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665A -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665A
KR20160005665A KR1020150113629A KR20150113629A KR20160005665A KR 20160005665 A KR20160005665 A KR 20160005665A KR 1020150113629 A KR1020150113629 A KR 1020150113629A KR 20150113629 A KR20150113629 A KR 20150113629A KR 20160005665 A KR20160005665 A KR 20160005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ontainer body
cylinder
contain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1020150113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5665A/ko
Publication of KR20160005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와 펌프 및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펌프 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개구부와 펌프의 실린더 사이에 러버재질의 공기흡입밸브를 형성하여 공기흡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펌핑 시 용기본체 내부로 외부공기의 흡입이 가능하면서, 펌프 용기가 넘어진 상태로 방치될 경우에도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공기흡입홀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용물저장공간(11)을 구비하며 상단에 개구부(12)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개구부(12)에 삽입되는 펌프(20)와, 상기 용기본체(10)와 펌프(20) 사이에 장착 결합되는 공기흡입밸브(30)와, 상기 펌프(20)와 공기흡입밸브(30)를 용기본체(10)에 고정 결합시키는 캡(40)과, 상기 펌프(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캡(40)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버튼(50)과, 상기 캡(40)과 버튼(50)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부재(6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펌프(20)는 피스톤(21)과, 상기 피스톤(21)이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22)와, 상기 피스톤(21)의 외주면과 실린더(22)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피스톤링(23)과, 상기 실린더(22)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크밸브(24)와, 상기 피스톤(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강부재(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펌프(20)의 실린더(22)는 상부에 펌프걸림환턱(223)이 형성되며 상기 펌프걸림환턱(223) 아래에는 누름환돌기(224)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밸브(30)는 상부에 밸브걸림환턱(31)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밸브(30)는 펌프(20)의 실린더(22)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22)에 형성된 공기흡입홀(2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Pump container for prevention contents leak in the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와 펌프 및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펌프 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개구부와 펌프의 실린더 사이에 러버재질의 공기흡입밸브를 형성하여 공기흡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펌핑 시 용기본체 내부로 외부공기의 흡입이 가능하면서, 펌프 용기가 넘어진 상태로 방치될 경우에도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공기흡입홀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화장품, 샴푸, 세제 및 바디오일 등은 일정한 용기에 저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먼저 뚜껑을 열고 상기 용기를 기울이거나 뒤집은 다음 가압하여 액상의 내용물을 사용자의 손에 토출시킨 후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는 매번 정량의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고, 내용물이 과도하게 배출되어 낭비되거나 배출되었던 내용물을 다시 용기 내로 넣음으로써 내용물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들어 정량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하고, 외부의 이물질에 쉽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펌프가 구비된 용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배출펌프는 사용자가 버튼를 누르면 실린더에 저장된 내용물이 펌핑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눌렀던 버튼에서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에 의해 버튼이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의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어 용기본체의 내용물이 실린더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내용물이 실린더로 이동하게 되면, 용기본체의 압력이 하강하여 실린더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용기본체의 내부로 흡입되어 다시 펌핑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펌프용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11476호로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노즐헤드(1)의 지지관(2)에 상단이 끼워지며 하부에 피스톤(3)이 일체로 형성된 피스톤축(4)과, 상기 피스톤(3)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끼워지는 실린더(5)와, 상기 실린더(5)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용기캡(6)과, 상기 실린더(5)의 상부에 고정되어 피스톤(3)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플릿(7)과 상기 노즐헤드(1)의 토출공을 개폐하는 퍼스트밸브(8)와, 상기 실린더(5)의 내용물 유입공을 개폐하는 세컨드밸브(9)와, 상기 노즐헤드(1)의 지지관(2)의 하부 내벽과 차플릿(7)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S) 및 상기 실린더(5)의 상부 일측에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홀(H)로 구성되어 있는 스프링 외장형 펌프 디스펜서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펌프 디스펜서 용기는 보관 중에 넘어진 상태로 장기간 방치될 경우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의 내용물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린더(5)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입홀(H)을 통해 빠져나와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본체의 개구부와 펌프의 실린더 사이에 러버재질의 공기흡입밸브를 형성하여 공기흡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펌핑 시 용기본체 내부로 외부공기의 흡입이 가능하면서, 펌프 용기가 넘어진 상태로 방치될 경우에도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공기흡입홀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저장공간(11)을 구비하며 상단에 개구부(12)가 형성된 용기본체(10);
상기 용기본체(10)의 개구부(12)에 삽입되는 펌프(20);
상기 용기본체(10)와 펌프(20) 사이에 장착 결합되는 공기흡입밸브(30);
상기 펌프(20)와 공기흡입밸브(30)를 용기본체(10)에 고정 결합시키는 캡(40);
상기 펌프(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캡(40)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버튼(50);
상기 캡(40)과 버튼(50)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부재(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펌프(20)는 피스톤(21)과, 상기 피스톤(21)이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22)와, 상기 피스톤(21)의 외주면과 실린더(22)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피스톤링(23)과, 상기 실린더(22)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크밸브(24)와, 상기 피스톤(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강부재(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펌프(20)의 실린더(22)는 상부에 펌프걸림환턱(223)이 형성되며 상기 펌프걸림환턱(223) 아래에는 누름환돌기(2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흡입밸브(30)는 상부에 밸브걸림환턱(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흡입밸브(30)는 펌프(20)의 실린더(22)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22)에 형성된 공기흡입홀(2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는 용기본체의 개구부와 펌프의 실린더 사이에 러버재질의 공기흡입밸브를 형성하여 공기흡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펌핑 시 용기본체 내부로 외부공기의 흡입이 가능하면서, 펌프 용기가 넘어진 상태로 방치될 경우에도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공기흡입홀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펌프디스펜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의 버튼을 눌러서 내용물을 배출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의 버튼이 위쪽으로 이동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가 옆으로 넘어진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의 버튼을 눌러서 내용물을 배출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의 버튼이 위쪽으로 이동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가 옆으로 넘어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내용물저장공간(11)을 구비하며 상단에 개구부(12)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개구부(12)에 삽입되는 펌프(20)와, 상기 용기본체(10)와 펌프(20) 사이에 장착 결합되는 공기흡입밸브(30)와, 상기 펌프(20)와 공기흡입밸브(30)를 용기본체(10)에 고정 결합시키는 캡(40)과, 상기 펌프(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캡(40)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버튼(50)과, 상기 캡(40)과 버튼(50)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부재(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내부에 내용물저장공간(11)을 구비하며 상단에는 내용물의 주입이 가능한 개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2)에는 펌프(20)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펌프(20)는 피스톤(21)과, 상기 피스톤(21)이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22)와, 상기 피스톤(21)의 외주면과 실린더(22)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피스톤링(23)과, 상기 실린더(22)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크밸브(24)와, 상기 피스톤(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강부재(25)로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21)은 내부에 중공(213)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중공(213)으로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유입구(21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플랜지(212)가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21)의 상부에는 피스톤(21)의 중공(213)과 연통하는 승강부재(25)가 결합 조립된다.
상기 실린더(22)는 측면에 공기흡입홀(221)이 형성되며 용기본체(10)의 개구부(12)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내용물저장공간(11)에 수용된 내용물이 빠져 나갈 때 내측에 음압이 발생한다.
상기 음압으로 인해 실린더(22)에 형성된 공기흡입홀(221)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용기본체(10) 내측으로 유입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22)에는 피스톤링(23)이 끼워진 피스톤(21)이 삽입되어 승하강하고, 하부에는 용기본체(10)의 내용물저장공간(11)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제2유입구(2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유입구(222)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팁튜브(225)는 용기본체(10)의 내용물저장공간(11)에 수용된 내용물을 실린더(22)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린더(22)의 제2유입구(222)에는 체크밸브(24)가 설치되며 상기 체크밸브(24)는 실린더(22)로 유입된 내용물이 용기본체(10)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실린더(22)는 상부에 펌프걸림환턱(223)이 형성되며 상기 펌프걸림환턱(223) 아래에는 누름환돌기(224)가 형성된다.
상기 펌프걸림환턱(223)은 실린더(22)가 용기본체(10)의 개구부(12)에 끼움 결합될 때, 걸림 역할을 한다.
상기 펌프걸림환턱(223)의 아래에 형성된 누름환돌기(224)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와 펌프(20)의 실린더(22) 사이에 장착 결합되는 공기흡입밸브(30)를 가압하여 용기본체(10)의 밀폐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스톤링(23)은 피스톤(21)의 외주면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21)의 플랜지(212)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21)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21)의 플랜지(212)와 피스톤링(23) 사이에 간극이 생겨 내용물 배출통로가 생기게 되고, 상기 피스톤(21)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21)의 플랜지(212)와 피스톤링(23)이 밀착되어 내용물 배출통로가 폐쇄된다.
상기 공기흡입밸브(30)는 실린더(22)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 용기본체(10)의 개구부(12)에 결합된다
상기 공기흡입밸브(30)는 상부에 밸브걸림환턱(31)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걸림환턱(31)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개구부(12)에 결합될 때, 걸림 역할을 하며 상면은 실린더(22)의 펌프걸림환턱(223) 아래에 형성된 누름환돌기(224)에 의해 눌러진다.
상기 공기흡입밸브(30)는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린더(22)의 공기흡입홀(2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공기흡입밸브(30)는 실린더(22)에 형성된 공기흡입홀(221)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용기본체(10)로 유입된다.
상기 공기흡입밸브(30)가 공기흡입홀(221)을 막고 있기 때문에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가 넘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용물저장공간(11)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공기흡입홀(221)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공기흡입밸브(30)는 일반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고무 또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20)와 공기흡입밸브(30)는 캡(40)에 의해 용기본체(1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캡(40)은 용기본체(10)와 나사 결합되며, 내측에 하부연장부(41)가 형성되고 위쪽으로 상부연장부(4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연장부(41)는 실린더(22)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어 기밀성을 높여준다.
상기 캡(40)의 상부연장부(42) 상면에는 탄성부재(60)가 위치한다.
상기 펌프(20)의 피스톤(21) 상부에는 피스톤(21)의 중공(213)과 연통하는 승강부재(25)가 결합 조립된다.
상기 승강부재(25)는 피스톤(21)의 중공(213)을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을 버튼(50)쪽으로 배출시킨다.
상기 승강부재(25)의 상부에는 버튼(50)이 결합 형성된다.
상기 버튼(50)은 펌프(20)의 승강부재(25) 상부에 결합되며 캡(4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버튼(50)은 내부에 장착홈(51)이 형성되며 일측에 내용물을 배출하는 노즐(5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51)은 탄성부재(60)의 일측이 장착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60)의 일측은 캡(40)의 상부연장부(42) 상면에 위치하고, 다른 일측은 버튼(50)의 장착홈(51)에 장착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60)는 버튼(50)의 펌핑 동작을 탄발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 용기본체(10)에 내용물을 주입한다.
이후, 피스톤(21)과, 상기 피스톤(21)이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22)와, 상기 피스톤(21)의 외주면과 실린더(22)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피스톤링(23)과, 상기 실린더(22)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크밸브(24)와, 상기 피스톤(21)의 상부에 승강부재(25) 결합하여 펌프(20)를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펌프(20)의 실린더(22) 외측에 공기흡입밸브(30)를 끼움 결합한다.
이후, 공기흡입밸브(30)가 끼움 결합된 펌프(20)를 용기본체(10)의 개구부(12)에 장착한다.
그리고, 캡(40)을 용기본체(10)에 나사 결합하여 펌프(20)와 공기흡입밸브(30)를 용기본체(10)에 고정 결합시킨다.
상기 펌프(20)의 승강부재(25) 상부에 버튼(50)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50)을 가압하면 펌프(20)의 피스톤(21)이 아래쪽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때 피스톤(21)의 외주면에 끼움 설치된 피스톤링(23)이 실린더(22)의 내측벽과의 마찰로 인하여 정지된 상태에 있는 동안 피스톤(21)만 하강하여 상기 피스톤(21)의 플랜지(212)와 상기 피스톤링(23) 사이에 간극이 생기면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통로가 생기게 된다.
그 후 더욱 피스톤(21)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승강부재(25)의 단부가 피스톤링(23)에 닿으면서 상기 피스톤링(23)이 함께 하강하게 되어 실린더(22)의 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22) 내에 있던 내용물이 밀려서 피스톤(21)의 플랜지(212)와 피스톤링(23) 사이를 통해 배출되고 이어서 제1유입구(211)를 통과한 후 중공(213)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22) 하부의 제2유입구(222)는 실린더(22) 내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폐쇄되어 있게 되고, 이때에는 용기본체(10)의 내용물저장공간(11)의 압력 변화가 없으므로 상기 실린더(22)의 외측에 결합된 공기흡입밸브(30)는 그대로 실린더(22)의 공기흡입홀(221)을 막고 있게 된다.
그 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스톤(21)을 가압했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피스톤(21)은 탄성부재(60)에 의해 승강부재(25)와 함께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링(23)은 실린더(22) 내측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정지하고 있으므로 피스톤(21)의 플랜지(212)가 피스톤링(23)과 맞닿게 되어 내용물 배출로가 폐쇄되게 되며, 그 후 더욱 피스톤(21)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21)의 플랜지(212)가 피스톤링(23)을 끌어올려 실린더(22) 내부의 공간이 늘어나면서 진공압이 발생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22)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체크밸브(24)가 열리면서 용기본체(10)의 내용물저장공간(11)에 수용된 내용물이 실린더(22) 안으로 흡입되게 되고, 상기 실린더(22) 내에 내용물이 가득 차게 되면 진공압은 사라지게 되어 상기 체크밸브(24)는 폐쇄되게 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용물저장공간(11)에 수용된 내용물이 실린더(22) 안으로 흡입되면, 상기 실린더(22) 안으로 흡입된 내용물만큼 용기본체(10)에 빈 공간이 생겨 음압이 발생한다.
상기 용기본체(10)에 발생한 음압은 도 6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펌프(20)의 실린더(22)에 형성된 공기흡입홀(221)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용기본체(10)로 유입되어 음압이 해소된다.
이때, 펌프(20)의 실린더(22) 외측에 끼움 결합된 공기흡입밸브(30)에 의해 상기 실린더(22)의 공기흡입홀(221)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공기흡입밸브(30)에 의해 용기본체(10)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때만 실린더(22)의 공기흡입홀(221)이 열리게 되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가 넘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용물저장공간(11)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공기흡입홀(221)을 통해 누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용기본체 11:내용물저장공간
12:개구부 20:펌프
21:피스톤 211:제1유입구
212:플랜지 213:중공
22:실린더 221:공기흡입홀
222:제2유입구 223:펌프걸림환턱
224:누름환돌기 225:딥튜브
23:피스톤링 24:체크밸브
25:승강부재 30:공기흡입밸브
31:밸브걸림환턱 40:캡
41:하부연장부 42:상부연장부
50:버튼 51:장착홈
52:노즐 60:탄성부재

Claims (7)

  1. 내용물저장공간(11)을 구비하며 상단에 개구부(12)가 형성된 용기본체(10);
    상기 용기본체(10)의 개구부(12)에 삽입되며 실린더(22)에 공기흡입홀(221)이 형성된 펌프(20);
    상기 용기본체(10)와 펌프(20) 사이에 장착 결합되어 상기 펌프(20)의 공기흡입홀(2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기흡입밸브(30);
    상기 펌프(20)와 공기흡입밸브(30)를 용기본체(10)에 고정 결합시키는 캡(40);
    상기 펌프(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캡(40)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버튼(50);
    상기 캡(40)과 버튼(50)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부재(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2. 피스톤(21)과, 상기 피스톤(21)이 삽입되며 외측에 공기흡입홀(221)이 형성된 실린더(22)와, 상기 피스톤(21)의 외주면과 실린더(22)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피스톤링(23)과, 상기 실린더(22)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크밸브(24)와, 상기 피스톤(21)의 상부에 승강부재(25)를 결합하여 형성된 펌프(20)의 외측에 공기흡입밸브(30)를 끼움 결합하여 용기본체(10)의 개구부(12)에 삽입하되, 상기 공기흡입밸브(30)는 상기 실린더(22)의 공기흡입홀(2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캡(40)을 용기본체(10)에 나사 결합하여 펌프(20)와 공기흡입밸브(30)를 용기본체(10)에 고정 결합시키며, 상기 펌프(20)의 승강부재(25) 상부에 버튼(50)을 결합하되 캡(40)과 버튼(50) 사이에 탄성부재(60)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20)는 피스톤(21)과, 상기 피스톤(21)이 삽입되며 외측에 공기흡입홀(221)이 형성된 실린더(22)와, 상기 피스톤(21)의 외주면과 실린더(22)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피스톤링(23)과, 상기 실린더(22)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크밸브(24)와, 상기 피스톤(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강부재(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20)의 실린더(22)는 상부에 펌프걸림환턱(223)이 형성되며 상기 펌프걸림환턱(223) 아래에는 누름환돌기(2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밸브(30)는 일반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고무 또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밸브(30)는 상부에 밸브걸림환턱(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밸브(30)는 펌프(20)의 실린더(22)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22)에 형성된 공기흡입홀(221)을 폐쇄하고 있다가, 상기 펌프(20)의 피스톤(21)이 탄성부재(60)에 의해 상승하여 용기본체(10)의 내용물저장공간(11)에 수용된 내용물이 실린더(22) 안으로 흡입됨에 따라 용기본체(10)에 음압이 발생되면 상기 공기흡입밸브(30)가 펌프(20)의 공기흡입홀(221)을 개방하여 상기 공기흡입홀(221)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용기본체(10)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KR1020150113629A 2015-08-12 2015-08-12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KR20160005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629A KR20160005665A (ko) 2015-08-12 2015-08-12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629A KR20160005665A (ko) 2015-08-12 2015-08-12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235A Division KR20160005393A (ko) 2014-07-07 2014-07-07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665A true KR20160005665A (ko) 2016-01-15

Family

ID=5517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629A KR20160005665A (ko) 2015-08-12 2015-08-12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56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628A1 (ko) * 2019-04-11 2020-10-15 강성일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628A1 (ko) * 2019-04-11 2020-10-15 강성일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WO2020209672A1 (ko) * 2019-04-11 2020-10-15 강성일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5625B2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sealing ability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6108181B2 (ja) スプレーポンプ
KR101590865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150110035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120032135A (ko) 내용물이 정량 토출되는 노즐헤드 하강형 진공밀폐 펌프디스펜서 용기
KR101907778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JP2023510405A (ja) ポンプ容器
KR20160046654A (ko) 에어리스 펌프
BR112018003101B1 (pt) Dispensador para massas líquidas a pastosas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KR102206987B1 (ko) 누액방지 기능이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200476597Y1 (ko) 누액 방지 기능을 갖는 화장품 펌프용기
KR20160005393A (ko)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KR101038011B1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프
KR20100136183A (ko)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용기
KR20160005665A (ko)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KR200477737Y1 (ko) 내용물 누출 방지 노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KR200480197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200118548A (ko)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는 백플로우 펌핑장치
KR20200052204A (ko) 방수 기능을 가진 액체용기용 펌핑장치
KR200485890Y1 (ko) 고무링이 삽입된 스크류 타입 에어리스 펌프 용기
KR20210043540A (ko) 화장품 용기
KR101443837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