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697Y1 - 휴대폰용 키패드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697Y1
KR200462697Y1 KR2020110007652U KR20110007652U KR200462697Y1 KR 200462697 Y1 KR200462697 Y1 KR 200462697Y1 KR 2020110007652 U KR2020110007652 U KR 2020110007652U KR 20110007652 U KR20110007652 U KR 20110007652U KR 200462697 Y1 KR200462697 Y1 KR 200462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dome
dome
pressur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그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to KR2020110007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6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6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8Actuators to avoid tilting or skewing of contact area or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압집중돌기를 메탈돔의 정점부에 부착하여 일체화함과 동시에, 가압집중돌기가 메탈돔의 정점부 표면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키버튼의 누름력이 항상 가압집중돌기를 통해 메탈돔의 정점부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는 휴대폰용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면에 복수의 고정접점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상에 배치되어 가장자리부는 양쪽 고정접점에 항상 접촉되고 정점부가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것에 의해 중앙의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이격하여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돔형상의 메탈돔과,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어 메탈돔이 수용되는 스페이서와, 스페이서 상면에 위치되어 메탈돔을 고정하는 상부시트를 구비하는 휴대폰용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메탈돔의 정점부 상면 또는 상기 상부시트의 하면에 가압집중돌기를 접착제로 부착하고, 상기 메탈돔과 가압집중돌기에는 상호 끼워맞춤되어 가압집중돌기가 메탈돔의 정점부 표면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을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용 키패드{Keypad for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용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버튼의 정중앙부를 정확하게 누름 조작하지 않아도 메탈돔의 중앙부가 정상적으로 탄성 변형하여 스위치 기능이 항상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클릭감도 좋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휴대폰용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용 키패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복수의 고정접점(1a,1b)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과, 인쇄회로기판(1)상에 배치되어 가장자리부는 양쪽 고정접점(1b)에 항상 접촉되고 정점부는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것에 의해 중앙의 고정접점(1a)에 접촉 또는 이격하여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돔형상의 메탈돔(2)과, 인쇄회로기판(1) 상에 배치되어 메탈돔(2)이 수용되는 스페이서(3)와, 스페이서(3) 상면에 위치되어 접착제(4a)로 메탈돔(2)을 부착하여 고정하는 상부시트(4)로 구성된다.
따라서, 메탈돔(2) 상부에 배치된 키버튼(5)을 눌렀다 놓게 되면, 메탈돔(2)의 정점부가 하방으로 탄성 변형하여 중앙의 고정접점(1a)과 접촉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하여 이격됨으로써 스위치 기능이 수행된다.
이때, 키버튼(5)의 누름력은 메탈돔(2)의 정점부에 정확하게 도달해야 메탈돔(2)의 정점부가 정상적으로 탄성 변형하게 되고, 이로써 하방으로 반전된 메탈돔(2)의 정점부와 중앙의 고정접점(1a)이 확실하게 접촉되어 정확한 스위치 기능이 수행되고, 키버튼(5)의 누름조작시 '딸깍'하는 클릭감도 좋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돔(2)의 정점부에 가압집중돌기(6)를 접착제(7)로 부착하여 키버튼(5)의 누름력이 가압집중돌기(6)를 통해 메탈돔(2)의 정점부에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스위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성은, 재질이 스테인리스스틸인 메탈돔(2)에 재질이 합성수지인 가압집중돌기(6)를 접착제(7)로 부착하는 하는 것이므로, 합성수지끼리 접착하는 것보다 접착력이 약하여 반복되는 메탈돔(2)의 탄성 변형 및 복원동작에 의해 가압집중돌기(6)가 메탈돔(2)으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발생하게 되고, 떨어진 가압집중돌기(6)는 메탈돔(2) 상면에 부착된 상부시트(4)에 의해 메탈돔(2)의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은 방지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돔(2)의 정점부에서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것은 막기 어렵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집중돌기(6)와 동종의 합성수지재질인 상부시트(4)에 가압집중돌기(6)를 접착제(7)로 부착하는 구성은, 같은 합성수지재이므로 메탈돔(2)보다 높은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지만, 가압집중돌기(6)가 메탈돔(2)과 분리되어 형성됨에 따라, 역시 가압집중돌기(6)가 상부시트(4)와 함께 메탈돔(2)의 정점부에서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것은 막기 어렵다.
따라서, 가압집중돌기(6)의 유동에 의해 키버튼(5)의 누름력이 메탈돔(2)의 정점부에 정확하게 도달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써 메탈돔(2)이 정상적으로 탄성 변형되지 않아 스위칭 불량을 초래하게 되고, 또한 키버튼(5) 조작시의 클릭감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압집중돌기를 메탈돔의 정점부에 부착하여 일체화함과 동시에, 가압집중돌기가 메탈돔의 정점부 표면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키버튼의 누름력이 항상 가압집중돌기를 통해 메탈돔의 정점부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는 휴대폰용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에 복수의 고정접점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상에 배치되어 가장자리부는 양쪽 고정접점에 항상 접촉되고 정점부가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것에 의해 중앙의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이격하여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돔형상의 메탈돔과,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어 메탈돔이 수용되는 스페이서와, 스페이서 상면에 위치되어 메탈돔을 고정하는 상부시트를 구비하는 휴대폰용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메탈돔의 정점부 상면에 가압집중돌기를 접착제로 부착하고, 상기 메탈돔과 가압집중돌기에는 상호 끼워맞춤되어 가압집중돌기가 메탈돔의 정점부 표면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을 형성한 휴대폰용 키패드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면에 복수의 고정접점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상에 배치되어 가장자리부는 양쪽 고정접점에 항상 접촉되고 정점부가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것에 의해 중앙의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이격하여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돔형상의 메탈돔과,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어 메탈돔이 수용되는 스페이서와, 스페이서 상면에 위치되어 메탈돔을 고정하는 상부시트를 구비하는 휴대폰용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의 하면에 가압집중돌기를 접착제로 부착하고, 상기 메탈돔과 가압집중돌기에는 상호 끼워맞춤되어 가압집중돌기가 메탈돔의 정점부 표면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을 형성한 휴대폰용 키패드에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제1 끼워맞춤수단은, 상기 메탈돔의 정점부에 위방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끼워맞춤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끼워맞춤수단은 상기 가압집중돌기에 형성되어 메탈돔의 끼워맞춤돌기에 끼워지는 끼워맞춤구멍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끼워맞춤수단은, 상기 메탈돔의 정점부에 아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한 끼워맞춤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끼워맞춤수단은 상기 메탈돔의 끼워맞춤홈 내에 끼워지는 가압집중돌기의 바깥둘레면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메탈돔과 가압집중돌기에 상호 끼워맞춤되어 가압집중돌기가 메탈돔의 정점부 표면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메탈돔에 접착제로 부착된 가압집중돌기가 접착력 약화로 떨어지는 경우에도,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에 의해 가압집중돌기가 메탈돔의 정점부에서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메탈돔과 가압집중돌기에 상호 끼워맞춤되어 가압집중돌기가 메탈돔의 정점부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가압집중돌기를 상부시트에 접착제로 부착하여 메탈돔과 분리시켜 구성한 경우에도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에 의해 가압집중돌기가 메탈돔의 정점부에서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집중돌기의 유동이 방지됨에 따라, 키버튼의 누름력을 메탈돔의 정점부에 항상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이로써 메탈돔이 항상 정상적으로 탄성변형하여 정확한 스위치 기능이 수행되고, 키버튼 조작시의 클릭감도 항상 좋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용 키패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가압집중돌기를 메탈돔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가압집중돌기를 상부시트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폰용 키패드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 가압집중돌기를 메탈돔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폰용 키패드의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서 가압집중돌기를 메탈돔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서 가압집중돌기를 상부시트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키패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폰용 키패드는, 상면에 복수의 고정접점(11a,11b)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1)상에 배치되어 가장자리부는 양쪽의 고정접점(11b)에 항상 접촉되고 정점부는 중앙의 고정접점(11a)에 접촉 또는 이격하는 것에 의해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돔형상 메탈돔(1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1) 상에 배치되어 메탈돔(12)이 수용되는 스페이서(13)와, 상기 스페이서(13) 상면에 위치되어 접착제(14a)로 메탈돔(12)을 부착하여 고정하는 상부시트(14)로 구성된다.
따라서, 메탈돔(12) 상부에 배치된 키버튼(15)을 눌렀다 놓게 되면, 메탈돔(12)의 정점부가 하방으로 탄성 변형하여 중앙의 고정접점(11a)과 접촉한 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하여 이격됨으로써 스위치 기능이 수행되며, 메탈돔(12)의 정점부 하면에는 복수개의 하향접촉돌기(12b)가 형성되어 중앙의 고정접점(11a) 사이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에도 확실한 접촉이 이루어져 스위칭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탈돔(12)의 정점부 상면에는 키버튼(15)의 누름력을 메탈돔(12)의 정점부로 집중시켜 전달하기 위한 가압집중돌기(16)가 접착제(17)로 부착되고, 상기 메탈돔(12)과 가압집중돌기(16)에는 상호 끼워맞춤하여 가압집중돌기(16)가 메탈돔(12)의 정점부에서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끼워맞춤수단은, 메탈돔(12)의 정점부에 위방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원형의 끼워맞춤돌기(12a)로 이루어지고, 제2 끼워맞춤수단은 가압집중돌기(16)에 형성되어 메탈돔(12)의 끼워맞춤돌기(12a)에 끼워지는 원형의 끼워맞춤구멍(16a)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끼워맞춤돌기(12a)와 끼워맞춤구멍(16a)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호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이라면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끼워맞춤돌기(12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돔(12)의 정점부를 위방향으로 프레스기계에 의한 굴곡성형으로 형성하였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돔(12)의 정점부에 구멍을 형성한 후, 구멍의 가장자리를 위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메탈돔(12)의 정점부에 형성된 끼워맞춤돌기(12a)에 가압집중돌기(16)의 끼워맞춤구멍(16a)이 끼워지고, 메탈돔(12)의 정점부 상면에 가압집중돌기(16)가 접착제(17)로 부착됨에 따라, 반복되는 메탈돔(12)의 탄성 변형 및 복원 동작에 의해 접착제(17)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가압집중돌기(16)가 메탈돔(12)으로부터 떨어진 경우, 메탈돔(12) 상면에 부착된 상부시트(14)는 가압집중돌기(16)가 메탈돔(12)의 상부, 즉 메탈돔(1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고,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인 끼워맞춤돌기(12a)와 끼워맞춤구멍(16a)은 가압집중돌기(16)가 메탈돔(12)의 정점부에서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가압집중돌기(16)를 메탈돔(12)의 정점부에서 유동 없이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가압집중돌기(16)를 상부시트(14) 하면에 접착제(17)로 부착한 구성이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의 구성과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한 변형예에 의해서도, 가압집중돌기(16)가 메탈돔(12)과 분리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인 끼워맞춤돌기(12a)와 끼워맞춤구멍(16a)이 끼워맞춤됨에 따라, 가압집중돌기(16)는 메탈돔(12)의 정점부에서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가압집중돌기(16)를 메탈돔(12)의 정점부에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0 내지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끼워맞춤수단은, 상기 메탈돔(112)의 정점부에 아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한 끼워맞춤홈(112a)으로 이루어지고, 제2 끼워맞춤수단은 메탈돔(112)의 끼워맞춤홈(112a) 내에 끼워지는 가압집중돌기(116)의 바깥둘레면(116a)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제1 실시예 구성과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면에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탈돔(112)의 정점부에 형성된 끼워맞춤홈(112a)에 가압집중돌기(116)의 바깥둘레면(116a)이 끼워지고, 메탈돔(112)의 정점부 상면에 가압집중돌기(116)가 접착제(17)로 부착됨에 따라, 반복되는 메탈돔(112)의 탄성 변형 및 복원 동작에 의해 접착제(17)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가압집중돌기(116)가 메탈돔(112)으로부터 떨어진 경우, 메탈돔(112) 상면에 부착된 상부시트(14)는 가압집중돌기(116)가 메탈돔(112)의 상부, 즉 메탈돔(11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고,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인 끼워맞춤홈(112a)과 바깥둘레면(116a)은 가압집중돌기(116)가 메탈돔(112)의 정점부에서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가압집중돌기(116)를 메탈돔(112)의 정점부에서 유동 없이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3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가압집중돌기(116)를 상부시트(14) 하면에 접착제(17)로 부착한 구성이 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의 구성과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한 변형예에 의해서도, 가압집중돌기(116)가 메탈돔(112)과 분리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인 끼워맞춤홈(112a)와 바깥둘레면(116a)이 끼워맞춤됨에 따라, 가압집중돌기(116)는 메탈돔(112)의 정점부에서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가압집중돌기(116)를 메탈돔(112)의 정점부에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의하면, 가압집중돌기(16,116)와 메탈돔(12,112)에 구비되어 상호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에 의해 가압집중돌기(16,116)가 메탈돔(12,112)의 정점부에서 표면을 따라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키버튼(15)의 누름력이 메탈돔(12,112)의 정점부에 항상 정확하게 전달되고, 이로 인해 메탈돔(12,112)이 항상 정상적으로 탄성 변형하여 정확한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키버튼(15) 조작시의 클릭감를 좋게 유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 : 인쇄회로기판 11a,11b : 고정접점
12 : 메탈돔 12a : 끼워맞춤구멍
112a : 끼워맞춤홈 13 : 스페이서
14 : 상부시트 15 : 키버튼
16,116 : 가압집중돌기 16a : 끼워맞춤구멍
116a : 바깥둘레면 17 : 접착제

Claims (4)

  1. 상면에 복수의 고정접점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상에 배치되어 가장자리부는 양쪽 고정접점에 항상 접촉되고 정점부가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것에 의해 중앙의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이격하여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돔형상의 메탈돔과,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어 메탈돔이 수용되는 스페이서와, 스페이서 상면에 위치되어 메탈돔을 고정하는 상부시트를 구비하는 휴대폰용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메탈돔의 정점부 상면에 가압집중돌기를 접착제로 부착하고, 상기 메탈돔과 가압집중돌기에는 상호 끼워맞춤되어 가압집중돌기가 메탈돔의 정점부 표면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키패드.
  2. 상면에 복수의 고정접점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상에 배치되어 가장자리부는 양쪽 고정접점에 항상 접촉되고 정점부가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것에 의해 중앙의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이격하여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돔형상의 메탈돔과,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어 메탈돔이 수용되는 스페이서와, 스페이서 상면에 위치되어 메탈돔을 고정하는 상부시트를 구비하는 휴대폰용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의 하면에 가압집중돌기를 접착제로 부착하고, 상기 메탈돔과 가압집중돌기에는 상호 끼워맞춤되어 가압집중돌기가 메탈돔의 정점부 표면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끼워맞춤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키패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워맞춤수단은, 상기 메탈돔의 정점부에 위방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끼워맞춤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끼워맞춤수단은 상기 가압집중돌기에 형성되어 메탈돔의 끼워맞춤돌기에 끼워지는 끼워맞춤구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키패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워맞춤수단은, 상기 메탈돔의 정점부에 아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한 끼워맞춤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끼워맞춤수단은 상기 메탈돔의 끼워맞춤홈 내에 끼워지는 가압집중돌기의 바깥둘레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키패드.
KR2020110007652U 2011-08-24 2011-08-24 휴대폰용 키패드 KR200462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652U KR200462697Y1 (ko) 2011-08-24 2011-08-24 휴대폰용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652U KR200462697Y1 (ko) 2011-08-24 2011-08-24 휴대폰용 키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697Y1 true KR200462697Y1 (ko) 2012-09-24

Family

ID=4755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652U KR200462697Y1 (ko) 2011-08-24 2011-08-24 휴대폰용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6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81Y1 (ko) * 2013-10-18 2015-03-20 주식회사 마그마 택트 스위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98Y1 (ko) 2009-02-13 2011-05-27 주식회사 마그마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KR200456076Y1 (ko) 2010-05-11 2011-10-11 주식회사 마그마 키패드용 메탈 돔 스위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98Y1 (ko) 2009-02-13 2011-05-27 주식회사 마그마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KR200456076Y1 (ko) 2010-05-11 2011-10-11 주식회사 마그마 키패드용 메탈 돔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81Y1 (ko) * 2013-10-18 2015-03-20 주식회사 마그마 택트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936793U (zh) 键盘用金属穹顶形开关
US20110181402A1 (en) Novel Tactile Apparatus and Methods
CN103177891A (zh) 防水手表按钮
US20140186085A1 (en) Press key
EP3364436B1 (en) Push switch
KR200462697Y1 (ko) 휴대폰용 키패드
KR200453798Y1 (ko)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EP2515315B1 (en) Movable contact member and switch device using movable contact member
KR100637889B1 (ko) 가동 접점체 및 이것을 사용한 푸시버튼 스위치
JP2011100549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7525060B2 (en) Movable contact point
JP5060922B2 (ja) 可動接点付きシートおよびスイッチ装置
KR20100007489U (ko)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JP4993228B2 (ja) スイッチ用可動接点
KR200476681Y1 (ko) 택트 스위치
JP2013149380A (ja) 携帯電話用キーボード
KR200462695Y1 (ko) 휴대폰용 키패드
JP2015095331A (ja) タクトスイッチ
KR200453796Y1 (ko)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KR100334834B1 (ko) 멤브레인 스위치
JP5590745B2 (ja) ロングストローク・ドーム型可動接片
CN201319624Y (zh) 手机键盘
KR20150002960U (ko) 택트 스위치
KR20110005057U (ko)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JP2001216866A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