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834B1 - 멤브레인 스위치 - Google Patents

멤브레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834B1
KR100334834B1 KR1019990022272A KR19990022272A KR100334834B1 KR 100334834 B1 KR100334834 B1 KR 100334834B1 KR 1019990022272 A KR1019990022272 A KR 1019990022272A KR 19990022272 A KR19990022272 A KR 19990022272A KR 100334834 B1 KR100334834 B1 KR 10033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ilm
electrode sheet
upper electrode
membrane switch
rubb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192A (ko
Inventor
다께모리사또루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00006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spacers between contact carry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Abstract

러버 캡과 상부전극시트의 접착성을 향상시킨 멤브레인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는 상부전극시트 (2) 의 표면 (2b) 에 코팅막 (4) 을 형성하여, 이 코팅막 (4) 의 위로부터 러버 캡 (5) 을 접착하도록 했다.

Description

멤브레인 스위치{MEMBRANE SWITCH}
본 발명은 러버 캡을 갖는 멤브레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러버 캡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멤브레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멤브레인 스위치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부 (1a,2a) 를 갖는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전극시트 (1) 와 상부전극시트 (2) 가 설치되고, 대략 원형의 접점부 (1a,2a) 가 각각 대향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와 하부의 전극시트 (1,2) 사이에는 접점부 (1a,2a) 보다 큰 릴리프 홀 (3a) 을 갖는 스페이서 (3) 가 설치되고, 상하의 접점부 (1a,2a) 가 릴리프 홀 (3a) 에 위치하여 릴리프 홀 (3a) 위의 상부전극시트 (2) 의 표면 (2b) 을 하방측으로 누르면 접점부 (2a) 가 하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측의 접점부 (2a) 위의 상부전극시트 (2) 의 표면 (2b) 에는 돔형상의 러버 캡 (5) 이 접착제 (6) 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러버 캡 (5) 은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공동의 돔형상으로 되어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되는 종래의 멤브레인 스위치가 개략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멤브레인 스위치의 조작은 러버 캡 (5) 의 정상부의 돌출부 (5b) 에 누름가중을 가하여 돔형상의 러버 캡 (5) 을 탄성변형시키면 중공 내부 천정부의 돌기 (5c) 가 접점부 (2a) 위의 상부전극시트 (2) 를 누른다. 그러면 접점부 (2a) 가 강하하여 하부전극시트 (1) 의 접점부 (1a) 에 접촉하여 2 개의 접점부 (1a,2a) 가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상부와 하부의 전극시트 (1,2) 에 사용하고 있는 PET 필름은 표면이 매우 평활함과 동시에 표면에 다른 화학물질 등을 부착시켜도특성적으로 안정된 물질이다.
따라서 러버 캡 (5) 을 실리콘계 접착제 (6) 로 상부전극시트 (2) 에 접착시켜도 접착제 (6) 와 상부전극시트 (2) 의 표면 (2b) 과의 접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러버 캡 (5) 을 반복하여 탄성변형시키면 러버 캡 (5) 이 상부전극시트 (2) 에서 떨어지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러버 캡 (5) 이 상부전극시트 (2) 에서 떨어지면 러버 캡 (5) 을 누를 때의 감각이 나빠지거나, 상부측의 접점부 (2a) 를 바르게 하방으로 강하시킬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스위칭 조작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의 상부전극시트의 요부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의 요부 단면도.
도 3 은 종래의 멤브레인 스위치의 상부전극시트의 요부 평면도.
도 4 는 종래의 멤브레인 스위치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전극시트 1a : 접점부
2 : 상부전극시트 2a : 접점부
3 : 스페이서 3a : 릴리프 홀
4 : 코팅막 5 : 러버 캡
5a : 지지벽 5b : 돌출부
5c : 돌기 5d : 부착부
6 : 접착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는, 접점부를 각각 갖는 상부와 하부의 평면상 전극시트와, 이 상부와 하부의 전극시트 사이에 설치하여 대향상태의 상기 접점부를 소정 치수로 이간시키는 스페이서와, 상기 접점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전극시트 표면에 접착된 돔형상의 러버 캡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전극시트 위의 표면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이 코팅막의 위로부터 상기 러버 캡을 접착하도록 한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코팅막은 에폭시계, 혹은 알키드계 (alkyd type) 재료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코팅막은 상기 코팅막을 형성한 형성영역과, 상기 코팅막을 형성하지 않는 비형성영역을 가지고, 상기 접점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전극시트 위의 표면에 상기 비형성영역을 형성한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상부전극시트는 투명하거나 유백색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팅막은 그 색이 검은색 등의 불투명한 색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상부전극시트의 요부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의 요부 단면측면도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은 동일한 번호를 붙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부 (1a,2a) 를 각각 갖는 상부와 하부의 전극시트 (1,2) 와, 이 상부와 하부의 전극시트 (1,2) 사이에 설치하여 대향상태의 접점부 (1a,2a) 를 소정 치수로 이간시키는 스페이서 (3) 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와 하부의 전극시트 (1,2) 는 특성적으로 안정된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그 각각의 전극시트 (1,2) 가 대향하는 면에는 대략 원형의 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점부 (1a,2a) 가 각각 대향상태로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전극시트 (1,2) 의 색은 투명하거나 유백색으로 구성되며, 접점부 (1a,2a) 에서는,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된 회로패턴 (도시하지 않음) 에 광(光)이 닿으면 이 광이 투명하거나 유백색인 상부전극시트 (2) 를 통과하여 표면 (2b) 에서 상방으로 반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 (3) 는 소정 두께의 필름시트로 이루어지고, 상방의 접점부 (2a) 주위에 릴리프 홀 (3a) 이 형성되어 상방의 접점부 (2a) 가 릴리프 홀 (3a) 안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접점부 (2a) 의 배면측의 상부전극시트 (2) 의 표면 (2b), 즉 상방의 접점부 (2a) 와 대향하는 상부전극시트 (2) 의 표면 (2b) 을 후술하는 러버 캡 (5) 으로 누르면 접점부 (2a) 는 릴리프 홀 (3a) 안을 하방측으로 이동하여 하방의 접점부 (1a) 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전극시트 (2) 의 표면 (2b) 에는 소정 두께의 코팅막 (4)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코팅막 (4) 은 에폭시계 혹은 알키드계의 열경화형 코팅재로 이루어지고, 상하의 전극시트 (1,2) 에 대한 밀착성, 및 후술하는 접착제 (6) 에 대한 접착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코팅막 (4) 은 코팅막 (4) 을 형성한 형성영역 (4a) 과, 코팅막 (4) 을 형성하지 않는 비형성영역 (4b) 을 가지고, 접점부 (2a) 의 배면측에서 접점부 (2a) 와 대향하는 상부전극시트 (2) 위의 표면 (2b) 에 비형성영역 (4b) 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형성영역 (4b) 으로부터는 상부전극시트 (2) 의 표면 (2b) 이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비형성영역 (4b) 의 크기는 스페이서 (3) 의 릴리프 홀 (3a) 과 동등하거나 그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팅막 (4) 은 그 색이 검은색 등의 불투명한 색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의 전극시트 (1,2) 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패턴 (도시하지 않음) 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코팅막 (4) 으로 막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팅막 (4) 은 에폭시계 혹은 알키드계 코팅재를 원하는 용제로 용해시켜 액체상으로 하고, 이 액체상의 코팅재에 검은색의 안료 등을 섞어, 상부전극시트 (2) 의 표면 (2b) 에 인쇄 등에 의해 원하는 두께 (대략 10 ㎛ 정도) 로 검은색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팅막 (4) 의 비형성영역 (4b) 위에는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러버 캡 (5) 이 배치되어 있다.
이 러버 캡 (5) 은 돔형상의 지지벽 (5a) 이 형성되어 내부가 중공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돔형상의 지지벽 (5a) 의 천정부의 바깥쪽 상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키 톱 (key top) 등을 부착하기 위한 기둥형상의 돌출부 (5b) 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5b) 와 대향하는 지지벽 (5a) 의 안쪽에는 대략 원추형상의 돌기 (5c) 가 소정 길이로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 (5b) 를 누르면 지지벽 (5a) 이 탄성변형하여 중공내부의 돌기 (5c) 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지지벽 (5a) 하부의 외주부에는 상부전극시트 (2) 의 표면 (2b) 과 평행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형상의 부착부 (5d)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러버 캡 (5) 은 부착부 (5d) 를 코팅막 (4) 의 형성영역 (4a) 위에 위치시켜, 부착부 (5d) 와 코팅막 (4) 의 형성영역 (4a) 사이에 실리콘계 등의 접착제 (6) 를 도포하여 이 접착제 (6) 에 의해 러버 캡 (5) 이 코팅막(4) 위에 접착되어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의 조작은 러버 캡 (5) 의 돌출부 (5b) 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는 키 톱을 누르면 지지벽 (5a) 이 탄성변형한다. 이 지지벽 (5a) 의 탄성변형에 의해 강하한 돌기 (5c) 가 상부전극시트 표면 (2b) 을 눌러 상방의 접점부 (2a) 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방의 접점부 (2a) 가 하방의 접점부 (1a) 와 접촉하여 2 개의 접점부 (1a,2a) 가 전기적으로 도통함으로써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의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는 상부전극시트 위의 표면에 코팅막을 형성하고, 이 코팅막의 위로부터 러버 캡을 접착하도록 하였으므로, 상부 전극시트에 대해 러버 캡의 접착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스위칭 조작에 의해 반복하여 러버 캡을 탄성변형시켜도 러버 캡이 상부전극시트에서 떨어지는 일이 없는 수명이 긴 멤브레인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막은 에폭시계, 혹은 알키드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시트와의 밀착성이 양호하며 코팅막 위에 접착된 러버 캡의 접착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막은 상기 코팅막을 형성한 형성영역과, 상기 코팅막을 형성하지 않는 비형성영역을 가지고, 상기 접점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전극시트 위의 표면에 상기 비형성영역을 형성하였으므로, 상방의 접점부가 형성된 상부전극시트를 무리없이 휘어지게 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할 수 있으며, 비형성영역이 있음으로 해서 상부전극시트에 코팅막을 형성해도 조작성이 떨어지지 않는 멤브레인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전극시트는 투명하거나 유백색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팅막은 그 색이 검은색 등의 불투명한 색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상부 혹은 하부전극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패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코팅막으로 막을 수 있으며, 조립작업시 작업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다.

Claims (5)

  1. 접점부를 각각 갖는 상부와 하부의 평면상 전극시트와, 이 상부와 하부의 전극시트 사이에 설치하여 대향상태의 상기 접점부를 소정 치수로 이간시키는 스페이서와, 상기 접점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전극시트 표면에 접착된 돔형상의 러버 캡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전극시트 위의 표면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이 코팅막의 위로부터 상기 러버 캡을 접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막은 에폭시계, 혹은 알키드계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막은 상기 코팅막을 형성한 형성영역과, 상기 코팅막을 형성하지 않는 비형성영역을 가지고, 상기 접점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전극시트 위의 표면에 상기 비형성영역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시트는 투명하거나 유백색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팅막은 그 색이 검은색 등의 불투명한 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시트는 투명하거나 유백색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팅막은 그 색이 검은색 등의 불투명한 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KR1019990022272A 1998-06-16 1999-06-15 멤브레인 스위치 KR100334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68224A JP2000003633A (ja) 1998-06-16 1998-06-16 メンブレンスイッチ
JP98-168224 1998-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192A KR20000006192A (ko) 2000-01-25
KR100334834B1 true KR100334834B1 (ko) 2002-05-04

Family

ID=15864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272A KR100334834B1 (ko) 1998-06-16 1999-06-15 멤브레인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003633A (ko)
KR (1) KR100334834B1 (ko)
TW (1) TW41712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200A (ko) * 2001-12-08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구간거리계의 리셋 스위치
KR101014809B1 (ko) * 2009-04-15 2011-02-14 (주)우림 디지털 피아노용 건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0456A (ja) * 2000-11-30 2002-06-14 Alps Electric Co Ltd ラバースイッチ
JP6171981B2 (ja) 2014-03-04 2017-08-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構造
CN109326475A (zh) * 2017-08-01 2019-02-12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发光键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316A (ja) * 1988-06-23 1990-01-10 Fujikura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259714A (ja) * 1991-02-12 1992-09-16 Fuji Xerox Co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
JPH04334825A (ja) * 1991-05-10 1992-11-20 Fujikura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
JPH06176657A (ja) * 1992-12-02 1994-06-24 Fujitsu Ltd シート状スイッチ
JPH06231652A (ja) * 1993-02-02 1994-08-19 Kokusai Electric Co Ltd シートキースイッチ
JPH08264068A (ja) * 1995-03-23 1996-10-11 Fujikura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
US5818174A (en) * 1996-03-01 1998-10-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oiseless dispersion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switch unit using same
JPH10269889A (ja) * 1997-03-25 1998-10-09 Hosiden Corp メンブレン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316A (ja) * 1988-06-23 1990-01-10 Fujikura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259714A (ja) * 1991-02-12 1992-09-16 Fuji Xerox Co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
JPH04334825A (ja) * 1991-05-10 1992-11-20 Fujikura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
JPH06176657A (ja) * 1992-12-02 1994-06-24 Fujitsu Ltd シート状スイッチ
JPH06231652A (ja) * 1993-02-02 1994-08-19 Kokusai Electric Co Ltd シートキースイッチ
JPH08264068A (ja) * 1995-03-23 1996-10-11 Fujikura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
US5818174A (en) * 1996-03-01 1998-10-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oiseless dispersion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switch unit using same
JPH10269889A (ja) * 1997-03-25 1998-10-09 Hosiden Corp メンブレンスイッ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200A (ko) * 2001-12-08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구간거리계의 리셋 스위치
KR101014809B1 (ko) * 2009-04-15 2011-02-14 (주)우림 디지털 피아노용 건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17122B (en) 2001-01-01
KR20000006192A (ko) 2000-01-25
JP2000003633A (ja) 200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6355A (en) Keyboard
CA1138502A (en) Push-button switch
EP1589552B1 (en) Push-on Switch
US5510584A (en) Sequentially operated snap action membrane switches
KR100456825B1 (ko) 패널스위치용가동접점조립체
CA1231994A (en) Elastomeric overlay with particular pushbutton profile to operate membrane switch
US8089014B2 (en) Waterproof push button switch
KR100334834B1 (ko) 멤브레인 스위치
EP0531973B1 (en) Click-action membrane switch
KR100483648B1 (ko) 푸쉬버튼스위치
US4352963A (en) Low profile microswitches, particularly useful for the composition of keyboards and method of making
KR100846335B1 (ko) 클릭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
JP2009037892A (ja) 可動接点
JP2001216865A (ja) スイッチ
KR200453798Y1 (ko)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JP3931479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複合スイッチ
JP2007220528A (ja) 可動接点構造体及び押ボタンスイッチ
US4768284A (en) A method for making low profile microswitches, particularly useful for keyboards
KR200453796Y1 (ko)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JP2001283670A (ja) 押釦スイッチ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スイッチ
JPH0650921Y2 (ja) スイッチ機構
JP3860410B2 (ja) ラバースイッチ
JPH0433618Y2 (ko)
GB2157497A (en) Elastomeric dome with tactile feedback
KR200462695Y1 (ko) 휴대폰용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