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498Y1 -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498Y1
KR200462498Y1 KR2020090011806U KR20090011806U KR200462498Y1 KR 200462498 Y1 KR200462498 Y1 KR 200462498Y1 KR 2020090011806 U KR2020090011806 U KR 2020090011806U KR 20090011806 U KR20090011806 U KR 20090011806U KR 200462498 Y1 KR200462498 Y1 KR 200462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ainer
transparent
temperature sensitive
opa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626U (ko
Inventor
유창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90011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49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6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4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2Means for indicating features of the content from outside, e.g. wind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1/00Means or constructions for testing or contro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불투명한 외부용기의 측면에 온도감응창을 설치하여 손을 대는 것과 같이 사람의 체온을 전달하여 온도를 높이면 온도감응창이 투명해져서 불투명한 외부용기에 수납된 투명용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어서, 투명용기 내에 수용된 화장품 내용물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잔량의 확인에 따라 새로운 제품을 미리 구매하여 구비하므로 화장품의 완전소모에 의한 곤란함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화장품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한 뒤에는 온도감응창으로부터 손을 떼어 체온을 제거하여 실온으로 되면 온도감응창이 다시 불투명해져서 투명용기에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장품 내용물이 가지는 본래의 기능은 물론 향취, 색조 등의 성분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에어리스 화장품용기(100) 상단에는 투명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배출펌프(300)를 갖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투명용기(200)를 수용하는 불투명외부용기(400)와, 상기 불투명외부용기(400)의 측면에 온도감응창(401)을 형성하되 상기 온도감응창(401)은 실온에서는 불투명하였다가 손을 대는 것과 같이 체온을 전달하여 28℃이상으로 온도를 높이면 투명해지는 도료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어서, 상기 투명용기(200) 내의 화장품 내용물이 어느 정도 남아있는지 확인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온도감응창(401)에 체온을 전달하여 투명하게 한 후 투명용기(200) 내에 수용된 화장품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내용물 확인 후에는 상기 온도감응창(401)으로부터 손을 떼어 체온을 제거하여 상기 온도감응창(401)이 실온으로 되어 다시 불투명하게 함으로서 상기 투명용기(200)에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장품이 가지는 본래의 기능은 물론 향취, 색조 등의 성분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투명용기,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불투명외부용기, 측면창, 온도감응창, 변온잉크, 색변환필름, 빛투과율 가변형기재

Description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A airless cosmetic vessel possible remnants confirmation}
본 고안은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불투명한 외부용기의 측면에 온도감응창을 설치하여 손을 대는 것과 같이 사람의 체온을 전달하여 온도를 높이면 온도감응창이 투명해져서 불투명한 외부용기에 수납된 투명용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어서, 투명용기 내에 수용된 화장품 내용물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잔량의 확인에 따라 새로운 제품을 미리 구매하여 구비하므로 화장품의 완전소모에 의한 곤란함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화장품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한 뒤에는 온도감응창으로부터 손을 떼어 체온을 제거하여 실온으로 되면 온도감응창이 다시 불투명해져서 투명용기에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장품 내용물이 가지는 본래의 기능은 물론 향취, 색조 등의 성분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적당량 씩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 중의 하나로 화장품 용기 상단에 에어리스 배출펌프를 장착하여 사 용하게 된다.
상기 에어리스 배출펌프는 용기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소량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기능성 화장품 등이 수용된 용기에 많이 적용하고 있다.
상기의 에어리스 배출펌프는 노즐이 결합된 버튼을 누르면 배출펌프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이 좁고 긴 유로를 따라 버튼의 일측에 형성된 노즐로 배출되며, 내용물이 배출된 만큼의 진공압에 의해 용기 내부 아래쪽에 장착된 피스톤이 상승하면서 내용물을 모아주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용기 내의 내용물을 위로 밀어 올려 모아 주는 피스톤의 특성상 피스톤이 활동하는 용기의 내면이 매끄럽고 균일한 내경을 갖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리스 배출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에 있어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소재의 용기를 제한하다 보니 유리재 또는 내화학성 합성수지재의 투명 용기로 된 내부 용기를 사용하여야하며, 이것과 더불어 외부의 빛을 차단하여 빛에 의해 화장품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한 내부용기 외측에 불투명 합성수지재로 된 외부용기를 씌우도록 하는 구조의 이중 용기를 제작하게 되므로 내용물의 잔량 확인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잔량을 확인하지 못하고 잔량을 완전히 소모한 경우에는 새로운 화장품을 미처 구매하는 시기를 놓치게 되어 화장의 지속성이 이어지지 못하는 폐단이 있으며, 비교적 작고 가벼운 화장품 용기이며 더욱이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인 경우에는 흔들어 보거나 무게를 가늠해 보더라도 내용물이 얼마나 남아있는지 알 수 없어 내용물의 완전 소진에 따라 종종 당황함을 겪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불투명한 외부용기 측면에 수직으로 절개홈을 형성하여 불투명한 외부용기에 수납된 투명용기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선행 기술로는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033867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외부용기 일측면에는 상, 하 수직방향으로 투시창을 형성하여 내부용기가 투시될 수 있도록 하고, 투시창 일측의 수납홈에는 외부에 손잡이를 가지는 불투명체의 개폐판이 좌, 우 슬라이드 되면서 투시창을 개폐토록 하여 내부용기에 있는 화장품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개폐판을 개방하여 내부용기에 수용된 화장품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한 이후에 개폐판을 원래의 상태로 폐쇄하지 않으면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투시창으로 빛이 투과되어 화장품이 가지는 본래의 기능은 물론 향취, 색조 등의 성분이 변질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불투명한 외부용기의 측면에 실온에서는 불투명하였다가 사람의 체온을 전달하여 온도를 높이면 투명해지는 온도감응창을 구성하여 내용물을 확인하고자 할 때에는 손을 갖다대어 체온을 전달하여 온도를 높여 온도감응창을 투명하게 한 후 투명용기 내에 수용된 화장품 내용물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품 사용 잔량의 확인에 따라 새로운 제품을 미리 구매하여 구비하므로 화장품의 완전소모에 의한 곤란함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제공함에 그 목적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화장품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한 뒤 온도감응창으로부터 손을 떼어 체온을 제거하여 실온으로 돌아가게 하면 다시 온도감응창이 불투명해져서 외부의 빛을 차단할 수 있게 함으로서 화장품이 가지는 본래의 기능은 물론 향취, 색조 등의 성분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에어리스 화장품용기(100) 상단에는 투명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배출펌프(300)를 갖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투명용기(200)를 수용하는 불투명외부용기(400)와, 상기 불투명외부용기(400)의 측면에 온도감응창(401)을 형성하되 상기 온도감응창(401)은 실온에서는 불투명하였다가 손을 대는 것과 같이 체온을 전달하여 28℃ 이상으로 이상으로 온도를 높이면 투명해지는 온도감응기재가 도포 또는 부착 또는 주입되어 있는 것이어서, 상기 투명용기(200) 내의 화장품 내용물이 어느 정도 남아있는지 확인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온도감응창(401)에 체온을 전달하여 투명하게 한 후 투명용기(200) 내에 수용된 화장품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내용물 확인 후에는 상기 온도감응창(401)으로부터 손을 떼어 체온을 제거하여 상기 온도감응창(401)이 실온으로 되어 다시 불투명하게 함으로서 상기 투명용기(200)에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장품이 가지는 본래의 기능은 물론 향취, 색조 등의 성분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불투명외부용기(400) 내부에 수납된 투명용기(200)의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불투명외부용기(400) 측면에 구성한 온도감응창(401)의 온도를 높이면 투명용기(200) 내의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확인한 후에는 새로운 제품을 미리 구매하여 구비하므로 완전소모에 의한 곤란함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장품 내용물을 확인한 뒤 온도감응창(401)의 온도를 내리면 상기 온도감응창(401)이 다시 불투명해져서 투명용기(200)에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장품 내용물이 가지는 본래의 기능은 물론 향취, 색조 등의 성분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리스 화장품용기(100) 상단에는 투명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배출펌프(300)를 갖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투명용기(200)를 수용하는 불투명외부용기(400)와, 상기 불투명외부용기(400)의 측면에는 온도감응창(401)을 형성하되 상기 온도감응창(401)은 실온에서는 불투명하였다가 손을 대는 것과 같이 체온을 전달하여 28℃ 이상으로 온도를 높이면 투명해지도록 하며 상기 온도감응창(401)으로부터 손을 떼어 체온을 제거하여 상기 온도감응창(401)이 실온으로 되면 다시 불투명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온도감응창(401)은 투명하게 형성한 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표면에 온도감응기재를 도포하여 도포층(401a)을 형성하거나 또는 온도감응기재를 혼합하여 제조한 색변환필름(401b)을 투명한 온도감응창(401) 외표면에 부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포층(401a)과 색변환필름(401b)은 상기 온도감응창(401)의 내표면에 도포하거나 부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온도감응창(401)은 사출할 때 온도감응기재를 혼합하여 사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온도감응창(401)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도감응창을 두개의 투명창으로 형성하되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그 공간 내에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401c)와 같은 온도감응기재를 주입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온도감응기재는 공지의 변온잉크일 수 있다. 상기 변온잉크는 28℃ 이상의 온도에서는 투명해지고 그 이하의 온도에서는 불투명해지는 변온잉크를 사용한다.
또는 상기 온도감응기재는 색변환필름일 수 있다. 상기 색변환필름은 변온잉크를 포함시켜 형성한 필름으로서 28℃ 이상의 온도에서는 투명해지고 그 미만의 온도에서는 불투명해지는 필름을 사용한다.
또는 상기 온도감응기재는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일 수 있다. 상기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는 온도에 따라 빛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것으로서 수용성 열감응 고분자 물질(water-soluble thermo-responsive polymeric material)과 광경화형 친수성 모노머(light curable hydrophilic monomer)와 커플링제(coupling agent)와 용매와 광개시제(photoinitiator)와 수축방지제(anti-shrinking agent)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광 경화(light cure)하여 이루어진 기재를 사용하며, 이 기재는 28℃ 미만의 온도에서는 불투명하다가 외부의 열에너지를 받아 28℃ 이상이 되면 광 투과율이 변하게 되어 투명해지게 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에 사용하는 용매는 순수한 물(purified water) 또는 유기용제(organic solvent) 또는 그의 혼합물 중 선택하여 사용하며, 상기 용매는 상기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의 전체중량에 대해서 30내지 50중량%가 적당하다.
상기 수용성 열감응 고분자 물질은 폴리N-비닐 카프로락탐 또는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마이드 또는 폴리메틸비닐에테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며, 상기 수용성 열감응 고분자 물질은 상기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의 전체중량에 대해서 5내지 30중량%가 적당하다.
상기 광경화형 친수성 모노머는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 즉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비스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bis(hydroxyethylmethacrylate)phosphate)),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hydroxypropyl methacrylate),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2(2-에톡시에톡시) 에틸아크릴레이트 2(2-ethoxyethoxy) ethyl acrylate, 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아마이드(hydroxymethylacrylamide), 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dimethyl acrylamide) 중에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광경화형 친수성 모노머는 상기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의 전체중량에 대해서 30내지 50중량%가 적당하다.
상기 커플링제는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 내에서 균일 분산되어 가수분해 반응 및 중/축합 반응에 의해 상호간에 삼차원 그물구조로 연결되면서 열감응 고분자 물질과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를 일정 부분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 특정 예들은 대부분의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들로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 디메틸 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 dimethyl 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 디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 methyl di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 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3-메타 크릴록시프로필 트리케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 trimethoxysilane) 등 대부분의 실란 커플링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커플링제는 상기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의 전체중량에 대해서 0.1내지 10중량%가 적당하다.
상기 광개시제는 빛에 의해 라디칼을 형성하여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작용하여 중합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어떠한 광개시제라도 사용 가능하며, 이러한 광개시제의 예로는 벤조페논(benzophenone), 에틸4-(디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ethyl4-(dimethylamino)benzoate), 벤질디메틸케탈(benzyl dimethyl ketal),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원(1-(4-(2-hydroxyethoxy)-phenyl)-2-hydroxy-2-methyl-1-propane-1-one),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원(2-hydroxy-2-methyl-1-phenyl-propane-1-one), 트리메틸 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 diphenyl phosphine oxide), 비스아크릴포스파인 옥사이드(bisacrylphosphine oxide) 등이 있으며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의 전체중량에 대해서 0.1내지 10중량%가 적당하다.
상기 수축방지제는 광경화 모노머의 중합반응 시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상당한 부피감소를 줄여주어 부피감소에 따른 광조절 매체와 온도감응창(401)과의 박리현상을 억제해주며, 열감응 고분자의 지나친 상분리 경향을 감소시켜 주기도 하고, 열감응 특성에 긍정적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적당한 수축방지제는 중량 대비 매우 큰 표면적을 갖는 다공질이면서 투명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는 초 미립자, 즉 대표적인 것으로 에어로실(aerosil)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에는 추가적으로 여러 가지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물 또는 모노며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어떠한 안료 또는 염료와 같은 색소는 칼라 효과를 주거나 외부의 빛을 흡수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첨가할 수 있고, 또한 모노머의 특성 열화를 감소시키기 위해 산화방지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가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의 첨가량은 전체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에 대해서 0.01내지 5중량%가 적당하다.
상기 에어리스 배출펌프(300)의 버튼(301)의 내부에는 영구자석(302)이 배치되어 있어 금속성인 뚜껑(303)이 편리하게 탈부착되도록 하였다.
상기 투명용기(200) 상단에는 외형으로 돌출된 원형테(201)가 형성되고, 하측 중앙에는 에어유입공(202)이 형성되며, 투명용기(200) 바닥면에는 원형받침돌기(20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불투명외부용기(400)의 상단 내형으로는 원형걸림턱(404)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리스 배출펌프(300) 중앙에 형성된 원형테(304)가 안착되며, 불투명외부용기(400)의 내경에는 상기 투명용기(200)의 원형테(20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다수가 배열된 걸림턱(405)이 형성되고, 불투명외부용기(400)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투명용기(200)의 원형받침돌기(203)가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된 원형홈(40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에어리스 배출펌프(300)의 작용에 의해 투명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을 조금씩 배출하여 사용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투명용기(200) 내의 내용물이 소진되어 가는데 사용자가 내용물이 얼마나 남았는지 잔량을 확인코자 할 경우 본 고안의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리스 배출펌프의 작용상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의 작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리스 배출펌프(300) 내부에 설치된 영구자석(302)에 의해 탈부착되는 뚜껑(303)을 분리한 뒤, 에어리스 배출펌프(300)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하여 에어리스 배출펌프(300)의 상부를 회전시키면 걸림턱(305)에 있던 제동돌기(306)가 회전하여 개방홈(307)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버튼(301)을 눌러주게 되면 에어리스 배출펌프(300) 내의 내용물이 상측으로 배출되고, 에어리스 배출펌프(300)를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에어리스 배출펌프(300)가 원상태로 되면서 투명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에어리스 배출펌프(300)내로 흡입되게 된다. 이때 투명용기(200) 내측 하단에 위치한 피스톤(308)이 내용물과 같이 동반상승하게 되어 내용물을 위로 모아주게 된다.
상기 피스톤(308)의 상승으로 피스톤(308) 아래의 공간이 저기압으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용기(200) 하단에 에어유입공(202)을 형성하여 에어가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에어리스 배출펌프(300)의 작용에 의해 투명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투명용기 내의 내용물이 소진되어 가는데 사용자가 내용물이 얼마나 남았는지 잔량을 확인코자 할 경우 잔량이 얼마나 남아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의 도면으로는 도 6, 7, 8, 9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본 고안은 에어리스 배출펌프(300)와 뚜껑(303)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투명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을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불투명외부용기(400) 측면에 형성한 온도감응창(401)에 손을 갖다대는 것과 같이 체온 등을 전달하여 상기 온도감응창(401)의 온도를 28℃ 이상으로 높여주면 상기 온도감응창(401)에 도포 또는 부착 또는 주입되어 있는 온도감응기재가 투명하게 변하여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온도감응창(401)이 투명해지게 되므로 이를 통하여 투명용기(200) 내의 화장품 내용물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투명용기(200)에 내용물이 소량이 남아 있더라도 내용물이 배출된 만큼 피스톤(308)이 상승되므로 피스톤(308)이 남아있는 내용물을 투명용기(200) 위쪽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투명용기(200) 내에 내용물이 소량밖에 없더라도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투명용기(200)의 잔량을 확인한 후에는 상기 온도감응창(401)에서 손을 떼는 것과 같이 체온을 제거하여 상기 온도감응창(401)의 온도를 28℃ 미만으로 내려주면 상기 온도감응창(401)에 도포 또는 부착 또는 주입되어 있는 온도감응기재가 다시 불투명한 상태로 변하게 되므로 외부로 부터 빛이 투과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투명용기에 수용된 화장품 내용물을 불투명한 외부용기에 가려져 잔량이 얼마 남겨져 있는지 확인할 수 없던 이중용기의 단점을 개선하여 화장품의 완전소모에 의한 곤란함을 미리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장품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한 뒤 온도감응창(401)이 불투명한 상태로 바뀌도록 하여 투명용기에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장품 내용물이 가지는 본래의 기능은 물론 향취, 색조 등의 성분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리스 배출펌프의 작용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2의 b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2의 b부분의 다른 실시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로서 온도감응창이 불투명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로서 온도감응창이 투명하게 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200: 투명용기
201: 원형테 202: 에어유입공
203: 원형받침돌기 300: 에어리스 배출펌프
301: 버튼 302: 영구자석
400: 불투명외부용기 401: 온도감응창
401a: 도포층 401b: 색변환필름
401c: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 404: 원형걸림턱
405: 걸림턱 406: 원형홈

Claims (9)

  1. 에어리스 화장품용기(100) 상단에는 투명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배출펌프(300)를 갖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투명용기(200)를 수용하는 불투명외부용기(400)와, 상기 불투명외부용기(400)의 측면에 온도감응창(401)을 형성하되, 상기 온도감응창(401)은 28℃ 이상의 온도에서는 투명해지고 28℃ 미만의 온도에서는 불투명해지는 온도감응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창(401)은, 외표면 또는 내표면에 온도감응기재를 도포하여 도포층(401a)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창(401)은, 외표면 또는 내표면에 온도감응기재를 혼합하여 제조한 색변환필름(401b)을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창(401)은, 온도감응기재를 혼합하여 사출하여 형성함을 특징 으로 하는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창(401)은, 온도감응창을 두개의 투명창으로 형성하되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그 공간 내에 온도감응기재를 주입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기재는, 변온잉크이되, 상기 변온잉크는 28℃ 이상의 온도에서는 투명해지고 28℃ 미만의 온도에서는 불투명해지는 변온잉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기재는, 색변환필름이되, 상기 색변환필름은 변온잉크를 포함하여 형성한 필름으로서 28℃ 이상의 온도에서는 투명해지고 28℃ 미만의 온도에서는 불투명해지는 필름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기재는,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이되, 상기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는 28℃ 이상의 온도에서는 투명해지고 28℃ 미만의 온도에서는 불투명해지는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빛 투과율 가변형 기재는, 온도에 따라 빛 투과율을 가변시키는 것으로서 수용성 열감응 고분자 물질과 광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커플링제와 용매와 광개시제와 수축방지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광 경화하여 이루어진 기재를 사용하며, 이 기재는 28℃ 미만의 온도에서는 불투명하다가 외부의 열에너지를 받아 28℃ 이상이 되면 광 투과율이 변하게 되어 투명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2020090011806U 2009-09-08 2009-09-08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200462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806U KR200462498Y1 (ko) 2009-09-08 2009-09-08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806U KR200462498Y1 (ko) 2009-09-08 2009-09-08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626U KR20110002626U (ko) 2011-03-16
KR200462498Y1 true KR200462498Y1 (ko) 2012-09-13

Family

ID=4420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806U KR200462498Y1 (ko) 2009-09-08 2009-09-08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4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028A (ko) 2014-08-20 2016-03-03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화장품 튜브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803B1 (ko) * 2011-09-19 2013-07-18 박두강 온도조절 화장품 용기
KR102247055B1 (ko) * 2020-09-11 2021-04-30 주식회사 나노브릭 내용물 잔량 확인이 가능한 용기
KR102586955B1 (ko) * 2021-12-23 2023-10-06 합자회사 동일콘크리트 배수성이 우수한 보차도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390Y1 (ko) 1999-08-31 2000-03-15 주식회사연우 온도관리가 용이한 디스펜서용기
KR200265026Y1 (ko) 2001-11-22 2002-02-20 박경원 세제보관 용기
US20050258172A1 (en) 2004-05-06 2005-11-24 L'oreal Make-up processes and processes for application of a skin care product, and devices used in the implementation of such processes
JP2008201419A (ja) 2007-01-23 2008-09-04 Yoshino Kogyosho Co Ltd ポンプ付き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390Y1 (ko) 1999-08-31 2000-03-15 주식회사연우 온도관리가 용이한 디스펜서용기
KR200265026Y1 (ko) 2001-11-22 2002-02-20 박경원 세제보관 용기
US20050258172A1 (en) 2004-05-06 2005-11-24 L'oreal Make-up processes and processes for application of a skin care product, and devices used in the implementation of such processes
JP2008201419A (ja) 2007-01-23 2008-09-04 Yoshino Kogyosho Co Ltd ポンプ付き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028A (ko) 2014-08-20 2016-03-03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화장품 튜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626U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498Y1 (ko)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EP3187068B1 (en) Decorative plate formed on lid of compact cas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1019074B (zh) 使用聚硅氧烷模具的平版印刷技术
CN101512395B (zh) 光致变色膜和具有该膜的光致变色透镜、以及光致变色透镜的制造方法
CN103923334B (zh) 一种氟硅离型膜及其制备方法
CN102146272B (zh) 一种眼镜铭牌或饰品封装用辐射固化密封胶
CN108137752B (zh) 快速光固化氰基丙烯酸酯组合物
ITVI990245A1 (it) Metodo di erogazione di liquidi sotto forma di schiuma tramite contenitori deformabili e dispositivo utilizzante tale metodo
WO2015190651A1 (en) Compact using applicator as pushbutton
RU2283765C2 (ru) Пластиковая линз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линзы
US20140350171A1 (en) Resin 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the resin particles, and use thereof
CN104737272A (zh) 压印用光固化性树脂组合物、压印用模具的制造方法以及压印用模具
KR200454537Y1 (ko) 잔량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JP6500399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光学部材、レンズ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US20070060693A1 (en) Pai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3036139A1 (en) Material provision device for a stereolithography apparatus
JP5492587B2 (ja) 染色眼用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染色眼用レンズ
KR200453973Y1 (ko)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US20060029744A1 (en) Method of making an energetic beam markable
CN101762835A (zh) 耐热性复合型透镜
CN108215255A (zh) 一种手机后盖膜及其制备工艺
CN106980236A (zh) 负型白色感旋光性树脂组合物及其用途
JP5528035B2 (ja) 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硬化性組成物
JP2004307827A (ja) 着色容器用着色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および着色コーティング剤が塗布された着色容器
CN204912001U (zh) 一种光固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