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241Y1 -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241Y1
KR200460241Y1 KR2020100004594U KR20100004594U KR200460241Y1 KR 200460241 Y1 KR200460241 Y1 KR 200460241Y1 KR 2020100004594 U KR2020100004594 U KR 2020100004594U KR 20100004594 U KR20100004594 U KR 20100004594U KR 200460241 Y1 KR200460241 Y1 KR 200460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po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intermediate cylinder
shoulder
pump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467U (ko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2020100004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241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4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2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록킹상태에서 푸시버튼이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푸시버튼이 닫힘방향으로 공회전되므로 펌프어셈블리가 용기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소경부와 대경부가 상하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소경부 하부의 내주면에 래칫이 형성되며 상기 대경부의 내주면 암나사가 형성된 숄더와; 상기 숄더의 소경부 내주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숄더 소경부의 래칫과 치합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이드가 형성되면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사이 하부에 스톱파가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중간실린더와; 상기 중간실린더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중간실린더의 가이드에 의해서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는 범위를 구속당하도록 내주면에 돌기편이 형성된 버튼부;를 포함하는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Pump assembly for liquid dispenser}
본 고안은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록킹상태에서 푸시버튼이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푸시버튼이 닫힘방향으로 공회전되므로 펌프어셈블리가 용기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의 화장품이나 내용물을 저장하고 있는 액체용기는 압력을 이용하여 외부로 일정량씩 토출시킬 수 있도록 펌프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펌프어셈블리는 내용물을 공기와 차단하는 에어리스타입과, 공기를 유입시켜 폼을 형성하는 거품타입 또는 용기의 바닥까지 관을 연결하여 내용물을 끌어올리는 딥튜브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은 액체용기의 펌프어셈블리는 액체용기의 이동시 푸시버튼이 눌러져 물질이 세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록킹장치가 설치된다.
하지만 록킹장치는 푸시버튼이 닫힘위치에 도달한 후 계속 회전시키면 용기의 입구부에 형성된 나사가 풀려 내용물이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록킹장치가 설치된 푸시버튼이 풀려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소경부와 대경부가 상하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소경부 하부의 내주면에 래칫이 형성되며 상기 대경부의 내주면이 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는 숄더와; 상기 숄더의 소경부 내주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숄더 소경부의 래칫과 치합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이드가 형성되면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사이 하부에 스톱파가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중간실린더와; 상기 중간실린더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중간실린더의 가이드에 의해서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는 범위를 구속당하도록 내주면에 돌기편이 형성된 버튼부;를 포함하는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여기서 숄더 소경부 하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래칫은 상기 버튼부가 닫힘방향으로 가압회전할 때 상기 중간실린더의 돌기가 상기 래칫을 올라타 회전할 수 있도록 닫힘방향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중간실린더의 돌기가 접촉하는 면이 열림방향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중간실린더의 돌기가 접촉하는 면보다 더 완경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는 버튼부가 닫힘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펌프어셈블리가 풀려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가 설치된 용기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가 설치된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가 설치된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가 설치된 용기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면을 절단한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펌프어셈블리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경부(12)와 대경부(14)가 상하로 연장형성되고 용기(80)에 결합되는 숄더(10)과, 상기 숄더(10)의 소경부(14) 내주면에 설치되는 중간실린더(20)와, 상기 중간실린더(20)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버튼부(30)를 포함한다.
숄더(10)는 상부의 소경부(12)와 하부의 대경부(14)로 이루어지며 이 소경부(12)와 대경부(14) 사이에는 연장부(16)가 형성된다. 상기 대경부(14)의 내주면에는 용기(80)의 입구와 결합될 수 있도록 용기(80) 입구 수나사(82)와 치합되는 암나사(18)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숄더(10)는 상기 용기(80)의 입구와 나사결합되지만 필요에 따라 언더컷 결합 등 다양한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숄더(10)의 소경부(12) 하부에는 래칫(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칫(19)은 후술하는 중간실린더(20)에 형성된 돌기(22)와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래칫(19)은 상기 버튼부(30)가 닫힘방향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중간실린더(20)의 돌기(22)가 접촉하는 면(19a)이 열림방향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중간실린더(20)의 돌기(22)가 접촉하는 면(19b)보다 더 완경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래칫(19)이 닫힘방향측으로 회전할 때 접촉하는 면(19a)이 열림방향측으로 회전할 때 접촉하는 면(19b)보다 더 완경사이므로 상기 버튼부(30)를 닫힘상태 이상으로 돌렸을 때도 중간실린더(20)의 돌기(22)가 래칫(19)을 타고 올라가 숄더(10)가 용기(8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경부(12)와 대경부(14) 사이의 연장부(16)는 펌프하우징(미도시)을 설치하기 위한 환상의 리브(17)가 설치된다.
중간실린더(20)는 상기 숄더(10)의 소경부(12) 내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중간실린더(20)는 외주면에 상기 숄더(10) 소경부(12)의 돌기(래칫)에 치합되는 돌기(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30)를 닫힘상태 이상으로 돌렸을 때도 중간실린더(20)의 돌기(22)가 래칫(19)을 타고 올라가 숄더(10)가 용기(8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실린더(20)는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이드(2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24)는 상기 버튼부(30)에 형성된 후술하는 돌기편(32)이 축방향으로 승강하는 것을 안내하고 동시에 버튼부(30)가 원주방향으로 더 회전할 수 없도록 구속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24) 중 하나의 가이드(24) 사이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스톱파(26)가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톱파(26)에 상기 버튼부(30)의 돌기편(32) 하단이 걸리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므로 로킹(Locking)상태가 된다.
버튼부(30)는 중앙에 중간실린더(20)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환상의 벽(34)이 형성되고 이 벽(34)의 외주면에 상기 중간실린더(20)의 가이드(24)에 의해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는 돌기편(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편(32)은 상기 버튼부(30)가 상기 중간실린더(20)의 원주방향으로 상대적 회전이 소정의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버튼부(30)는 환상의 벽(34)에 연통되어 외측으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36)가 형성된다.
10 : 숄더 20 : 중간실린더
30 : 버튼부 80 : 용기

Claims (2)

  1. 소경부와 대경부가 상하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소경부 하부의 내주면에 래칫가 형성되며 상기 대경부의 내주면이 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는 숄더와;
    상기 숄더의 소경부 내주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숄더 소경부의 래칫과 치합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이드가 형성되면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사이 하부에 스톱파가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중간실린더와;
    상기 중간실린더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환상의 벽이 형성되고, 상기 환상의 벽의 외주면에는 돌기편이 형성되며, 상기 환상의 벽이 회전하면서 돌기편이 회전할때 중간실린더의 가이드에 구속되어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소경부 하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래칫은 상기 버튼부가 닫힘방향으로 가압회전할 때 상기 중간실린더의 돌기가 상기 래칫을 올라타 회전할 수 있도록 닫힘방향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중간실린더의 돌기가 접촉하는 면이 열림방향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중간실린더의 돌기가 접촉하는 면보다 더 완경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
KR2020100004594U 2010-04-30 2010-04-30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 KR200460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594U KR200460241Y1 (ko) 2010-04-30 2010-04-30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594U KR200460241Y1 (ko) 2010-04-30 2010-04-30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467U KR20110010467U (ko) 2011-11-07
KR200460241Y1 true KR200460241Y1 (ko) 2012-05-10

Family

ID=4660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594U KR200460241Y1 (ko) 2010-04-30 2010-04-30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2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443A (ko) * 2020-11-04 2022-05-11 강성일 내용물 배출 펌프의 잠금장치
KR20230052760A (ko) * 2021-10-13 2023-04-20 (주)연우 회전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2051A (ja) * 2002-10-10 2006-01-19 シークイスト クロージャーズ フォーリ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二つの部分からなる容器の改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2051A (ja) * 2002-10-10 2006-01-19 シークイスト クロージャーズ フォーリ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二つの部分からなる容器の改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467U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2333U (ko) 에어리스 펌프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JP2011230840A (ja) 注出容器
KR20150110035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WO2020043053A1 (zh) 一种乳液泵
KR200460241Y1 (ko)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
JP6184900B2 (ja) 泡噴出容器
US8210497B2 (en) Double water-seal accumulator for perfume dispenser
US9004379B2 (en) Paint container assembly for a paint sprayer
JP5201675B2 (ja) 液体吐出器
JP2009208779A (ja) 吐出ポンプ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JP6227518B2 (ja) 受皿ユニット、およびこれとポンプユニットとを備えたディスペンサ容器用のポンプシステム
JP7190807B2 (ja) 吐出器
KR20160005393A (ko)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JP2008030831A (ja) 携帯用吐出器
JP5993795B2 (ja) 吐出容器
JP3197254U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
JP6421079B2 (ja) スポイト容器
JP4509692B2 (ja) ポンプ付き容器
JP6087260B2 (ja) 液体噴出器
JP2008162669A (ja) 液体吐出容器及び該容器に使用する容器体
KR200391774Y1 (ko) 액상화장품 펌핑용기
JP6253405B2 (ja) 滴下容器
KR20160005665A (ko)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JP2010105724A (ja) 液体吐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