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391Y1 -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 - Google Patents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391Y1
KR200457391Y1 KR2020090004782U KR20090004782U KR200457391Y1 KR 200457391 Y1 KR200457391 Y1 KR 200457391Y1 KR 2020090004782 U KR2020090004782 U KR 2020090004782U KR 20090004782 U KR20090004782 U KR 20090004782U KR 200457391 Y1 KR200457391 Y1 KR 200457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torsion spring
door
fixing bracket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667U (ko
Inventor
한태하
김수현
강덕원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금속
한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금속, 한태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금속
Priority to KR2020090004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391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6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3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티스 상자가 매립하여 설치된 도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서,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모티스 상자에 설치된 래치볼트의 진퇴에 요구되는 작용력을 제공하여 도어의 시해정을 도모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상기 모티스 상자에 작용력을 제공하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를 도어의 외측 또는 내측에 회동구조로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 사이에 손잡이의 중립을 도모하는 간소화된 중립모듈을 마련하여,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대폭 절감되도록 한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에 관한 것이다.
손잡이 뭉치, 래치볼트, 중립모듈, 회동편, 토션 스프링, 손잡이

Description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Door lever module}
본 고안은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티스 상자가 매립하여 설치된 도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서,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모티스 상자에 설치된 래치볼트의 진퇴에 요구되는 작용력을 제공하여 도어의 시해정을 도모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상기 모티스 상자에 작용력을 제공하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를 도어의 외측 또는 내측에 회동구조로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 사이에 손잡이의 중립을 도모하는 간소화된 중립모듈을 마련하여,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대폭 절감되도록 한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모티스 상자가 내설된 도어의 양편에 설치되어 상기 모티스 상자를 연동시켜 도어의 시해정을 제어하는 손잡이 뭉치는, 고정 브라켓에 손잡이가 축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축단부에는 연결편들이 형성되어서, 모티스 상자의 연동편과 규합을 위해 상호 연동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모티스 상자는 연동편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래치볼트의 진퇴를 통한 도어의 시해정이 제어된다.
한편, 당 분야에서는 고정 브라켓의 내측과 이를 관통하는 손잡이의 축 사이에 중립모듈을 마련하여, 상기 모티스 상자의 해정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 손잡이가, 외력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원복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 손잡이의 원복을 위해 마련되고 있는 중립모듈은, 회동편과, 상기 회동편의 일편에 부설되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회동편과의 결합을 통해 토션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중공부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형태의 중립모듈은, 토션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중공부쉬를 마련하고 있는 바, 상기 중공부쉬를 별도 제작하고, 또 이를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일일히 조립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또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모티스 상자가 매립하여 설치된 도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서,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모티스 상자에 설치된 래치볼트의 진퇴에 요구되는 작용력을 제공하여 도어의 시해정을 도모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상기 모티스 상자에 작용력을 제공하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를 도어의 외측 또는 내측에 회동구조로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 사이에 손잡이의 중립을 도모하는 개량된 중립모듈을 마련하여,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대폭 절감되도록 한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는,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고 도어와 대향하는 내측의 가장자리에 지지관이 돌출하여 형성된 중공의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축공에 작용단이 형성된 축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내측에 설치되어 손잡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손잡이의 중립상태를 유지시키는 중립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에 있어서,
상기 중립모듈은, 손잡이가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설되어 손잡이가 고정된 회전 플레이트를 중립상태로 탄지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는, 일면에 배설된 토션 스프링의 내단부와 외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편과 토션 스프링 권취부의 외경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외경 고정편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편의 일편 외측에는 고정단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의 일편에 견착된 토션 스프링의 외단부는 고정단에 의해 견착하여 고정되고, 상기 외경 고정편의 단부에는 내향 절곡된 견착단이 형성되어 권취부의 일측면이 상기 견착단에 의해 견착하여 고정되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설된 토션 스프링은, 지지편에 형성된 고정단과 외경 고정편에 형성된 견착단에 의해 외단부와 권취부의 일측면이 각각 견착하여 고정되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편과 외경 고정편의 내측에는 토션 스프링의 내경을 지지하는 내경 고정편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른 토션 스프링의 형상이 보존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도어용 손잡이 뭉치를 구현함에 있어, 손잡이 뭉치를 구성하는 고정 브라켓과 손잡이 사이에 간소화된 구조의 개량된 중립모듈을 마련하여 손잡이의 중립기능을 갖도록 하고 있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고안에서는 회전 플레이트 자체에 토션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용의 구조를 마련하여 토션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토션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가 요구되었던 중공 부쉬의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 및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손잡이 뭉치는, 구조의 간소화와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에 있어, 중립모듈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손잡이 뭉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티스 상자(100)가 매립하여 설치된 도어(미도시)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손잡이(20)를 통해 모티스 상자(100)에 설치된 래치볼트(110)의 진퇴에 요구되는 작용력을 제공하여 도어의 시해정을 도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뭉치(1)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티스 상자(100)가 매립된 도어에 고정되는 것으로, 중앙에 축공(11)이 형성되고 도어와 대향하는 내측에 한 쌍의 지지관(12)이 돌출하여 형성된 중공의 고정 브라켓(10)과;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축공(11)에 작용단(22)이 형성된 축(21)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손잡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10)에 형성된 지지관(12)은 모티스 상자(100)가 내설된 도어를 관통하여 반대편에 설치된 손잡이 뭉치(1)의 고정 브라켓(10)과 연결되며, 또 상기 지지관(12)은 후술되는 중립모듈(30)을 구성하는 토션 스프링(36)의 내단부(36a)과 외단부(36b)의 지지기능을 도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손잡이 뭉치(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내측에 손잡이(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중립모듈(30)을 설치하여, 상기 중립모듈(30)의 탄력적인 지지작용에 의해 손잡이(20)의 중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립모듈(30)은, 몸체의 좌우 양편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공(31a)을 통해 손잡이(20)의 축(21) 단부에 형성된 작용단(22)과 규합되어서, 손잡이(20)의 정역회전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플레이트(31)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31)의 일면에 배설되어 고정 브라켓(10)과 회전 플레이트(31)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복원력을 통해 손잡이(20)와 회전 플레이트(31)의 중립을 유지시키는 토션 스프링(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중립모듈(30)의 회전 플레이트(31)는, 상부 가장자리에는 일면에 배설된 토션 스프링(36)의 내단부(36a)와 외단부(36b)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편(32)이 직교하여 형성되고, 하부 가장자리와 좌우 양 가장자리에는 토션 스프링(36)의 권취부(36c)의 외경을 지지하는 외경 고정편(33, 33')이 각각 직교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31)의 일면에 배설된 토션 스프링(36)의 권취부(36)는 이들 외경 고정편(33, 33')에 의해 외경이 지지하여 고정되고, 토션 스프링(36)의 내단부(36a)와 외단부(36b)는 지지편(32)의 양편에 각각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 플레이트(31)의 일면에 토션 스프링(36)을 안정되게 견착하여 고정하는 전용의 구조를 일체로 마련하여, 종래 토션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던 중공 부쉬를 별도 마련하지 아니하고도 토션 스프링의 안정된 고정상태가 확보되도록 구성하여, 중공 부쉬의 삭제에 따른 구조의 간소화와 조립의 용이성을 통해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대폭 절감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편(32)의 일편 외측에 고정단(32a)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지지편(32)의 일편에 견착된 토션 스프링(36)의 외단부(36b)가 고정단(32a)에 의해 견착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외경 고정편(33)의 단부에 내향 절곡된 견착단(33a)을 형성하여 토션 스프링(36)의 권취부(36c)가 견착단(33a)에 의해 견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31)의 일면에 배설된 토션 스프링(36)은, 별도의 중공부쉬를 설치하지 아니하고도 지지편(32)에 형성된 고정단(32a)과 외경 고정편(33)에 형성된 견착단(33a)에 의해 외단부(36b)와 권취부(36c)가 각각 견착하여 고정되므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편(32)과 외경 고정편(33)의 내측에 토션 스프링(36)의 권취부(36c) 내경을 지지하는 내경 고정편(34)을 직교되게 형성하여, 상기 토션 스프링(36)의 권취부(36c) 내경이 내경 고정편(34)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내경 고정편(34)에 의해 토션 스프링(36)의 권취부(36c) 내경이 지지되도록 구성하면, 상기 회전 플레이트(31)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른 토션 스프링의 형상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현상이 예방되므로, 토션 스프링의 과도한 변형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에서 이탈되거나, 또 과도한 변형에 의해 토션 스프링의 형상이 국부적으로 소성 변형되어 탄발력이 상실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중립모듈은 도어와 대향하는 고정 브라켓의 일면에 부설되며, 이때 상기 토션 스프링의 내단부와 외단부는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지지관의 양편에 각각 견착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토션 스프링을 배설한 중립모듈의 회전 플레이트는, 스냅링을 통해 고정 브라켓을 관통한 손잡이의 축에 고정된다.
도면을 보면, 중립모듈(30)을 구성하는 회전 플레이트(31)의 가장자리에는 4개의 스토퍼단(31b)이 형성되어서, 스토퍼단(31b)과 지지관(12)의 간섭에 의해 손잡이(20) 및 회전 플레이트(31)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4a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손잡이(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토션 스프링(36)은 내단부(36a)는 고정 브라켓(10)의 지지관(12)에 지지되고 외단부(36b)는 정방향으로 회전된 회전 플레이트(31)의 지지편(32)에 견착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상기 토션 스프링(36)은 비틀림작용에 의해 복원력을 갖게 되며, 사용자가 손잡이(20)를 놓게 되면, 도 4c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31) 및 손잡이(20)는 토션 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서 중립상태를 유지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에 있어, 중립모듈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어용 손잡이 뭉치
10. 고정 브라켓 11. 축공
12. 지지관
20. 손잡이 21. 축
22. 작용단
30. 중립모듈 31. 회전 플레이트
31a. 연결공 31b. 스토퍼단
32. 지지편 32a. 고정단
33, 33'. 외경 고정편 33a. 견착단
34. 내경 고정편
36. 토션 스프링 36a. 내단부
36b. 외단부 36c. 권취부
100. 모티스 상자 110. 래치볼트
120. 연결편

Claims (3)

  1.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고 도어와 대향하는 내측의 가장자리에 지지관이 돌출하여 형성된 중공의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축공에 작용단이 형성된 축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내측에 설치되어 손잡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손잡이의 중립상태를 유지시키는 중립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에 있어서,
    상기 중립모듈은, 손잡이가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설되어 손잡이가 고정된 회전 플레이트를 중립상태로 탄지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는, 일면에 배설된 토션 스프링의 내단부와 외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편과 토션 스프링 권취부의 외경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외경 고정편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외경 고정편의 단부에는 토션 스프링의 권취부 일측면을 견착하는 견착단이 내향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의 일편 외측에는 고정단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의 일편에 견착된 토션 스프링의 외단부는 고정단에 의해 견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
  3.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고 도어와 대향하는 내측의 가장자리에 지지관이 돌출하여 형성된 중공의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축공에 작용단이 형성된 축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내측에 설치되어 손잡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손잡이의 중립상태를 유지시키는 중립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에 있어서,
    상기 중립모듈은, 손잡이가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설되어 손잡이가 고정된 회전 플레이트를 중립상태로 탄지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는, 일면에 배설된 토션 스프링의 내단부와 외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편과 토션 스프링 권취부의 외경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외경 고정편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편과 외경 고정편의 내측에는 토션 스프링의 내경을 지지하는 내경 고정편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른 토션 스프링의 형상이, 내경 고정편에 의한 내경 지지에 의해 보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
KR2020090004782U 2009-04-21 2009-04-21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 KR200457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782U KR200457391Y1 (ko) 2009-04-21 2009-04-21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782U KR200457391Y1 (ko) 2009-04-21 2009-04-21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667U KR20100010667U (ko) 2010-10-29
KR200457391Y1 true KR200457391Y1 (ko) 2011-12-19

Family

ID=4420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782U KR200457391Y1 (ko) 2009-04-21 2009-04-21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391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7361A1 (en) * 2003-04-17 2004-11-18 Tong Lung Metal Industry Co., Ltd. Restoring structure of a lo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7361A1 (en) * 2003-04-17 2004-11-18 Tong Lung Metal Industry Co., Ltd. Restoring structure of a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667U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1735C (zh) 用于汽车玻璃的雨刷装置的连接系统
RU2518445C2 (ru) Вал и держатель для вала
US7921503B1 (en) Structure of windshield wiper
US8528155B2 (en) Structure of windshield wiper
CN103419742B (zh) 用于固定安全带锁的装配装置
JP6096715B2 (ja) シリンダ錠装置
CN104143796B (zh) 用于防止反向组装的线缆固定夹子
US20080222829A1 (en) Securing device for a windscreen wiper connector
KR200457391Y1 (ko)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용 손잡이 뭉치
CN108799271B (zh) 用于车辆附件的包括多用途联接件的驱动组件
KR200413876Y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구조
JP3684287B2 (ja) 配線、配管類の保持クリップ
KR100870835B1 (ko) 손잡이의 중립구조가 마련된 도어 손잡이 모듈
KR100949920B1 (ko)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
JP5560698B2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KR20100003055U (ko) 창문잠금장치용 손잡이 결합구조
CN202380809U (zh) 门锁手柄组件
ES2358952T3 (es) Limpiaparabrisas, en especial para vehículos automóviles.
FR3100587A1 (fr) Dispositif de fixation et systeme comportant ce dispositif de fixation
KR20080064769A (ko) 자동차 타이어 청소장치
EP3483378B1 (en) A screening device with an improved mounting bracket and end section
ITMI20092176A1 (it) Dispositivo di forma appiattita per richiamare una maniglia
JP2009264019A (ja) 建築用開閉装置における巻取り装置
KR200401850Y1 (ko) 밀폐용기용 잠금장치
PT1793067E (pt) Ferragem para portas, janelas ou semelhan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