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122Y1 -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122Y1
KR200458122Y1 KR2020090005776U KR20090005776U KR200458122Y1 KR 200458122 Y1 KR200458122 Y1 KR 200458122Y1 KR 2020090005776 U KR2020090005776 U KR 2020090005776U KR 20090005776 U KR20090005776 U KR 20090005776U KR 200458122 Y1 KR200458122 Y1 KR 200458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et
forming
roll
corner fram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363U (ko
Inventor
채연옥
박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에스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에스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에스공업
Priority to KR2020090005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2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3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3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7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frames for openings, e.g. for windows, doors, hand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5Devices for handling elongated articles, e.g. bars, tube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의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판 플레이트를 공급하는 언코일러와, 언코일러로부터의 공급되는 강판 플레이트의 절곡 예정부에 적어도 하나의 V-홈을 프레싱 형성하도록 상기 절곡 예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V-돌기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 롤을 각기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싱 롤러 세트와,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를 통과한 강판 플레이트의 V-홈을 따라 순차적으로 절곡을 행하도록 상부 및 하부 롤을 각기 구비하는 복수의 성형 롤러 세트와, 상기 성형 롤러 세트를 통과한 예비 성형된 코너 프레임의 형상을 최종적으로 교정하도록 상부 및 하부 롤을 각기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 롤러 세트와, 상기 강판 플레이트 또는 강판 플레이트의 성형 코너 프레임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 프레스와,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와 상기 성형 롤러 세트와 상기 교정 롤러 세트의 상부 또는 하부 롤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 성형 장치{FORMING APPARATUS FOR FINISHING CORNER FRAME}
본 고안은 건물 내의 거실, 주방, 계단 등에 사용되는 타일과 같은 마감재의 코너에 시공되는 코너 프레임(또는 '코너 비드'로도 지칭됨)의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와 같은 코너 프레임의 성형 중 필수 공정으로서 채용되는 절곡 공정에 있어서 강판의 손상을 가져오는 V-홈 커팅 방식을 배제하고 프레싱 롤러를 사용하여 V-홈을 형성하고 코너 프레임을 일관 공정으로 성형할 수 있는 코너 프레임의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의 인테리어 시공시, 건물내의 현관, 거실, 주방, 베란다, 계단 등에 타일과 같은 마감재가 주로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리어 마감재의 시공시, 시공된 마감재의 단부 부분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화학적 작용으로부터 보호되고, 또한 미관상의 효과와 시공성의 향상을 위해, 통상 코너 비드로도 지칭되는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을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PVC 등의 재료로 이 루어고, 사각형, 삼각형, 라운드형, L-형 등의 형태별로 성형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형태적 특징에 따라 절곡 공정은 필수의 제조 공정이다.
종래, 이러한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의 성형 중 절곡 공정은 우선 V-홈(V)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인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 플레이트(P)의 상부에 배치된 커팅날(C)을 사용하여 플레이트(P)의 절곡 예정부를 절삭하는 것에 의해 V-홈(V)을 형성한 후, 그 절삭된 V-홈을 따라 차례로 절곡을 행하여, 최종적으로 코너 프레임의 성형을 완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V-홈(V)의 절삭된 부분은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고 내부 조직이 외부에 노출되어 부식에 취약한 환경이 됨으로써, 추후 절삭된 V-홈을 따른 절곡 공정을 통해 완성된 제품의 경우도 외부의 기계적/화학적 작용에 취약해짐은 물론, 절삭 공정 중 절삭된 입자에 의해 환경 오염이 야기되고, 빈번한 절삭날의 교체에 따라 원가 상승이 유발되고, 불연속적이고 수동적인 작업 과정에 의해 코너 프레임을 일관 공정으로써 성형하기가 곤란하며, 그에 따라 생산성의 저하, 생산 시간 및 원가의 상승이 야기된다.
또한, 절삭된 V-홈을 따른 절곡 공정시에는 절삭된 V-홈 부분을 한 번에 절곡을 행하기 때문에 V-홈 부분에 큰 충격이 가해지므로 표면이 손상되기 쉽고 그에 따라 내식성 저하가 수반되는 경우가 많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강판의 손상을 가져오는 V-홈 커팅 방식을 배제하고 V-홈을 프레싱 형성하는 프레싱 롤러와 V-홈이 형성된 강판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절곡하여 성형하는 성형 롤러를 제공하고, 이들 롤러를 사용하여 코너 프레임을 일관 공정으로 성형할 수 있는 코너 프레임의 성형 장치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코너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코너 프레임 성형 장치는 강판 플레이트를 공급하는 언코일러와, 언코일러로부터의 공급되는 강판 플레이트의 절곡 예정부에 적어도 하나의 V-홈을 프레싱 형성하도록 상기 절곡 예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V-돌기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 롤을 각기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싱 롤러 세트와,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를 통과한 강판 플레이트의 V-홈을 따라 순차적으로 절곡을 행하도록 상부 및 하부 롤을 각기 구비하는 복수의 성형 롤러 세트와, 상기 성형 롤러 세트를 통과한 예비 성형된 코너 프레임의 형상을 최종적으로 교정하도록 상부 및 하부 롤을 각기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 롤러 세트와, 상기 강판 플레이트 또는 강판 플레이트의 성형 코너 프레임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 프레스와,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와 상기 성형 롤러 세트와 상기 교정 롤러 세트의 상부 또는 하부 롤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와 상기 성형 롤러 세트와 상기 교정 롤러 세트의 상부 및 하부 롤 각각은 2개 이상의 롤 섹션과, 상기 롤 섹션을 중심 관통하는 관통 샤프트와, 상기 롤 섹션에 연결된 관통 샤프트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 척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는 그 상부 및 하부 롤 간의 간격 조정을 위해 간격 조절 유닛을 구비하며, 이 간격 조절 유닛은 상부 롤의 회전 샤프트 단부에 연결된 베어링 블록과 이 베어링 블록의 상하 이동을 위해 설치된 상하 조절 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성형 롤러 세트의 연속하는 상부 및 하부 롤 각각은 상기 강판 플레이트의 프레싱 V-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완만한 경사각으로부터 소망의 절곡 각도로까지 점진적으로 경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유닛은 모터와,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와 롤 사이에 연결되는 커플링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감속기와 연결된 롤과 그에 인접하는 롤은 스프로킷 체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의 성형시 강판의 손상을 가져오는 V-홈 커팅 방식을 배제하고 V-홈을 프레싱 형성한 후 수회의 절곡 단계를 통해 절곡을 행하는 것에 의해 V-홈 형성부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함은 물론, 종래 부식에 취약했던 문제를 개선하면서 용이하게 절곡을 행할 수 있고, 제품의 표면 손상없이 일관 공정으로써 코너 프레임을 성형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 및 제조 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b는 본 고안에 따라 프레싱 롤러를 사용한 강판 플레이트의 프레싱 V-홈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강판 플레이트에 프레싱 V-홈이 형성된 후 절곡 과정을 거쳐 최종 성형 제품으로 성형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c) 도면은 (b) 도면의 V-홈 플레이트에 의해 성형된 최종 제품을 나타내고, (d) 도면은 (b) 도면의 V-홈 플레이트에서 하나의 절곡 V-홈(V4)가 없는 상태에서 절곡을 행하여 얻어지는 제품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또는 코너 비드)의 성형 장치를 사용한 코너 프레임의 성형 과정은 절곡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V-홈(V)을 형성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절삭 커팅을 이용하지 않고 프레싱 롤러에 의한 프레싱 과정을 통해 강판 플레이트(P)의 손상없이 V-홈을 형성하는 것이 핵심 사항 중 하나이다.
이러한 프레싱을 위한 프레싱 롤러는 상부 및 하부 롤(UR, LR)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롤에는 강판 플레이트(P)의 원하는 절곡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V-돌기(VP)를 형성하고, 상부 및 하부 롤(UR, LR) 사이로 강판 플레이트(P)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강판 플레이트에는 V-홈(V; V1, V2, V3, V4)이 압착 형성된다.
이렇게 프레싱 절곡 V-홈(V)이 형성된 강판 플레이트(P)는 이후 절곡 성형과정을 거쳐서 도 2의 (c) 도면과 같은 형상으로 최종 성형이 이루어지며, 예정된 절곡 형상의 변경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도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d) 도면 참조).
이때, V-홈을 따른 절곡 과정은 종래 기술의 경우처럼 1 단계로 수행되지 않고, 예컨대, 4~6 단계의 복수 단계로 행해져서 표면 손상이 유발되는 것이 방지된다.
코너 프레임의 성형을 위한 성형 장치의 예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의 성형 장치의 레이아웃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레이아웃 도면을 간략화시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의 성형 장치는 강판 플레이트(P)를 공급하는 언코일러(10)와, 언코일러로부터의 공급되는 강판 플레이트의 절곡 예정부에 적어도 하나의 V-홈을 프레싱 형성하는 프레싱 롤러 세트(30)와,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30)를 통과한 강판 플레이트(P)의 V-홈을 따라 순차적으로 절곡을 행하는 복수의 성형 롤러 세트(40)와, 상기 성형 롤러 세트를 통과한 예비 성형된 코너 프레임의 형상을 최종적으로 교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 롤러 세트(50)를 포함한다.
상기 코너 프레임의 성형 장치는 상기 강판 플레이트(P) 또는 강판 플레이트 의 성형 코너 프레임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 프레스(60)를 또한 포함하며, 이 절단 프레스는 강판 플레이트(P)가 V-홈 형성 및 절곡 성형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절단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언코일러(10)와 프레싱 롤러 세트(30) 사이에, 또는 교정 롤러 세트(50)를 지나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 장치는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와 상기 성형 롤러 세트와 상기 교정 롤러 세트의 롤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며, 이외에도 언코일러(10)로부터 공급되는 강판 플레이트(P)를 프레싱 롤러 세트(30)로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 섹션(20)과, 스토퍼(70a)를 구비하고, 최종 성형되어 커팅된 코너 프레임 제품을 적치하는 적치 스탠드(70)와, 최종 제품에 추가의 펀칭 가공을 위한 펀칭기(도시 생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30)와 상기 성형 롤러 세트(40)와 상기 교정 롤러 세트(50)는 각각 적어도 1세트의 상부 및 하부 롤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30)는 적어도 한 세트의 상부 및 하부 롤로 이루어지며, 이 상부 롤과 하부 롤 사이로 강판 플레이트(P)가 통과되면서 상부 롤 및/또는 하부 롤에 형성된 V-돌기에 의해 압착되어 프레싱 V-홈이 형성된다. 프레싱 롤러 세트(30)의 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30)를 통과한 프레싱 V-홈이 형성된 강판 플레이트(P)는 복수의 성형 롤러 세트(40: 40a, 40b, 40c, 40d, 40e, 40f, 40g, 40h, 40i, 40j, 40k, 40l, 40m, 40n, 40o)를 거치면서 상기 프레싱 V-홈을 따라 절곡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성형 롤러 세트의 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제품의 설 계에 따라 그 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교정 롤러 세트(50)는 절곡 부위의 수에 따라 통상 복수의 세트의 상부 및 하부 롤로 이루어지며, 성형 롤러 세트(40)를 통과하여 예비 성형된 코너 프레임을 최종적으로 형상 교정하며, 이를 위해 예비 성형체의 코너 프레임의 각 절곡 형상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정확한 치수 공차로 롤을 배치하여 예비 성형체가 그 위치의 롤을 지나면서 절곡 형상을 최종적으로 교정하게 된다. 교정 롤러 세트(50)의 수도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30)와 상기 성형 롤러 세트(40)와 상기 교정 롤러 세트(50)는 각각 적어도 1세트의 상부 및 하부 롤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상부 롤 또는 하부 롤은 마감재의 크기 또는 형태 등에 따라 제품의 기본 설계에서 절곡 부위의 위치가 조금씩 변경되는 등의 치수 변경 설계 제품도 용이하게 절곡 성형 가능하도록 각각 분리 가능하고 조립 가능한 복수의 섹션으로 이루어져 설계 변경에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중 프레싱 롤러 세트(30)의 상부 및 하부 롤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코너 프레임 성형 장치 중 프레싱 롤러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서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30)는 V-돌기(VP)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 롤로 이루어지며, 이 상부 롤 또는 하부 롤은 분리 및 조립 가능한 2개 이상의 롤 섹션(도 5에서는 30a, 30b, 30c)과, 상기 롤 섹션을 중심 관통하는 관통 샤프트(도 5에서는 Sa, Sa')와, 상기 롤 섹션에 연결된 관통 샤프트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 척(Fa, Fa')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롤 섹션은 통상 2개 내지 4개 정도를 채용하며, 예컨대, 3개의 롤 섹션(30a, 30b, 30c)를 채용하는 상부 롤의 경우, 가운데 롤 섹션(30b)를 기본 설계로 하고, 그 양단의 롤 섹션(30a, 30c)을 V-돌기의 위치를 달리하는 설계 변경된 별도의 롤 섹션을 마련한 후, 원하는 제품에 따라 분리 조립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롤러 세트로써 다품의 동종 제품을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부 롤은 2개의 롤 섹션(30a', 30b')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원하는 제품 설계에 따라 상부 롤에 대응하여 하부 롤의 구성도 변경 가능하다.
프레싱 롤러 세트(30)의 구성과 유사하게, 성형 롤러 세트(40)나 교정 롤러 세트(50)도 구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30)는 적용되는 강판 플레이트의 두께에 따라 강판 플레이트를 압박하는 압력의 조절을 위해 그 상부 및 하부 롤 간의 간격 조정을 위한 간격 조절 유닛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간격 조절 유닛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간격 조절 유닛은 상부 롤의 회전 샤프트 단부에 연결된 베어링 블록(BB)과 이 베어링 블록의 상하 이동을 위해 설치된 상하 조절 볼트(HB)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부 롤의 상부 측에 설치된 상하 조절 볼트(HB)의 조정에 의해 이 에 연결된 베어링 블록(BB)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부 롤과 하부 롤 간의 간격이 조정되며, 이 간격이 작을수록 상부 롤과 하부 롤 간을 통과하는 강판 플레이트(P)에는 강한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간격 조절 유닛은 상기의 요소 이외에도 베어링 블록(BB)에 연동되는 슬라이드 철판(SP)과 볼트 커버(BC) 등을 더 포함한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복수의 성형 롤러 세트(40)를 사용하여 코너 프레임의 절곡 성형 과정을 설명한다.
성형 롤러 세트(40)의 상부 롤 및 하부 롤은 연속 배치된 세트의 롤 중에서 순차적인 임의의 세트의 롤을 선택한 것으로, 상부 롤은 40n으로, 그리고 하부 롤은 40n'로 나타내었다.
우선, 프레싱 롤러 세트(30)를 거치면서 절곡 예정부에 프레싱 V-홈(V)이 형성된 강판 플레이트(P)는 상부 및 하부 롤(40n, 40n') 사이를 지나면서 각각의 V-홈(V) 부분이 점차적으로 절곡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에서, 플레이트(P)는 2개소의 절곡 예정부(B1, B2), 즉 V-홈(V) 형성부에서 완만한 각도로 절곡이 이루어진 후, 절곡 예정부(B1, B2)의 절곡 각이 점차 커지도록 경사진 상부 및 하부 롤의 구성에 의해 최우측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예정부(B1, B2)가 완전히 절곡된 형태로 성형이 이루어진다.
도 8에서는 도 7의 상태에서 추가의 절곡 예정부(B3)에 대한 점진적인 절곡을 거쳐 최우측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예정부(B3)가 완전히 절곡된 형태로 성형이 이루어진다.
도 9에서는 도 8의 상태에서 추가의 절곡 예정부(B4)에 대한 점진적인 절곡을 거쳐 최우측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예정부(B4)가 완전히 절곡됨으로써, 모든 절곡 예정부(B1, B2, B3, B4)가 완전히 절곡된 예비 성형체가 만들어진다.
도 9의 최종 상태에서 예비 성형체는 교정 롤러 세트(50)를 거침으로써 그 최종적인 외형을 확정하고 성형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성형 롤러 세트(40)의 연속하는 상부 및 하부 롤 각각(40n 또는 40n')은 상기 강판 플레이트의 프레싱 V-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완만한 경사각으로부터 소망의 절곡 각도로까지 점진적으로 경사 변화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성형 장치를 구동시키는 동력 공급 구성의 구동 유닛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 유닛은 모터(M)와,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R: R1, R2)와, 상기 감속기와 롤 사이에 연결되는 커플링 기어(CG)를 구비함으로써, 모터의 회전력이 감속기(R)를 통해 각 롤러 세트의 상부 또는 하부 롤로 전달되며, 상기 감속기(R)와 연결된 롤과 그에 인접하는 롤은 각각의 연결 기어(G)와 스프로킷 체인(C) 연결되는 것을 통해 복수의 롤이 동시 구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의 구동력이 각 롤러 세트의 하부 롤로 전달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상부 롤로 전달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강판 플레이트의 절삭 V-홈 형성 과정에 대한 개략적 개념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에 따라 프레싱 롤러를 사용한 강판 플레이트의 프레싱 V-홈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강판 플레이트에 프레싱 V-홈이 형성된 후 절곡 과정을 거쳐 최종 성형 제품으로 성형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c) 도면은 (b) 도면의 V-홈 플레이트에 의해 성형된 최종 제품을 나타내고, (d) 도면은 (b) 도면의 V-홈 플레이트에서 하나의 절곡 V-홈(V4)가 없는 상태에서 절곡을 행하여 얻어지는 제품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의 성형 장치의 레이아웃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레이아웃 도면을 간략화시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코너 프레임 성형 장치 중 프레싱 롤러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프레싱 롤러의 상부 및 하부 롤 간의 간격 조절을 위한 간격 조절 유닛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프레싱 롤러를 통과한 V-홈 형성된 강판 플레이트를 복수의 성형 롤러를 사용하여 절곡 성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코너 프레임의 성형 장치의 동력 공급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간략도이다.

Claims (5)

  1.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의 성형 장치로서,
    강판 플레이트를 공급하는 언코일러와, 언코일러로부터의 공급되는 강판 플레이트의 절곡 예정부에 적어도 하나의 V-홈을 프레싱 형성하도록 상기 절곡 예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V-돌기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 롤을 각기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싱 롤러 세트와,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를 통과한 강판 플레이트의 V-홈을 따라 순차적으로 절곡을 행하도록 상부 및 하부 롤을 각기 구비하는 복수의 성형 롤러 세트와, 상기 성형 롤러 세트를 통과한 예비 성형된 코너 프레임의 형상을 최종적으로 교정하도록 상부 및 하부 롤을 각기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 롤러 세트와, 상기 강판 플레이트 또는 강판 플레이트의 성형 코너 프레임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 프레스와,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와 상기 성형 롤러 세트와 상기 교정 롤러 세트의 상부 또는 하부 롤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는 상기 강판플레이트의 두께에 따라 상기 강판플레이트를 압박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그 상부 및 하부 롤 간의 간격 조정을 위한 간격 조절 유닛을 구비하며, 이 간격 조절 유닛은 상부 롤의 회전 샤프트 단부에 연결된 베어링 블록과 이 베어링 블록의 상하 이동을 위해 설치된 상하 조절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성형 롤러 세트의 연속하는 상부 및 하부 롤 각각은 상기 강판 플레이트의 프레싱 V-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완만한 경사각으로부터 소망의 절곡 각도로까지 점진적으로 경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의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롤러 세트와 상기 성형 롤러 세트와 상기 교정 롤러 세트의 상부 및 하부 롤 각각은 분리 및 조립 가능한 2개 이상의 롤 섹션과, 상기 롤 섹션을 중심 관통하는 관통 샤프트와, 상기 롤 섹션에 연결된 관통 샤프트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 척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의 성형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모터와,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와 롤 사이에 연결되는 커플링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감속기와 연결된 롤과 그에 인접하는 롤은 스프로킷 체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의 성형 장치.
KR2020090005776U 2009-05-13 2009-05-13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 성형 장치 KR2004581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76U KR200458122Y1 (ko) 2009-05-13 2009-05-13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76U KR200458122Y1 (ko) 2009-05-13 2009-05-13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 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63U KR20100011363U (ko) 2010-11-23
KR200458122Y1 true KR200458122Y1 (ko) 2012-03-14

Family

ID=4420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776U KR200458122Y1 (ko) 2009-05-13 2009-05-13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014B1 (ko) * 2020-10-29 2021-09-27 주추임 개량형 판재성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9510B (zh) * 2015-04-01 2017-02-01 营口渤海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立式拱板的成型设备及制造方法
CN105921608B (zh) * 2016-06-23 2018-06-01 无锡惠汕金属制品有限公司 太阳能电池板支架用型钢生产线
DE102019203632A1 (de) 2019-03-18 2020-09-24 Mahle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m Prägen eines Bauteils
KR102308084B1 (ko) * 2021-02-24 2021-10-01 (유)대한철강 패널 제조용 롤 성형기
CN114618940A (zh) * 2022-04-11 2022-06-14 南通德纳鑫金属门窗有限公司 一种建筑门窗成型用的金属原料弯折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98A (ko) * 1998-09-28 2000-04-25 김병생 윈도어 창호용 프레임 제조방법및절단 그 장치
KR20050023172A (ko) * 2003-08-27 2005-03-09 이영희 문틀 프레임 성형장치
KR20060032982A (ko) * 2006-03-28 2006-04-18 김인숙 유리창 설치용 프레임과 그 프레임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98A (ko) * 1998-09-28 2000-04-25 김병생 윈도어 창호용 프레임 제조방법및절단 그 장치
KR20050023172A (ko) * 2003-08-27 2005-03-09 이영희 문틀 프레임 성형장치
KR20060032982A (ko) * 2006-03-28 2006-04-18 김인숙 유리창 설치용 프레임과 그 프레임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014B1 (ko) * 2020-10-29 2021-09-27 주추임 개량형 판재성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63U (ko)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122Y1 (ko) 마감재용 코너 프레임 성형 장치
WO2011155798A2 (ko) 다중 복합곡면 성형판 제조방법
CN100999000B (zh) 使用可弯曲辊的三维曲面柔性成形装置
CN203061617U (zh) 一种中部弯折型材的生产线
CN102307683A (zh) 弯曲建筑面板、建筑结构、面板弯曲系统以及用于制造弯曲建筑面板的方法
CN103313806A (zh) 用于成形可变形材料和可变形管形区段的轮廓的方法和装置
CN102601182B (zh) 波纹板卷板机
CN101225692B (zh) 具压花的金属板加工模具
CN201791796U (zh) 金属板材护角成形机
KR101353025B1 (ko) 소재절감과 강성유지를 위한 형상롤러형 내측단차 파이프와 그 제조방법
CN201030396Y (zh) 使用可弯曲辊的三维曲面柔性成形装置
JP6049659B2 (ja) 金属管表面の凹溝形成方法および金属管表面の凹溝形成装置
CN102936938A (zh) 钢板墙板及制作钢板墙板的设备
KR101256169B1 (ko) 고강성 씨형강 연속자동생산을 위한 씨형강 양쪽측면 자동마킹 캠 금형장치
CN202490858U (zh) 波纹板卷板机
CN201538036U (zh) 玻璃钢琉璃瓦连续成型机
KR101231139B1 (ko) 씨형강의 굽힘 하중 강성 향상을 위한 코너리브 및 측면 소성가공리브 성형용 자동금형장치
KR101343080B1 (ko) 고강성 씨형강 생산 엔씨 수직 6롤러 자동이송장치
CN201625718U (zh) 多功能多工位组合压机用模具
CN211191631U (zh) 一种u型槽钢加工设备
KR20180099300A (ko) 금속기와의 제조장치
CN203778480U (zh) 一种二辊改造的万能轧机
KR101244920B1 (ko) 고강성 씨형강 생산 자동이송 피딩장치
KR200346994Y1 (ko) 갱폼 리브철판 성형용 롤포밍기
CN105834258A (zh) 一种用于制造抽油机驴头弧板的装置及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