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299Y1 - 정방기 보빈 - Google Patents

정방기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299Y1
KR200460299Y1 KR2020090009868U KR20090009868U KR200460299Y1 KR 200460299 Y1 KR200460299 Y1 KR 200460299Y1 KR 2020090009868 U KR2020090009868 U KR 2020090009868U KR 20090009868 U KR20090009868 U KR 20090009868U KR 200460299 Y1 KR200460299 Y1 KR 200460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yarn
square
metal ring
spinning mach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081U (ko
Inventor
배진철
Original Assignee
배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철 filed Critical 배진철
Priority to KR2020090009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29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0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0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29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02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replacing by bobbins, cores, or receptacles at take-up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02Carding machines
    • D01G15/12Details
    • D01G15/46Doffing or like arrangements for removing fibres from carding elements; Web-dividing apparatus; Condensers
    • D01G15/64Drafting or twisting apparatus associated with doffing arrangements or with web-dividing apparatus
    • D01G15/68Drafting or twisting apparatus associated with doffing arrangements or with web-dividing apparatus with arrangements inserting permanent twist, e.g. 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02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replacing by bobbins, cores, or receptacles at take-up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D01H9/04Doffing arrangements integral with 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18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supply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Arrangements to prevent unwinding of roving from roving bobbins
    • D01H9/182Overhead conve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물을 편직하기 위해 사용하는 원사를 일정하게 감아서 사용하는 정방기 보빈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보빈에 좀더 많은 량의 원사를 감아 직물을 편직하는데 있어 작업량을 줄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하도록 개발된 본 고안은 상단이 좁고 하단이 넓은 상협하광상의 형상으로 된 하단에 보호 금속링(30)을 결합한 정방기 보빈(10)에 있어서, 정방기 보빈(10)의 몸체(20) 하단면(21)에 보호 금속링(30)을 결합한 상단지점(31)에서 몸체(20)의 일정 높이(H)로 보호 금속링(30)의 외직경(Q) 보다 작은직경(P)이 되게 경사면(40)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걸림홈, 경사각, 경사면, 장요홈

Description

정방기 보빈{spinning machine bobbin}
본 고안은 직물을 편직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방기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원사를 일정하게 크기로 감아서 사용하는 보빈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보빈에 좀더 많은 량의 원사를 감아 직물을 편직함으로 도핑의 회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량을 줄여 전기료와 인건비를 절감하며 사용할 수 있는 정방기 보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직물을 편직하는데 사용하는 원사를 정방기에 안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방기 보빈에 일정한 길이로 감은 상태에서 정방기를 통해 직물지 원단을 직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는 정방기 보빈에 있어서는 도 3과 같이 상단부분은 좁고 하단으로 내려갈 수록 넓게된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제조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정방기 보빈에 있어서도 사용상에 있어서는 별다른 불편한 사항은 없다.
그러나 종래의 정방기 보빈에 있어서는 상단 부분에서 하단부분 아래까지 동일한 면적의 경사로 만들어져 원사를 감을 수 있는 길이가 짧다.
일반적으로 정방기 보빈에 감겨지는 원사는 길이와 함께 원사가 감긴 외형의 크기가 정해져 있어 무한정 원사를 정방기 보빈에 감을 수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종래의 정방기 보빈은 원사를 감은 정방기 보빈의 사용에 있어 정방기에 설치하는 수량이 다수 개로 한번 정방기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최대한의 길이로 원사를 공급하여야 만 정방기를 정지시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직물지 원단을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원사를 감은 정방기 보빈의 교체 시간이 길어져야 직물 방적작업에 연속성을 시 할 수 있어 생산성의 항상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정방기 보빈의 사용에 있어 직물지를 직조하고난 마지막 부분에 도달하면 정방기를 정지한 상태에서 다음 정방기 보빈의 원사를 연결하여야만 지속적인 직조작업이 가능함에 의해 대부분 원사가 모두 직조되기 직전에 원사를 조금 남겨둔 상태로 둔다.
이렇게 남겨둔 원사의 잔사는 보빈에 그대로 감겨 있으므로 보빈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보빈에 남아 있는 잔사를 제거 후 다시 사용하는데 이때 잔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날카로운 칼을 이용하여 잔사부분을 잘라내고 있으나 칼날부분으로 잔사를 자를 시 보빈의 면에 흡집이 나며, 여러번의 칼질작업을 해야만 보빈에 감 긴 잔사를 제거 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보빈에 처음 원사를 감기 위해서는 보빈의 몸체에 원사의 시작부분 끝을 닫게 한 상태에서 여러번 원사를 감아 끝부분이 풀리지 않게 한 상태에서 정방기에 설치한 이후 정방기를 작동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종래의 정방기 보빈의 규격에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한 많은 량의 원사를 감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잔사 제거 작업시 편리하게 잔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보빈에 원사의 끝부분을 상단부분의 걸림홈에 걸어줌으로 해서 손쉽게 원사가 보빈에 감길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좀더 많은 량의 원사를 정방기 보빈에 감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상단이 좁고 하단이 넓은 상협하광상의 형상으로 된 정방기 보빈에 있어서, 정방기 보빈의 상단부에 다수 개의 걸림홈을 만들며, 보빈의 몸체 하단면에 보호 금속링을 결합한 상단지점에서 몸체의 일정 높이로 보호 금속링의 외직경 보다 작은직경이 되게 경사면을 형성하고 장요홈을 만들어 보빈에 남아 있는 잔사를 쉽게 제거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된 본 고안은 원사를 보빈에 감기 위한 시작작업이 간편하며 원사를 감는 도핑회수를 줄일 수 있어 도핑에 따른 인건비나 생산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한 보빈 당 원사가 많이 감기므로 작업자가 정방기 와인더에 보빈을 공급하고 회수하는 회수가 줄어들므로 인건비가 절감되며, 보빈의 무게를 줄임으로 해서 공보빈 운용시 기계부하가 줄어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무엇보다 생산량 증대를 위해 많은 비용을 들여 정방기의 스핀들을 바꾸지 않고, 링을 교체하지 않아도 보빈만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서 한콥당 실의 생산량이 10~25% 가량 증대함으로 많은 이득을 가져올 수 있고, 보빈에 감겨 남겨진 잔사 제거에도 손쉽고 빠른 시간내에 제거하여 다시 보빈에 원사를 감을 수 있는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단이 좁고 하단이 넓은 상협하광상의 형상으로 된 하단에 보호 금속링(30)을 결합한 정방기 보빈(10)에 있어서,
정방기 보빈(10)의 몸체(20) 하단면(21)에 보호 금속링(30)을 결합한 상단지점(31)에서 몸체(20)의 일정 높이(H)로 보호 금속링(30)의 외직경(Q) 보다 작은직경(P)이 되게 경사면(40)을 형성하여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도3 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정방기 보빈(10)의 몸체(20) 상단부 외주연부에서 하단의 보호 금속링(30)의 외직경(Q) 보다 작은직경(P)이 되게 경사면(40)으로 된 몸체(20)의 일정 높이(H)의 상단부 지점까지 정방기 보빈(10)의 몸체(20)에 있어 상당한 두께(t)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정방기 보빈(10)의 몸체(20) 두께(t)가 줄어든 만큼 원사를 감을 수 있는 량이 증가되어 보다 많은 량의 원사를 감아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정방기 보빈(10) 몸체(20)에 있어 다른 실시 예로 길이 방향으로 아래부분에 장요홈(50)을 만든다.
이렇게 정방기 보빈(10)의 몸체(20) 하단부에 장요홈(50)을 형성한 것은 정방기 보빈(10) 몸체(20)에 감아 사용하는 원사를 모두 사용 후 정방기 보빈(10)을 교체하기 직전 남게되는 잔사를 제거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장요홈(50)부분으로 칼날을 집어 넣을 경우 손쉽게 잔사를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여러번 칼질을 하지 않고도 손쉽게 잔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있어, 정방기 보빈(10)의 상단부에 내경 측 아래로 경사각(12)이 형성되게 하여 다수 개의 걸림홈(11)을 만들어 돤 것이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다수 개의 걸림홈(11) 중에 어느 곳이나 한 곳의 걸림홈(11)에 원사의 끝부분이 걸려지도록 하여 걸어주면 걸림홈(11)의 경사각(12)에 의해 원사의 끝부분이 내경 아래로 내려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원사가 걸림홈(11)의 경사각(12)을 따라 내경 측 아래로 조금 늘어지게 놓아둔 상태에서 정방기를 회전하게 되면 원사는 원심력에 의해 걸림홈(11)을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손쉽게 원사를 감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정방기 보빈과 종래의 정방기 보빈의 규격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210mm의 보빈을 비교하여 보면 아래 비교표와 같다.
비교표
항목 본원고안의 보빈 종래 보빈 차이점
중량 38g(ABS), 41g(P.C.G) 51g(ABS), 55g(P.C.G) 13~14g
P1(하단부) 24.5mm 27.3mm 2.8mm
P2(중간부) 23.3mm 24.4mm 1.1mm
P3(상단부) 22.0mm 21.9mm -0.1mm
상기의 비교표와 같이 210mm 규격의 보빈을 치수로 비교하여 본바 본원 고안의 보빈에 소재를 ABS로 사용한 경우에는 38g으로 나타났으며, 소재를 P.C.G로 사용하였을 경우 41g으로 측정되었으며, 종래 보빈의 경우 소재를 ABS로 사용한 경우에는 51g으로 나타났으며, 소재를 P.C.G로 사용하였을 경우 55g으로 측정되어 본원 고안의 보빈과의 무게가 13~14g정도 차이가 나며 그 규격의 크기도 상기 비교표와 같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습니다.
상기와 같은 보빈의 차이로 인해 본원고안의 보빈에는 원사가 50g중량으로 감겨지며, 종래보빈의 경우 원사가 41g중량으로 감겨지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비교하여 보면 본원 고안의 보빈이 기존의 보빈보다 9g중량정도 더 감겨지는 것으로 이를 정방기에 사용할 경우 1일 평균 4회정도 원사를 도핑하는 회수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1일 생산 증대량이 23% 정도 증대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상단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종래의 두께를 표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고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설명
10: 정방기 보빈
11: 걸림홈
12: 경사각
40: 경사면
50: 장요홈

Claims (3)

  1. 상단이 좁고 하단이 넓은 상협하광상의 형상으로 된 정방기 보빈(10)에 있어서,
    정방기 보빈(10)의 몸체(20) 하단면(21)에 보호 금속링(30)을 결합한 상단지점(31)에서 몸체(20)의 일정 높이(H)로 보호 금속링(30)의 외직경(Q) 보다 작은직경(P)이 되게 경사면(40)을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 정방기 보빈.
  2. 제 1항에 있어서,
    정방기 보빈(10) 몸체(20)의 길이 방향으로 하단부에 장요홈(5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정방기 보빈.
  3. 제 1항에 있어서,
    정방기 보빈(10)의 상단부에 내경 측 아래로 경사각(12)이 형성되게 하여 다수 개의 걸림홈(11)을 만들어서 됨을 특징으로 한 정방기 보빈.
KR2020090009868U 2008-10-09 2009-07-28 정방기 보빈 Expired - Lifetime KR200460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868U KR200460299Y1 (ko) 2008-10-09 2009-07-28 정방기 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529 2008-10-09
KR2020090009868U KR200460299Y1 (ko) 2008-10-09 2009-07-28 정방기 보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081U KR20100004081U (ko) 2010-04-19
KR200460299Y1 true KR200460299Y1 (ko) 2012-05-15

Family

ID=44450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868U Expired - Lifetime KR200460299Y1 (ko) 2008-10-09 2009-07-28 정방기 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29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1516A (en) 1988-02-29 1990-02-20 Louis Vignon Spinning device with bobbin changer
KR900010547Y1 (ko) * 1988-04-14 1990-11-22 이동규 연사용 보빈의 보조관
KR100659924B1 (ko) 2005-07-11 2006-12-21 김경호 정방기용 보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1516A (en) 1988-02-29 1990-02-20 Louis Vignon Spinning device with bobbin changer
KR900010547Y1 (ko) * 1988-04-14 1990-11-22 이동규 연사용 보빈의 보조관
KR100659924B1 (ko) 2005-07-11 2006-12-21 김경호 정방기용 보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081U (ko) 201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19274A (zh) 一种纺织用纱线矫正装置
CN204803487U (zh) 一种可调节防脱落纱架
US2163618A (en) Bobbin
KR200460299Y1 (ko) 정방기 보빈
CN203545246U (zh) 簇绒毯放卷自动纠偏装置
CN110093691A (zh) 纺织机运行方法和纺织机
JPWO2018198492A1 (ja) ヤーンパッケージ
CN105780221A (zh) 自动落纱系统
ITMI20060252A1 (it) Macchina per la tessitura e la contemporanea ricamature di articoli di vestiario in particolare copricapo ricamati
CN212558852U (zh) 一种防止织线打结的绕线管收集盒
KR101180219B1 (ko) 재봉틀용 밑실 보빈
CN205635935U (zh) 自动落纱系统
CN115852573A (zh) 一种纺织物新型编织方法
CN205258773U (zh) 一种针织圆机的针筒结构
CN204873200U (zh) 一种纺织纱架
CN103395657A (zh) 一种纱线退绕装置
CN104928828B (zh) 一种放置纬纱筒管的装置
CN110407034A (zh) 一种组合式防断线纱线筒结构
CN211521161U (zh) 一种大卷线筒型的送线机构
CN214828042U (zh) 一种便于层叠的纺织用纱管
CZ300399B6 (cs) Zpusob výroby krížem vinuté cívky a krížem vinutá cívka
CN221026897U (zh) 一种纱管理顺装置
CN110453333A (zh) 一种纺织用分条整经机
CN211366530U (zh) 一种可换向纺纱络筒装置
KR20100013289A (ko) 염색용 보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7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6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5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0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