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743Y1 -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 - Google Patents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743Y1
KR200457743Y1 KR2020100001000U KR20100001000U KR200457743Y1 KR 200457743 Y1 KR200457743 Y1 KR 200457743Y1 KR 2020100001000 U KR2020100001000 U KR 2020100001000U KR 20100001000 U KR20100001000 U KR 20100001000U KR 200457743 Y1 KR200457743 Y1 KR 200457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late
door
plate
pin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723U (ko
Inventor
채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Priority to KR2020100001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74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7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7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6Pulleys, sheaves, pulley blocks or their mounting
    • B66D2700/028Pulley blocks with multiple sh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선로의 철탑 한 부분에 설치하여 송전선의 가선 공사중 와이어 로프의 연선공사나 여러 가지의 중량물(부품)을 인상시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측면 마감판과 내부판의 사이에서 회전 안내축과 베어링에 설치하는 로울러에 와이어 로프를 연결하고, 상기 내부판의 상측으로 연결구의 나사축을 너트에 연결하는 스내치 블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마감판의 상측으로 경첩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체결공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설치되고 스프링으로 내경을 지지하는 고정핀을 형성한 도어 개폐핀을 연결한 핀제어구가 설치된 도어와;
상기 내부판의 상측에 나사축이 관통하며 하측으로 고정홈을 형성하여 고정핀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날개와;
상기 내부판과 도어의 안쪽에는 로울러의 외경을 따라서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여 틈새가 없도록 설치하고, 상기 측면 마감판과 내부판 및 도어의 끝 부분 일부에 측면 안내돌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Snatch block for power cable}
본 고안은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선로의 철탑 한 부분에 설치하여 송전선의 가선 공사중 와이어 로프의 연선공사나 여러 가지의 중량물(철탑 암 등)을 인상시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내치 블럭(snatch block)은 송전선로의 철탑에 설치하여 송전선의 가선 공사 중 전력선의 연선공사시에 송전선이나 애자와 같은 다양한 부품을 사용하기 위하여 지면에서 사용할 위치로 인상시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스내치 블럭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98245호(2002. 12. 02. 등록)에 게재된 바와 같이, 전력선을 연선시키는 지지블럭의 하단 양측으로 체결 볼트를 매개로 간격조정블럭이 현수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작업을 하는 도중에 상층부만 연결되어 지지하게 되면서 안정된 고정구조를 제공하지 못하여 설치된 위치가 돌아가 버려 전력선이나 와이어 등이 꼬여 작업을 방해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72472호(2004. 12. 30. 등록)에 게재된 바와 같이, 송전선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파지부와 윈치로 나누고, 파지부는 송전선을 파지하는 구실을 하며 윈치는 파지부를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기능을 하게 되지만 부품을 인상시킬 때 블럭이 꼬일 수 있는 결점이 있으며, 와이어나 로프 및 송전선이 로울러를 통하여 회전하면서 로울러와 측면판의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쉽게 손상되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문헌1)등록실용신안번호제0372472호2004.12.30.등록 (실용신안문헌2)공개실용신안번호제93-24417호1993.11.27.공개 (실용신안문헌3)등록실용신안번호제0340288호2004.01.19.등록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로프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스내치 블럭의 로울러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로울러와 측면 마감판 및 내부판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로울러의 선단을 따라서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고, 로울러와 측면 마감판 및 내부판의 끝 부분을 따라서 측면 안내돌기를 돌출시켜 와이어 로프나 송전선의 손상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로울러의 하측으로 걸고리를 더 설치하여 로프를 이용 필요한 위치에 고정시켜 로울러의 회전시에 스내치 블럭이 회전하지 않아 설치 위치를 안정되게 고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송전선이 꼬이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측면 마감판과 내부판의 사이에서 회전 안내축과 베어링에 설치하는 로울러에 와이어 로프를 연결하고, 상기 내부판의 상측으로 연결구의 나사축을 너트에 연결하는 스내치 블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마감판의 상측으로 경첩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체결공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설치되고 스프링으로 내경을 지지하는 고정핀을 형성한 도어 개폐핀을 연결한 핀제어구가 설치된 도어와;
상기 내부판의 상측에 나사축이 관통하며 하측으로 고정홈을 형성하여 고정핀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날개와;
상기 내부판과 도어의 안쪽에는 로울러의 외경을 따라서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여 틈새가 없도록 설치하고, 상기 측면 마감판과 내부판 및 도어의 끝 부분 일부에 측면 안내돌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도어에 도어 개폐핀을 설치하여 원터치형으로 연결 날개의 고정홈에서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어서 와이어 로프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로울러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로울러와 측면 마감판 및 내부판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로울러의 상측 선단을 따라서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고, 로울러와 측면 마감판 및 내부판의 끝 부분을 따라서 측면 안내돌기를 돌출시켜 로울러에 의해 이송하는 와이어 로프 및 송전선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아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측면 마감판의 하측으로 회전 가능한 걸고리를 더 설치함으로써 회전하지 않도록 필요한 위치에 고정시켜 로울러가 자연스럽게 회전되어 송전선 가선작업시 송전선이 꼬이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와이어 로프의 연선작업을 원활하게 하고, 긴선용 및 중량물(부품)을 안정되게 인상(견인)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을 이용한 철탑 조립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을 송전선 가선공사에 사용하는 상태의 일실시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스내치 블럭 2개를 결합하여 더블형으로 성형한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더블형으로 성형한 상태의 측면도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이용한 철탑 조립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송전선 가선공사에 사용하는 상태의 일실시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스내치 블록(100)은 송전선 가선작업시 송전선이 꼬이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며 와이어 로프(240)의 연선작업을 원활하게 하거나, 철탑 조립시 와이어 로프(240)의 방향을 조절할 때 또는 중량물인 철탑(200)에 설치하는 철탑 암(290) 등을 인상할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철탑(200)의 한 부분에서 조립봉(270)을 설치하여 지선(280)으로 연결하고, 윈찌(250)에 연되는 와이어 로프(240)가 스내치 블록(100)을 이용하여 방향이 꺾이거나 소정의 부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스내치 블록(100)은 상측의 연결구(28)에 2선의 18mm 두께로 이루어진 2가닥으로 이루어진 결속 와이어(110)를 결합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윈치(250)의 캡스탄(260)에는 와이어 로프(240)가 연결되어 스내치 블록(100)을 통하여 연결되여 철탑(200)에서 철탑 암(290)과 같은 중량물을 인상할 때 도 1과 같이 사용하는 것이며, 도 2와 같이 송전선(300)의 가선 공사 중 압축된 인류클램프(310)에서 와이어 로프(240)가 꼬이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내치 블록(100)을 사용하는 것이다.
철탑(200)의 철탑 암(290)에 송전선(300) 가선 공사 중 와이어 로프(240)의 연선 공사시에 600mm 활차(330)나 꺾이는 부위나 코너부위에 스내치 블록(100)을 설치하여 여러 가닥의 윈치로(340)가 원활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측면 마감판(10)은 중앙에 회전 안내축(14)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 안내축(14)의 상측에서 경첩(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도어(16)와 분할되어 연결한다.
상기 경첩(17)은 내부에 설치하는 로울러(12)의 상측 높이보다 더 낮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어(16)에는 체결공(16a)을 형성하고 노출되는 외측으로 핀 제어구(18)를 용접 고정하여 내부에 스프링(21)으로 결합하는 고정핀(20)이 스프링(21)의 탄성을 받도록 설치한 도어 개폐핀(19)을 구성한다.
상기 측면 마감판(10)의 내부에는 로울러(12)가 설치되고, 그 일측으로 내부판(11)을 설치하여 중앙부분에서 회전 안내축(14)과 베어링(13)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판(11)과 도어(16)의 안쪽에는 로울러(12)의 외경을 따라서 가이드 돌기(29)를 형성하고, 내부판(11) 그리고 측면 마감판(10)과 도어(16)의 안쪽 끝 부분 일부에 측면 안내돌기(22, 22a)를 형성하여 내부판(11)과 도어(16) 및 로울러(12)의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와이어 로프(240) 및 송전선 등이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판(11)의 상측에는 연결날개(24)를 돌출시켜 하측에서 고정홈(25)을 형성하여 고정핀(20)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날개(24)의 하측에는 너트(26)가 고정되어 있어서 상측으로 돌출된 연결구(28)의 나사축(27)이 결합되어 용접으로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한다.
상기 측면 마감판(10)과 내부판(11)의 하측 끝 부분에는 핀(30)을 연결하고, 상기 핀(30)에는 고정축(34)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고정축(34)에는 회전너트(32)를 결합한 후 하측에서 고정너트(31)를 결합하여 고정너트(31)와 고정축(34)을 용접하여 일체형으로 고정하며, 회전너트(32)에는 걸고리(33)를 연결하여 하측으로 돌출되어 와이어나 끈(로프)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스내치 블럭 2개를 결합하여 더블형으로 성형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더블형으로 성형한 상태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하나의 로울러(12)가 설치된 스내치 블럭은 측면 마감판(10)이 양쪽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내부판(11)을 서로 맞대기하여 용접으로 고정한 후, 내부판(11)의 상측 중앙에서 양쪽으로 하측에 고정홈(25)을 형성하는 연결날개(24)를 돌출시키고, 상기 연결날개(24)의 중앙 하측으로 너트(26)를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상측의 연결구(28)에 형성한 나사축(27)이 너트(26)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 마감판(10)의 하측 끝 부분에 핀(30)을 연결하고, 상기 핀(30)에는 고정축(34)을 돌출시켜 회전너트(32)를 결합한 후 하측에서 고정너트(31)를 결합하여 고정너트(31)와 고정축(34)을 용접하여 일체형으로 고정하며, 회전너트(32)에는 걸고리(33)를 연결하여 하측으로 돌출되어 와이어나 끈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측면 마감판(10)은 양쪽 끝 부분에 설치되므로 상측에 도어(16)가 각각 설치되어 개폐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연결구(28)에 형성한 구멍으로 볼트를 관통시켜 결속 와이어(110)의 양쪽을 연결하여 철탑(200)의 한 부분에 연결 또는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하측의 걸고리(33)는 상측에 연결된 회전너트(32)가 고정축(34)의 외경과 고정너트(31)의 상측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므로 걸고리(33)에 로프 등을 연결하여 철탑(200)의 한 부분이나 바닥의 필요한 부분 및 나무 등에 연결하여 스내치 블럭(100)을 상측과 하측에서 연결하여 설치한다.
상기 스내치 블럭(100)은 로울러(12)가 하나 설치된 것을 사용하거나, 더블형으로 2개 설치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스내치 블럭(100)을 철탑(200)의 한 부분에 설치한 후에는 도어 개폐핀(19)의 고정핀(20)이 연결날개(24)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홈(25)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어 개폐핀(19)을 회전시켜 측면 마감판(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작동하고, 도어 개폐핀(19)을 하측을 누르면 고정핀(20)이 고정홈(25)에서 분리되면서 고정핀(20)은 하측의 스프링(21)을 압축시키게 된다.
고정홈(25)에서 고정핀(20)을 분리하여 도어(16)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경첩(17)에서 도어(16)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여 로울러(12)를 개방시키게 된다.
로울러(12)가 개방되면 와이어 로프(240) 및 송전선을 로울러(12)의 상측에 공급한 후 도어(16)를 닫아 연결날개(24)가 체결공(16a)을 관통하여 도어(16)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도어 개폐핀(19)을 하측으로 당긴후 놓으면 스프링(21)의 탄성력으로 고정핀(20)이 상승하면서 고정홈(25)에 결합되므로 도어(16)의 체결공(16a)에서 연결날개(24)를 고정하게 되므로 로울러(12)의 외측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로울러(12)에 연결한 와이어 로프(240)에는 인상할 중량물(부품)을 공급하고, 중량물(부품)의 공급방향으로 와이어 로프(240)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치(250)의 캡스탄(260)를 통하여 잡아당기면 로울러(12)가 회전 안내축(14)과 베어링(13)에 안내되어 회전하면서 와이어 로프(240)를 부드럽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와이어 로프(240)는 로울러(12)의 상측에서 가이드 돌기(29)를 통하여 틈새가 없도록 형성하므로 와이어나 로프가 로울러(12)에서 이탈하거나 내부판(11)이나 도어(16)에 접촉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측면 마감판(10)과 내부판(11) 및 도어(16)의 끝 부분 일부에서 내부에 측면 안내돌기(22, 22a)를 더 형성하였으므로 로울러(12)를 통하여 이동하는 와이어 로프(240)가 마찰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하여 손상되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스내치 블록(100)은 송전선(300) 가선 공사 중 와이어 로프(240)의 연선 공사기에 철탑(200)이나 철탑 암(290)의 꺽이는 부위나 코너부위에 설치되어 꼬이너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며, 와이어 로프(240)의 연선작업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로프(240)의 연선작업 이나 필요한 중량물(부품)을 인상시키는 경우에는 와이어 로프(240)가 로울러(12)와 일정한 각도로 연결되지 않게 되므로 로울러(12)가 자꾸 회전하여 설치된 상태를 이탈하려 하지만, 상측의 연결구(28)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하측의 걸고리(33)에도 연결되어 있어서 와이어 로프(240)가 꼬이거나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연결구(12)에는 4~5톤 정도의 장력이 형성되므로 가이드 돌기(29)와 측면 안내돌기(22)가 없는 경우에는 마찰력에 의해 와이어 로프(240)나 송전선의 표면이 쉽게 손상되는 결점을 해소할 수 없게 되는 것이며, 동시에 와이어 로프(240)의 탈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스내치 블럭(100)을 사용한 후에는 도어 개폐핀(19)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고정핀(20)이 고정홈(25)에서 분리되어 도어(16)를 개방시켜 와이어 로프(24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송전선의 가선작업시 와이어 로프의 연선작업이나 필요한 중량물(부품)을 인상시켜 공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스내치 블럭에 관한 것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켜 와이어 로프의 연결 및 분리가 편리하고, 로울러의 상측부를 따라서 가이드 돌기와 측면 안내돌기를 형성하여 와이어 로프나 송전선의 손상을 방지하여 오랫동안 사용하며, 하측(상측) 부분에서 걸고리를 통하여 지지함으로써 로프가 꼬이지 않고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10 : 측면 마감판 11 : 내부판
12 : 로울러 13 : 베어링
14 : 회전 안내축 15 : 조임 너트
16 : 도어 16a : 체결공
17 : 경첩 18 : 핀제어구
19 : 도어 개폐핀 20 : 고정핀
21 : 스프링 22 : 측면 안내돌기
23 : 연결축 24 : 연결날개
25 : 고정홈 26 : 너트
27 : 나사축 28 : 연결구
29 : 가이드 돌기 30 : 핀
31 : 고정너트 32 : 회전너트
33 : 걸고리 34 : 고정축
100 : 스내치 블럭 110 : 결속 와이어
200 : 철탑 240 : 와이어 로프
250 : 윈치 260 : 캡스탄
270 : 조립봉 280 : 조립봉 지선
290 : 철탑 암 300 : 송전선

Claims (3)

  1. 측면 마감판(10)과 내부판(11)의 사이에서 회전 안내축(14)과 베어링(13)에 설치하는 로울러(12)에 와이어 로프(240)를 연결하고, 상기 내부판(11)의 상측으로 연결구(28)의 나사축(27)을 너트(26)에 연결하는 스내치 블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마감판(10)의 상측으로 경첩(17)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체결공(16a)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설치되고 스프링(21)으로 내경을 지지하는 고정핀(20)을 형성한 도어 개폐핀(19)을 연결한 핀제어구(18)가 설치된 도어(16)와;
    상기 내부판(11)의 상측에 나사축(27)이 관통하며 하측으로 고정홈(25)을 형성하여 고정핀(20)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날개(24)와;
    상기 내부판(11)과 도어(16)의 안쪽에는 로울러(12)의 외경을 따라서 가이드 돌기(29)를 형성하여 틈새가 없도록 설치하고, 상기 측면 마감판(10)과 내부판(11) 및 도어(16)의 끝 부분 일부에 측면 안내돌기(2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측면 마감판(10)과 내부판(11)의 하측에는 핀(30)에 고정축(34)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고정축(34)에는 회전너트(32)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결합하고, 고정축(24)의 하측에 고정너트(31)를 용접고정하며, 상기 회전너트(32)에는 걸고리(33)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
  3.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에 로울러(12)를 설치한 도어(16)가 외부로 양쪽에 노출되도록 내부판(11)을 맞대기하여 용접 고정하고, 내부판(11)의 상측 중앙으로 너트(26)를 고정시켜 연결구(28)를 결합하여 연결날개(24)가 양쪽에 돌출되도록 더블형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
KR2020100001000U 2010-01-28 2010-01-28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 KR200457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000U KR200457743Y1 (ko) 2010-01-28 2010-01-28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000U KR200457743Y1 (ko) 2010-01-28 2010-01-28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23U KR20110007723U (ko) 2011-08-03
KR200457743Y1 true KR200457743Y1 (ko) 2012-01-02

Family

ID=4559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000U KR200457743Y1 (ko) 2010-01-28 2010-01-28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74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314A (ja) * 1989-08-25 1991-04-08 Yasuda Seisakusho Co Ltd 電線担持器
KR200296551Y1 (ko) 2002-08-20 2002-11-29 최종석 전선이송용 안내롤러
KR200298567Y1 (ko) 2002-09-12 2002-12-18 주식회사 동해 전선용 롤러
KR20020096551A (ko) * 2001-06-20 2002-12-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시료 홀더, 시료 홀더 내에 시료 고정을 위한 보조장치 및이들을 이용한 시료 고정방법
KR20040039701A (ko) * 2002-11-04 2004-05-12 장근선 전기선로 교체용 전선가이드 롤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314A (ja) * 1989-08-25 1991-04-08 Yasuda Seisakusho Co Ltd 電線担持器
KR20020096551A (ko) * 2001-06-20 2002-12-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시료 홀더, 시료 홀더 내에 시료 고정을 위한 보조장치 및이들을 이용한 시료 고정방법
KR200296551Y1 (ko) 2002-08-20 2002-11-29 최종석 전선이송용 안내롤러
KR200298567Y1 (ko) 2002-09-12 2002-12-18 주식회사 동해 전선용 롤러
KR20040039701A (ko) * 2002-11-04 2004-05-12 장근선 전기선로 교체용 전선가이드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23U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56641B2 (en) Dipper door and dipper door trip assembly
US8453855B2 (en) Turning device for hoist
KR100953688B1 (ko)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전력선 연선용 와이어 안내 장치와 전력선 연선용 와이어 안내장치를 이용한 전력선 연선공법
CN113581995B (zh) 一种工程设备安装用吊装装置
KR101499669B1 (ko) 케이블 포설기
KR102389099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CN211183118U (zh) 一种光缆通讯线放线滑车
KR200457743Y1 (ko) 송전선용 스내치 블럭
BR102014030391A2 (pt) conjunto de abertura de porta de caçamba
CN103496628B (zh) 一种钢卷翻转吊具
CN102530717B (zh) 一种吊具
CN112531552B (zh) 一种电缆起吊终端夹紧固定装置
CN114524358A (zh) 一种建筑工程用钢筋吊装夹持装置
KR200384143Y1 (ko) 가선용 텐셔너의 가이드롤러
CN203392644U (zh) 钢丝绳不会产生扭曲的钢包吊运的钢丝绳卷取装置
CN111431085A (zh) 高压输电线路作业装置
CN206751259U (zh) 一种斗提式搅拌站钢丝绳三维限位装置
KR102412948B1 (ko)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EP3466867A1 (en) Rope management apparatus
CN106672836B (zh) 一种绳索固定装置
CN218403376U (zh) 一种三滑轮滑块导缆装置
CN215859650U (zh) 水密门自闭器和水密门
CN214989924U (zh) 一种导绳器
CN218732789U (zh) 一种安全型临时用电电缆垂直吊杆
CN217752594U (zh) 一种端子护套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