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720Y1 -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 - Google Patents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720Y1
KR200461720Y1 KR2020100004468U KR20100004468U KR200461720Y1 KR 200461720 Y1 KR200461720 Y1 KR 200461720Y1 KR 2020100004468 U KR2020100004468 U KR 2020100004468U KR 20100004468 U KR20100004468 U KR 20100004468U KR 200461720 Y1 KR200461720 Y1 KR 200461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hole
pair
heating eleme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377U (ko
Inventor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이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수 filed Critical 이승수
Priority to KR2020100004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720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7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0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the jaws remaining parallel to each other during use, e.g. the jaws sliding parallel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2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ontrolling or indicating th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a ceramic component, e.g. heater, styling surface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어아이론에 있어서 모발이 감겨져서 퍼머가 되도록 하는 발열롯드의 초기 발열 속도가 빠르고 퍼머온도 복원력이 신속하면서도 매우 정확한 퍼머온도 제어가 되고 제조가 용이하도록 개선된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금속발열체(11) 내부공(12)에 납작한 형태의 히터(13)가 내장되는 발열롯드(10)에 있어서; 상기 금속발열체(11) 내부공(12) 중간부에 금속발열체(11)와 일체로 압출 성형 되는 한쌍의 직열편(21,21')과, 상기 한쌍의 직열편(21,21') 사이에 히터(13)가 끼워지는 히터결합공(22)이 있는 히터장착부(20)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히터결합공(22)으로 끼워지는 히터(13) 양측이나 어느 일측에 선택적으로 갭패드(23)가 끼워지게 결합 되도록 하고, 상기 금속발열체(11) 내주면에 온도감지센서(14)가 끼워지는 센서공(31)과, 상기 센서공(31) 양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경사걸림부(32)와, 상기 한쌍의 경사걸림부(32) 사이에 구비되는 개구부(33)를 갖는 센서장착부(30)을 갖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heating rod of hair iron}
본 고안은 헤어아이론에 있어서 모발이 감겨져서 퍼머가 되도록 하는 발열롯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발열 속도가 빠르고 퍼머온도 복원력이 신속하면서도 매우 정확한 퍼머온도 제어가 되고 제조가 용이하도록 개선된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아이론은 모발이 감겨져서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퍼머가 되게 하는 발열롯드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히터가 내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발열롯드는 모발이 감겨져야 하므로 원형 형태의 발열롯드가 채용되고 그 발열롯드에 채용되는 히터는 비교적 얇고 납작한 형태의 통상적인 히터(PTC 히터)나 또는 세라믹히터가 주로 채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발열롯드의 직경이 큰 반면에 히터는 납작하므로 히터를 발열롯드 내부에 내장시킬 때에는 별도의 열전달부재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즉, 예전에는 도 1의 (a)와 같이 원형의 금속발열체(1) 내부에 한쌍으로 된 반달형 열전달부재(2) 사이에 히터(3)가 개재된 상태로 하여 내장되도록 하였으나, 이는 발열롯드의 중량을 무겁게 하고 초기 열전달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 1의 (b)와 같이 동판으로 된 한쌍의 열전달판재(2') 사이에 히터(3)가 게재되어 금속발열체(1) 내부에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경량화되도록 하였으나, 이 또한 히터(3)의 열에너지가 열전달판재(2')를 거쳐서 금속발열체(1)에 전달되기 때문에 열전달이 신속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것은, 열전달판재(2')가 얇은 동판으로 된 것이기 때문에 재질 특성상 탄력이 크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장기 사용에 따른 탄력 저하가 초래됨으로써 열전달판재(2')가 금속발열체(1)에 제대로 밀착되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 틈새 발생으로 인해서 금속발열체(1)로의 열전달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열전달부재(2)나 열전달판재(2')가 금속발열체(1) 내면에 잘 밀착 되어야만이 양호하게 열전달이 되는 것인데 제조상 조립공차가 있기 때문에 열전달 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단점은 초기 발열속도를 느리게 하는 문제점으로 야기되고 퍼머시술시에 발열롯드의 퍼머온도 복원력을 나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부품수가 많고 한쌍의 열전달부재(2)나 열전달판재(2') 사이에 히터(3)를 잘 게재되게 맞추어서 금속발열체(1) 내면에 정밀하게 밀착되게 하는 상태로서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이 쉽지 않고 조립공수가 복잡하고 많기 때문에 조립불량 및 생산성 저하 및 원가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 1의 (c)와 같이 손잡이케이스(4)와 연결되는 연결부재(5)에 나사(6)에 의해서 단순히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온도감지센서를 금속발열체(1) 내주면에 밀착시킬 수 없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모발이 감겨져서 열에너지를 받게 되는 금속발열체(1)의 표면온도와 온도조절부의 설정온도의 편차가 심하여 온도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단점은 퍼머시술자(미용사)로 하여금 대략 예측되는 퍼머온도에 의해서 퍼머시술을 하게 되므로 양호한 퍼머시술이 도모되지 않게 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한다.
(문헌1) KR 10-0226339 B1 1999.10.15
본 고안은 초기 발열 속도가 빠르고 퍼머시술시에 퍼머온도 복원력이 신속 하고 매우 정확한 퍼머온도 제어가 도모되도록 개선된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하여도 생산초기 기능을 그대로 유지 가능하게 하여 제품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조립이 수월하고 부품수 및 조립공수 절감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은, 금속발열체 내부공에 납작한 형태의 히터가 내장되는 발열롯드에 있어서; 상기 금속발열체 내부공 중간부에 금속발열체와 일체로 압출 성형 되는 한쌍의 직열편과, 상기 한쌍의 직열편 사이에 히터가 끼워지는 히터결합공이 있는 히터장착부를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쌍의 직열편을 2등분으로 분할시켜 양측으로 각각의 히터결합공을 구비하고 상호 대향 되는 한쌍의 직열편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히터결합공으로 끼워지는 히터를 가압하도록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가 삽입되는 장입공과, 상기 장입공 중간부에 구비하는 협소공과, 상기 협소공 상,하부에 구비하여 히터를 가압하는 한쌍의 가압편부를 갖는 갭패드가 히터 외면에 더 씌워지도록 하여 히터결합공에 결합 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 윗면과 밑면 전체 및 윗면과 밑면 중 어느 한 일면에 선택적으로 평판갭패드가 밀착되어 히터결합공에 결합 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발열체 내주면에 온도감지센서가 끼워지는 센서공과, 상기 센서공 양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경사걸림부와, 상기 한쌍의 경사걸림부 사이에 구비되는 개구부를 갖는 센서장착부를 더 갖도록 구성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공이 금속발열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부품조립용 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초기 발열 속도가 빠르고 퍼머시술시에 퍼머온도 복원력이 신속 하므로 매우 양호하게 퍼머가 되게 하는 효과와 더불어서 퍼머시술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퍼머시술시에 발열롯드가 매우 정확한 퍼머온도로 제어가 되므로 매우 양호하게 퍼머시술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생산초기 기능을 그대로 유지 가능하므로 제품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동시에 조립이 수월하고 부품수 및 조립공수 절감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하게 하는 효과도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의 발열롯드 단점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실시된 헤어아이론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발열롯드에 채용된 일실시예의 금속발열체 일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발열롯드와 히터 장착예를 보인 일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히터 장착예의 다른 실시 상태를 보인 일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발열롯드에 채용된 다른 실시예의 금속발열체 일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발열롯드 일측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발열롯드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일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종 단면 구성도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발열롯드(10)를 구성하는 금속발열체(11)는 일실시예로서 내부공(12) 중간부에 금속발열체(11)와 일체로 된 한쌍의 직열편(21,21')과, 상기 한쌍의 직열편(21,21') 사이에 히터결합공(22)이 있는 히터장착부(20)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금속발열체(11) 내주면에는 센서공(31)과, 상기 센서공(31) 양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경사걸림부(32)와, 상기 한쌍의 경사걸림부(32) 사이에 구비되는 개구부(33)를 갖는 센서장착부(30)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히터장착부(20) 및 센서장착부(30)는 금속발열체(11)를 압출 성형시킴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히터결합공(22)으로는 납작한 형태의 히터(13)가 끼워지도록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때, 히터(13)의 종류에 따라 갭패드(23)에 히터(13)가 결합된 후 히터결합공(22)으로 결합 되거나 또는 히터(13) 단독으로 히터결합공(22)에 끼워져서 결합 되게 된다.
도 2 및 도 4의 (a),(b)를 참조하면, 절연필름이 외면에 씌워진 PTC히터의 경우에는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동판으로 된 갭패드(23)의 장입공(231)에 히터(13)가 끼워지게 결합시킨 후에 히터결합공(22)으로 끼워지도록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히터(13)가 갭패드(23)의 장입공(231)으로 끼워질 때 갭패드(23) 중간부에 있는 협소공(232)으로 히터(13)가 끼워짐으로써 그 협소공(232) 상,하부에 있는 한쌍의 가압편부(233)가 약간 벌어지면서 끼워지게 된다.
그러므로 갭패드(23)에 히터(13)가 완전히 결합 된 상태에서는 한쌍의 가압편부(233)가 히터(13)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히터(13)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따라서, 도 4의 (b)와 같이 갭패드(23)와 결합 된 히터(13)를 히터결합공(22)에 끼워넣어서 결합시키게 되면 갭패드(23)에 의해 유격이 없게 히터(13)가 결합 되게 된다.
한편, 발열롯드(10)에 채용되는 히터(13)가 세라믹히터의 경우에는 그 세라믹히터 외면에 방열구리스 만을 도포하여 도 4의 (c)와 같이 히터결합공(22)에 끼워 넣게 되므로 수월하게 삽입되고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히터(13) 양측이나 또는 어느 일측에 선택적으로 동판으로 된 측면패드(23')를 밀착시켜 끼워지도록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갭패드(23) 및 측면패드(23')는 동판이 사용됨으로써 금속발열체(11)로의 열전달이 매우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터(13) 표면에 평판갭패드(23")를 밀착시켜 히터결합공(22)으로 삽입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5의 (a)에 보인 바와 같이 평판갭패드(23")가 히터(13) 외면에 밀착되게 말아서 히터결합공(22)으로 삽입되게 결합시킬 수도 있고, 또는 히터(13) 윗면과 밑면에 각각 낱개의 평판갭패드(미도시됨)를 밀착시켜서 히터결합공(22)으로 삽입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히터(13)의 윗면과 밑면 중 어느 일면에만 평판갭패드(미도시됨)를 밀착시켜서 히터결합공(22)으로 삽입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갭패드(23), 또는 평판갭패드(23")를 히터(13)와 밀착시켜 히터결합공(22)으로 삽입시키는 것은 히터(13) 두께가 약 2-3㎜에 불과한 얇은 두께일 뿐만 아니라 히터(13) 종류마다 각각 두께 차이를 가지기 때문에 갭패드(23), 또는 평판갭패드(23")를 이용하여 히터(13) 밀착성을 극대화시키려는 것이고, 그로 인해 히터(13)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직열편(21,21')으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갭패드(23), 또는 도 5의 (b)에 나타낸 평판갭패드(23"')는 금속발열체(11)의 일측으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노출된 부분을 손으로 잡고 수월하게 끼워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중에 발열롯드(10) 수리시에 인출하기도 편리하므로 히터(13)의 조립 및 분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센서장착부(30)의 센서공(31)에는 다수의 온도감지센서(14)가 개구부(33)로 삽입되게 장착되고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매우 수월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감지센서(14)는 경사걸림부(32)에 의해서 걸림 되기 때문에 이탈이 방지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히터장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히터장착부(20')는 일실시예로 나타낸 한쌍의 직열편(21,21')을 2등분으로 분할되게 함으로써 양측으로 각각의 히터결합공(22)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호 대향 되는 직열편(21,21')의 선단부(21a)가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히터결합공(22)으로 끼워지는 히터(13)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히터장착부(20')가 구성되게 한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금속발열체(11)를 압출 성형시킬 때 히터장착부(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 7를 참조하면 히터(13)를 히터결합공(22)으로 끼워지도록 삽입하게 되면 내측으로 기울어 있던 직열편(21,21')의 선단부(21a)가 외측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벌어지면서 히터(13)가 끼워지게 된다.
그러므로 히터(13)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직열편(21,21')의 선단부(21a)가 내측 방향으로 복귀되려는 탄력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직열편(21,21')의 선단부(21a)가 히터(13)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 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직열편(21,21')의 선단부(21a)가 히터(13)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히터(13)와 직열편(21,21')간에 긴밀하게 밀착하게 되므로 히터(13)로부터 직열편(21,21')으로의 열전달 효율이 높아지게 되고 매우 양호하게 전달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발열롯드(10)는 후단부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장착부(20')와 센서장착부(30)가 있는 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에 도 2에 나타낸 글러브(50)에 탄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글러브스프링(51)을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고정홀(15) 및 글러브힌지부싱(52)을 조립하기 위한 부싱조립홀(15')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히터장착부(20') 및 센서장착부(30)가 금속발열체(11)에 일체로 구비하게 되어도 글러브스프링(51)이나 글러브힌지부싱(52)과 같은 다른 부품들을 발열롯드(10)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헤어아이론을 제조하는데 아무런 문제없이 제조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9에 나타내 바와 같이 히터장착부(20) 및 센서장착부(30)가 금속발열체(1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센서장착부(30)를 이용하여 발열롯드(10) 양측으로 조립되는 다른 부품들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립시킬 수 있다.
즉, 발열롯드(10) 양측으로 앤드캡(53)을 고정하기 위한 앤드캡고정부재(54) 및 손잡이케이스(55)가 고정되게 하기 위한 연결부재(56)를 연결되게 조립시킬 때에는 센서공(31)에 부품조립용 나사(34)가 체결되게 하여 조립시킬 수 있다.
상기 부품조립용 나사(43)는 강철인 반면에 금속발열체(11)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달계수가 높은 금속으로 압출 성형 되는 것이기 때문에 부품조립용 나사(34)가 센서공(31)으로 파고들면서 나사산이 생기면서 원만히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발열롯드(10)를 구성하는데 있어 갭패드(23), 또는 평판갭패드(23")와 함께 히터(13)를 히터결합공(22)에 삽입시키거나 또는 히터(13) 단독으로 히터결합공(22)에 삽입시키고 온도조절부(57)와 연결되는 온도감지센서(14)를 센서공(31)에 삽입시키면 간단히 완료되는 것이므로 예전에 비해 조립이 매우 수월하고 부품수 및 조립공수 절감이 되므로 생산성 향상 및 헤어아이론 제품의 원가절감이 도모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발열롯드(10)는 직열편(21,21')이 금속발열체(11)와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히터(13)에서 발열 되는 열에너지가 직열편(21,21')을 통해 곧바로 금속발열체(11)로 신속하게 전달된다.
그것은, 히터결합공(22)에 있는 히터(13)의 열에너지가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곧바로 직열편(21,21')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히터(13)로부터 발열되는 열에너지 손실이 거의 없이 모든 열에너지가 직열편(21,21')으로 전달됨으로써 직열편(21,21')은 보다 신속하게 가열되어 금속발열체(11)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직열편(21,21') 표면에서 발열되는 열에너지가 양측 내부공(12)을 통해 금속발열체(11)의 내면에 곧바로 전달되기 때문에 히터(13)의 열에너지가 금속발열체(11)의 표면 전체에 보다 신속하고 균일하게 확산 되게 된다.
즉, 이해를 돕기 위해 예전에는 히터의 열에너지가 별도의 열전달부재 또는 열전달판재를 통해 열전달 되었으나 본 고안은 히터(13)의 열에너지가 아무런 제약 없이 곧바로 금속발열체(11)로 열전달이 되기 때문에 매우 신속하고 균일하게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퍼머시술을 하기 위해 초기에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10)에 전기에너지를 부여하게 되면 원하는 퍼머온도로 신속하게 상승 되므로 발열롯드(10)의 초기 발열 속도가 빠르게 진행된다.
또한, 본 고안은 퍼머시술시에 퍼머온도로의 복원력이 매우 신속하다.
이해를 돕기 위해, 발열롯드(10)에 모발을 감아서 퍼머시술을 하게 되면 열에너지가 모발으로 전달되므로 발열롯드(10)의 표면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먼저 시술한 모발을 발열롯드(10)로부터 풀은 다음 다른 모발을 발열롯드(10)에 새로 감아서 퍼머를 하게 된다.
이때, 새로운 모발을 발열롯드(10)에 감기 전에 발열롯드(10)의 표면 온도가 퍼머온도까지 상승 된 상태로 복원된 상태에서 모발을 감아서 퍼머 시술을 하여야만이 양호한 퍼머 시술이 되는데, 예전에는 퍼머온도까지 상승되게 복원되는 시간이 오래 소요됨으로써 퍼머시술 시간이 오래 소요되거나 또는 퍼머온도까지 미처 복원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퍼머시술을 함으로써 양호한 퍼머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금속발열체(11)로 히터(13)의 열에너지가 신속하게 전달되므로 퍼머시술 과정에 퍼머온도로의 복원력이 매우 신속하므로 퍼머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양호한 퍼머시술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금속발열체(11)의 내주면에 온도감지센서(14)가 장착되고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금속발열체(11)의 중간부와 그 양측에 수개의 온도감지센서(14)를 내장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발이 감겨져서 직접 접촉되는 발열롯드(10)의 표면온도와 온도조절부(57)의 설정온도의 편차가 거의 없는 상태가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발열롯드(10)는 히터(13)가 있는 내부온도와 모발이 접촉되는 표면온도가 다르고, 퍼머시술시에는 시술자(미용사)는 온도조절부(57)를 조절하여 시술하고자 하는 퍼머온도(설정온도)로 맞추어 설정하게 되는데, 예전에는 구조상 발열롯드의 후미쪽 내부에 온도감지센서를 장착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발열롯드의 표면온도와 온도조절부의 설정온도의 편차가 심하였으므로 양호한 퍼머 시술을 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발열롯드(10)의 표면온도와 온도조절부(57)의 설정온도의 편차가 거의 없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수시로 퍼머온도를 다르게 설정하고 퍼머를 해야하는 퍼머시술시에 퍼머온도 제어를 정확하게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보다 용이한 퍼머시술이 도모될 뿐만 아니라 양호한 퍼머를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실시예로 예시된 것 외에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은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 : 발열롯드 11 ; 금속발열체
12 : 내부공 13 : 히터
14 ; 온도감지센서 20,20' : 히터장착부
21,21' : 직열편 22 : 히터결합공
23 : 갭패드 23': 측면갭패드
23": 평판갭패드 30 : 센서장착부
31 : 센서공 32 : 경사걸림부
33 : 개구부 34 ; 부품조립용 나사

Claims (6)

  1. 금속발열체 내부공에 납작한 형태의 히터가 내장되는 발열롯드에 있어서;
    상기 금속발열체 내부공 중간부에 금속발열체와 일체로 압출 성형 되는 한쌍의 직열편과, 상기 한쌍의 직열편 사이에 히터가 끼워지는 히터결합공이 있는 히터장착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직열편을 2등분으로 분할시켜 양측으로 각각의 히터결합공을 구비하고 상호 대향 되는 한쌍의 직열편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히터결합공으로 끼워지는 히터를 가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삽입되는 장입공과, 상기 장입공 중간부에 구비하는 협소공과, 상기 협소공 상,하부에 구비하여 히터를 가압하는 한쌍의 가압편부를 갖는 갭패드가 히터 외면에 더 씌워지도록 하여 히터결합공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윗면과 밑면 전체 및 윗면과 밑면 중 어느 한 일면에 선택적으로 평판갭패드가 밀착되어 히터결합공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발열체 내주면에 온도감지센서가 끼워지는 센서공과, 상기 센서공 양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경사걸림부와, 상기 한쌍의 경사걸림부 사이에 구비되는 개구부를 갖는 센서장착부를 더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공이 금속발열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부품조립용 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
KR2020100004468U 2010-04-28 2010-04-28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 KR200461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468U KR200461720Y1 (ko) 2010-04-28 2010-04-28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468U KR200461720Y1 (ko) 2010-04-28 2010-04-28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77U KR20110010377U (ko) 2011-11-03
KR200461720Y1 true KR200461720Y1 (ko) 2012-08-01

Family

ID=4713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468U KR200461720Y1 (ko) 2010-04-28 2010-04-28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7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02Y1 (ko) * 2013-09-23 2014-09-29 전민 발열롯드용 방열관
GB2562075A (en) * 2017-05-03 2018-11-07 Jemella Ltd Barrel for hair styling appliance
KR102279706B1 (ko) 2020-12-17 2021-07-20 주식회사 해섬 생선 절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05064C2 (ru) 2012-06-20 2016-12-20 БРАУН ГмбХ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дивидуаль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содержащее датчик
KR101489906B1 (ko) * 2013-05-16 2015-02-10 와이.엘산업주식회사 헤어 이미용 전열고데기
KR102182209B1 (ko) * 2014-12-19 2020-11-24 이승수 헤어 아이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339B1 (ko) 1996-10-15 1999-10-15 이마이 기요스케 헤어 아이론
JP2003275012A (ja) 2002-01-18 2003-09-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ヘアーアイロン
WO2005011434A1 (ja) 2003-08-01 2005-02-10 Phild Co., Ltd. ヘアアイロン
JP2005087258A (ja) 2003-09-12 2005-04-07 Shinkoo Products:Kk ヘアーアイロ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339B1 (ko) 1996-10-15 1999-10-15 이마이 기요스케 헤어 아이론
JP2003275012A (ja) 2002-01-18 2003-09-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ヘアーアイロン
WO2005011434A1 (ja) 2003-08-01 2005-02-10 Phild Co., Ltd. ヘアアイロン
JP2005087258A (ja) 2003-09-12 2005-04-07 Shinkoo Products:Kk ヘアーアイロン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02Y1 (ko) * 2013-09-23 2014-09-29 전민 발열롯드용 방열관
GB2562075A (en) * 2017-05-03 2018-11-07 Jemella Ltd Barrel for hair styling appliance
WO2018203077A1 (en) * 2017-05-03 2018-11-08 Jemella Limited Barrel for hair styling appliance
AU2018263376B2 (en) * 2017-05-03 2021-04-15 Jemella Limited Barrel for hair styling appliance
GB2562075B (en) * 2017-05-03 2022-03-16 Jemella Ltd Barrel for hair styling appliance
KR102279706B1 (ko) 2020-12-17 2021-07-20 주식회사 해섬 생선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77U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720Y1 (ko) 헤어아이론의 발열롯드
US7989734B2 (en) Hair styling appliance
EP2630722B1 (de) Stator einer elektrischen maschine
KR20140005872A (ko) 헤어 스타일링 장치
JP2006239388A (ja) 緩衝部材が取り付けられたヘアーアイロン
US20180177273A1 (en) Hair iron
RU2017131054A (ru) Двунаправленный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JPH07195438A (ja) 射出成形機のクランプヒーター
US20170215540A1 (en) Comb with a function of combing and straightening hair
AU2019271875A1 (en) Barrel for hair styling appliance
JP6413254B2 (ja) 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KR101199316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고데기
IL185574A (en) Thermoplastic hair connecting elements
CN216255901U (zh) 一种直发梳
JP2012055489A5 (ko)
KR101170342B1 (ko) 모발뜯낌 방지가 되는 스트레이트퍼머용 헤어아이론
JP2018516730A (ja) ヘアストレートナー用発熱素子
KR101046571B1 (ko) 고대기용 히터
EP1799015A1 (de) Funktionseinheit für ein Körperpflegegerä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5518591B2 (ja) 樹脂成形装置
JP6423963B2 (ja) 化粧製品塗布用品、アプリケータ組立体、製造方法、および関連する塗布方法
US20170239928A1 (en) Device for harden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JP2014160587A (ja) 面状発熱体
CN208300048U (zh) 电热板结构
JPH0713193Y2 (ja) 電線皮む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