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722A - 암거 형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암거 형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722A
KR20210019722A KR1020190098693A KR20190098693A KR20210019722A KR 20210019722 A KR20210019722 A KR 20210019722A KR 1020190098693 A KR1020190098693 A KR 1020190098693A KR 20190098693 A KR20190098693 A KR 20190098693A KR 20210019722 A KR20210019722 A KR 20210019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structure
culvert type
boxes
box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우
윤성민
윤영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장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장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장흥
Priority to KR1020190098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9722A/ko
Publication of KR20210019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2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양쪽이 개방된 사각 틀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박스(10); 상기 복수의 박스(10)에서 개방된 어느 한쪽 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요부(31); 및 상기 복수의 박스(10)에서 상기 요부(31)가 형성된 반대쪽에 볼록하게 형성된 철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박스(10)의 요부(31)와 다른 하나의 박스(10)의 철부(32)가 조립될 수 있다.

Description

암거 형식 구조물{Culvert type structure}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이용되는 암거 형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사진 산기슭 등에 건축물을 시공할 때, 나무를 베어내고, 지형을 평탄하게 고르며, 진입 도로 등을 건설공사를 함에 있어서는 심각한 자연환경 훼손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산기슭 등의 경사진 지형은 대부분 자연환경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경우 엄격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숲이나 산에는 일반적으로 대피소, 휴게 시설 등의 시설이 필요하므로 자연 훼손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대피소 등의 필요시설물을 설치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KR 10-1647784 B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산기슭 등에 건축물을 시공할 때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설치하기 이전의 자연환경으로 복원될 수 있는 암거 형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일 산사태 등 환경변화가 발생하여 지형이 무너지더라도 설치된 구조물이 내구성을 갖도록 하여, 구조물의 파손 등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양쪽이 개방된 사각 틀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박스(10); 상기 복수의 박스(10)에서 개방된 어느 한쪽 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요부(31); 및 상기 복수의 박스(10)에서 상기 요부(31)가 형성된 반대쪽에 볼록하게 형성된 철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박스(10)의 요부(31)와 다른 하나의 박스(10)의 철부(32)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의 상기 박스(10)는, 제1 벽체(11)에 창문 공간(14) 또는 출입구 공간(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벽체(11)는 상기 제1 벽체(11)와 마주 보는 쪽의 다른 제2 벽체(1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의 상기 박스(10)는, 상기 제1 벽체(11)와 상기 제2 벽체(12)가 이루는 두께 비율이 1.2 ~ 2 : 1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의 상기 출입구 공간(15)은 복수의 박스(10)를 이웃하도록 연속 배열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의 상기 출입구 공간(15)은, 박스(10)를 3개 연속 배열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상기 박스(10)의 전방 상측에 배치되어 햇빛을 가리거나 빗물이 실내로 들이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오닝 블록(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상기 박스(10)에 형성된 제1 요철(13); 및 상기 오닝 블록(3)에 형성된 제2 요철(17);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요철(13)과 상기 제2 요철(17)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의 상기 박스(10)는, 상기 요부(31)와 철부(32)가 조립될 때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요부(31)에 형성된 패킹 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상기 박스(10)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1 관통 구멍(21); 상기 박스(10)의 상면에서 상기 제1 관통 구멍(21)과 통하도록 형성된 제1 포켓(22); 2개의 박스(10)가 이어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관통 구멍(21)을 통과하는 제1 강선 유닛(41); 및 상기 제1 포켓(22)에서 상기 제1 강선 유닛(41)에 체결되어 양쪽 박스(10)를 결속하는 제1 결속 유닛(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상기 박스(10)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2 관통 구멍(23); 상기 제2 관통 구멍(23)의 양쪽 끝부분에 형성된 제2 포켓(24); 2개의 박스(10)가 이어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관통 구멍(23)을 통과하는 제2 강선 유닛(43); 및 상기 제2 포켓(24)에서 상기 제2 강선 유닛(42)에 체결되어 양쪽 박스(10)를 결속하는 제2 결속 유닛(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상기 박스(10)를 복층으로 쌓아 올린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암거 형식 구조물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층의 박스(10)는 하층의 박스(10) 2개에 걸쳐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상기 오닝 블록(3)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오닝 블록(3)을 받치는 칼럼(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하나의 오닝 블록(3)과 복수의 칼럼(4)이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의 상기 오닝 블록(3)은, 칼럼(4)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부에 오목하게 배치 홈(16)이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상기 복수의 박스(1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빗물 또는 오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집수 블록(5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미리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블록을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산기슭 등에 건축물을 시공할 때 기초 공사의 범위를 최소한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설치 공정의 기간 단축과 이로 인한 비용 절감 등 효과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구조물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구조물의 지붕과 뒤쪽에 흙을 덮거나 메우기를 하도록 함으로써 식물 등을 심어 가꿀 수 있어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설치하기 이전의 자연환경으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만일 산사태가 발생하여 지형이 무너지더라도 구조물은 전체적 외형 틀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쓸려 내릴 수 있으므로, 구조물 내에 있는 사람의 안전을 도모하는 등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고, 구조물 내에 기구, 자재 등 재산이 있다면 이들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기초 공사와 복원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에서 철근 콘크리트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에서 출입구를 구현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부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에서 어느 하나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과 다른 철근 콘크리트 블록을 결속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에서 차양 또는 난간을 구현하도록 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에서 차양 또는 난간을 구현하도록 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을 단층으로 실시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에서 차양 또는 난간을 구현하도록 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을 복층으로 실시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기초 공사와 복원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부터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기초 공사와 복원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에서 철근 콘크리트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에서 출입구를 구현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부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에서 어느 하나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과 다른 철근 콘크리트 블록을 결속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에서 차양 또는 난간을 구현하도록 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제1, 2 철근 콘크리트 블록(1, 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철근 콘크리트 블록(1)은 창문 공간(14)이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제2 철근 콘크리트 블록(2)은 출입구 공간(15)이 형성된 것일 수 있고, 그 외에 구성요소는 공통된 것으로써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이하에서 상기 제1, 2 철근 콘크리트 블록(1, 2)은 박스(10)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박스(10)는 양쪽이 개방된 사각 틀 형태일 수 있고,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박스(10)는 개방된 어느 한쪽 면에 오목하게 요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박스(10)는 상기 요부(31)가 형성된 반대쪽에 볼록하게 철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박스(10)의 요부(31)와 다른 하나의 박스(10)의 철부(32)가 조립될 수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시공 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기슭 지형의 경사 지형(100)에서 일부 지형을 파내어 절개 지형(110)을 형성하고, 파낸 흙은 바로 아래에 쌓아 복토 지형(120)을 형성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평탄 지형(13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 복토 지형(120)은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별도의 축대를 설치하거나 다른 조치를 더 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평탄 지형(130)에 제1, 2 철근 콘크리트 블록(1, 2)을 배치하면 그 자체만으로 시공이 완료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시공된 형태에 따라 옥상을 도로로 이용할 수 있고, 주차장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추가적인 편의 시설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미리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블록을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산기슭 등에 건축물을 시공할 때 기초 공사를 최소한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구조물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물의 지붕과 뒤쪽에 흙으로 덮거나 메우기를 하도록 함으로써 식물을 심어 가꿀 수 있도록 하여 주변 자연환경과 어울리도록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만일 산사태가 발생하여 지형이 무너지더라도 구조물은 전체적 외형 틀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쓸려 내릴 수 있으므로, 구조물 내에 있는 사람의 안전을 도모하는 등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고, 구조물 내에 기구, 자재 등 재산이 있다면 이들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박스(10)는, 제1 벽체(11)에 창문 공간(14) 또는 출입구 공간(1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벽체(11)는 상기 제1 벽체(11)와 마주 보는 쪽의 다른 제2 벽체(1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구조물의 내구성은 수직 단면의 넓이에 비례할 수 있는데, 창문 공간(14) 또는 출입구 공간(15)을 형성한 만큼 두께를 더 넓게 형성함으로써 구조물의 내구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10)는, 상기 제1 벽체(11)와 상기 제2 벽체(12)가 이루는 두께 비율이 1.2 ~ 2 : 1일 수 있다. 구조물의 두께는 두꺼울수록 내구성이 향상할 수 있는 데, 제1 벽체(11)가 제2 벽체(12)보다 1.2배 이상이면 구조물의 내구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구조물의 두께는 두꺼울수록 비용이 증가하는데, 제1 벽체(11)가 제2 벽체(12)보다 2배 이하이면 비용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출입구 공간(15)은 도 6부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10)를 이웃하도록 연속 배열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로써 출입구 공간(15)을 좀 더 넓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출입구 공간(15)은 박스(10)를 3개 이웃하도록 연속 배열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로써 출입구를 좀 더 넓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동시에 더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출입할 수 있고, 또는 폭이 더 넓은 물건을 편리하게 넣거나 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도 1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닝 블록(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오닝 블록(3)은 상기 박스(10)의 전방 상측에 배치되어 햇빛을 가리거나 빗물이 실내로 들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10)는 도 4부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요철(1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오닝 블록(3)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요철(1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요철(13)과 상기 제2 요철(17)이 조립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오닝 블록(3)을 설치할 때에 정확한 위치에 빠르게 정렬시킬 수 있고, 이로써 암거 형식 구조물을 시공 완료한 후에 오닝 블록(3)이 정렬된 것으로 정돈된 느낌이 들 수 있어 더욱 고품질의 암거 형식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10)는,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부(31)에 패킹 부재(3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킹 부재(33)는 상기 요부(31)와 철부(32)가 조립될 때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패킹 부재(33)는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제1 강선 유닛(41)으로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부연 설명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박스(10)에 제1 관통 구멍(21)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부터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박스(10)의 상면에서 상기 제1 관통 구멍(21)과 통하도록 제1 포켓(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강선 유닛(4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박스(10)가 이어서 배치된 상태에서 양쪽 제1 관통 구멍(21)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 강선 유닛(41)의 양쪽 끝부분에 제1 결속 유닛(42)이 체결되어 양쪽 박스(10)를 결속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속 유닛(42)은 상기 제1 포켓(22)에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결속에 사용된 구성요소가 구조물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제2 강선 유닛(42)으로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부연 설명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박스(10)에 제2 관통 구멍(23)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부터 도 7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관통 구멍(23)의 양쪽 끝부분에 제2 포켓(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박스(10)가 이어서 배치된 상태에서 제2 강선 유닛(43)이 상기 제2 관통 구멍(23)을 통과한다.
이후, 상기 제2 포켓(24)에서 상기 제2 강선 유닛(42)에 제2 결속 유닛(44)이 체결될 수 있고, 이로써 양쪽 박스(10)는 더욱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박스(10)가 견고하게 결속됨으로써 만일 산사태 등으로 지형이 무너지더라도 구조물은 원래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미끄러질 뿐이고 구조물 자체가 깨지지는 않을 수 있으며, 이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거나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도 1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박스(10)를 복층으로 쌓아 올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하층의 박스(10)와 상측의 박스(10)를 결속할 수 있고, 결속 구성은 상기 박스(10)를 가로 방향으로 배열하고 강선 유닛과 결속 유닛 등을 이용하여 결속하는 것처럼 결속할 수 있다. 또는 결속 구성은 콘크리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더 많은 공간을 생성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공정으로 최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경제적일 수 있다.
한편으로, 도 1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오닝 블록(3)의 하측에 칼럼(4)이 배치될 수 있고, 칼럼(4)은 상기 오닝 블록(3)을 받칠 수 있다. 즉 칼럼(4)은 오닝 블록(3)이 내구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많은 인원이 오닝 블록(3)의 위에 한꺼번에 올라서거나, 바위, 나무 등이 오닝 블록(3)의 위에 위치하더라도 무너지지 않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오닝 블록(3)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럼(4) 일부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배치 홈(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층에 칼럼(4)을 시공할 때 정확한 위치에 칼럼(4)을 배치할 수 있는 것으로써 공정의 간소화로 시공 시간을 줄이고 작업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럼(4)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층에 있는 칼럼(4)이 상층에 있는 칼럼(4)보다 바깥쪽, 즉 비탈면으로부터 먼 쪽으로 더 튀어나오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암거 형식 구조물은 하부가 상부보다 더 넓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써 더욱 튼튼하게 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12부터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에서 차양 또는 난간을 구현하도록 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을 단층으로 실시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에서 차양 또는 난간을 구현하도록 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을 복층으로 실시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기초 공사와 복원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오닝 블록(3)과 복수의 칼럼(4)이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암거 형식 구조물을 시공할 때에 오닝 블록(3)과 칼럼(4)이 일체로 제공되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써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고, 구성요소 객체의 감소로 인하여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3은 암거 형식 구조물의 시공 예를 보인 것으로써, 창문 공간(14)이 형성된 제1 철근 콘크리트 블록(1)과 출입구 공간(15)이 형성된 제2 철근 콘크리트 블록(2)을 연속으로 배치한 예이고, 단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10)를 수 개에서 수십 개를 연속 배치함으로써 암거 형식 구조물의 내부에 긴 터널 형태의 공간을 구현할 수 있고, 임의 위치에 출입구 공간(15)이 듬성듬성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이용자는 가장 가까운 위치에 출입구 공간(15)을 이용하여 암거 형식 구조물에 출입할 수 있다.
도 14는 오닝 블록(3)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써, 칼럼(4)의 하측에 삽입부(4a)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a)는 상기 칼럼(4)의 일부로써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으로, 오닝 블록(3)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는 오목한 형태의 배치 홈(16)을 확실하게 깊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써 암거 형식 구조물을 상층으로 시공할 때,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층의 오닝 블록(3)에 상층의 오닝 블록(3)의 삽입부(4a)를 끼워 조립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을 상층으로 시공한 예이다.
한편으로, 도 15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거 형식 구조물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하층에 배치된 제1 철근 콘크리트 블록(1)과 상층에 배치된 제1 철근 콘크리트 블록(1)은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층의 박스(10)는 암거 형식 구조물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하층의 박스(10) 2개에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층의 박스(10)가 하층의 박스(10)에 하중을 분산하여 작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암거 구조물은 좀 더 내구성과 견고성이 향상되도록 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박스(10)는 벽체를 세워 마감할 수 있고, 이로써 내부 공간과 외부가 분리될 수 있다. 벽체는 벽돌을 쌓거나, 콘크리트를 타설 하는 등 알려진 건축 공사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10)의 아래쪽에 집수 블록(5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집수 블록(50)은 하층의 박스(10)와 연통할 수 있고, 뒤편으로 유입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 구멍은 암거 형식 구조물의 뒤편에서 지하수 또는 빗물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 블록(50)은 빗물이나 지하수 등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된 암거 형식 구조물의 고정성을 확보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층에 배치된 칼럼(4)의 바로 위쪽에 상층의 칼럼(4)이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하층에 배치된 오닝 블록(3)과 상측에 배치된 오닝 블록(3)을 같은 크기와 모양으로 제공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하층에 배치된 박스(10)와 상측에 배치된 박스(10)를 같은 크기와 모양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구성품을 간소화함으로써 생산과 조립에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구조물은 비탈진 지형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설치하고, 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휴식 공간 또는 도로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1, 2: 제1, 2: 철근 콘크리트 블록
3: 오닝 블록 4: 칼럼
10: 박스 11, 12: 제1, 2 벽체
13, 17: 제1, 2 요철
14: 창문 공간 15: 출입구 공간
16: 배치 홈
21, 23: 제1, 2 관통 구멍 22, 24: 제1, 2 포켓
31: 요부 32: 철부
33: 패킹 부재
41, 43: 제1, 2 강선 유닛 42, 44: 제1, 2 결속 유닛
50: 집수 블록
100: 경사 지형 110: 절개 지형
120: 복토 지형 130: 평탄 지형
140: 복원 지형

Claims (16)

  1. 양쪽이 개방된 사각 틀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박스(10);
    상기 복수의 박스(10)에서 개방된 어느 한쪽 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요부(31); 및
    상기 복수의 박스(10)에서 상기 요부(31)가 형성된 반대쪽에 볼록하게 형성된 철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박스(10)의 요부(31)와 다른 하나의 박스(10)의 철부(32)가 조립되는 것;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0)는,
    제1 벽체(11)에 창문 공간(14) 또는 출입구 공간(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벽체(11)는 상기 제1 벽체(11)와 마주 보는 쪽의 다른 제2 벽체(1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0)는, 상기 제1 벽체(11)와 상기 제2 벽체(12)가 이루는 두께 비율이 1.2 ~ 2 : 1인 것;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공간(15)은 복수의 박스(10)를 이웃하도록 연속 배열하여 구현하는 것;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공간(15)은 박스(10)를 3개 연속 배열하여 구현하는 것;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0)의 전방 상측에 배치되어 햇빛을 가리거나 빗물이 실내로 들이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오닝 블록(3);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0)에 형성된 제1 요철(13); 및
    상기 오닝 블록(3)에 형성된 제2 요철(17);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철(13)과 상기 제2 요철(17)이 조립되는 것;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0)는, 상기 요부(31)와 철부(32)가 조립될 때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요부(31)에 형성된 패킹 부재(33);
    를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0)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1 관통 구멍(21);
    상기 박스(10)의 상면에서 상기 제1 관통 구멍(21)과 통하도록 형성된 제1 포켓(22);
    2개의 박스(10)가 이어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관통 구멍(21)을 통과하는 제1 강선 유닛(41); 및
    상기 제1 포켓(22)에서 상기 제1 강선 유닛(41)에 체결되어 양쪽 박스(10)를 결속하는 제1 결속 유닛(42);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0)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2 관통 구멍(23);
    상기 제2 관통 구멍(23)의 양쪽 끝부분에 형성된 제2 포켓(24);
    2개의 박스(10)가 이어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관통 구멍(23)을 통과하는 제2 강선 유닛(43); 및
    상기 제2 포켓(24)에서 상기 제2 강선 유닛(42)에 체결되어 양쪽 박스(10)를 결속하는 제2 결속 유닛(44);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0)를 복층으로 쌓아 올린 것;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암거 형식 구조물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층의 박스(10)는 하층의 박스(10) 2개에 걸쳐져 배치되는 것;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13.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닝 블록(3)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오닝 블록(3)을 받치는 칼럼(4);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하나의 오닝 블록(3)과 복수의 칼럼(4)이 일체로 제공되는 것;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닝 블록(3)은, 칼럼(4)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부에 오목하게 배치 홈(16)이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박스(1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빗물 또는 오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집수 블록(50);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
KR1020190098693A 2019-08-13 2019-08-13 암거 형식 구조물 KR20210019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693A KR20210019722A (ko) 2019-08-13 2019-08-13 암거 형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693A KR20210019722A (ko) 2019-08-13 2019-08-13 암거 형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722A true KR20210019722A (ko) 2021-02-23

Family

ID=7468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693A KR20210019722A (ko) 2019-08-13 2019-08-13 암거 형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97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627A (ko)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신장흥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784B1 (ko) 2016-04-29 2016-08-23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레고형 pc 하우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784B1 (ko) 2016-04-29 2016-08-23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레고형 pc 하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627A (ko)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신장흥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55921A1 (en) Water retention cell structures
US8381453B2 (en) Multi-storey building design
US4336674A (en) Underground structure for residential and business use
KR101052857B1 (ko) 우수 저류조용 블록과 우수 저류조 및 우수 저류조용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시공방법
FR3032001A1 (fr) Batiment ou habitat en architecture de grappe talutee antisismique et bioclimatique
US4141184A (en) Terraced dwellings
KR20210019722A (ko) 암거 형식 구조물
KR101045807B1 (ko) 내광성,내열성,내수성,내하중성,방수성,방근성,저수성,배수성,여과필터,토양기반,식생 등 지붕 및 인공지반 옥상녹화를 구성하는 모든 기술성능요소가 통합된 이중바닥 방식의 경량박형 생태지붕방수 구조물
Hueto Escobar et al. Approximation to the use of half-timbered walls with earth infill in Spanish traditional architecture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WO2006032090A1 (en) Under slab water storage
KR102154215B1 (ko)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AU2009319059A1 (en) Building structure provided with vertical walls comprising a thermoplastic polymer
KR101582865B1 (ko) 지반 토사 유실방지를 위한 다기능 식생프레임 구조체
US10487527B2 (en) Tornado proof housing
US6385921B1 (en) Underground structure for residential and business use
KR200416799Y1 (ko) 조립식 울타리
CN104563449B (zh) 景观风井及建筑
DE102007011557A1 (de) Vollgeschoßgebäude mit großen, flachen, freitragenden Gewölbe aus filigranen Stahlbetonfertigteilelementen, zu einem gesamt geschlossenen, homogenen und dichten Baukörper
JP5532732B2 (ja) ユニット式金属製地下納骨堂
AT509378B1 (de) Gebäude
No NOTICE FOR CA
IT202100008831A1 (it) Copertura non continua
Lozančić et al. Croatian traditional construction and heritage as inspiration for the design of contemporary modular displays for public events
JP5645316B2 (ja) 改良地盤、改良地盤の造成方法及び地下付建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