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452Y1 - 자전거 도로용 블록 - Google Patents

자전거 도로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452Y1
KR200460452Y1 KR2020090013701U KR20090013701U KR200460452Y1 KR 200460452 Y1 KR200460452 Y1 KR 200460452Y1 KR 2020090013701 U KR2020090013701 U KR 2020090013701U KR 20090013701 U KR20090013701 U KR 20090013701U KR 200460452 Y1 KR200460452 Y1 KR 200460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led module
bicycle
le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172U (ko
Inventor
배정호
Original Assignee
배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호 filed Critical 배정호
Priority to KR2020090013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45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1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1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4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로와 자전거 전용도로의 사이 및 자전거 전용도로와 조깅도로 사이에 설치되고, 야간에 발광되는 LED 모듈을 내장한 자전거 도로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중공형의 박스형 구조를 갖추고,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며,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도로에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간에 형성된 오목 단턱부에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하는 돌기들을 양측면 하단모서리에 다수 형성하고, 상부면 중앙에는 전원 공급에 의해서 발광하는 LED 모듈이 오목홈내에 내장된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중간 커버; 및 상기 중간 커버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오목홈으로 덮여지고, 측면 모서리에는 다수의 결합돌기들이 하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중간 커버의 고정구멍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LED 모듈에 외부로 부터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야간에 LED 모듈이 발광하여 주행 방향을 뚜렷하게 표시함으로써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부품의 파손시에 중간 커버와 캡의 부분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보수 유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홍수와 같은 도로침수시에도 감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도 있다.
Figure R2020090013701
자전거 전용도로, 조깅도로, LED 모듈, 자전거 도로용 블록, 캡

Description

자전거 도로용 블록{BOUNDARY BLOCKS FOR A BICYCLE ROAD}
본 고안은 자전거 전용도로를 구획하기 위한 도로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차로와 자전거 전용도로의 사이 및 자전거 전용도로와 조깅도로 사이에 설치되고, 야간에 발광되는 LED 모듈을 내장하여 사고방지 효과를 극대화하며, 설치가 쉽고, 파손시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수 유지 비용을 절감시키며, 홍수 등과 같은 도로침수시에도 감전사고의 위험이 방지된 자전거 도로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녹색 환경시대를 맞이하여 국가적으로 또는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좋은 선택으로서 자전거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각 도시의 지자체는 시대적 추세에 발맞추어 자전거 전용도로를 설치하거나 설치를 계획중에 있다.
그렇지만 현재 설치된 자전거 전용도로에서의 가장 큰 민원 요소는 차로와 자전거 전용도로간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와 조깅도로간의 경계가 대부분 황색도료로만 구분되어 있으므로, 자동차가 자전거 전용도로로 칩입하여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거나, 자전거가 조깅도로를 칩입하여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형 화분, 시멘트 블록, 또는 화강암 블록 등을 차로와 자전거 전용도로간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와 조깅도로간의 경계에 설치한 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이와 같은 경계블록들의 설치 비용이 고가이고, 야간에는 시인성이 크게 저하되어 주행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못함으로써 야간 주행시 오히려 충돌사고를 일으키는 장해물로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경계 블록들은 설치비용을 절감시키고, 야간에도 쉽게 식별이 가능하여 안전한 자전거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의 여지가 큰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로와 자전거 전용도로의 사이 및 자전거 전용도로와 조깅도로 사이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쉽게 설치되고, 야간에는 LED 모듈이 발광하여 주행 방향을 뚜렷하게 표시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예방 효과를 극대화하며, 파손시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수 유지 비용을 절감시키며, 홍수 등과 같은 도로침수시에도 감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자전거 도로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쏠라 판넬을 전원으로 활용함으로써 복잡한 전기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의 가로등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자전거 도로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로를 기능별로 구획시키기 위한 도로 블록에 있어서, 중공형의 박스형 구조를 갖추고,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며,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도로에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간에 형성된 오목 단턱부에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하는 돌기들을 양측면 하단모서리에 다수 형성하고, 상부면 중앙에는 전원 공급에 의해서 발광하는 LED 모듈이 오목홈내에 내장된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중간 커버; 및 상기 중간 커버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오목홈으로 덮여지고, 측면 모서리에는 다수의 결합돌기들이 하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중간 커버의 고정구멍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LED 모듈에 외부로 부터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을 포함하고, 야간에 상기 LED 모듈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함으로써 도로를 기능별로 구획한다.
따라서 야간에 자동차가 자전거 전용도로로 침범하거나, 자전거가 조깅도로로 침범하지 않게 됨으로써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커버는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오목홈이 삼각형의 오목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은 오목홈에 대응하는 삼각형의 단면을 구비하여 자전거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방향지시기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이 방향지시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도로를 기능별로 명확하게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 모듈은 전원 공급에 발광하는 LED 소자와 반사층 및 확산층을 내장한 LED 성형물과, 상기 LED 성형물들이 다수 배치된 기판 및, 상기 LED 성형물들과 기판을 외부에 대해 밀봉가능하도록 에워싸는 투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침투가 방지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홍수 등과 같은 도로침수시에도 안전하게 누전이 방지되어 보행자의 감전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 모듈은 충전기를 내장한 쏠라 판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이머 또는 광 센서에 의해서 야간에 점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 배선에 복잡한 전기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의 가로등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도 쉽게 도로에 설치하여 야간에 도로를 구획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차로와 자전거 전용도로의 사이 및 자전거 전용도로와 조깅도로 사이에 몸체부를 앵커볼트로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야간에는 LED 모듈이 발광하여 주행 방향을 뚜렷하게 표시함으로써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부품의 파손시에 중간 커버와 캡의 부분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보수 유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LED 모듈은 투명 에폭시 수지에 의해서 밀봉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홍수 등과 같은 도로침수시에도 감전사고의 위험 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쏠라 판넬을 전원으로 활용함으로써 복잡한 전기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의 가로등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도 쉽게 도로에 설치하여 야간에 도로를 구획함으로써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블록(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로(R1)와 자전거 전용도로(R2)간을 구획하거나,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R2)와 조깅도로(R3) 간을 구획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블록(100)은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의 박스형 구조를 갖추고,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며, 앵커볼트(112)와 너트(114)를 이용하여 도로에 고정되는 몸체부(11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몸체부(110)는 합성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면 PP(Polypropylene) 재료로 성형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시멘트 블록이나 화강암 블록보다 훨씬 염가이고, 외부 충격에 강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의 중간에는 탈착가능하게 중간 커버(130)가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중간 커버(130)는 단면이 상기 몸체부(110)를 에워싸는 "∩"형으로 형성되고, 몸체부(110)와 동일한 재료의 합성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몸체 부(110)의 중간에 형성된 오목 단턱부(116)에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하며, 돌기(132)들을 양측면 하단모서리에 다수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중간 커버(130)는 상기 양측면 하단에 형성된 돌기(132)들이 몸체부(110)의 오목 단턱부(116) 하부면에 형성된 끼움 구멍(116a)에 각각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결합되며, 이와 같은 중간 커버(130)는 상부면 중앙에 전원 공급에 의해서 발광하는 LED 모듈(140)이 오목홈(134)내에 내장된 구조이다.
상기 LED 모듈(140)은 전원 공급에 의해서 발광하는 LED 성형물(144)을 다수 구비한 것인데, 각각의 LED 성형물(144)은 그 내부에 LED 소자(146a)와 반사층(146b) 및 확산층(146c)을 내장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LED 성형물(144)은 LED 소자(146a)에 전원이 공급되어 빛이 발광하면 반사층(146b)에 의해서 빛이 전면으로 반사되며, LED 소자(146a)를 에워싸고 있는 확산층(146c)을 통하여 균일하게 확산되어 발광한다.
이와 같은 LED 성형물(144)들은 기판(148) 상에 다수, 예를 들면 5 세트 배치되며, 이와 같은 LED 성형물(144)들과 기판(148)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대해 밀봉가능하도록 투명 에폭시 수지(152)로 일체로 에워싸여서 외부로부터 수분 침투가 방지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수 구조의 LED 모듈(140)은 홍수 등과 같은 도로침수시에도 안전하게 누전이 방지되어 보행자의 감전사고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LED 모듈(140)이 중간 커버(130)에 형성되면 여러가지 잇점을 제공한다. 먼저 LED 모듈(140)을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큰 크기의 몸체부(110)에 장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사용중에 외부 충격에 의해서 파손되면 부분적으로 중간 커버(130)의 교체를 통하여 새 것으로 교환할 수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블록(100)은 상기 중간 커버(130)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오목홈(134)으로 덮여지는 캡(17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캡(17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모서리(172)로부터 다수의 결합돌기(174)들이 하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중간 커버(130)의 고정구멍(138)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LED 모듈(140)에 외부로 부터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캡(170)도 광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져서 야간에 LED 모듈(140)로부터 발광된 빛이 쉽게 투과하여 외부로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간 커버(130)는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오목홈(134)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오목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170)은 오목홈(134)에 대응하는 삼각형의 단면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캡(170)은 3방향의 측면 모서리(172)로부터 다수의 결합돌기(174)들이 하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중간 커버(130)은 오목홈(134)의 3방향 모서리에 고정구멍(138)이 형성되어 상기 캡(170)의 결합돌기(174)들이 끼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캡(170)은 그 삼각형의 구조로 인하여 자전거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방향지시기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이 방향지시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도로를 기능별로 명확하게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LED 모듈(140)이 각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182)를 내장한 쏠라 판넬(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이머 또는 광 센서(184)에 의해서 야간에 점등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전선(188)은 도로(190)에 내장되며, 하나의 쏠라 판넬(180)에서 주간(晝間)에 발전된 전력은 충전기(182)에 저장되었다가 야간(夜間)에 다수의 LED 모듈(140)로 공급되어 발광시킨다.
몰론 본 고안은 전원으로서 쏠라 판넬(180)에 의해서 발전된 태양광 전력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로에 설치된 기존의 가로등 전력을 이용할 수도 있고, 기존에 설치된 다른 전력시설에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렇지만 이와 같이 쏠라 판넬(180)에 상기 LED 모듈(140)을 연결시키면 기존 전력 설비와는 무관하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전기 배선에 복잡한 전기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의 전력시설이 구비되지 못한 후미진 곳이나 외진 곳, 또는 야외에서도 쉽게 도로에 설치하여 야간에 도로를 안전하게 구획할 수 있다.
미 설명 부호(118)는 몸체부(110)에 형성된 LED 모듈(140) 삽입용 절개 공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블록(10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상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차로(R1)와 자전거 전용도로(R2)간을 구획하거나,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R2)와 조깅도로(R3)간을 구획시킨 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각각의 자전거 도로용 블록(100)은 도로 상에 대략 1m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면, 몸체부(110)가 도로의 지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이어서 단턱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게 되고, 자동차나 자전거가 이를 타고 넘을 경우,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게 되어 운전자가 차선을 넘은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야간에는 쏠라 판넬(180)로부터 발전된 전력이 LED 모듈(140)로 공급되어 LED 소자(146a)가 발광하게 되므로, 도로 상에는 화살표 형태의 방향표시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야간에도 운전자 또는 자전거 주행자의 시인성이 크게 좋아지게 되어 각각의 도로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게 되고, 안전 주행이 가능하여 인명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의 큰 충격에 의해서 본 고안의 자전거 도로용 블록(100)이 파손되면, 해당 부품만을 호환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 즉 몸체부(110), 중간 커버(130) 및 캡(170)들이 각각 조립식으로 결합된 것이므로, 파손된 것만을 새것으로 대체하여 교환하면 쉽게 보수 유지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차로(R1)와 자전거 전용도로(R2)의 사이 및 자전거 전용도로(R2)와 조깅도로(R3) 사이에 몸체부(110)를 앵커볼트(112)에 의해서 쉽게 단턱 형태로 설치할 수 있고, 야간에는 LED 모듈(140)이 발광하여 도로 경계와 주행 방향을 뚜렷하게 표시함으로써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외부 충격에 의한 부품의 파손시, 중간 커버(130)와 캡(170)의 부분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보수 유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LED 모듈(140)은 투명 에폭시 수지(152)에 의해서 밀봉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홍수 등과 같은 도로 침수시에도 감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쏠라 판넬(180)을 전원으로 활용함으로써 복잡한 전기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의 가로등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도 쉽게 도로에 설치하여 야간에 도로를 구획함으로써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블록이 도로에 설치되어 차로와 자전거 전용도로 간을 구획하거나,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와 조깅도로 간을 구획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블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블록에 구비된 중간 커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블록에 구비된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블록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도로용 블록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도로에 설치되고, 쏠라 판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구조를 도시한 계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자전거 도로용 블록
110..... 몸체부 112..... 앵커볼트
114..... 너트 116..... 오목 단턱부
116a.... 끼움 구멍 118..... 절개 공간
130..... 중간 커버 132..... 돌기
134..... 오목홈 138..... 고정구멍
140..... LED 모듈 144..... LED 성형물
146a..... LED 소자 146b.... 반사층
146c..... 확산층 148..... 기판
152..... 에폭시 수지 170..... 캡
172..... 측면 모서리 174..... 결합돌기
180..... 쏠라 판넬 182.... 충전기
184..... 타이머 또는 광 센서 188..... 전선
190.... 도로 R1..... 차로
R2..... 자전거 전용도로 R3..... 조깅도로

Claims (4)

  1. 도로를 기능별로 구획시키기 위한 도로 블록에 있어서,
    중공형의 박스형 구조를 갖추고,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며, 앵커볼트(112)를 이용하여 도로에 고정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중간에 형성된 오목 단턱부(116)에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하는 돌기(132)들을 양측면 하단모서리에 다수 형성하고, 상부면 중앙에는 전원 공급에 의해서 발광하는 LED 모듈(140)이 오목홈(134)내에 내장된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중간 커버(130); 및
    상기 중간 커버(130)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오목홈(134)으로 덮여지고, 측면 모서리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74)들이 하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중간 커버(130)의 고정구멍(138)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LED 모듈(140)에 외부로 부터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170);을 포함하고, 야간에 상기 LED 모듈(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함으로써 도로를 기능별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용 블록(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커버(130)는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오목홈(134)이 삼각형의 오목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170)은 오목홈(134)에 대응하는 삼각형의 단면을 구비하여 자전거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방향지시기로서 작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용 블록(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140)은 전원 공급에 발광하는 LED 소자(146a)와 반사층(146b) 및 확산층(146c)을 내장한 LED 성형물(144)과, 상기 LED 성형물(144)들이 다수 배치된 기판(148) 및, 상기 LED 성형물(144)들과 기판(148)을 외부에 대해 밀봉가능하도록 에워싸는 투명 에폭시 수지(152)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침투가 방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용 블록(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140)은 충전기(182)를 내장한 쏠라 판넬(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이머 또는 광 센서(184)에 의해서 야간에 점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용 블록(100).
KR2020090013701U 2009-10-21 2009-10-21 자전거 도로용 블록 KR200460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701U KR200460452Y1 (ko) 2009-10-21 2009-10-21 자전거 도로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701U KR200460452Y1 (ko) 2009-10-21 2009-10-21 자전거 도로용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172U KR20110004172U (ko) 2011-04-27
KR200460452Y1 true KR200460452Y1 (ko) 2012-05-25

Family

ID=4420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701U KR200460452Y1 (ko) 2009-10-21 2009-10-21 자전거 도로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4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119982Y (es) * 2014-05-16 2014-11-18 Figueiras Agustín Carballa Piezas para bordillo con luz
KR102597817B1 (ko) * 2022-01-28 2023-11-03 해늘사회적협동조합 발광형 차단봉이 구비된 차선 규제 블록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8426A (ja) 2000-10-30 2002-05-14 Kictec Inc 縁石ブロック発光装置
KR100532781B1 (ko) 2003-09-18 2005-12-19 주식회사 하영건축사사무소 저장용기 탑재가 가능한 도로용 경계블럭
US20090046451A1 (en) 2007-08-16 2009-02-19 Hoover Scott C Parking space barrier block with photovoltaic illumin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8426A (ja) 2000-10-30 2002-05-14 Kictec Inc 縁石ブロック発光装置
KR100532781B1 (ko) 2003-09-18 2005-12-19 주식회사 하영건축사사무소 저장용기 탑재가 가능한 도로용 경계블럭
US20090046451A1 (en) 2007-08-16 2009-02-19 Hoover Scott C Parking space barrier block with photovoltaic illu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172U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634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도로표지병
KR101930933B1 (ko) 매립형 태양광 엘이디 도로 표지병
KR20200040635A (ko) 횡단보도에 형성되는 바닥 신호등
US20080286043A1 (en) Light Emitting Road Boundary Stone Using Solar Cell
KR101119976B1 (ko) 수평조립 및 유지, 보수가 유리한 교체형 조명방음패널
KR100933315B1 (ko) 선형광원을 이용한 도로표지병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CN117616487A (zh) 地面式步行信号机
KR101857925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램프구비 도로경계블록
KR200460452Y1 (ko) 자전거 도로용 블록
KR100934620B1 (ko) 버스도착 신호 연동형 정류장 조명시스템
KR101257662B1 (ko) 발광형 도로표지병
KR200416773Y1 (ko)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 경계석
KR20110051303A (ko) 횡단보도 발광표시장치
KR20190003002U (ko) 교통경고기둥
JP2019007259A (ja) 発光防護柵
JP3634602B2 (ja) 自発光式道路鋲
KR101025635B1 (ko) 휀스용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KR20140039881A (ko) 자전거 도로용 발광 블록
JP2004137814A (ja) 点字ブロック型補助信号灯及び交通信号装置
KR100961522B1 (ko) 차량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도로 매립형 조명 장치
KR101064398B1 (ko) 도로 경계 인식장치
KR200439497Y1 (ko) 태양전지 조명장치가 구비된 펜스 및 교각
KR20140094944A (ko) 태양전지식 led 도로 표지병
KR101790674B1 (ko) 태양광 led 발광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