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892A -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892A
KR20190102892A KR1020180023933A KR20180023933A KR20190102892A KR 20190102892 A KR20190102892 A KR 20190102892A KR 1020180023933 A KR1020180023933 A KR 1020180023933A KR 20180023933 A KR20180023933 A KR 20180023933A KR 20190102892 A KR20190102892 A KR 20190102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obile terminal
magnifying glass
fix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093B1 (ko
Inventor
박성영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3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09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4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2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어폰을 안착 가능한 공간이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져서 휴대 단말기를 지탱할 수 있는 비금속 걸이부재가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확대경을 구비하는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는, 휴대 단말기를 커버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 외측면에 형성되어 이어폰 모듈을 고정하는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 상기 케이스 본체 외측면에 틸팅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걸이부재; 및 상기 케이스 본체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확대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Earphone and Magnifier}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어폰을 안착 가능한 공간이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져서 휴대 단말기를 지탱할 수 있는 비금속 걸이부재가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확대경을 구비하는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는 휴대 단말기와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가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 충격을 방지해준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카드가 들어갈 공간을 구비, 금속재질의 고리를 구비하는 등 단순한 충격 방지용도로만 활용되지 않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이어폰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은데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이어폰을 따로 구비할 수 있는 공간은 구비되어있지 않다. 또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일반적으로 부착되어 손가락에 끼워지는 고리의 경우,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시 방해가 된다. 또한, 노안 등 시력이 나쁜 사용자의 경우, 별도의 돋보기를 구비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따로 확대경을 들고 다니면 분실위험과 사용할 때마다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지만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확대경을 따로 구비할 수 있는 공간은 구비되어있지 않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73444(2016년06월13일)
따라서 이어폰을 구비할 공간, 무선충전이 가능하면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고리와 확대경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어폰을 안착 가능한 공간이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져서 휴대 단말기를 지탱할 수 있는 비금속 걸이부재가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확대경을 구비하는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는,
휴대 단말기를 커버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 외측면에 형성되어 이어폰 모듈을 고정하는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
상기 케이스 본체 외측면에 틸팅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걸이부재; 및
상기 케이스 본체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확대경;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는,
상기 이어폰 모듈이 안착되는 이어폰 모듈 고정홈; 및
상기 이어폰 모듈 고정홈 일단과 타단에 상기 이어폰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는, 무선 이어폰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는,
상기 이어폰 모듈을 연결하는 제1 연결선과 일단은 상기 제1 연결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이어폰 잭과 결합되는 제2 연결선을 구비하는 유선 이어폰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본체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선을 고정하는 연결선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선 고정부재는,
상기 제2 연결선이 안착되는 연결선 고정홈;
상기 연결선 고정홈 일단과 타단에 상기 제2 연결선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돌기; 및
상기 연결선 고정홈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어폰 잭과 결합되는 연결포트;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대경은 일단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는,
링 또는 다각형 형상이고, 비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걸이;
상기 걸이가 안착되는 걸이 고정홈; 및
상기 걸이를 탈착하기 위한 걸이 탈착홈;
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상기 휴대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케이스 본체 일측에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이어폰 잭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이어폰을 사용할 때마다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분실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휴대 단말기를 편하게 잡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고리를 휴대 단말기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비금속 재질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용이함과 동시에 무선충전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안 등 시력이 나쁜 사용자의 경우, 돋보기를 사용해야할 때마다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분실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형 케이스로 이루어지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외력 발생시 유실 가능성이 낮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무선 이어폰이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유선 이어폰이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걸이가 세워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확대경이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어 "예시적인" 은 "예로서, 일례로서, 또는 예증으로서 역할을 한다."라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시적"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들은 다른 양태들에 비해 반드시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하다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만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1)에 무선 이어폰(20)이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1)에 유선 이어폰(이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1)의 걸이가 세워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1)의 확대경이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커버하는 케이스 본체(10),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노출시키기 위한 카메라홀(100), 케이스 본체(10) 외측면에 형성되는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200), 케이스 본체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결선 고정부재(300), 케이스 본체(10) 외측면에 틸팅가능하게 구비되는 걸이부재(400), 케이스 본체(10)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확대경(500), 휴대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600) 및 무선통신모듈(600)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를 커버하는 케이스 본체(10)는 비금속 재질이고, 휴대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카메라의 위치, 버튼의 위키, 휴대 단말기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10)는 실리콘, 우레탄, NBR, EPDM 등과 같은 고무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0)는 휴대 단말기의 저면과 모서리를 함께 감싸도록 형성된다.
카메라홀(100)은 휴대 단말기 카메라를 노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휴대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카메라의 위치가 다양함으로 이에 따라 케이스 본체(10)가 구성될 때 카메라홀(100)의 생성될 위치가 정해진다.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200)는 이어폰 모듈이 안착되는 이어폰 모듈 고정홈(210), 이어폰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돌기(220)를 포함한다. 이어폰 모듈 고정홈(210)은 무선 이어폰 또는 유선 이어폰의 이어폰 모듈 부분이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케이스 본체(10) 외측면 양측에 각각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 고정돌기(220)는 이어폰 모듈 고정홈(210)의 일단과 타단에 케이스 본체(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어폰 모듈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보면,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200)는 연결선 없이 이어폰 모듈만 구비하는 무선 이어폰(20)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200)는 케이스 본체(10)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따로 별로의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고 케이스 본체(10)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보면,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200)는 연결선을 구비한 유선 이어폰(30)의 유선 이어폰 모듈(32)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유선 이어폰(30)은 이어폰 모듈(32), 연결선(40) 및 이어폰 잭(46)을 포함한다. 유선 이어폰(30)의 연결선(40)은 제1 연결선(43), 이어폰 잭(46) 및 일단은 제1 연결선(42)과 연결되고 타단은 이어폰 잭(46)과 결합되는 제2 연결선(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유선 이어폰(30)의 연결선(40)을 고정하기 위해 케이스 본체(10) 외측면의 연결선 고정부재(300)가 사용된다.
연결선 고정부재(300)는 연결선 고정홈(310), 제2 고정돌기(320) 및 연결포트(330)를 포함한다. 연결선 고정부재(300)는 유선 이어폰(30)의 제2 연결선(44)이 안착되는 연결선 고정홈, 연결선 고정홈(310) 일단과 타단에 제2 연결선(44)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돌기(320) 및 연결선 고정홈(310) 일측에 구비되어 이어폰 잭(46)과 결합되는 연결포트(330)로 구성된다.
연결선 고정홈(310)은 유선 이어폰(30)의 연결선(40)이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된다. 제2 고정돌기(320)는 연결선 고정홈(310)의 일단과 타단에 케이스 본체(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연결선(40)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연결포트(330)는 연결선(40)의 타단에 결합된 이어폰 잭(46)과 연결 결합되어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200)이나 연결선 고정부재(300)에서 유선 이어폰(30)이 분리되는 경우라도 이어폰 잭(46)이 결합되어 유선 이어폰(3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선 고정부재(300)는 케이스 본체(10)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따로 별로의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고 케이스 본체(10)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이부재(400)는 케이스 본체(10) 외측면에 틸팅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걸이부재(400)는 걸이(410), 걸이 고정홈(420) 및 걸이 탈착홈(430)을 포함하며, 휴대 단말기의 무선충전시 무선충전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된다. 여기서, 걸이(410)는 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비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케이스 본체(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걸이 고정홈(420)은 걸이(410)가 안착되도록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걸이 탈착홈(430)은 걸이(410)를 탈착하기 위해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사용자는 걸이 탈착홈(430)에 손가락을 끼워 넣은 후, 걸이(410)를 들어 올려 손가락에 끼울 수 있다.
확대경(500)은 일단이 케이스 본체(1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정의 각도만큼 선택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확대경(500)은 케이스 본체(10)의 외측면에 힌지(510)로 결합되어 회전되며, 탈부착이 가능하다.
무선통신모듈(600)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휴대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무선통신모듈(600)은 연결포트(330)의 일단과 연결되어 유선 이어폰(30)의 이어폰 잭(46)이 연결포트(330)에 연결되는 경우, 무선통신으로 휴대 단말과 자동 연결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가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1)와 분리되는 경우에도 이어폰 잭(46)이 연결포트(330)에 연결되어 있으면 휴대 단말기와 유선 이어폰(30) 사이에 연결이 가능하다.
충전단자(미도시)는 케이스 본체(10) 일측에 무선통신모듈(600)을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충전단자는 휴대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1)의 구성 예컨대,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200), 연결선 고정부재(300), 걸이부재(400) 등은 케이스 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작하는 과정이 용이하고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일체형이 아닌 결합된 부품들은 유실 위험도가 높으나 일체형의 구성은 유실 위험이 낮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10: 케이스 본체
20: 무선 이어폰
30: 유선 이어폰
32: 유선 이어폰 모듈
40: 연결선
42: 제1 연결선
44: 제2 연결선
46: 이어폰 잭
100: 카메라홀
200: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
210: 이어폰 모듈 고정홈
220: 제1 고정돌기
300: 연결선 고정부재
310: 연결선 고정홈
320: 제2 고정돌기
330: 연결포트
400: 걸이부재
410: 걸이
420: 걸이 고정홈
430: 걸이 탈착홈
500: 확대경
510: 힌지
600: 무선통신모듈

Claims (9)

  1. 휴대 단말기를 커버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 외측면에 형성되어 이어폰 모듈을 고정하는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
    상기 케이스 본체 외측면에 틸팅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걸이부재; 및
    상기 케이스 본체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확대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는,
    상기 이어폰 모듈이 안착되는 이어폰 모듈 고정홈; 및
    상기 이어폰 모듈 고정홈 일단과 타단에 상기 이어폰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돌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는,
    무선 이어폰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모듈 고정부재는,
    상기 이어폰 모듈을 연결하는 제1 연결선과 일단은 상기 제1 연결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이어폰 잭과 결합되는 제2 연결선을 구비하는 유선 이어폰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선을 고정하는 연결선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 고정부재는,
    상기 제2 연결선이 안착되는 연결선 고정홈;
    상기 연결선 고정홈 일단과 타단에 상기 제2 연결선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돌기; 및
    상기 연결선 고정홈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어폰 잭과 결합되는 연결포트;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대경은 일단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링 또는 다각형 형상이고, 비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걸이;
    상기 걸이가 안착되는 걸이 고정홈; 및
    상기 걸이를 탈착하기 위한 걸이 탈착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상기 휴대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케이스 본체 일측에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이어폰 잭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0180023933A 2018-02-27 2018-02-27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042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33A KR102042093B1 (ko) 2018-02-27 2018-02-27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33A KR102042093B1 (ko) 2018-02-27 2018-02-27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892A true KR20190102892A (ko) 2019-09-04
KR102042093B1 KR102042093B1 (ko) 2019-11-07

Family

ID=6795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933A KR102042093B1 (ko) 2018-02-27 2018-02-27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09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48Y1 (ko) * 2010-12-15 2011-04-28 인철우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
KR101323666B1 (ko) * 2012-04-18 2013-10-30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용 케이스
KR200471111Y1 (ko) * 2013-10-22 2014-02-11 (주)엘스로드 이노텍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50003818U (ko) * 2014-04-10 2015-10-20 박규성 휴대폰 케이스
KR20160073444A (ko) 2014-12-16 2016-06-27 오씨아이 주식회사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펌프 속도 제어 방법 및 장치
CN206226537U (zh) * 2016-10-11 2017-06-06 袁利格 一种无线耳机收纳手机壳
KR20170122498A (ko) * 2016-04-27 2017-11-06 유지민 블루투스 이어폰 내장형 휴대전화 케이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48Y1 (ko) * 2010-12-15 2011-04-28 인철우 멀티미디어기기용 보호 케이스
KR101323666B1 (ko) * 2012-04-18 2013-10-30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용 케이스
KR200471111Y1 (ko) * 2013-10-22 2014-02-11 (주)엘스로드 이노텍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50003818U (ko) * 2014-04-10 2015-10-20 박규성 휴대폰 케이스
KR20160073444A (ko) 2014-12-16 2016-06-27 오씨아이 주식회사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펌프 속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70122498A (ko) * 2016-04-27 2017-11-06 유지민 블루투스 이어폰 내장형 휴대전화 케이스
CN206226537U (zh) * 2016-10-11 2017-06-06 袁利格 一种无线耳机收纳手机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093B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617B1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100642310B1 (ko)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US7529155B2 (en) Wristwatch with earphone function
KR20160088067A (ko) 휴대전자기기용 프로텍터
US9755688B1 (en) MemEx cell phone case systems
JP2019506054A (ja) 耳保護デバイス、通信システム、及び保護ヘルメット
KR102042093B1 (ko) 이어폰과 확대경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CN113168033A (zh) 具有音频回放功能的眼镜
JP2022543738A (ja) モジュール化された眼鏡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のためのハードウェア・アーキテクチャ
JP4972697B2 (ja) 電子装置
KR20170072769A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JP2007298785A (ja) スライド部材支持構造部及び撮像部カバー用スライド部材支持構造部
KR101741726B1 (ko) 스마트폰 케이스
KR20080000467U (ko) 유에스비 단자를 갖는 목걸이형 이어폰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FI122442B (fi) Radiotekniikalla solukkoverkossa operoiva laite ja siihen kiinnitettävä handsfree-laite
KR100774369B1 (ko)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케이스
US9036850B2 (en) Augmented custom fit headset
JP3135110U (ja) 携帯型情報端末等のケース
KR20140092967A (ko) 휴대폰 케이스
CN216291070U (zh) 具有弹性缓冲的防摔手机壳
JP2012244329A (ja) 携帯電話保持部品
KR20190053059A (ko) 터치스크린펜을수납할수있는휴대폰케이스에카드를넣을수있는케이스
WO2010098565A2 (ko) 접이식 이어후크를 수용 가능한 휴대용 무선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