판
92 : 흡착부
93 : 탄성판
931 : 구형 돌출부
94 : 브라켓
95 : 볼트축
952 : 조임너트
10 : 멀티미디어기기

Claims (9)

  1. 멀티미디어기기(10)를 수용하는 하판(11)을 포함하는 케이스(1)와;
    상기 하판(11)의 상면에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된 횡방향의 함몰장홈(2)과;
    상기 함몰장홈(2)의 후방인 상기 하판(11)의 하면에 상부로 함몰되게 형성된 고리장착 함몰홈(3)과;
    상기 함몰장홈(2)의 중간과 고리장착 함몰홈(3)의 전방을 상호 연결하는 종방향의 연통장홀(4)과;
    상기 함몰장홈(2)에 회전되게 장착되고, 중간에는 상기 연통장홀(4)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종방향의 돌출 회전축(51)이 구비된 힌지축(5)과,
    상기 돌출 회전축(51)에 연결부(7)를 통해 연결 고정되어 상기 고리장착 함몰홈(3)에 회전 이탈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링형고리(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장홀(4)은,
    상기 돌출 회전축(51)이 후방의 수평 및 하부의 수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장홈(2)은,
    함몰장홈(2)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커버 부착홈(21)과,
    상기 커버 부착홈(21)에 부착되어 상기 힌지축(5)을 커버하는 커버판(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5)의 회전 각도를 단속하여 힌지축(5)에 구비된 돌출 회전축(51)을 수평이나 수직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힌지축 록킹부(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록킹부(8)는,
    상기 힌지축(5)의 외주면인 상기 돌출 회전축(51)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된 구형돌기(81)와,
    상기 힌지축(5)이 장착되는 함몰장홈(2)의 전방과 상기 힌지축(5)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판(22)의 하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구형돌기(8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록킹 함몰홈(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고리(6)는 상,하로 분리되어 부착을 통해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7)는, 돌출 회전축(51)의 단부에 형성된 확장축부(71)와, 상기 링형 고리의 전방에 형성되어 돌출 회전축(51)의 확장축부(71)를 포함하는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감싸며 고정되는 확장홈(721)을 포함하는 연결홈(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보호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고리(6)는, 전방에 구비되어 전면(611)과 후면(612)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7)가 구비된 수평부(61)와, 수평부(61)의 양단에서 원호형으로 형성된 원형링부(62)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장착 함몰홈(3)은, 상기 수평부(61)의 전면(611)이 밀착되고 하단의 모서리부가 라운드부(311)로 형성된 전방 밀착면(31)과, 전방 밀착면(31)의 양측에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형링부(62)의 외주연이 밀착되고 후방에는 인출홈(33)이 형성된 원호형면(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고리(6)가 케이스(1)의 하판(11)에서 직각으로 회전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링형고리(6)를 부착면에 고정하는 고리 고정부(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고정부(9)는,
    후판(91)에 구비된 흡착부(92)와,
    후판(91)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각각의 내측에는 상기 링형고리(6)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형 돌출부(931)가 형성되어 있는 양 탄성판(93)과,
    상기 양 탄성판(93)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어 있는 양 브라켓(94)과,
    상기 양 브라켓(94)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조임너트(952)를 조임을 통해 양 탄성판(93)의 양측 거리를 좁혀 상기 링형고리(6)를 고정하는 볼트축(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20100012940U 2010-12-15 2010-12-15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 KR200453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940U KR200453348Y1 (ko) 2010-12-15 2010-12-15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940U KR200453348Y1 (ko) 2010-12-15 2010-12-15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348Y1 true KR200453348Y1 (ko) 2011-04-28

Family

ID=4424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940U KR200453348Y1 (ko) 2010-12-15 2010-12-15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348Y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812B1 (ko) * 2011-08-01 2012-07-25 김태희 핸드폰 케이스의 고리 회전장치
KR101185358B1 (ko) * 2012-04-05 2012-09-21 김정근 거치구를 갖는 손가락 끼움 홀더형 휴대폰 케이스
WO2012178135A2 (en) * 2011-06-24 2012-12-27 Soffer Allan Tod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curing mobile device(s)
KR101256657B1 (ko) * 2011-12-22 2013-04-23 정현출 휴대폰 지지 장치
KR200468949Y1 (ko) * 2011-12-14 2013-09-12 진주하 휴대폰용 파지구
WO2013151324A1 (ko) * 2012-04-03 2013-10-10 Kim Beom Jin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70088Y1 (ko) * 2012-04-03 2013-11-27 김희주 휴대기기 케이스
KR200470116Y1 (ko) * 2012-08-20 2013-11-28 백종덕 거치수단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WO2014168374A1 (ko) * 2013-04-12 2014-10-16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모바일 기기의 액세서리 및 이를 갖는 모바일 기기의 차량 장착 장치
KR101485921B1 (ko) 2013-04-11 2015-01-26 이남진 큰 화면을 한손으로 휴대하면서 터치 구동이 가능한 스마트폰 커버
KR101510422B1 (ko) * 2013-08-20 2015-04-10 김영근 고리걸개를 가진 핸드폰 케이스
KR101510449B1 (ko) * 2013-07-26 2015-04-10 김영근 고리를 가진 핸드폰 케이스
JP2018508717A (ja) * 2015-01-06 2018-03-29 チャン、ジン テJANG, Jin Tae マウント部材
KR20180052915A (ko) * 2016-11-11 2018-05-21 김건희 휴대폰케이스 겸 거치대
CN108900681A (zh) * 2018-07-12 2018-11-27 王认认 一种多功能手机壳
KR200488626Y1 (ko) 2018-09-20 2019-02-28 김진우 로터리 휴대폰 케이스
KR20190102892A (ko) * 2018-02-27 2019-09-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90062Y1 (ko) 2019-01-24 2019-11-04 전형우 핑거링 액세서리 및 이를 구비한 케이스
CN110495690A (zh) * 2018-06-30 2019-11-2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平板电脑收容装置及平板电脑收容组件、仪表板
US10627046B1 (en) 2018-09-28 2020-04-21 Aauxx Usa, Inc. Detachable ring holder, compatible with wireless charging, for smartph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216Y1 (ko) 2005-06-27 2005-09-21 이호상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KR200397129Y1 (ko) 2005-07-04 2005-09-29 이호상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216Y1 (ko) 2005-06-27 2005-09-21 이호상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KR200397129Y1 (ko) 2005-07-04 2005-09-29 이호상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8135A2 (en) * 2011-06-24 2012-12-27 Soffer Allan Tod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curing mobile device(s)
WO2012178135A3 (en) * 2011-06-24 2013-02-28 Soffer Allan Tod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curing mobile device(s)
KR101167812B1 (ko) * 2011-08-01 2012-07-25 김태희 핸드폰 케이스의 고리 회전장치
KR200468949Y1 (ko) * 2011-12-14 2013-09-12 진주하 휴대폰용 파지구
KR101256657B1 (ko) * 2011-12-22 2013-04-23 정현출 휴대폰 지지 장치
WO2013151324A1 (ko) * 2012-04-03 2013-10-10 Kim Beom Jin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70088Y1 (ko) * 2012-04-03 2013-11-27 김희주 휴대기기 케이스
KR101185358B1 (ko) * 2012-04-05 2012-09-21 김정근 거치구를 갖는 손가락 끼움 홀더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70116Y1 (ko) * 2012-08-20 2013-11-28 백종덕 거치수단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485921B1 (ko) 2013-04-11 2015-01-26 이남진 큰 화면을 한손으로 휴대하면서 터치 구동이 가능한 스마트폰 커버
WO2014168374A1 (ko) * 2013-04-12 2014-10-16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모바일 기기의 액세서리 및 이를 갖는 모바일 기기의 차량 장착 장치
US9421920B2 (en) 2013-04-12 2016-08-23 Aauxx Korea Co., Ltd Mobile device accessory and apparatus for mounting the same on an automotive
KR101510449B1 (ko) * 2013-07-26 2015-04-10 김영근 고리를 가진 핸드폰 케이스
KR101510422B1 (ko) * 2013-08-20 2015-04-10 김영근 고리걸개를 가진 핸드폰 케이스
JP2018508717A (ja) * 2015-01-06 2018-03-29 チャン、ジン テJANG, Jin Tae マウント部材
EP3244594A4 (en) * 2015-01-06 2018-08-15 Jin Tae Jang Mounting member
US10428997B2 (en) 2015-01-06 2019-10-01 Jin Tae Jang Mounting member
KR20180052915A (ko) * 2016-11-11 2018-05-21 김건희 휴대폰케이스 겸 거치대
KR20190102892A (ko) * 2018-02-27 2019-09-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042093B1 (ko) * 2018-02-27 2019-11-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CN110495690A (zh) * 2018-06-30 2019-11-2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平板电脑收容装置及平板电脑收容组件、仪表板
CN108900681A (zh) * 2018-07-12 2018-11-27 王认认 一种多功能手机壳
KR200488626Y1 (ko) 2018-09-20 2019-02-28 김진우 로터리 휴대폰 케이스
US10627046B1 (en) 2018-09-28 2020-04-21 Aauxx Usa, Inc. Detachable ring holder, compatible with wireless charging, for smartphone
KR200490062Y1 (ko) 2019-01-24 2019-11-04 전형우 핑거링 액세서리 및 이를 구비한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348Y1 (ko)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
KR101062557B1 (ko)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JP3164648U (ja) プロテクトカバー
KR101453889B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100770981B1 (ko) 디스플레이의 스탠드
KR20130034563A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US20120262854A1 (en) Protective cas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O2012121503A2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KR101866881B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US8118273B2 (en) Display and television set
KR101187753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64081Y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120002683U (ko) 휴대용화상장치 보호케이스
KR100727148B1 (ko) 영상 표시기기의 틸트 제어 장치
KR101346572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CN216252870U (zh) 一种保护壳
CN204906902U (zh) 便携式电子设备
KR20130006934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N208424485U (zh) 支架及具有该支架的手机保护壳
CN215871521U (zh) 一种可支撑手机的手机壳
JP2006270242A (ja) 充電台
KR20140033281A (ko) 거치형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CN216490633U (zh) 支架保护壳
CN217135534U (zh) 一种旋转手机支架背贴
KR20130007162U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