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184Y1 -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 - Google Patents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184Y1
KR200463184Y1 KR2020120006411U KR20120006411U KR200463184Y1 KR 200463184 Y1 KR200463184 Y1 KR 200463184Y1 KR 2020120006411 U KR2020120006411 U KR 2020120006411U KR 20120006411 U KR20120006411 U KR 20120006411U KR 200463184 Y1 KR200463184 Y1 KR 200463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chain
scattering
sta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주)동해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해기계 filed Critical (주)동해기계
Priority to KR2020120006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1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1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8Protective roofs or arch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6Preventing pulverisation, deformation, breakage, or other mechanical damage to the good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송 장비를 통해 운송된 석탄, 철광석, 코크스 및 석회석 등의 먼지비산이 심한 운반물을 목적지에 운송 후 컨베어장치에 분출할 때 발생하는 먼지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컨베이어장치의 고장을 방지하며, 자체 동력장치가 고장 등으로 사용 못할 경우에 보조동력장치가 없이도 다른 이송장비를 통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는 하부에 이동수단을 구비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컨베이어장치와 이 컨베이어장치를 내장하고 컨베이어장치 전단 방향에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부; 및 상기 일측은 컨베이어장치 후단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배출구를 구비한 적재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이 적재컨베이어벨트를 내장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적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베이어장치는 후단 저면에 먼지제거브러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BOOM STACKER}
본 고안은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송 장비를 통해 운송된 석탄, 철광석, 코크스 및 석회석 등의 먼지비산이 심한 운반물을 목적지에 운송 후 컨베어장치에 분출할 때 발생하는 먼지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컨베이어장치의 고장을 방지하며, 자체 동력장치가 고장 등으로 사용 못할 경우에 보조동력장치가 없이도 다른 이송장비를 통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에 관한 것이다.
화력발전소, 제철소 또는 시멘트 공장 등에서 원료로 사용되는 석탄, 철광석, 코크스 및 석회석 등의 운반물을 운송장비를 이용하여 목적지에 운송 후 컨베어이장치에 분출하고, 컨베이어장치에 실려진 운반물을 직접 야적지에 이송하여 적층하는 이동식 붐 스태커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03-0056543호(공개일자 2003년07월04일)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바닥에 지지되는 포탈과, 상기 포탈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런과, 상기 파이런에 그 상단부가 위치되게 설치되는 트리퍼와, 상기 파이런 외측면에 고정되는 붐 콘베이어와, 상기 파이런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붐 콘베이어 하중 균형을 유지시켜 주는 카운트 웨이트 붐을 포함하는 스태커/리크레이머에 있어서, 상기 파이런의 형태는 하부 수평부재와, 상기 하부 수평부재의 일측끝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 수평부재로 형성되는 'C'자 형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수직부재는 하부에 2개의 지지대로 형성됨과 동시에 각 지지대에 상기 하부 수평부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1개의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리크레이머에 관한 것이다.
다른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6-0073302호(공개일자 2006년06월28일)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지면 상에 설치된 이동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장치부와, 이 주행장치부 상에 설치되는 선회장치부, 선회장치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야적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붐, 상기 붐을 따라 설치되어 원료를 붐 선단으로 이동시켜 붐 선단을 통해 원료를 야적장으로 불출하기 위한 밸트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태커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의 붐 선단에 붐 선단으로부터 낙하되는 원료의 분진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이 하향 설치된 스태커의 원료 분진 비산방지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7-0018495호(공개일자 2007년02월14일)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외부에서 반입해 온 원료를 스태커(stacker) 장비의 붐 컨베이어를 통해 야적장으로 떨어뜨릴 때 붐 컨베이어의 끝단 높이와 야적장 바닥과의 높이차이에 의해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미세하게 발생한 비산먼지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본체에 수평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끝단을 통해 원료를 하역시키는 붐 컨베이어;와, 상기 붐컨베이어의 프레임 끝단 양측 저면에 설치되어 야드상의 원료 파일의 높이를 측정하는 원료 파일 레벨 센싱부; 및 상기 붐 컨베이어의 끝단 양측면에서 전면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호 연결되는 "ㄷ"자형 프레임을 따라 비산방지용 커텐이 구비된 비산 확산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먼지 방지용 스태커에 관한 것이다.
그 밖의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9-0128930호(공개일자 2009년12월16일)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스태커에 물을 공급하도록 장착되는 워터 덕트와, 스태커에 장착되는 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며 워터 덕트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노즐 배관과, 노즐 배관에 장착되어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붐의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붐을 따라 이동된 이송물의 낙하시에 외풍의 작용을 차단하여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방진부와, 방진 슈트의 근접 위치에 장착되어 방진 슈트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를 제공함으로써, 스태커 붐의 선단에 접철 가능한 방진슈트를 장착하여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방진슈트 및 붐의 주위에 물을 분사하여 분진 발생을 방지하는 스태커의 분진 비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운반물의 분출이나 이송 시 먼지가 비산되는 문제점을 완벽히 해결하지 못하고, 컨베이어장치의 벨트가 스프로킷 구간 이동 시에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체 동력장치를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에 있어서, 자체 동력수단이 고장 등으로 사용 못 할 경우에는 보조동력수단 없이는 이동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송 장비가 운송물을 컨베이어장치의 벨트에 분출 할 때 발생하는 먼지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장치를 내장하고, 전단에 운송 장비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컨베이어장치의 저면에 비산제거브러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컨베이어장치가 작동 시 컨베이어장치의 체인과 벨트가 스프로킷 통과시 자주 파손되어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체인과 벨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단면형상이 '┌┐' 형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체인의 중심이 이동하는 경로의 거리를 R1, 상기 벨트가 이동하는 경로의 거리를 R2라 할 때, R1 > R2 의 상관관계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자체 동력수단이 고장 등으로 인하여 작동되지 않을 때, 보조동력수단이 없이도, 지게차나 다른 이송수단을 통하여 붐 스태커의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이송부의 하우징 개구부 하부 중앙에 지게차 어댑터 및 인양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는
하부에 이동수단을 구비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컨베이어장치와 이 컨베이어장치를 내장하고 컨베이어장치 전단 방향에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부; 및
일측이 상기 컨베이어장치 후단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배출구를 구비한 적재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이 적재컨베이어벨트를 내장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적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베이어장치는 후단 저면에 먼지제거브러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의 컨베이어장치는
동력장치와 이 동력장치와 연결된 스프로킷과 이 스프로킷에 결합되어 구동하는 체인,
상기 체인에 연결되는 벨트 및
상기 체인과 벨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체인 내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체인 하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체인의 마디마다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단면형상이 '┌┐'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 말단이 상기 연결부재 타단과 각각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부재 사이에 상기 벨트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컨베이어장치의 벨트가 스프로킷을 이동 시,
체인의 중심이 이동하는 경로를 잇는 가상의 선을 R1, 상기 벨트가 이동하는 경로를 잇는 가상의 선을 R2라 할 때,
R1 > R2 의 상관관계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의 이송부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이격 배열되고, 지게차 포크가 삽입, 안내되는 한 쌍의 지게차 어댑터를 구비하고, 상기 지게차 어댑터 사이에는 인양고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는 운송 장비로부터 분출되는 운송물을 수납하는 컨베이어장치에 운송 장비를 포함하여 컨메이어장치 모든 부분을 내장할 수 있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컨에이어장치 저면 일측에 먼지제거브러쉬를 더 구비하도록 하여, 운송 장비가 본 고안에 따른 붐 스태커의 컨베이어장치의 벨트에 운송물을 분출하여도 비산하는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대기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의 컨베이어벨트는 체인과 벨트의 결합에 있어서, 연결부재와 단면형상이 '┌┐' 형 지지부재를 통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지지부재가 상기 컨베이어장치의 상기 체인의 최내측에 형성되어 스프로킷 통과시 수축되게 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 하부 중앙에 지게차 어댑터와 인양고리를 구비하여, 자체 이동 동력수단의 고장 등의 원인으로 이동할 수 없을 때 보조동력장치가 없어도 다른 이동장비를 이용하여 붐 스태커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의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의 상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의 컨베이어장치의 후단 부분 사시도 및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의 후단 측면 부분 사시도 및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의 컨베이어장치의 스프로킷 부분 확대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고, 지게차 어댑터가 있는 방향을 전면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전후좌우 및 상하좌우를 정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는 하부에 이동수단(131)을 구비한 메인프레임(130)과 상기 메인프레임(130) 상부에 형성된 컨베이어장치(110)와 이 컨베이어장치(110)를 내장하고 컨베이어장치(110) 전단 방향에 개구부(121)를 갖는 하우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부(100) 및 일측은 컨베이어장치(110) 후단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배출구(220)를 구비한 적재컨베이어벨트(210)를 포함하고, 이 적재컨베이어벨트(210)를 내장하는 덮개(230)로 이루어지는 적재부(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붐 스태커는 메인프레임(130)에 바퀴 등을 포함한 이동수단(1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이동수단(131)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만으로 이루어진 무동력 이동수단(131)이거나, 자체 동력수단을 구비하여(도면 미표기) 자가 이동이 가능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붐 스태커는 상기 메인프레임(130) 상부에 컨베이어장치(110)를 구비한다. 상기 컨베이어장치(110)는 종래에 사용되는 운송물을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등록특허 제10-1119932호(등록일자 2012년02월17일)에 등록 제시된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부 롤러;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사진 빗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부 롤러; 및 상기 상부 롤러 및 상기 하부 롤러를 감싸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경사 컨베이어 장치 등과 같이 운송장비로부터 분출된 운송물을 안전하게 수납하여 상기 적재부(20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컨베이어장치(110)를 메인프레임(130) 상부에 형성된다고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컨베이어장치(110)는 운송물의 이송이 시작되는 지점을 전단으로 하였을 때, 상기 전단은 메인프레임(130)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덤프트럭 등의 운송장비가 적재함을 작동시켜 운송물의 분출을 방해하지 않게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컨베이어장치(110)의 전단은 지면과 수형하게 형성되어 운송장비의 운송물 분출 시 먼지가 가능한 적게 비산되도록 운송장비의 높이에 맞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각각의 운송장비의 적재 무게에 따라 운송장비의 적재함의 높이 또한 달라지므로, 본 고안에 따른 붐 스태커의 컨베이어장치(110)의 전단은 수평을 유지하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별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붐 스태커의 컨베이어장치(110)는 수평 형성된 전단으로부터 운송물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후단 방향으로 향하여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컨베이어장치(110)의 벨트(113)에 의해 이송부(100)를 경유한 운송물은 컨베이어장치(110)의 후단에서 상기 적재부(200)의 적재컨베이어벨트(210)로 옮겨지고 상기 적재부(200)의 배출구(22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운송물을 적재한다. 상기 적재부(200)는 메인프레임(130)과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동작이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운송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적재가능하게 함으로써 운송물의 적재가 한 쪽에 취우침이 없게 하는데 상기 적재부(200)에 대해서는 따로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송장비가 운송한 운송물을 상기 컨베이어장치(110)에 분출 할 때 운송물이 석탄, 철광석, 코크스 및 석회석 등과 같이 많은 먼지 비산을 일으키는 종류일 경우 낙하하는 충격으로 인한 먼지 비산이 발생하여 작업하는 사용자의 건강을 악화 시킬 뿐만 아니라 대기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해 왔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붐 스태커는 운송장비가 운송물을 분출 할 때 발생하여 비산하는 먼지가 붐 스태커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장치(110)의 상하좌우를 뒤덮어 내장할 수 있는 하우징(1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하우징(120)은 운송물의 분출을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장치(110)의 전단부쪽에 개구부(121)를 갖는데, 상기 개구부(121)는 운송장비가 출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함이 승강되어 컨베이어벨트(113)에 운송물을 분출할 수 있도록 하우징(120)의 개구부 상부 말단을 향하여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운송물을 적재한 운송장비는 적재함의 일단이 본 고안에 따른 붐 스태커의 운송물 수납부까지 적재함을 위치시키고, 적재함을 승강시켜 운송물을 분출시키면 상측으로 절곡된 상기 하우징(120)의 개구부(121)로 인하여 승강된 적재함과 함께 운송물 수납부를 순간적으로 밀폐하게 됨으로 운송물의 먼지 비산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붐 스태커의 이송부(100)를 형성하는 컨베이어장치(110)는 동력장치(110a)와 연결된 스프로킷(112)과 이 스프로킷(112)에 결합되어 구동하는 체인(111) 및 상기 체인(111)과 벨트(11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14) 및 지지부재(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장치(110a)의 종류는 무관하나, 컨베이어장치(110)의 특성상 동력장치(110a)의 진동이 상기 벨트(113)로 이어져 벨트(113)에 적재된 운송물의 먼지 비산을 유발할 수 있음으로 진동이 적은 전동 모터 등의 동력장치(110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송물을 수납하여 이송하게 하는 벨트(113)는 통상적으로 탄성력이 강하면서 높은 강도를 가진 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본 고안에 따른 붐 스태거에 구비된 컨베이어장치(110)의 벨트(113)는 도 3의 상측 일점쇄선에서 도시된 확대도에서와 같이, 종래 사용되는 벨트(113)에 먼지를 밀착하게 만들어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특수합성수지 등으로 코팅되어 형성된다. 특수 코팅된 상기 벨트(113)는 벨트의 코팅부(119)에 운송물이 수납되어 운송장비의 분출 시 발생할 수 있는 운송물의 먼지 비산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이송 시 진동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먼지 비산을 방지함으로써 먼지 비산 방지를 위한 본 고안의 붐 스태커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운송물의 먼지 비산을 방지할 경우 먼지가 상기 하우징(120) 내부나 상기 벨트(113)의 표면에 접착되어 누적됨으로써 붐 스태커를 장시간 사용 시 비산 방지 효과가 반감될 수 있는데, 이에 본 고안에 따른 붐 스태커가 구비한 컨베이어장치(110)는 도 3의 하측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확대도와 같이, 별도의 먼지제거브러쉬(116)를 구비하여 먼지 비산 방지를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다. 상기 먼지제거브러쉬(116)는 상기 벨트(113)의 하측 이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회동축(117)을 갖고 상기 회동축(117) 외주면에 연결된 브러쉬(1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체인(111)으로 구동되는 한 쌍의 스프로킷(112)을 감싸 이동하는 컨베이어장치(110)의 벨트(113)에 있어서, 상측 이동구간에서는 상측 코팅부(119)에 분출된 운송물을 수납하여 상기 적재부(200)를 향하여 이송시키고 컨베이어장치(110) 후단에 이르러 스프로킷(112)을 통과할 때 벨트(113)의 코팅부(119)에 적재된 운송물을 상기 적재부(200)로 배출하고, 하측 이동구간에서는 상기 운송물을 적재했던 벨트(113)의 코팅부(119)를 하부로 향하여 다시 운송물 수납부로 회전 이동하는데, 본 고안에 따른 붐스태커의 컨베이어장치(110)는 상기 하측 이동구간 일측에 형성된 먼지제거브러쉬(116)를 통하여 벨트(113)의 코팅부에 남은 먼지를 제거 할 수 있게 된다. 운송물 분출 시 특수코팅된 벨트(113)에 접착된 먼지뿐만 아니라, 분출 시 비산한 먼지는 상기 컨베이어장치(110)를 내장하는 하우징(120)에 의해 하우징(120) 외부로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서 부유하다 특수코팅된 상기 벨트(113)의 코팅부(119)에 안착되어 접착하게 되고, 상기 벨트(113)는 컨베이어장치(110)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하측 이동구간에 구비된 먼지제거브러쉬(116)에 의하여 벨트(113)의 코팅부에 접착된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붐 스태커의 컨베이어장치(110)는 먼지가 안착되지 않은 깨끗한 벨트(113)의 코팅부에 반복하여 운송물의 분출이 가능하게 되어 먼지 비산을 방지 할 뿐만 아니라, 발생한 먼지를 완전히 제거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먼지제거브러쉬(116)의 하부에는 별도의 먼지받이통을 구비하고, 탈착가능하게 함으로써 축적된 먼지만을 모아서 별도로 폐기 가능하게 함으로써 먼지 비산에 의한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붐 스태커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장치(110)의 체인(111)과 벨트(113)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114) 및 지지부재(11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114)는 체인(111)을 형성하는 마디마다 위치하여, 체인(111)과 상기 지지부재(115)를 연결하는데, 이 때 상기 연결부재(114)는 체인(111)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연결부재(114)는 컨베이어장치(110) 양측면에 형성된 체인(111) 양쪽에 구비되고, 이 연결부재(114)는 단면형상이 '┌┐' 형으로 형성되어 체인(111) 양쪽을 잇게 형성된 지지부재(115)와 결합하고, 이 지지부재(115)는 컨베이어장치(110)의 벨트(113)와 결합되어 체인(111)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14)와 지지부재(115) 및 이와 결합한 벨트(113)가 같이 회전운동을 하게 한다. 이때 종래의 컨베이어장치는 벨트 및 연결부가 결합된 체인(111)의 외측면의 위치에 형성되어 컨베이어장치(110)의 전후단에 형성된 스프로킷(112) 통과 시 회전 반경에 의해 팽창하게 되어 파손되어 고장이 자주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에 다른 붐 스태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인(111) 하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부재(114)와 이 연결부재(114)와 결합된 지지부재(115)를 통하여 벨트(113)가 결합되어 회전 이동을 하므로, 상술한 스프로킷(112) 회전 이동 시에 팽창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5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체인(111)의 회전 이동에 있어서 체인(111)의 중심부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가상의 선을 회전중심연결선(즉, 회전중심축선)을 R1(140) 이라 하고, 상기 체인(111) 최내측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가상의 선을 R2(150), 상기 체인(111)의 최외측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가상의 선을 R3(160)라 할 때, 이 세 가상의 선의 회전 반경에 따른 거리 관계를 정리하면, R3(160) > R1(140) > R2(150)가 되는데, 종래 컨베이어장치(110)의 벨트(113) 및 연결부자재는 R3(160)를 따라 회전 운동하게 되어 스프로킷(112) 통과 시 회전 반경 증가에 따른 팽창을 수반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로 인한 파손 등의 고장 발생이 잦은 반면, 본 고안의 컨베이어장치(110)의 벨트(113)와 연결부재(114) 및 지지부재(115)가 R2(150)를 따라 회전 운동하게 되어 스프로킷(112) 통과 시 회전 반경이 감소하게 되어 팽창을 수반하지 않으며, 수축이 일어나는데, 이때 회전 이동하는 벨트(113) 내측으로 형성된 단면형상이 '┌┐' 형 지지부재(115)의 양 날개 말단이 안쪽으로 오므라지게 되면서 회전 반경 감소에 의한 수축을 보조하게 되면서 상기 연결부재(114) 및 벨트(11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붐 스태커가 구비한 상기 컨베이어장치(110)의 연결부재(114)와 지지부재(115)는 단단한 경도를 지니되, 약간의 탄성력을 갖는 특수 재질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스프로킷(112) 통과 시 수축에 의한 내부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종래 컨베이어장치(110)를 구비한 붐 스태커의 잦은 고장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붐 스태커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0)의 개구부(121) 하부 중앙에서 연장 형성되어 이격 배열되고, 지게차 포크가 삽입, 안내되는 한 쌍의 지게차 어댑터(122)를 구비한다. 상기 지게차 어댑터(122)는 통상의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으면 족하고, 본 고안의 붐 스태커의 개구부(121)측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상승시켜 견인을 통하여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30)과 컨베이어장치(110)의 연결부는 힌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게차 어댑터(122)는 붐 스태커의 무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부재(124)를 통하여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지게차 어댑터(122) 사이에는 별도의 인양고리(123)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인양고리(123) 역시 무동력 붐 스태커 또는 자가 동력수단이 고장 등으로 이동이 불가능할 때 상기 인양고리(123)를 이용하여 다른 이동장비와 연결하여 붐 스태커의 견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지게차 포크를 삽입하여 본 고안의 붐 스태커의 이송부(100)의 개구부(121)측을 상승시키고 이동할 때, 상기 지게차 포크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양고리(123)와 상기 지게차 일측을 별도의 연결부자재로 연결하여, 상기 개구부(121)의 상승과 함께 인양고리(123)를 통한 견인으로 본 고안의 붐 스태커를 이동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본 고안에 다른 붐 스태커는 상기 지게차 어댑터(122) 및 인양고리(123)를 더 구비함으로써 운송장비의 출입이 방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지게차 어댑터(122) 또는 지게차 어댑터 보강부재(124)와 하우징(120)의 연결부분 상측으로 개폐 가능하고 하강 개방 시 운송장비가 상기 지게차 어댑터(122)의 방해를 배제할 수 있는 도어부(도면 미표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부는 완전 개방 시 지면으로부터 개구부(121)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이루게 되어 운송장비가 상기 도어부를 타고 올라가 개구부(121)에 도달 가능하고 운송장비의 적재함을 작동하여 상기 컨베이어장치(110)에 운송물을 분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붐 스태커는 상기 이송부(100)를 통하여 운송장비로부터 분출된 운송물을 적재부(200)로 이송한다. 상기 적재부(200)는 일측이 상기 컨베이어장치(110) 후단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배출구(220)를 갖는 적재컨베이어벨트(210)를 포함하고, 이 적재컨베이어벨트(210)를 내장하는 덮개(230)로 이루어진다. 이송부(100)로부터 적재부(200)로 운송물의 이송 시에 운송물의 먼지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장치(110) 후단과 적재컨베이어벨트(210)의 연결부에는 별도의 칸막이를 형성하여 비산한 먼지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적재컨베이어장치(110)를 이동하는 운송물에 있어서, 바람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일부 먼지가 비산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적재컨베이어벨트(210) 전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덮개(230)를 통하여 먼지의 외부 유출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재컨베이어벨트(210)는 이송 받은 운송물을 다시 이송하여 적재컨베이어벨트(210) 후단에 형성된 배출구(220)를 통해 상기 운송물을 적재장소에 적재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붐 스태커는 운송물을 적재 장소에 골고루 분출하여 적재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부(100)와 적재부(200)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적재부(200)가 일정 각도 상하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붐 스태커는 상하좌우 회전이 가능한 적재부(200)를 통해 적재 장소 모든 공간에 운송물을 넓고 높게 골고루 분출할 수 있다.
B : 붐스태커
100 : 이송부 110 : 컨베어장치
110a : 동력수단 111 : 체인
112 : 스프로킷 113 : 벨트
114 : 연결부재 115 : 지지부재
116 : 먼지제거브러쉬 117 : 회동축
118 : 브러쉬 119 : 코팅부
120 : 하우징 121 : 개구부
122 : 지게차어댑터 123 : 인양고리
124 : 보강부재
130 : 메인프레임 131 : 이동수단
140 : 체인회전중심연결선, R1
150 : 체인회전최내측연결선(벨트연결선), R2
160 : 체인회전최외측연결선, R3
200 : 적재부
210 : 적재컨베이어벨트 220 : 배출구
230 : 덮개

Claims (4)

  1. 하부에 이동수단(131)을 구비한 메인프레임(130);
    상기 메인프레임(130) 상부에 형성된 컨베이어장치(110)와 이 컨베이어장치(110)를 내장하고 컨베이어장치(110) 전단 방향에 개구부(121)를 갖는 하우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부(100); 및
    일측이 상기 컨베이어장치(110) 후단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배출구(220)를 구비한 적재컨베이어벨트(210)를 포함하고, 이 적재컨베이어벨트(210)를 내장하는 덮개(230)로 이루어지는 적재부(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부(100)의 컨베이어장치(110)는
    동력장치(110a)와 이 동력장치(110a)와 연결된 스프로킷(112)과 이 스프로킷(112)에 결합되어 구동하는 체인(111),
    상기 체인(111)에 연결되는 벨트(113) 및
    상기 체인(111)과 벨트(13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14) 및 지지부재(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114)는 일단이 상기 체인(111) 내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체인(111) 하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체인(111)의 마디마다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115)는 단면형상이 '┌┐'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 말단이 상기 연결부재(114) 타단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체인(111)의 회전중심연결선(140)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재(115)와 연결부재(114) 사이에는 상기 벨트(113)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붐 스태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는 상기 개구부(121)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이격 배열되고, 지게차 포크가 삽입, 안내되는 한 쌍의 지게차 어댑터(122)를 구비하고,
    상기 지게차 어댑터(122) 사이에는 인양고리(12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장치(110)는
    비산방지 코팅이 된 벨트(113)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113)의 하측 이동구간 일측에 형성되는 먼지제거브러쉬(11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장치(110)의 벨트(113)가 스프로킷(112)을 이동 시,
    체인(111)의 중심이 이동하는 경로를 잇는 가상의 선을 R1(140), 상기 벨트(113)가 이동하는 경로를 잇는 가상의 선을 R2(150)라 할 때,
    R1 > R2 의 상관관계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
KR2020120006411U 2012-07-19 2012-07-19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 KR200463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11U KR200463184Y1 (ko) 2012-07-19 2012-07-19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11U KR200463184Y1 (ko) 2012-07-19 2012-07-19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184Y1 true KR200463184Y1 (ko) 2012-10-22

Family

ID=4756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411U KR200463184Y1 (ko) 2012-07-19 2012-07-19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1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539B1 (ko) 2023-03-29 2023-12-15 (주)에스에프테크놀로지 원전 방사능용 비접촉 전력 픽업형 스마트 리니어 이송로봇장치 및 이를 통한 방사능 누출 진단방법
KR102629321B1 (ko) 2023-03-29 2024-01-29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비접촉 전력 픽업형 스마트 리니어 이송로봇을 통한 석탄 운송 컨베이어용 촬영·센싱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80Y1 (en) * 1997-01-06 2000-05-15 Dong Ah Constr Ind Co Ltd Boom stacker
KR200365373Y1 (ko) * 2004-07-16 2004-10-27 서영춘 이송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80Y1 (en) * 1997-01-06 2000-05-15 Dong Ah Constr Ind Co Ltd Boom stacker
KR200365373Y1 (ko) * 2004-07-16 2004-10-27 서영춘 이송 컨베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539B1 (ko) 2023-03-29 2023-12-15 (주)에스에프테크놀로지 원전 방사능용 비접촉 전력 픽업형 스마트 리니어 이송로봇장치 및 이를 통한 방사능 누출 진단방법
KR102629321B1 (ko) 2023-03-29 2024-01-29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비접촉 전력 픽업형 스마트 리니어 이송로봇을 통한 석탄 운송 컨베이어용 촬영·센싱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1470C (en) Container
DK2665666T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ading cargo from a cargo hold.
KR100963759B1 (ko) 제철 원료의 적치 및 불출시스템과 적치방법
CN104803213B (zh) 转弯皮带输送机
WO2017143732A1 (zh) 主副跨环保型圆形料场
KR102160168B1 (ko) 이동형 이송물 낙하장치
JP6837955B2 (ja) 容器への廃棄物の充填システム
KR200463184Y1 (ko)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붐 스태커
CN105836483A (zh) 流动式尾部供料链式散货堆装机
KR20090128930A (ko) 스태커의 분진 비산 방지장치
AU2013100395B4 (en) Structure for use with container-handling apparatus
CN205708970U (zh) 一种装船机用袋包散料多功能布料装置
KR20220063561A (ko) 양방향 스태커 리클레이머
KR101462660B1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CN203855186U (zh) 四盖带卸料系统
CN205771105U (zh) 给料系统
KR101230470B1 (ko) 리크레이머 시스템
CN207918069U (zh) 一种长距离粉料有船入岸输送系统
CA2785502A1 (en) A foldable trash bin
CN208394097U (zh) 地埋式垃圾收集系统
CN209853141U (zh) 一种带有防护罩的钛白粉输送带
CN103896082A (zh) 四盖带卸料系统及其在带斗门机中的应用
CN205471696U (zh) 一种内河道港口装卸装置
CN213620463U (zh) 一种包装物输送装置以及包装物输送系统
CN114715690B (zh) 集装箱拆箱系统、集装箱转运站以及铁路运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