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027Y1 - 건축물의 녹화용 식물식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옥상면 녹화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녹화용 식물식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옥상면 녹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027Y1
KR200458027Y1 KR2020090005684U KR20090005684U KR200458027Y1 KR 200458027 Y1 KR200458027 Y1 KR 200458027Y1 KR 2020090005684 U KR2020090005684 U KR 2020090005684U KR 20090005684 U KR20090005684 U KR 20090005684U KR 200458027 Y1 KR200458027 Y1 KR 200458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panel
vertical mounting
mounting memb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297U (ko
Inventor
이병권
백기성
남중우
원종서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5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027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2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0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옥상이나 공터 등의 녹화를 위하여 사용되며, 경량의 개별적인 유닛 형태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될 수 있고, 단열성능과 방근 성능, 그리고 유지 보수 성능 및 배치 성능이 우수한 건축물의 녹화용 식물식재 유닛, 보행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옥상면 녹화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서는 건축물의 옥상면에 설치되며,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물식재 유닛(1)으로서, 기둥형태로 이루어져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 마운트부재(10)와;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식물이 식재되도록 토사가 담겨지는 오목한 내부 공간(S)이 형성되어 있는 식물식재 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 유닛이 제공되며, 이러한 식물식재 유닛과 보행 유닛을 이용한 옥상면 녹화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녹화용 식물식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옥상면 녹화구조{Planting Unit, Walkway Unit and Planting System for Building Roof}
본 고안은 건축물의 녹화용 식물식재 유닛, 보행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옥상면 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옥상이나 공터 등의 녹화를 위하여 사용되며, 경량의 개별적인 유닛 형태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될 수 있고, 단열성능과 방근 성능, 그리고 유지 보수 성능 및 배치 성능이 우수한 건축물의 녹화용 식물식재 유닛, 보행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옥상면 녹화구조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주택 등의 건축물에서 에너지의 절감, 건축물의 보호, 도시경관의 향상, 지역적인 대기정화 기능 등을 위하여 건축물의 옥상에 식물을 식재하여 녹화하는 건축물의 옥상 녹화시스템의 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물에 옥상 녹화시스템을 도입하게 되면, 건축물의 구조체 상부층에 토양층을 형성하게 되고 더 나아가 토양층에 식물이 식재되므로, 토양층과 식물의 존재에 의해 건축물의 단열성능이 증대되고, 음영 즉, 그늘 형성에 의한 일사차단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도심화되어 녹지공간이 부족한 현실에서 거주자에게 개인적인 평안함을 줄 수 있는 녹지 및 휴식공간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건축물의 옥상 녹화를 위해서는, 건축물 옥상이라는 기존 구조체(즉, 옥상 바닥면) 위에 별도의 방근처리(식물의 뿌리가 구조물을 파고들지 못하도록 하는 처리), 방수처리 등을 위한 방근층 및 방수층을 추가로 도포하여 시공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상당한 액수의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방근층 또는 방수층을 손상시킬 경우, 옥상에 설치된 녹화시스템을 모두 제거한 후에 옥상면에 다시 방근층과 방수층을 재포설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옥상면이라는 기존 구조체 위에 바로 방근층 및 방수층을 포설하고 그 위에 경량토를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우수 등에 의해 경량토에 수분이 침투할 경우, 습윤상태의 경량토는 그 단열성능이 건조상태일 때보다 급격히 저하되어, 옥상녹화에 의한 단열성능 향상 효과를 충분히 누릴 수 없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거주자의 요구 변화로 인하여 보행통로와 식물존치 구간의 변경이 필요할 경우에는, 일반 토양에서처럼 옥상면의 공간을 처음부터 다시 구획하여, 그에 따라 경량토를 다시 포설하고 식물을 재식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게 된다. 특히, 사람이 통행하는 보행통로의 경우, 빈번한 거주자의 통행으로 인하여, 건축물의 최상층에 전달음의 형태로 통행 소음이 직접 전달되어 불편함을 야기하게 되는 구조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위에서는 건축물의 옥상을 예로 들어 종래 기술에 의한 녹화 시스템의 문제점을 살펴보았지만, 건축물의 옥상뿐만 아니라, 건축물 사이의 빈 공터 등을 녹화하는 경우에도 위와 마찬가지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빌딩이나 주택 등의 건축물 옥상, 빈 공터 등에 녹화시스템을 설치함에 있어서, 경량의 유닛형태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조립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단열성능과 방근 성능, 그리고 유지 보수 성능 및 배치 성능이 향상된 건축물의 녹화용 식물식재 유닛, 보행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옥상면 녹화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옥상면에 수직 마운트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 위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물식재 패널을 설치한 식물식재 유닛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건축물의 옥상면에 수직 마운트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 위에 사람이 보행할 수 있는 보행 패널 설치하여, 복수개가 조립되어 보행로를 형성하게 되는 보행로 유닛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식물식재 유닛과 보행로 유닛으로 이루 어져 건축물의 옥상면에 설치되어 녹화시키는 옥상면의 녹화구조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옥상면에 설치되며,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물식재 유닛으로서, 기둥형태로 이루어져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 마운트부재와;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식물이 식재되도록 토사가 담겨지는 오목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식물식재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 유닛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식물식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의 상단에 의해 수평프레임의 양단이 지지되도록, 수평프레임이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 사이에 조립 설치되어 있고; 식물식재 패널은, 그 양측 가장자리 하부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단차부 사이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의 그릇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차부가 수평프레임 위에 놓여, 식물식재 패널이 수직 마운트부재와 수평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식물식재 패널의 단차부 사이로 돌출된 부분 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 부재가 상기 돌출된 부분의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식물식재 패널의 내부 공간을 식물에게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저장 공간과 토사를 담는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 수직 마운트부재의 상단부에는, 수평프레임의 단부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오목홈이 십자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 사이의 공간에서 옥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단열판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건축물의 옥상면에 설치되며, 사람이 보행할 수 있는 보행로를 형성하게 되는 보행로 유닛으로서, 기둥형태로 이루어져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 마운트부재와;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 사이의 공간에서 옥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단열판과; 두께를 가진 판부재로 이루어져 사람이 보행하게 되며,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보행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의 상단에 의해 수평프레임의 양단이 지지되도록, 수평프레임이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 사이에 조립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행 패널의 가장자리는 수평프레임 위에 놓임으로써 상기 보행패널이 수직 마운트부재와 수평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로 유닛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건축물의 옥상면에 설치되어 옥상면을 녹화하는 녹화구조로서, 위와 같은 본 고안의 식물식재 유닛이 복수개로 옥상면에 배치되어 식물을 식재하는 구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본 고안의 보행로 유닛이 복수개로 옥상면에 배치되어 사람이 보행할 수 있는 보행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옥상면의 녹화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식물식재 유닛을 복수개로 나란하게 조립하여 필요한 구역에 분포시킴으로써 건축물의 옥상면에 녹화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 유닛은 수직 마운트부재, 식물식재 패널 등의 구성부재들을 각각 조 립하여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녹화가 필요한 공간의 형상이나 면적에 맞추어 자유롭게 녹화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 유닛은 설치뿐만 아니라, 해체 및 제거 또한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는 녹화 공간을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제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 유닛에는 물저장 공간이 구획되어 있어 우수가 버려지지 않고 물저장 공간에 담겨 있다가 토사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식재된 식물의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서는 식물식재 유닛 자체가 방근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옥상면의 녹화를 위해서 별도의 방근 처리 등을 할 필요가 없으며, 식물식재로 인하여 옥상면에 이미 형성되어 있던 방근층이나 방수층이 손상되는 것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보행 유닛을 이용하여 사람이 보행할 수 있는 보행로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식물식재 유닛과 보행 유닛을 포함하는 본 고안의 녹화구조를 이용하면 건축물의 옥상면 녹화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옥상면 녹화구조에서 식물을 식재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식물식재 유닛(1)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 유닛(1)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식물식재 유닛(1)이 건축물의 최상층에 해당하는 옥상의 상면에 해당하는 옥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식물식재 유닛(1)은 이러한 건축물의 옥상면에만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빈 공터 등과 같이 표면의 녹화가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옥상면"이라는 용어는 위와 같이 건축물에서 녹화가 필요한 면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 유닛(1)은,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수직 마운트부재(10)와,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 사이의 공간에서 옥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단열판(20)과,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에 의해 지지되며 식물이 식재되도록 토사가 담겨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식물식재 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직 마운트부재(10)는 일종의 지주부재로서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옥상면 위에 놓인다. 후술하는 것처럼 패널 지지용 수평프레임(4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수평프레임(40)이 수직 마운트부재(10)의 상부에 견고하게 걸쳐져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의 상단부에는 오목홈(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십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표현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는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다단으로 뽑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신축되어 길이가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 마운트부재(10)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옥상면이 경사지더라도 그에 맞추어 수직 마운트부재(1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후술하는 식물식재 패널(30)을 수평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 사이의 공간에서는 옥상면 위에 단열판(20)이 놓여 옥상면을 덮게 된다. 본 고안에서 단열판(20)은 통상의 일반적인 단열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열판(20)의 재질 자체에는 어떠한 한정도 없다. 단열판(20)을 설치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우선 복수개의 수직 마운트부재(10)를 설치해두고, 수직 마운트부재(10)를 제외한 수직 마운트부재(10) 사이의 옥상면에만 단열판(20)이 놓일 수도 있지만, 단열판(20)을 옥상면에 깔아둔 상태에서 그 위에 수직 마운트부재(1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수직 마운트부재(10) 사이의 공간에서는 단열판(20)이 놓여 옥상면을 덮는다"는 표현은 위의 2가지 경우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후술하는 패널 이외에도 단열판(20)으로 옥상면을 직접 덮음으로써, 옥상면에 대하여 더욱 우수한 단열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수직 마운트부재(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 마운트부재(10)에 의해 지지되도록 식물식재 패널(30)이 수직 마운트부재(10) 상부에 놓인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식물식재 패널(30)이 놓이기 전에,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 사이에는 수평프레임(40)이 배치되어 있어, 식물식재 패널(30)이 수직 마운트부재(10) 뿐만 아니라 수평프레임(40)에 의해서도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4개의 수직 마운트부재(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의 상단에 의해 수평프레임(40)의 양단이 지지되도록 수평프레임(40)이 설치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이를 위하여 수직 마운트부재(10)의 상단부에는 오목홈(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오목홈(11)의 형상이 수평프레임(4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십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홈(11)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오목홈(11)에 수평프레임(40)의 단부를 끼워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4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4개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어느 한 방향으로 나란한 두 개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모두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 위에는 식물식재 패널(30)이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 사이의 공간을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 식물식재 패널(30)은 토사가 담겨져서 식물이 직접 식재되는 패널로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있는데,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토사(34)가 담길 수 있는 오목한 내부 공간(S)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수평프레임(40)이 설치되고, 식물식재 패널(30)이 수평프레임(40)에 의해서도 지지되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식물식재 패널(30)의 양측 가장자리 하부는 수평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고, 수평프레임(40) 사이의 공간으로는 식물식재 패널(30)의 하면이 돌출되는 형태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장 자리 하부에 단차부(31)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의 그릇 형태로 식물식재 패널(30)이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31)가 수평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물 저장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식물식재 패널(30)의 내부 공간(S)에는 식물 식재를 위한 토사(34)가 담기는데, 내부 공간(S) 전체에 토사가 담길 수도 있지만,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 부재(33)를 내부 공간(S)에 설치함으로써, 식물에게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과 토사를 담는 공간을 구분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린 부재(33)는 식물식재 패널(30)의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식물식재 패널(30)에 형성되는 전체 내부 공간(S)을 스크린 부재(33)의 아래쪽의 물저장 공간(S2)과 그 위쪽의 공간으로 구분하게 된다. 상기 스크린 부재(33)의 아래쪽 물저장 공간(S2)에는 물이 담겨지고, 스크린 부재(33)의 위쪽의 공간에는 토사(34)가 채워지게 되는데, 위와 같이 상기 스크린 부재(33) 아래쪽의 물저장 공간(S2)에 물을 담아둠으로써, 그 위쪽의 공간에 채워지는 토사(34)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식물식재 패널(30)에서 단차부 사이로 돌출된 부분(32)이 존재하는 경우, 많은 양의 토사를 담을 수 있도록 스크린 부재(33)는 상기 돌출된 부분(32)의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스크린 부재(33)가 돌출된 부분(32)의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식 물식재 패널(30)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돌출된 부분(32)의 바닥면에 스크린 부재(33)를 지지하는 돌기를 형성할 수 있지만, 반대로 스크린 부재(33)의 하면에 이러한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돌출된 부분(32)의 측면에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스크린 부재(33)가 돌기에 의해 걸려 바닥면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스크린 부재(33)는 반드시 돌출된 부분(32)에 배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위와 같이 단차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단차부에 걸쳐져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크린 부재(33) 위쪽으로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양의 토사만 채워지지만, 뿌리가 깊지 않은 식물을 식재하기에는 충분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 유닛(1)은 복수개가 측면으로 나란하게 조립되어 필요한 면적에 분포되어 본 고안에 따른 녹화시스템을 이루게 된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 유닛(1)은 수직 마운트부재(10)와 식물식재 패널(30)의 조립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녹화가 필요한 공간에 이러한 구성부재들을 각각 조립하여 복수개의 식물식재 유닛(1)을 용이하게 설치함으로써, 녹화가 필요한 공간의 형상이나 면적에 맞추어 자유롭게 녹화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식물식재 유닛(1)의 설치뿐만 아니라, 해체 및 제거 또한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는 녹화 공간을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물저장 공간(S2)이 형성되어 있어 우수가 버려지지 않고 물저장 공간(S2)에 담겨 있다가 토사(34)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식재된 식물의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서는 식물식재 패널(30) 자체가 방근 기능을 발휘하게 되므로, 옥상면의 녹화를 위해서 별도의 방근 처리 등을 할 필요가 없으며, 식물식재로 인하여 옥상면에 이미 형성되어 있던 방근층이나 방수층이 손상되는 것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녹화시스템에 구비되어, 사람이 통행하게 되는 보행로 유닛(2)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보행로 유닛(2)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보행로 유닛(2)은,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수직 마운트부재(10)와,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에 의해 지지되며 사람이 통행하게 되는 보행 패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행로 유닛(2)에서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는,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식물식재 유닛(1)의 수직 마운트부재(10)와 동일하다. 즉, 앞서 설명한 식물식재 유닛(1)의 수직 마운트부재(10)와 동일한 것을 보행로 유닛(2)에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보행로 유닛(2)에서, 보행 패널(50)은 두께를 가진 PC보드, 무기질 보드 등과 같은 재질의 판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 위에 놓이게 된다. 앞서 설명한 식물식재 유닛(1)과 마찬가지로, 패널 지지용 수평프레임(40)이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의 상 단에 의해 수평프레임(40)의 양단이 지지되도록 수평프레임(40)이 설치되고, 수직 마운트부재(10)뿐만 아니라 수평프레임(40)에 의해서도 지지되도록 보행 패널(50)이 놓이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보행 패널(50)의 하면에는 상기 수평프레임(40)의 위치에 맞추어 끼워지도록 스톱퍼(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수직 마운트부재(10) 및 수평프레임(40)은 앞서 살펴본 식물식재 유닛(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기타 사항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보행로 유닛(2)의 경우에도, 단열재(20)를 구비할 수 있는데, 단열재(20)의 구성 및 배치 등의 기타 사항은 앞서 살펴본 식물식재 유닛(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녹화시스템은 위와 같은 식물식재 유닛(1)만으로도 구축될 수 있지만, 이에 더하여 보행로 유닛(2)이 함께 사용되어 구축될 수 있다. 도 6에는 식물식재 유닛(1)과 보행로 유닛(2)으로 구축된 본 고안에 따른 녹화구조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식물식재 유닛(1)과 보행로 유닛(2)을 모두 이용하여 녹화구조를 구축하는 경우, 식물식재 유닛(1)과 보행로 유닛(2)은 그 전체 높이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보행로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 유닛과 보행로 유닛이 건축물 옥상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식물식재 유닛
2 : 보행로 유닛
10 : 수직 마운트부재
20 : 단열판
30 : 식물식재 패널
40 : 수평프레임
50 : 보행 패널

Claims (6)

  1. 삭제
  2. 건축물의 옥상면에 설치되며,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물식재 유닛(1)으로서,
    기둥형태로 이루어져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 마운트부재(10)와;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식물이 식재되도록 토사가 담겨지는 오목한 내부 공간(S)이 형성되어 있는 식물식재 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의 상단에 의해 수평프레임(40)의 양단이 지지되도록, 수평프레임(40)이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 사이에 조립 설치되어 있고;
    식물식재 패널(30)은, 그 양측 가장자리 하부에 단차부(31)가 형성되고 단차부 사이로 돌출된 부분(32)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의 그릇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차부(31)가 수평프레임(40) 위에 놓여, 식물식재 패널(30)이 수직 마운트부재(10)와 수평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식물식재 패널(30)의 단차부 사이로 돌출된 부분(32) 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 부재(33)가 상기 돌출된 부분(32)의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식물식재 패널(30)의 내부 공간(S)을 식물에게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저장 공간(S2)과 토사를 담는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수직 마운트부재(10)의 상단부에는, 수평프레임(40)의 단부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오목홈(11)이 십자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 유닛.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 사이의 공간에서 옥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단열판(20)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 유닛.
  5. 삭제
  6. 건축물의 옥상면에 설치되어 옥상면을 녹화하는 녹화구조로서,
    기둥형태로 이루어져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 마운트부재(10)와,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식물이 식재되도록 토사가 담겨지는 오목한 내부 공간(S)이 형성되어 있는 식물식재 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의 상단에 의해 수평프레임(40)의 양단이 지지되도록, 수평프레임(40)이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 사이에 조립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식물식재 패널(30)은, 그 양측 가장자리 하부에 단차부(31)가 형성되고 단차부 사이로 돌출된 부분(32)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의 그릇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차부(31)가 상기 수평프레임(40) 위에 놓여, 상기 식물식재 패널(30)이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와 상기 수평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식물식재 패널(30)의 단차부 사이로 돌출된 부분(32) 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 부재(33)가 상기 돌출된 부분(32)의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식물식재 패널(30)의 내부 공간(S)을 식물에게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저장 공간(S2)과 토사를 담는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식물식재 유닛(1)이 복수개로 옥상면에 배치되어 식물을 식재하는 구역 및 사람이 보행할 수 있는 보행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행로는,
    기둥형태로 이루어져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보행로용 수직 마운트부재와, 상기 보행로용 수직 마운트부재 사이의 공간에서 옥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보행로용 단열판과, 두께를 가진 판부재로 이루어져 사람이 보행하게 되며, 상기 보행로용 수직 마운트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보행 패널(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행로용 수직 마운트부재의 상단에 의해 보행로용 수평프레임의 양단이 지지되도록, 보행로용 수평프레임이 상기 보행로용 수직 마운트부재 사이에 조립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행 패널(50)의 가장자리는 보행로용 수평프레임 위에 놓임으로써 상기 보행패널(50)이 보행로용 수직 마운트부재와 보행로용 수평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을 가지는 보행로 유닛(2)이 복수개로 옥상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옥상면의 녹화구조.
KR2020090005684U 2009-05-11 2009-05-11 건축물의 녹화용 식물식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옥상면 녹화구조 KR200458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684U KR200458027Y1 (ko) 2009-05-11 2009-05-11 건축물의 녹화용 식물식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옥상면 녹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684U KR200458027Y1 (ko) 2009-05-11 2009-05-11 건축물의 녹화용 식물식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옥상면 녹화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97U KR20100011297U (ko) 2010-11-19
KR200458027Y1 true KR200458027Y1 (ko) 2012-01-16

Family

ID=4420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684U KR200458027Y1 (ko) 2009-05-11 2009-05-11 건축물의 녹화용 식물식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옥상면 녹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0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71Y1 (ko) * 2011-10-31 2014-08-05 허만철 수분 유지가 가능한 가정용 화단
CN104365398B (zh) * 2013-08-13 2017-08-25 茅金声 屋顶绿化框架体及制作方法
CN114457963A (zh) * 2022-03-14 2022-05-10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防水环保型架空隔热层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3234A (ja) * 2001-02-08 2002-08-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地被植物用緑化パネル及び地被植物用緑化パネル並設物
JP2003265044A (ja) * 2002-03-14 2003-09-24 Haruji Ishikawa プランタユニット
KR100784241B1 (ko) * 2006-10-19 2007-12-10 건융건설 주식회사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JP2008017850A (ja) * 2004-12-27 2008-01-31 Toho Leo Co 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及びその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を用いた屋上緑化の施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3234A (ja) * 2001-02-08 2002-08-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地被植物用緑化パネル及び地被植物用緑化パネル並設物
JP2003265044A (ja) * 2002-03-14 2003-09-24 Haruji Ishikawa プランタユニット
JP2008017850A (ja) * 2004-12-27 2008-01-31 Toho Leo Co 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及びその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を用いた屋上緑化の施工システム
KR100784241B1 (ko) * 2006-10-19 2007-12-10 건융건설 주식회사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97U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43369A1 (en) Highway noise barrier
KR200458027Y1 (ko) 건축물의 녹화용 식물식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옥상면 녹화구조
KR100839566B1 (ko) 조경 또는 방수를 위한 상부 패널, 이를 이용한 옥상 이중바닥 구조물 및 옥상 구조물
US201700125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lar panel module mounting inserts
KR100986204B1 (ko) 평슬라브 옥상의 방수 시스템
WO2011095799A1 (en) Green roofs and modules therefor
KR100885004B1 (ko) 초박형 옥상녹화 시스템
JP4801369B2 (ja) 植栽装置と給・排水基盤。
CN109914871B (zh) 一种生态会展馆及其施工方法
JP2006296211A5 (ko)
KR101238336B1 (ko) 녹화조성구조물
KR20080097595A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지붕 녹화 시스템
CN106912322A (zh) 半拆装式温室后墙
JP4097554B2 (ja) 植栽装置とドレインパン。
KR20130000600A (ko) 건축물의 결로수 방지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3828051B2 (ja) 植栽トレー連結具
KR102164811B1 (ko) 옥상녹화 시공구조 및 방법
JP3151572B2 (ja) 建築構造物の緑化用床構造
JP4027165B2 (ja) 植栽設置構造
KR101468700B1 (ko) 건축물의 벽면 장식용 다공성 에코 패널
KR100619528B1 (ko) 건축단지용 조립식화단
JP2008082034A (ja) 換気棟構造及び換気屋根構造
KR20210019722A (ko) 암거 형식 구조물
KR200403541Y1 (ko) 도로의 녹화용 옹벽구조물
JP2006197865A (ja) 緑化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