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415Y1 -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장용 펜슬 - Google Patents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장용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415Y1
KR200461415Y1 KR2020100000283U KR20100000283U KR200461415Y1 KR 200461415 Y1 KR200461415 Y1 KR 200461415Y1 KR 2020100000283 U KR2020100000283 U KR 2020100000283U KR 20100000283 U KR20100000283 U KR 20100000283U KR 200461415 Y1 KR200461415 Y1 KR 200461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smetic pencil
screw tube
tub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475U (ko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이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호 filed Critical 이인호
Priority to KR2020100000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415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4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4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4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4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the cosmetic being in a cartridg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장용 펜슬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본체, 본체와 결합되며, 제1 나사관과 제2 나사관을 구비하는 나사관 및 제2 나사관 내측에 결합되는 심 홀더를 포함하며, 나사관과 본체가 결합될 때, 돌출부와 제2 나사관에 형성된 홈 부분이 대응되도록 결합된다.

Description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장용 펜슬{Make-up pencil cartridge and make-up pencil}
본 고안은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장용 펜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 펜슬은 립라인 펜슬, 눈썹 펜슬, 아이 펜슬 등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는 본체(10)와 나사관(20)으로 이루어진다. 나사관(20) 내부에는 홀더(25)가 결합되며, 홀더(25)의 내측 선단에는 화장용 심재가 주입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나사관(20)과 홀더(25)는 나사결합되어, 사용자가 카트리지 본체(10)를 잡고 나사관(20)을 회전시키면, 홀더(25)가 이동하여 홀더(25)에 안착된 화장용 심재(30)를 인출시키게 되고, 반대로 회전시키면 화장용 심재(30)를 인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가 구비된 화장용 펜슬을 사용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화장용 심재가 길게 노출된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고 사용함으로써, 화장용 심재가 부러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장용 펜슬의 화장용 심재를 인출하거나 인입시 특정 소리가 나도록 하여 화장용 심재의 노출 정도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및 화장용 펜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는 안내구멍과 접속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됨 -;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나사관 - 상기 나사관 내부의 소정 영역에는 홈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홈 부분은 상기 돌출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됨 -; 및 화장용 심재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나사관 내부에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관이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홀더에 수용된 상기 화장용 심재가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경우, 상호 결합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 부분이 맞물려 회전하면서 특정 소리가 발생한다.
상기 나사관은,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 스프링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는 안내구멍과 접속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접속관의 일단과 회전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스프링부; 화장용 심재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부 내측에 위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를 수용하고, 상기 스프링부 내측에 위치되는 홀더 수용부; 및 상기 스프링부 외주면 및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 위로 위치하여 상기 본체부의 안내구멍과 접촉하는 나사관;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관의 일단은, 톱니 모양의 나사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접속관의 일단과 결합되는 상기 스프링부의 일단은 상기 접속관의 일단과 대응하는 톱니 모양의 나사 구조를 갖는다.
상기 나사관의 외주면에 소정 크기의 홀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관이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접속관의 톱니 모양의 나사 구조와 상기 스프링부의 톱니 모양의 나사 구조가 맞물려 돌아가면서 특정 소리가 발생한다.
상기 안내 구멍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기 쉽도록 단부가 평평한 형태를 갖거나, 또는 구멍 부분의 단면이 부채꼴 형태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펜슬은 상기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화장용 펜슬의 화장용 심재를 인출하거나 인입시 특정 소리가 나도록 하여 화장용 심재의 노출 정도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부주의로 화장용 심재가 길게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사용함으로써, 화장용 심재가 부러지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의 결합 도면,
도 4는 도 3의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장용 펜슬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돌출부와 제2 나사관의 결합 형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2의 돌출부와 제2 나사관의 결합 형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펜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펜슬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에서 최종적으로 나사관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장용 펜슬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의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는 본체(100)와 나사관(200)으로 이루어지며, 나사관(200) 내부에는 홀더(210)가 마련되어 있다. 홀더(210)의 내측 선단에는 화장용 심재(300)가 주입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100)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안내 구멍을 이루고, 중간에는 단턱이 형성된다. 단턱의 후방은 접속관(110)으로 되어 접속관(110)이 나사관(200)에 끼워지게 된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안내 구멍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기 쉽도록 단부가 평평한 형태로 구현되었다.
접속관(110)의 외주면을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20)가 마련된다. 돌출부(120)는 플라스틱 물질 또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속관(110)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된 돌출부(120)는 나사관(200)과 결합하게 된다.
나사관(200)은 홀더(210)가 이동할 수 있는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나사관(202)과,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형태의 홈이 형성된 제2 나사관(204)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접속관(100)과 나사관(200)이 결합될 때, 제2 나사관(204)의 홈은 접속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120)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결합된다.
나사관(200)과 홀더(210)는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카트리지 본체(100)를 잡고 나사관(200)을 회전시키면, 홀더(210)가 이동하여 홀더(210)에 안착된 화장용 심재(220)를 인출시키게 되고, 반대로 회전시키면 화장용 심재(220)를 인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카트리지 본체(100)를 잡고 화장용 심재(220)의 인출방향으로 나사관(200)을 회전시키게 되면, 화장용 심재(220)가 인출되는 동시에 접속면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120)가 제2 나사관(204)에 형성된 홈 내부로 들어갔다가 나가게 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일정한 소리가 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러한 소리를 통해 화장용 심재(220)가 어느 정도 노출되었는지를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화장용 심재(220)가 길게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사용함으로써, 화장용 심재(220)가 부러지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돌출부(120)의 형태와 제2 나사관(204)에 형성된 홈의 형태나 모양 등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c를 참조하면, 도 2a 및 도 2b와 달리 제1 나사관(202b)이 플라스틱 재질의 스프링 형태로 구현된다. 제1 나사관(202b)이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 스프링 형태로 구현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카트리지 본체(100)를 잡고 화장용 심재(220)의 인출방향으로 나사관(200)을 회전시킬 때,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120)가 제2 나사관(204)에 형성된 홈 내부로 들어갔다가 나가게 되는 동작이 보다 유연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 스프링(202b) 후단에는 고무링(206)이 장착되어 있어, 나사관(200)을 회전시 사용자가 일정한 감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의 결합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장용 펜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펜슬 뚜껑 본체(300)에 결합된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와 펜슬 뚜껑(320)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도 2의 돌출부와 제2 나사관의 결합 형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의 나사관(200)이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120)에 결합된 제2 나사관(204) 내부의 홈이 이동하면서 일정한 소리가 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2의 돌출부와 제2 나사관의 결합 형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 달리 돌출부의 형태가 다름을 알 수 있다. 나사관(200)이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120)와 제2 나사관(204)이 결합되었다가 해제되는 순간에 일정한 소리가 나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펜슬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장용 펜슬(700)은 두 개의 바디 부분, 즉 제1 바디(720a)와 제2 바디(720b)와 바디 부분에 각각 결합 장착되는 제1 캡(710a) 및 제2 캡(710b)을 포함한다.
제1 바디 부분(720a)과 제1 캡(710a) 내부에는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가 마련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사출물 스프링 형태의 나사관이 구비된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바디(720b)에는 눈썹용 펜(742)과, 눈썹용 펜(74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744)가 마련된다. 또한, 수용부(744)의 일단은 스프링(740)으로 연결되어 있어 눈썹용 펜(742)이 수용부(744)와 접촉시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바디(720b)에 연결 장착되는 제2 캡(710b) 내부에는 눈썹용 브러쉬(7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는 본체부(805), 홀더(830), 스프링부(840), 홀더 수용부(850), 및 나사관(860)을 포함한다.
본체부(805)는 단부가 부채꼴 형태인 안내구멍(810)과, 접속관(815)으로 이루어진다. 안내구멍(810)과 접속관(815)은 단턱에 의해 구분되며, 접속관(815)은 톱니 모양의 단부(820)를 구비한다. 톱니 모양의 단부(820)는 후술하는 스프링부(840) 일단의 톱니부(835)와 결합되며, 이에 대한 도면이 도 9에 도시된다.
홀더(830)는 화장용 펜슬의 심재(825)가 주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 화장용 펜슬 심재(825)는 상면이 부채꼴 형태로서, 사용자가 눈썹 라인을 그릴 때 마지막 뒷처리를 보다 섬세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홀더(832)는 이러한 화장용 펜슬 심재(825)가 안착되도록 설계 제작된다. 또한, 안내 구멍의 상면 구멍의 형태도 화장용 펜슬 심재(825)의 상면에 맞도록 부채꼴 형태로 디자인되었음을 도 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홀더(830)는 홀더가 이동할 수 있는 나사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 수용부(850)와 결합되며, 홀더 수용부(850)의 외주면에 스프링부(840)가 장착된다.
스프링부(840)는 탄성있는 사출물 형태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835)은 톱니 모양으로 제작되어, 본체부(805)의 톱니 모양의 단부(820)와 나사결합된다.
도 9는 도 8의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에서 최종적으로 나사관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나사관(860)은 본체부(805)의 톱니 모양의 단부(820)와 나사결합된 스프링부(840)의 외주면 및 접속관(815)의 외주면 위를 통해 본체부(805)의 안내 구멍(810)와 접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나사관(860)는 소정 크기의 홀(870)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본체부(805)를 잡고, 화장용 심재(825)의 인출 방향으로 나사관(860)을 회전시키면, 화장용 심재(825)가 인출되는 동시에 나사관(860)의 아래의 스프링부(840)가 회전하여 스프링부(840) 일단의 톱니부(835)와 본체부(805) 일단의 톱니 모양의 단부(820)가 맞물리며 회전하면서, 일정한 소리를 내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러한 소리를 통해 화장용 심재(825)가 어느 정도 노출되었는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나사관(860)에 형성된 홀(870)을 통해 사용자에게 소리가 보다 정확히 전달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장용 펜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장용 펜슬은 도 8 및 도 9의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장용 펜슬 본체(1000)와 화장용 펜슬 뚜껑(1100)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용 펜슬 뚜껑(1100) 내부에는 화장용 펜슬심이 화장용 펜슬 뚜껑(1100)과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스토퍼(1110)가 마련된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접속관
120: 돌출부 200: 나사관
202a, 202b: 제1 나사관 204: 제2 나사관
210: 홀더
805: 본체부 810: 안내구멍
815: 접속관 820: 톱니모양의 단부
825: 화장용 심재 830: 홀더
840: 스프링부 850: 홀더 수용부
860: 나사관 870: 홀

Claims (9)

  1. 안내구멍과 접속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됨 -;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나사관 - 상기 나사관 내부의 소정 영역에는 홈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홈 부분은 상기 돌출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됨 -; 및
    화장용 심재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나사관 내부에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관이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홀더에 수용된 상기 화장용 심재가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경우, 상호 결합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 부분이 맞물려 회전하면서 특정 소리가 발생하는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관은,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4. 안내구멍과 접속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접속관의 일단과 회전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스프링부;
    화장용 심재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부 내측에 위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를 수용하고, 상기 스프링부 내측에 위치되는 홀더 수용부; 및
    상기 스프링부 외주면 및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 위로 위치하여 상기 본체부의 안내구멍과 접촉하는 나사관;을 포함하는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의 일단은, 톱니 모양의 나사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접속관의 일단과 결합되는 상기 스프링부의 일단은 상기 접속관의 일단과 대응하는 톱니 모양의 나사 구조를 갖는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관의 외주면에 소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는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관이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접속관의 톱니 모양의 나사 구조와 상기 스프링부의 톱니 모양의 나사 구조가 맞물려 돌아가면서 특정 소리가 발생하는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장용 펜슬.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구멍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기 쉽도록 단부가 평평한 형태를 갖거나, 또는
    구멍 부분의 단면이 부채꼴 형태인,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KR2020100000283U 2009-05-15 2010-01-12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장용 펜슬 KR200461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283U KR200461415Y1 (ko) 2009-05-15 2010-01-12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장용 펜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886 2009-05-15
KR2020100000283U KR200461415Y1 (ko) 2009-05-15 2010-01-12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장용 펜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475U KR20100011475U (ko) 2010-11-24
KR200461415Y1 true KR200461415Y1 (ko) 2012-07-10

Family

ID=4420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283U KR200461415Y1 (ko) 2009-05-15 2010-01-12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장용 펜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41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576B1 (ko) * 2014-02-14 2014-09-17 화성화학 주식회사 스프링 일체형 바디 구조를 갖는 화장 펜슬
KR101456588B1 (ko) 2014-08-18 2014-10-31 주식회사 에이엔피 립스틱 공급을 청각음으로 확인 가능한 립스틱 용기
WO2017183882A1 (ko) * 2016-04-19 2017-10-26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펜슬형 립스틱 용기
KR20190000848U (ko) 2017-09-25 2019-04-04 주식회사 메이크힐 샤프너 결합형 화장 펜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672Y1 (ko) * 2015-11-11 2017-06-09 조지원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7930A (ja) 1997-12-25 1999-07-13 Suzuno Kasei Kk 棒状化粧材繰出容器
KR200202796Y1 (ko) 2000-05-20 2000-11-15 김민수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KR200255113Y1 (ko) * 2001-06-19 2001-12-13 성지산업 주식회사 화장용 펜슬용기
US20020168213A1 (en) 2001-05-14 2002-11-14 Wataru Yamamoto Container for stick type cosmetic materi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7930A (ja) 1997-12-25 1999-07-13 Suzuno Kasei Kk 棒状化粧材繰出容器
KR200202796Y1 (ko) 2000-05-20 2000-11-15 김민수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US20020168213A1 (en) 2001-05-14 2002-11-14 Wataru Yamamoto Container for stick type cosmetic material
KR200255113Y1 (ko) * 2001-06-19 2001-12-13 성지산업 주식회사 화장용 펜슬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576B1 (ko) * 2014-02-14 2014-09-17 화성화학 주식회사 스프링 일체형 바디 구조를 갖는 화장 펜슬
KR101456588B1 (ko) 2014-08-18 2014-10-31 주식회사 에이엔피 립스틱 공급을 청각음으로 확인 가능한 립스틱 용기
WO2017183882A1 (ko) * 2016-04-19 2017-10-26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펜슬형 립스틱 용기
KR20190000848U (ko) 2017-09-25 2019-04-04 주식회사 메이크힐 샤프너 결합형 화장 펜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475U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415Y1 (ko)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장용 펜슬
KR101175604B1 (ko) 주사 기구
KR100676741B1 (ko) 조출식 신축 필기구
KR101385720B1 (ko) 골프채용 보조그립
JP4679980B2 (ja) 塗布具
CN216401021U (zh) 一种书写笔
JP6159590B2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液体塗布具
JP2013052633A (ja) 押圧操作部と尾栓と軸筒との取り付け構造
KR102638892B1 (ko) 칫솔
KR102631703B1 (ko) 펜 타입 컴퍼스
KR101896279B1 (ko) 지지대를 구비한 아이라이너
JPWO2015137487A1 (ja) 歯ブラシ用ハンドル体、歯ブラシ、及び歯ブラシ用ハンドル体の製造方法
CN206589506U (zh) 一种矫正握笔姿势笔
KR20110002480U (ko) 펜심 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JP2007007188A (ja) 化粧料塗布具
KR102135043B1 (ko) 관로가 형성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아이라이너
KR200427909Y1 (ko) 아이라이너 도포구
CN211533080U (zh) 一种便携化妆笔
CN210870275U (zh) 一种化妆笔
CN103754020B (zh) 防止儿童打开的笔
CN203505869U (zh) 改进的化妆笔结构
JP4679979B2 (ja) 塗布具
KR20200002322U (ko) 회전식 교육용 손가락펜
CN212995116U (zh) 一种牙签式眼线化妆工具
KR102135046B1 (ko) 돌출리브가 형성된 노즐을 구비하는 아이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