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961Y1 -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 - Google Patents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961Y1
KR200458961Y1 KR2020100006880U KR20100006880U KR200458961Y1 KR 200458961 Y1 KR200458961 Y1 KR 200458961Y1 KR 2020100006880 U KR2020100006880 U KR 2020100006880U KR 20100006880 U KR20100006880 U KR 20100006880U KR 200458961 Y1 KR200458961 Y1 KR 200458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weight
bracket
receiving bracket
s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144U (ko
Inventor
서영춘
Original Assignee
서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춘 filed Critical 서영춘
Priority to KR2020100006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96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1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9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1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실 선별기의 출구에 구성된 중량감지체에 의해 과실자루에 담겨지는 과실의 중량이 감지되고, 감지된 과실의 중량이 설정값과 동일할 때, 출구에 구성되는 수용브라켓의 개방된 하부가 자동적으로 폐쇄되기 때문에, 과실자루에 담겨지는 과실의 정확한 포장이 가능하고, 선별기와 중량 감지체가 같이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선별작업과 중량별 포장작업을 따로 진행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드쉘에 의해 감지되는 과실의 중량에 의해 솔레노이드 록킹부가 작동되어 수용브라켓의 하부가 폐쇄되어 정확한 중량별 과실의 포장이 가능한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크기별로 형성되는 선별구멍(11)이 통공된 원통형 선별통(12)에 의해 과실이 크기별로 선별되어 배출되는 출구(13)가 전면에 구성되는 선별기(10)와; 상기 선별기(10)의 출구 외측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수용브라켓(20)과;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후면에 구성되고 수용브라켓(20)의 전면으로 록킹편(31)이 노출된 솔레노이드 록킹부(30)와;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단에 구성되고 상기 록킹편(31)에 의해 록킹되어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40)와;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단에 구성된 상기 개폐부(4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과실자루(101)가 걸어지고 걸어진 과실자루(101)의 내부에 과실이 설정된 중량만큼 채워지면 상기 솔레노이드 록킹부(30)를 작동시켜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부를 폐쇄하는 중량 감지체(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FRUIT SORTING EQUIPMENT WITH WEIGHT SCALE DEVICE}
본 고안인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밤이나 대추와 같은 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과실 선별기의 출구에 중량 감지체를 더 구성하여 크기별로 선별되는 과실을 설정된 중량에 맞도록 담아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실의 선별 및 중량별 포장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밤이나 대추는 크기별로 선별구멍이 통공된 선별통이 구성되는 과실 선별기에 의해 크기에 따라 선별되고, 크기별로 선별된 과실은 다시 중량에 따라 자루에 담겨지거나 또는 박스 등에 담겨져 각각 포장된다.
종래 사용되는 과실을 분류하도록 된 중량식 과실 선별장치는 인장스프링을 이용하여 무게를 재는 스프링저울의 원리로 과실을 선별한다.
이와 같이 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작업과 중량별로 담아내는 포장작업이 따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는 크기별로 선별된 과실을 따로 분류하고, 분류된 과실을 다시 포장작업을 하는 장소까지 이동시켜 포장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 과실을 중량에 의해 선별하는 과실 선별장치는, 과실접시에 과실이 적재되면, 과실접시는 과실 무게만큼의 중량을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로프레임은 인장스프링에 인장력을 전달하며, 상기 세로프레임에 연결된 검출칼날이 하향 이동한다.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검출칼날이 걸림장치에 닿게 되면 검출칼날이 뒤로 젖혀지면서 검출칼날과 일체로 형성된 회동판이 연동되고, 상기 회동판의 상부에 지지되어있던 과실접시가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과실접시가 기울어짐에 따라 과실접시의 상부에 적재되어 있던 과실은 중량별로 분류되어 있는 과실바구니로 떨어지게 되며, 과실접시의 과실이 방출된 후 상기 회동판은 복귀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상기 과실접시는 다시 과실을 수납할 수 있도록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과실 선별장치는, 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는데에 주안점을 두고 개발되기 때문에, 선별된 과실을 따로 포장하여야 하는 추가작업이 별도로 진행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0782276호인 과실 중량 선별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과실이 다량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측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결되어 투입 된 과실이 개개별로 이동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투입부에 의해 낙하되는 과실이 안착되고 하부에 안착되는 과실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를 갖는 과실받이부와, 상기 과실받이부에 안착된 과실을 일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싱부와, 상기 푸싱부의 일측방향에 위치되어 푸싱부에 의해 밀린 과실이 이송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다수개 구성되고 상기 과실받이부의 중량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과실의 중량에 맞도록 상부측으로 개방되는 게이트를 갖는 개방부와, 상기 과실받이부의 중량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과실의 중량에 따라 상기 이송부에 다수개 구비된 개방부의 게이트 중 어느 하나의 게이트를 개방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과실을 중량별로 감지하여 선별하기에는 매우 좋은 효과를 갖고 있으나, 주로 사과나 복숭아, 배와 같은 비교적 크기가 큰 과실을 중량별로 선별하는 것으로, 밤이나 대추와 같은 과실을 선별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선별된 과실을 다시 설정된 중량 예를 들어 포장단위 1kg ~ 10kg 까지 포장하고자 할 경우에는 따로 포장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밤이나 대추와 같이 과실을 선별하는 과실 선별기와 선별된 과실을 다시 포장단위로 바로 포장작업을 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종래 과실을 선별하는 과실 선별기와 과실을 중량별로 담아 포장하는 과실 중량 선별기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과실 선별기의 출구측에 과실을 중량별로 담아 포장할 수 있는 중량 감지체를 더 구성함으로써 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작업과 과실을 설정된 중량별로 담아내는 포장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여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는, 회전되는 원통형 선별기에 의해 과실이 크기별로 선별되어 배출되는 출구가 전면에 구성되는 선별기와; 상기 선별기의 출구 외측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수용브라켓과; 상기 수용브라켓의 후면에 구성되고 수용브라켓의 전면으로 록킹편이 노출된 솔레노이드 록킹부와; 상기 수용브라켓의 하단에 구성되고 상기 록킹편에 의해 록킹되어 상기 수용브라켓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수용브라켓의 하단에 구성된 개폐부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과실자루가 걸어지고 걸어진 과실자루의 내부에 과실이 설정된 중량만큼 채워지면 상기 솔레노이드 록킹부를 작동시켜 상기 수용브라켓의 하부를 폐쇄하는 중량 감지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인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는, 과실 선별기의 출구에 구성된 중량감지체에 의해 과실자루에 담겨지는 과실의 중량이 감지되고, 감지된 과실의 중량이 설정값과 동일할 때, 출구에 구성되는 수용브라켓의 개방된 하부가 자동적으로 폐쇄되기 때문에, 과실자루에 담겨지는 과실의 정확한 포장이 가능하고, 선별기와 중량 감지체가 같이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선별작업과 중량별 포장작업을 따로 진행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드쉘에 의해 감지되는 과실의 중량에 의해 솔레노이드 록킹부가 작동되어 수용브라켓의 하부가 폐쇄되어 정확한 중량별 과실의 포장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인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의 구성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본 고안인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에 과실자루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는, 크기별로 형성되는 선별구멍(11)이 통공된 원통형 선별통(12)에 의해 과실이 크기별로 선별되어 배출되는 출구(13)가 전면에 구성되는 선별기(10)와, 상기 선별기(10)의 출구 외측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수용브라켓(20)과,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후면에 구성되고 수용브라켓(20)의 전면으로 록킹편(31)이 노출된 솔레노이드 록킹부(30)와,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단에 구성되고 상기 록킹편(31)에 의해 록킹되어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40)와,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단에 구성된 상기 개폐부(4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과실자루(101)가 걸어지고 걸어진 과실자루(101)의 내부에 과실이 설정된 중량만큼 채워지면 상기 솔레노이드 록킹부(30)를 작동시켜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부를 폐쇄하는 중량 감지체(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선별기(10)의 출구(13)측에 수용브라켓(20)과 중량감지체(50) 수용브라켓(20)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40)가 더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밤이나 대추와 같은 과실이 선별기(10)의 선별통(12)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된 후 바로 출구(13)에 구성되는 중량감지체(50)에 의해 설정된 포장단위의 중량별로 포장이 이루어짐에 따라 선별작업과 포장작업이 동시에 진행되어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개폐부(40)는,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부 측면 양측에 각각 결합고정되는 걸이편(41)들과, 상기 걸이편(41)을 관통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록킹부(30)의 록킹편(31)에 걸어지는 걸쇠(42)가 선단에 형성되는 이동가이드(43)와, 상기 이동가이드(43)의 후측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브라켓(20)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판(44)과, 상기 개폐판(44)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가이드(43)의 외측에 끼워지는 스프링(45)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중량감지체(50)는, 상기 수용브라켓(20)의 개방된 하부에 상단이 위치되어 과실자루(101)가 거치되는 좌/우 한 쌍의 거치대(51)와, 상기 거치대(51)의 하부에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록킹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로드쉘(52)과, 상기 로드쉘(52)이 내측에 구성되고 상기 거치대(51)에 거치되는 과실자루(101)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5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거치대(51)에 과실자루(101)를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선별기(10)를 통해 과실의 선별작업을 진행하면, 크기별로 선별된 과실은 상기 선별기(10)의 출구(13)를 통해 수용브라켓(20)의 내측으로 떨어져 상기 거치대(51)에 거치된 과실자루(101)에 담겨진다.
이와 같이 과실자루(101)에 크기별로 선별된 과실이 담겨지는 과정에서 상기 안착부(53)에 내삽된 로드쉘(52)이 과실자루(101)에 담겨지는 과실의 중량을 감지하고 있다가, 설정된 중량값에 도달하면 상기 로드쉘(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솔레노이드 록킹부(30)에 전기신호를 전달하고, 이 전달된 신호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록킹부(30)의 록킹편(31)이 작동되어 상기 개방된 수용브라켓(20)의 하부가 폐쇄됨으로써 과실이 정량 포장된다.
상기 개폐부(40)의 개폐판(44)은, 상기 이동가이드(43)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으로, 이동가이드(43)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브라켓(20)측으로 후진되면 이동가이드(43)의 걸쇠(42)가 상기 솔레노이드 록킹부(30)의 록킹편(31)에 걸어지게 되고, 상기 로드쉘(52)의 전기적인 신호가 솔레노이드 록킹부(30)에 전달되면 록킹편(31)이 하강되면서 록킹편(31)에 걸어진 이동가이드(43)의 걸쇠(42)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이동가이드(43)가 수용브라켓(20)의 전방측으로 전진된다.
상기 이동가이드(43)의 전진 동작은, 상기 이동가이드(43)가 후진할 때 압축된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동가이드(43)가 전진하면, 이동가이드(43)에 구성된 상기 개폐판(44) 역시 수용브라켓(20)측으로 전진되어 수용브라켓(20)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시킴으로써 더 이상 과실이 상기 거치대(51)에 거치된 과실자루(101)에 떨어지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개폐부(40)의 걸쇠(42)를 상기 록킹편(31)에 거는 동작은 작업자가 상기 개폐부(40)의 걸쇠(42)를 상기 록킹편(31)측으로 밀어 줌으로써 가능하다.
이와 같이 중량감지체(50)의 로드쉘(52)에 의해 설정된 포장단위만큼 수용브라켓(20)내에 임시 수용되는 과실이 과실자루(101)에 담겨짐으로써 과실의 선별작업과 동시에 과실의 정량단위 수납 및 포장작업이 진행되어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선별기 11 : 선별구멍
12 : 선별통 13 : 출구
20 : 수용브라켓 30 : 솔레노이드 록킹부
31 : 록킹편 40 : 개폐부
41 : 걸이편 42 : 걸쇠
43 : 이동가이드 44 : 개폐판
45 : 스프링 50 : 중량감지체
51 : 거치대 52 : 로드쉘
53 : 안착부 101 : 과실자루

Claims (3)

  1. 크기별로 형성되는 선별구멍(11)이 통공된 원통형 선별통(12)에 의해 과실이 크기별로 선별되어 배출되는 출구(13)가 전면에 구성되는 선별기(10)와;
    상기 선별기(10)의 출구 외측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수용브라켓(20)과;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후면에 구성되고 수용브라켓(20)의 전면으로 록킹편(31)이 노출된 솔레노이드 록킹부(30)와;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단에 구성되고 상기 록킹편(31)에 의해 록킹되어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40)와;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단에 구성된 상기 개폐부(4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과실자루(101)가 걸어지고 걸어진 과실자루(101)의 내부에 과실이 설정된 중량만큼 채워지면 상기 솔레노이드 록킹부(30)를 작동시켜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부를 폐쇄하는 중량 감지체(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40)는,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부 측면 양측에 각각 결합고정되는 걸이편(41)들과;
    상기 걸이편(41)을 관통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록킹부(30)의 록킹편(31)에 걸어지는 걸쇠(42)가 선단에 형성되는 이동가이드(43)와;
    상기 이동가이드(43)의 후측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브라켓(20)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판(44)과;
    상기 개폐판(44)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가이드(43)의 외측에 끼워지는 스프링(45)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량감지체(50)는,
    상기 수용브라켓(20)의 개방된 하부에 상단이 위치되어 과실자루(101)가 거치되는 좌/우 한 쌍의 거치대(51)와;
    상기 거치대(51)의 하부에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록킹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로드쉘(52)과;
    상기 로드쉘(52)이 내측에 구성되고 상기 거치대(51)에 거치되는 과실자루(101)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53)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
KR2020100006880U 2010-06-29 2010-06-29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 KR200458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880U KR200458961Y1 (ko) 2010-06-29 2010-06-29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880U KR200458961Y1 (ko) 2010-06-29 2010-06-29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144U KR20120000144U (ko) 2012-01-04
KR200458961Y1 true KR200458961Y1 (ko) 2012-03-21

Family

ID=4584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880U KR200458961Y1 (ko) 2010-06-29 2010-06-29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96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782B1 (ko) * 2014-06-20 2014-09-03 노계훈 농산물용 자루 운반체
KR101930808B1 (ko) * 2016-12-05 2018-12-19 이종훈 정량포장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866A (ja) 2005-05-20 2006-11-30 Yoshi Takiguchi 果実選別装置とその選別方法
KR100782276B1 (ko) 2006-12-27 2007-12-04 서영춘 과실 중량 선별장치
KR20090028053A (ko) * 2007-09-13 2009-03-18 최병훈 과일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866A (ja) 2005-05-20 2006-11-30 Yoshi Takiguchi 果実選別装置とその選別方法
KR100782276B1 (ko) 2006-12-27 2007-12-04 서영춘 과실 중량 선별장치
KR20090028053A (ko) * 2007-09-13 2009-03-18 최병훈 과일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144U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8689C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AU2008221530B2 (en) A scale for a packaging machine
JP2019181461A (ja) スティック包装製品用多列重量選別装置
CN106043790B (zh) 水果包装装置
KR200448886Y1 (ko) 중량선별장치
CN209506295U (zh) 新型矿石自动袋装装置
CN104859878A (zh) 一种包装机用多列输送带
KR200458961Y1 (ko)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
CN110481876A (zh) 一种橙子快速称重与包装系统
KR20210134629A (ko) 제약 물품들을 카운트하고 물품들을 병들의 내부에 삽입하기 위한 반대 충전제 장치
KR101327831B1 (ko) 자동 캡슐 중량 선별장치
CN205952499U (zh) 一种全自动包装生产线
US11485525B2 (en) Enhanced apparatus for filling bags
CN106043858B (zh) 一种全自动包装生产线
JP2017132609A (ja) 搬送装置及び計量包装システム
KR102234563B1 (ko) 과일 적재 시스템
WO2019092964A1 (ja) 物品供給装置及び組合せ計量装置
AU2014289255B2 (en) A trim management system (TMS) and a method for processing of meat trim products
KR102427602B1 (ko) 중량선별 배제장치
KR100782276B1 (ko) 과실 중량 선별장치
KR200485429Y1 (ko) 방울토마토용 선별장치
WO2000073748A1 (fr) Mecanisme de distribution d'objets peses et dispositif de pesee
CN110509460B (zh) 树脂材料供给机构以及树脂材料供给方法
JP6865558B2 (ja) 線状物結束製品の結束状態合否判定装置。
JP2019124619A (ja) 組合せ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