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828Y1 -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 - Google Patents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828Y1
KR200463828Y1 KR2020120007079U KR20120007079U KR200463828Y1 KR 200463828 Y1 KR200463828 Y1 KR 200463828Y1 KR 2020120007079 U KR2020120007079 U KR 2020120007079U KR 20120007079 U KR20120007079 U KR 20120007079U KR 200463828 Y1 KR200463828 Y1 KR 200463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plitter
silencer
modula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규
Original Assignee
유니슨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유니슨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120007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8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8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한 개 이상의 소음기를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음기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정면과 후면이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장착공간에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 장착되는 스프리터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공조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재가 구비되는 스프리터를 통해 차단하면서도 상기 스프리터는 중공형의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하여 동적삽입손실(DIL : Dynamic insertion loss)의 경우에는 늘리고, 압력손실(Pressure loss)은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Assembled silencer modular}
본 고안은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장비에서 발생한 소음이 실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소음기를 모듈화한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기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가지도록 한 다음 요구되는 건물의 실내로 공급해 주기 위한 설비이다.
그리고 상기 공조기에서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가지도록 변화된 외부공기는 덕트를 통해서 건물의 실내로 공급되며, 실내로부터 밀려나가는 공기의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별개의 덕트를 통해서 공조기로 되돌아가 외기와 혼합되어 다시 공기조화가 되어 실내로 보내지는 것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덕트는 공조기에서 순환되는 외부공기의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물로서 그 내부에 공기가 순환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소음기를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조용 소음기는 각종 건물 등에 폭 넓게 활용되고 사용범위도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생산자의 편의 혹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로 설계 및 제조되고 생산자에 따라 제품의 규격과 품질이 달라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044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286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조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재가 구비되는 스프리터를 통해 차단하면서도 상기 스프리터는 중공형의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하여 동적삽입손실(DIL : Dynamic insertion loss)의 경우에는 늘리고, 압력손실(Pressure loss)은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소음기의 형상을 모듈화하여 설계, 제조,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한 개 이상의 소음기를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음기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정면과 후면이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장착공간에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 장착되는 스프리터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공조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재가 구비되는 스프리터를 통해 차단하면서도 상기 스프리터는 중공형의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하여 동적삽입손실(DIL : Dynamic insertion loss)의 경우에는 늘리고, 압력손실(Pressure loss)은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음기의 형상을 모듈화하여 설계, 제조,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구성하는 소음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3의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구성하는 소음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구성하는 보온재와 보온재 고정구조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
도 7 및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구성하는 스프리터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구성하는 소음기의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도 9의 조립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구성하는 스프리터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 및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구성하는 소음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3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구성하는 소음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구성하는 보온재와 보온재 고정구조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고, 도 7 및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구성하는 스프리터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구성하는 소음기의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도 9의 조립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구성하는 스프리터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원고안인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10)는 길이방향으로 한 개 이상의 소음기(20)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10)는 도시된 도 1 및 2와 같이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소음기(20)를 설치장소에 맞게 연속장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음기(20)는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덕트(30)와 상기 덕트(30)의 장착공간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장착되고 소음을 감소시키는 스프리터 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덕트(3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덕트 케이스(32)와 덕트 덮개(34)로 분할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프리터 부재(40)가 설치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30)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덕트(30)의 회전장착시에도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덕트(30)를 구성하는 덕트 케이스(32)는 전?후방 및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장착공간(32a)이 형성되며, 전후면 측면 끝단에는 지지를 위한 덕트 측면부(32b)가 절곡형성되고, 양측면 상부 끝단에는 하부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홈(32d)이 형성되는 덕트 장착부(32c)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덕트 케이스(32)는 내부에 장착공간(32a)을 형성하면서 전후방 측면 끝단에 직각형상의 덕트 측면부(32b)를 절곡형성하고 양측면 상부 끝단에는 덕트 덮개(34)와 고정을 위한 끼움 결합홈(32d)이 형성되는 덕트 장착부(32c)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덕트 케이스(32)의 바닥에는 온도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습기 또는 수증기나 이동하는 공기에 흡입된 물기 등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보온재(50)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보온재(52)는 양측에 장착되는 보온재 고정부재(52)를 통해 고정되되, 상기 보온재 고정부재(52)는 보온재(50)의 고정과 함께 상기 스프리터 부재(4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보온재 고정부재(52)는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보온재(50)를 고정하는 상부 고정부(52a)와 상기 상부 고정부(52a)의 끝단에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스프리터 부재(40)를 고정하는 하부 고정부(52b)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보온재 고정부재(52)는 상부 고정부(52a)가 보온재(50)를 고정하면서도 하부 고정부(52b)는 바닥과 하부 고정부(52b)의 사이에 삽입장착되는 스프리터 부재(40)의 스프리터 날개(46)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덕트 케이스(32)의 하부(32e)는 덕트(30)의 회전작동시 원활한 지지와 결합을 위하여 상기 덕트 측면부(32)와 대응되게 절곡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덕트 케이스(32)의 상부에 장착되는 덕트 덮개(34)는 양측 끝단으로 끼움 결합홈(32d)에 삽입되는 수직 돌출부(34a)가 형성되고 전후면 끝단에는 덕트 측면부(32b)와 대응되는 높이의 마감부(34b)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 덮개(34)의 하부에는 상기 덕트 케이스(32)의 장착공간(32a)에 삽입되는 스프리터 부재(40)의 스프리터 날개(46)와 온도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습기 또는 수증기나 이동하는 공기에 흡입된 물기 등의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보온재(50)를 안내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날개 고정부재(36)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날개 고정부재(36)는 보온재 고정부재(52)와 마찬가지로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보온재(50)를 고정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상부 고정부의 끝단에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스프리터 부재(40)의 스프리터 날개(46)를 고정하는 하부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날개 고정부재(36)는 보온재 고정부재(52)와 대응하는 덕트 덮개(34)의 하부에 장착되어 일 측이 스프리터 부재(40)의 스프리터 날개(46)를 고정하고 반대 측이 보온재(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덕트(30)의 장착공간(32a)에 장착되는 스프리터 부재(40)는 단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원고안에서는 도시된 도 3 또는 도 5와 같이 중앙 스프리터 부재(40a)와 측면 스프리터 부재(40b)로 구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스프리터 부재(40a)는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42)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부재 틀(41)과, 상기 부재 틀(41)의 수용공간(42)에 장착되는 흡음재(43)와, 상기 부재 틀(41)의 양측에 설치되는 타공판(44)과, 상기 흡음재(43)와 타공판(44)의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리터 씰(4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 스프리터 부재(40b)는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42)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부재 틀(41)과, 상기 부재 틀(41)의 수용공간(42)에 장착되는 흡음재(43)와, 상기 부재 틀(41)의 일 측에 설치되는 타공판(44)과, 상기 흡음재(43)와 타공판(44) 및 상기 부재 틀(41)의 반대 측에 설치되는 스프리터 씰(4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프리터 부재(40a, 40b)는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면서도 공기 이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타공판(44)과 흡음재(43)를 통해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프리터 부재(40)를 구성하는 부재 틀(41)을 사각형 형상을 형성한 것은 동적삽입손실(DIL : Dynamic insertion loss)를 늘리고 압력손실(Pressure loss)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재 틀(41)의 상부 양측 또는 일 측에는 스프리터 부재(40a, 40b)의 고정을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스프리터 날개(46)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리터 부재(40)의 내부에 삽입되는 흡음재(43)는 무기질 재료로 연속 기포로 구성된 구조의 다공질성 유리섬유나, 암면, 또는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에스텔과 같은 유기질 재료로 만들어진 폼 종류의 발포성 흡음재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덕트(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소리가 흡음재에 입사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해 열에너지로 변하면서 소멸되어 흡음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1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소음기(20)의 스프리터 부재(40)에는 유입과 배출되는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면서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 부재(6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여기서 상기 안내가이드 부재(60)는 단면이 곡면, 반원형, 삼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후방 및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장착공간(32a)이 형성되고, 전후방 측면 끝단에는 지지 및 안내를 위한 덕트 측면부(32b)가 절곡형성되며, 양측면 상부 끝단에는 하부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홈(32d)이 형성되는 덕트 장착부(32c)가 일체로 형성되는 덕트 케이스(32)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덕트 케이스(32)의 바닥에는 보온재(50)가 장착되고, 상기 보온재(50)의 양측에는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보온재(50)를 고정하는 상부 고정부(52a)와 상기 상부 고정부(52a)의 끝단에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스프리터 부재(40)를 고정하는 하부 고정부(52b)가 일체로 형성되는 보온재 고정부재(52)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덕트 케이스(32)의 상부에 양측 끝단으로 끼움 결합홈(32d)에 삽입되는 수직 돌출부(34a)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덕트 측면부(32b)와 대응되는 높이의 마감부(34b)가 돌출형성되는 덕트 덮개(34)를 끼움 결합하여 덕트(30)를 완성한다.
이때 상기 덕트 덮개(34)의 하부에는 상기 덕트 케이스(32)의 바닥에 장착되는 보온재(50) 및 보온재 고정부재(52)와 동일선상으로 날개 고정부재(36)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중앙 스프리터 부재(40a)는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42)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부재 틀(41)과, 상기 부재 틀(41)의 수용공간(42)에 장착되는 흡음재(43)와, 상기 부재 틀(41)의 양측에 설치되는 타공판(44)과, 상기 흡음재(43)와 타공판(44)의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리터 씰(45)과, 상기 부재 틀(41)의 상?하부 양측에 스프리터 날개(46)가 장착되는 중앙 스프리터 부재(40a)를 구성한다.
그리고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42)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부재 틀(41)과, 상기 부재 틀(41)의 수용공간(42)에 장착되는 흡음재(43)와, 상기 부재 틀(41)의 일 측에 설치되는 타공판(44)과, 상기 흡음재(43)와 타공판(44) 및 상기 부재 틀(41)의 반대 측에 설치되는 스프리터 씰(45)과, 상기 부재 틀(41)의 일 측에 스프리터 날개(46)가 장착되는 측면 스프리터 부재(40b)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덕트(30)의 장착공간의 양측으로 측면 스프리터 부재(40b)를 장착하고 중앙 부분으로 중앙 스프리터 부재(40a)를 장착하면 소음기(2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음기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프리터 부재(40)는 상기 보온재 고정부재(52)의 하부 고정부(52b)와 날개 고정부재(36)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날개 고정부재(36)의 하부 고정부와 날개 고정부재(36)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스프리터 날개(46)가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소음기를 이용하여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구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소음기(20)를 다수개수 준비한 후 설치장소에 맞게 상기 소음기(20)를 순차적으로 장착하면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10)의 조립은 완료되는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소음기(20)는 설치장소 및 환경에 따라 도시된 도 1과 같이 스프리트(40)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하거나 도시된 도 2와 같이 소음기(20)와 소음기(20)의 사이에 위치한 소음기(20)를 90°방향으로 회전작동시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덕트(30)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공기는 덕트(30)의 장착공간(32a)에 장착되는 스프리터 부재(40)를 통해서 풍량조절되면서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32a)에 유입된 공기는 스프리터 부재(40)를 구성하는 타공판(44)과 흡음재(42)를 연속적으로 거치면서 흡음된 후 지정된 장소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10)를 구성하는 소음기(20)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소음기(20)만을 분리한 후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듈화로 구성되므로 어떠한 장소에서도 손쉽게 교체 및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 20 : 소음기,
30 : 덕트, 32 : 덕트 케이스,
34 : 덕트 덮개, 40 : 스프리터 부재,
41 : 부재 틀, 42 : 수용공간,
43 : 흡음재, 44 : 타공판,
50 : 보온재.

Claims (7)

  1. 길이방향으로 한 개 이상의 소음기(20)를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음기(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정면과 후면이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덕트(30)와 상기 덕트(30)의 장착공간에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 장착되는 스프리터 부재(40)로 구성되되,
    상기 덕트(30)는 내부에 장착공간(32a)이 형성되고, 전후방 측면 끝단에는 지지를 위한 덕트 측면부(32b)가 절곡형성되며, 양측면 상부 끝단에는 하부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홈(32d)이 형성되는 덕트 장착부(32c)가 일체로 형성되는 덕트 케이스(32)와; 상기 덕트 케이스(32)의 상부에 장착되고, 양측 끝단에는 끼움 결합홈(32d)에 삽입되는 수직 돌출부(34a)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전후면 끝단에는 덕트 측면부(32b)와 대응되는 높이의 마감부(34b)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덕트 덮개(34);로 분할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가 통과하는 상기 덕트 케이스(32)의 바닥에는 보온재(5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덕트 케이스(32)의 바닥에는 상기 보온재(50)와 스프리터 부재(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보온재 고정부재(52)가 장착되되,
    상기 보온재 고정부재(52)는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보온재(50)를 고정하는 상부 고정부(52a)와 상기 상부 고정부(52a)의 끝단에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스프리터 부재(40)를 고정하는 하부 고정부(52b)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덕트 케이스(32)의 하부(32e)와 덕트 덮개(34)의 마감부(34b)는 덕트 측면부(32b)와 대응되게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리터 부재(40)는,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42)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부재 틀(41)과;
    상기 부재 틀(41)의 수용공간(42)에 장착되는 흡음재(43)와;
    상기 부재 틀(41)의 끝단 부분에 설치되고 흡음재(43)를 고정하는 타공판(44)과;
    상기 흡음재(43)와 타공판(44)의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리터 씰(4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리터 부재(40)의 상?하부 양측 또는 일 측에는 스프리터 날개(46)가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프리터 날개(46)와 대응하는 덕트(30)에는 절곡형성되면서 스프리터 날개(46)를 고정하는 날개 고정부재(36)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
KR2020120007079U 2012-08-08 2012-08-08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 KR200463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79U KR200463828Y1 (ko) 2012-08-08 2012-08-08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79U KR200463828Y1 (ko) 2012-08-08 2012-08-08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828Y1 true KR200463828Y1 (ko) 2012-11-27

Family

ID=4756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079U KR200463828Y1 (ko) 2012-08-08 2012-08-08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8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852A (ko) * 2012-03-15 2013-09-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모듈형 소음기
KR20180062477A (ko) * 2016-11-30 2018-06-11 이영희 배기덕트용 소음(消音)기구
KR102292751B1 (ko) 2020-04-03 2021-09-30 반석공조시스템(주) 공조용 소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852A (ko) * 2012-03-15 2013-09-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모듈형 소음기
KR20180062477A (ko) * 2016-11-30 2018-06-11 이영희 배기덕트용 소음(消音)기구
KR102292751B1 (ko) 2020-04-03 2021-09-30 반석공조시스템(주) 공조용 소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3504382T3 (en) Fixing profile allowing the air passage and assembly of ceiling comprising such a profile
KR102184540B1 (ko) 에어 핸들링 유닛
KR200463828Y1 (ko) 조립형 모듈화 소음기
JP6208448B2 (ja) 建物の自然換気システム
JP6717634B2 (ja) 空調設備及び全館空調システム
JP6285721B2 (ja) 換気構造
KR101901174B1 (ko) 고성능 흡음형 소음기
JP2015152289A (ja) 建物の空調設備
JP6368123B2 (ja) 建物におけるダクト設置構造
KR101456821B1 (ko) 조립식 방음 파티션
JP2006152665A (ja) 防音換気建具
JP2015218440A (ja) 複数階を有する建物内の壁構造、および建物
JP4885599B2 (ja) 床下換気構造
JP4940200B2 (ja) 調湿パネルの取付構造
JP5805810B2 (ja) 建物の換気構造
JP6294681B2 (ja) 全館空調用建具
KR101641125B1 (ko)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KR102628426B1 (ko) 방수시트가 부착되는 벽체에 설치되는 방수구조
JP2011127360A (ja) 防音壁
JP2013014980A (ja)
JP5115313B2 (ja) キッチンの排気構造
JP7191557B2 (ja) 全館空調システム
KR101854951B1 (ko) 열교환용 배관의 설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건축구조물
EP4290151A1 (en) Wall passage
JP4927520B2 (ja) 設備設置スペースを備えた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