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920B1 -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 - Google Patents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920B1
KR100949920B1 KR1020080039029A KR20080039029A KR100949920B1 KR 100949920 B1 KR100949920 B1 KR 100949920B1 KR 1020080039029 A KR1020080039029 A KR 1020080039029A KR 20080039029 A KR20080039029 A KR 20080039029A KR 100949920 B1 KR100949920 B1 KR 100949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bush
elastic restoring
resto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3117A (ko
Inventor
김호덕
김수현
강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금속
Priority to KR102008003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920B1/ko
Priority to US12/139,133 priority patent/US20080307836A1/en
Publication of KR2009011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6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by means arranged in or on the rose or escutcheon
    • E05B3/065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by means arranged in or on the rose or escutcheon with spring biasing means for moving the handle over a substantial distance, e.g. to its horizontal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해정을 위해 좌우 절환된 손잡이가,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항시 중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이원화된 구성요소가 단품형태로 제작되어서 구조가 대폭 간소화된 도어정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39029
도어정, 손잡이 모듈, 도어정 뭉치, 연결부쉬, 탄성 원복부재, 회동부쉬

Description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Door lock}
본 발명은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해정을 위해 좌우 절환된 손잡이가,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항시 중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이원화된 구성요소들이 단품형태로 제작되어서 구조가 대폭 간소화된 도어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어의 내측 또는 도어의 외측 및 이들 양자 모두에 설치되어 도어록 뭉치에 해정력을 제공하는 도어 손잡이 모듈은, 일반적으로 스프링을 통한 원복기능을 갖는다.
즉, 외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절환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역 절환되어서, 중립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 손잡이 모듈에는 코일 스프링이 배설되어, 상기 손잡이의 절환에 따른 원복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코일 스프링은 도어 손잡이의 편심하중에 의해 항상 압착력을 받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코일 스프링의 탄성이 약화되고, 또 각 접촉 작동부의 마멸로 인해 손잡이가 중립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러한 원인에 의해, 손잡이가 중립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쳐져 있게 되면, 도어를 개방하려는 의도와 무관하게 신체일부의 접촉 등 외부 약한 외력에 의해 손잡이가 절환되어 도어가 쉽게 개방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호를 통해, 탄성 원복부재를 통해 손잡이의 중립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손잡이 모듈에 마련된 탄성 원복부재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의 권취공간을 형성하는 회동편과 상기 토션 스프링의 단부를 견착하며 손잡이와의 규합되는 작동편으로 이루어져, 생산과정에서 작동편과 회동편을 각각 제작하여야 하고, 또 추후 회동편과 작동편을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도어정 뭉치를 도어에 고정하는 두께 조절판에 도어정 뭉치에 마련된 체결관부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조가 마련되지 아니한 관계로, 별도의 고정판을 배설하여 두께 조절판을 고정하고 있어서, 고정판의 별도 제작 및 설치에 따라 부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해정을 위해 좌우 절환된 손잡이가,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항시 중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이원화된 구성요소들이 프레스 가공을 통해 단품형태로 제작되어서 구조가 대폭 간소화된 도어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은,
도어에 매립하여 설치되며, 양편에 절환을 통해 래치볼트를 진출입시키는 회전축이 각각 배설된 도어정 뭉치와; 상기 도어정 뭉치의 양편에 배설되어, 상기 도어정 뭉치의 각 회전축에 손잡이를 통해 외력을 제공하며, 상기 절환된 손잡이를 탄성 원복시켜 중립을 유지하도록 하는 손잡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정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모듈은, 중앙에 진입공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고정핀들이 복수 배설된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관통공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내경에 걸림턱이 돌출하여 형성된 환형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설치홈에는, 내경에 손잡이와 규합되는 작용단이 돌출하여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견착단이 형성된 판상의 작동편이 일체로 형성된 관상의 회동부쉬와; 권취부는 상기 회동부쉬의 외경을 감싸며, 일단과 타단은 상기 관상의 회동부쉬에 마련된 견착단과 설치홈의 내경에 형성된 걸림턱의 양편에 각각 견착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탄성 원복부재가 설치되어서,
상기 탄성 원복부재의 작용단에 규합된 손잡이가 외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절환되면, 상기 손잡이는 탄성 원복부재에 의해 역방향으로 절환되어 중립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형성된 진입공은 관상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상구조로 이루어진 진입공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상기 작동편에 형성된 작용단의 절환구간인 구간 절입부가 국부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손잡이의 절환에 따른 작동편의 절환각이 구간 절입부에 한정되도록 구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원복부재의 회동부쉬의 내경에는, 내측에 상기 회동부쉬의 내경에 형성된 작용단과 규합되는 견착홈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손잡이의 견착홈과 규합되는 연결단이 형성된 중공의 연결부쉬가 설치되어, 손잡이와 탄성 원복부재의 직결에 따른 상호 간의 물리적인 변형이 연결부쉬에 의해 억제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는 외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관부가 동심구조로 형성되며 이 체결관부에는,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상의 너트관부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두께 조절판의 너트관부가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탄성 원복부재에 의해 손잡이의 중립 상태가 유지되면, 종래 손잡이가 중립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쳐지거나, 도어를 개방하려는 의도와 무관하게 신 체 일부의 접촉 등 외부 약한 외력에 의해 손잡이가 절환되어, 도어가 쉽게 개방되는 문제점이 간편하게 해소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원복부재는, 작동편과 회동편이 이원화되게 구성되지 아니하고, 단품 형태의 회동부쉬를 통해 구현되므로 제작 및 조립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고, 또 회동부쉬에 형성된 작동편의 작용단이 맨 외측에 형성되어서, 관상의 진입공에 탄성 원복부재가 보다 안정되게 동심구조를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원활한 작동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원복부재와 손잡이 사이에 마련된 연결부쉬에 의해, 손잡이의 절환 충격이 완화됨으로써, 손잡이 및 탄성 원복부재의 변형이 예방될 수 있고, 또 너트관부가 일체로 형성된 두께 조절판이 마련되어서 두께 조절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한 별도의 고정판이 불필요하므로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에 있어, 손잡이 모듈의 조립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손잡이 모듈을 구성하는 탄성 원복부재를 상세히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상기 탄성 원복부재의 탄성 원복작용에 의한 손잡이의 원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 예로 제안하고 도어정에 있어, 도어정 뭉치와 두께 조절판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을 도어에 설치한 시공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1)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300)에 매립하여 설치되며, 회전력을 인가받아 래치볼트(240)를 진출입시켜 도어(300)의 해정을 도모하는 회전축(210)이 양편에 배설된 도어정 뭉치(200)와; 상기 도어정 뭉치(200)의 양편에 배설되어, 상기 도어정 뭉치(200)의 각 회전축(21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손잡이(130)를 탄성 원복시켜 중립을 유지하도록 하는 손잡이 모듈(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 모듈(100)은, 중앙에 진입공(111)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고정핀(112)들이 복수 배설된 고정 플레이트(110)와; 중앙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의 진입공(111)과 연통하는 진입공(12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의 외측면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120);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120)와 고정 플레이트(110)의 진입공(121, 111)을 순차로 진입하여, 도어(300)에 설치된 도어정 뭉치(200)의 회전축(210)에 연결되는 손잡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의 일면에는, 진입공(111)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내경에 걸림턱(113a)이 돌출하여 형성된 환형의 설치홈(113)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의 설치홈(113)에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탄성 원복부재(140)를 설치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의 설치홈(113)을 관통하는 손잡이(130)가 외력이 제공되지 아니할 경우, 탄성 원복부재(140)에 의해 역절환되어 중립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 원복부재(14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경에 손잡이(130)의 견착홈(131)에 규합되는 작용단(141c)이 돌출하여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견착단(141b)이 형성된 판상의 작동편(141a)이 일체로 형성된 관상의 회동부쉬(141)와; 권취부(142c)는 상기 회동부쉬(141)의 외경을 감싸며, 일단(142a)과 타단(142b)은 상기 관상의 회동부쉬(141)에 마련된 견착단(141b)과 설치홈(113)의 내경에 형성된 걸림턱(113a)의 양편에 각각 견착되는 토션 스프링(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이원화되게 제작되어 단일몸체로 제작되던 토션 스프링의 권취공간을 형성하는 관상의 회동편과 상기 토션 스프링의 단부를 견착하며 손잡이와의 규합되는 작동편을, 작동편(141a)이 일체로 형성된 회동부쉬(141)로 치환하여 탄성 원복부재(140)의 구조가 간소화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회동부쉬(141)에 작동편(141a)을 일체로 제작하면, 관상의 회동편과 작동편을 개별적으로 제작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절감되고 추후 조립이 별도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작동편(141a)이 일체로 형성된 관상의 회동부쉬(141)는, 일반적으로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진입공(111)을 관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관상으로 이루어진 진입공(111)의 외측 테두리에 상기 탄성 원복부재(140)의 작동편(141a)에 형성된 작용단(141c)의 절환구간인 구간 절입부(111a)를 국부적으로 요입되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111)의 설치홈(113)에 상기 탄성 원복부재(140)를 설치하면, 상기 탄성 원복부재의(140)의 작용단(141c)은 구간 절입부(111a)에 안착되고, 상기 회동부쉬(141)의 견착단(141b)에 견착된 토션 스프링(142)의 일단(142a)과 타단(142b)은, 설치홈(113)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턱(113a)의 좌우 양편에 택일하여 견착된다. ***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60은, 고정 플레이트의 설치홈에 수용된 탄성 원복부재의 이탈 및 노출을 방지하는 보조 커버임***
이때, 상기 손잡이(130) 및 회동부쉬(141)의 절환각은, 구간 절입부(111a)에 물리적으로 한정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원복부재(140)는 토션 스프링(142)의 탄발력에 의해 항시 원복(중립)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탄성 원복부재(142)의 회동부쉬(141)와 작동단(141c)을 통해 연결된 손잡이(130)도 상기 탄성 원복부재(140)에 의해 항시 중립상태를 이룬다.
즉, 도 4와 같이 탄성 원복부재(140)를 구성하는 회동부쉬(141)가 손잡이(130)의 절환에 의해 토션스프링(142)의 일단(142a) 또는 타단(142b)을 견착한 상태로 일방향으로 절환되더라도, 손잡이(130)의 외력이 제거되면 토션 스프링(142)의 복원력에 의해 손잡이(130)를 결속한 회동부쉬(141) 및 이와 결속된 손잡이(130)는 역방향으로 절환되어 중립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 원복부재(140)에 의해 손잡이(130)의 중립이 유지되면, 종래 손잡이가 중립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쳐지거나, 도어를 개방하려는 의도와 무관하게 신체 일부의 접촉 등 약한 외력에 의해 손잡이가 절환되어 도어가 개방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모듈(100)은, 관상의 진입공(111)에 관상의 회동부쉬(141)에 마련된 작용단(141c)이 탄성 원복부재(140)의 맨 위측에 형성되므로, 탄성 원복부재(140)와 고정 플레이트(110)가 보다 밀착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손잡이 모듈(100)을 구현함에 있어, 손잡이(130)와 탄성 원복부재(140)를 직결하지 아니하고 손잡이(130)와 탄성 원복부재(140) 사이에 연결부쉬(150)를 설치하여 손잡이(130)와 탄성 원복부재(140)가 연결부쉬(150)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연결부쉬(150)는 내경에 탄성 원복부재(140)의 작용단(141c)과 규합되는 견착홈(151)이 형성되며, 외측에 손잡이(130)의 견착홈(131)에 진입하여 규합되는 연결단(152)이 형성된 관상몸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130)와 탄성 원복부재(140)를 직결하지 아니하고 이들 사이에 연결부쉬(150)를 설치하면, 연결부쉬(150)에 의한 손잡이(130)의 절환 충격이 완화되어서 손잡이(130) 및 탄성 원복부재(140)의 변형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모듈(100)은 도어(300)에 매 립하여 설치된 도어정 뭉치(200)의 양편에 각각 배설되며, 이때 손잡이 모듈(100)의 손잡이(130)는 도어정 뭉치(200)의 양편에 돌출되는 회전축(210)에 직결된다.
이를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하면, 최초 작업자가 도어(300)에 설치공(310)과 래치볼트의 진출입 경로인 래치공(320)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310)에 도어정 뭉치(300)를 진입시킨다.
이때, 상기 도어(300)의 양편에는 회전축(210)이 돌출하여 형성되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도어정 뭉치(200)의 내측과 외측에 회전축(210)을 관통하는 두께 조절판(220)과 체결판(230)을 택일하여 배설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두께 조절판(220)이 배설되는 회전축(210)의 외측에, 외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관부(211)를 동심구조로 형성하고 이 체결관부(211)에,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상의 너트관부(221)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부에 손잡이 모듈(100)에 형성된 고정관(112)들의 관통경로인 관통구(222)가 하나 이상 형성된 두께 조절판(220)을, 너트관부(221)를 통해 체결하여 도어정 뭉치(200)가 설치된 도어(300)의 두께에 따라 너트관부(221)와 체결관부(211)의 체결량을 조절하여 두께 조절판(220)의 좌우 변위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두께 조절판(220) 자체에 너트관부(221)를 일체로 형성하면, 종래와 같이 두께 조절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판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도어정 뭉치(200)의 양편에 손잡이 모듈(100)을 배설하고, 손잡이 모듈(100)에 형성된 고정관(112)과 도어정 뭉치(200)의 내측에 배설된 체결 판(230)을 볼트(B)를 통해 체결하여 도어정 뭉치(200)에 손잡이 모듈(100)을 고정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정(1)의 설치가 완료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에 있어, 손잡이 모듈의 조립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손잡이 모듈을 구성하는 탄성 원복부재를 상세히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상기 탄성 원복부재의 탄성 원복작용에 의한 손잡이의 원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도어정에 있어, 도어정 뭉치와 두께 조절판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을 도어에 설치한 시공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어정
100. 손잡이 모듈
110. 고정 플레이트 111. 진입공
111a. 구간 절입부
112. 고정핀 113. 설치홈
113a. 걸림턱
120. 커버 플레이트 121. 진입공
130. 손잡이
131. 견착홈
140. 탄성 원복부재 141. 회동부쉬
141a. 작동편
141b. 견착단 141c. 작용단
142. 토션 스프링 142a. 일단
142b. 타단 142c. 권취부
150. 연결부쉬
151. 견착홈 152. 연결단
200. 도어정 뭉치 210. 회전축
211. 체결관부 220. 두께 조절판
221. 너트관부 222. 관통구
230. 체결판 231. 체결공
240. 래치볼트
300. 도어 310. 설치공
320. 래치공 B. 볼트

Claims (4)

  1. 도어에 매립하여 설치되며, 양편에 절환을 통해 래치볼트를 진출입시키는 회전축이 각각 배설된 도어정 뭉치와; 상기 도어정 뭉치의 양편에 배설되어, 상기 도어정 뭉치의 각 회전축에 손잡이를 통해 외력을 제공하며, 상기 절환된 손잡이를 탄성 원복시켜 중립을 유지하도록 하는 손잡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정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모듈은, 중앙에 진입공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고정핀들이 복수 배설된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관통공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내경에 걸림턱이 돌출하여 형성된 환형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설치홈에는, 내경에 손잡이와 규합되는 작용단이 돌출하여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견착단이 형성된 판상의 작동편이 일체로 형성된 관상의 회동부쉬와; 권취부는 상기 회동부쉬의 외경을 감싸며, 일단과 타단은 상기 관상의 회동부쉬에 마련된 견착단과 설치홈의 내경에 형성된 걸림턱의 양편에 각각 견착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탄성 원복부재가 설치되어서,
    상기 탄성 원복부재의 작용단에 규합된 손잡이가 외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절환되면, 상기 손잡이는 탄성 원복부재에 의해 역방향으로 절환되어 중립을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 원복부재에 형성된 회동부쉬의 내경에는, 내측에 상기 회동부쉬의 내경에 형성된 작용단과 규합되는 견착홈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손잡이의 견착홈과 규합되는 연결단이 형성된 중공의 연결부쉬가 설치되어, 손잡이와 탄성 원복부재의 직결에 따른 상호 간의 물리적인 변형이 연결부쉬에 의해 억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형성된 진입공은 관상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상구조로 이루어진 진입공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상기 작동편에 형성된 작용단의 절환구간인 구간 절입부가 국부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손잡이의 절환에 따른 작동편의 절환각이 구간 절입부에 한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는 외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관부가 동심구조로 형성되며 이 체결관부에는,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상의 너트관부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두께 조절판의 너트관부가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
KR1020080039029A 2007-06-14 2008-04-25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 KR100949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029A KR100949920B1 (ko) 2008-04-25 2008-04-25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
US12/139,133 US20080307836A1 (en) 2007-06-14 2008-06-13 Door handle module and door lock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029A KR100949920B1 (ko) 2008-04-25 2008-04-25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117A KR20090113117A (ko) 2009-10-29
KR100949920B1 true KR100949920B1 (ko) 2010-03-30

Family

ID=4155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029A KR100949920B1 (ko) 2007-06-14 2008-04-25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9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568B1 (ko) * 2011-07-05 2013-06-21 씨리우스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손잡이
KR20200085582A (ko) 2019-01-07 2020-07-15 주식회사 현대디엘 개량된 시공두께 조절구조를 갖는 도어 잠금장치
KR20200085585A (ko) 2019-01-07 2020-07-15 주식회사 현대디엘 개량된 조립구조의 손잡이 뭉치를 갖는 도어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414B1 (ko) * 2012-09-18 2014-02-20 박재선 도어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1890A (en) 1993-03-11 1996-01-09 Millman; Norman A. Cylindrical lockset knob to lever conversion assembly
KR19990010731U (ko) * 1997-08-26 1999-03-15 강의식 개량 실린더형 도어록
US6048007A (en) 1998-09-28 2000-04-11 Arrow Lock Manufacturing Company Lever handle door lock with adapter
KR200259707Y1 (ko) 2001-09-27 2002-01-09 주식회사 엔젤금속 실린더리칼 레버록의 내외측 플레이트 앗세이 간격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1890A (en) 1993-03-11 1996-01-09 Millman; Norman A. Cylindrical lockset knob to lever conversion assembly
KR19990010731U (ko) * 1997-08-26 1999-03-15 강의식 개량 실린더형 도어록
US6048007A (en) 1998-09-28 2000-04-11 Arrow Lock Manufacturing Company Lever handle door lock with adapter
KR200259707Y1 (ko) 2001-09-27 2002-01-09 주식회사 엔젤금속 실린더리칼 레버록의 내외측 플레이트 앗세이 간격조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568B1 (ko) * 2011-07-05 2013-06-21 씨리우스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손잡이
KR20200085582A (ko) 2019-01-07 2020-07-15 주식회사 현대디엘 개량된 시공두께 조절구조를 갖는 도어 잠금장치
KR20200085585A (ko) 2019-01-07 2020-07-15 주식회사 현대디엘 개량된 조립구조의 손잡이 뭉치를 갖는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117A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07836A1 (en) Door handle module and door lock using the same
US8662545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KR100949920B1 (ko)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
US8047586B2 (en) Lock device
CA2454818C (en) Post-removable construction of a door lock device
WO2014203929A1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EP2354384B1 (en) Vehicle door handle system
KR100870835B1 (ko) 손잡이의 중립구조가 마련된 도어 손잡이 모듈
WO2005111347A1 (en) Divided spindle
KR101306460B1 (ko) 분할 스핀들
JP5150526B2 (ja) ドアラッチ装置
JP2009527662A (ja) ドア若しくは窓のハンドルの固定機構
JP7006434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5129551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US11828326B2 (en) Control system using a control cable, an adapter element for such a system, and a control cable having such an adapter element
JP5279445B2 (ja) ラッチ装置
EP3991004B1 (en) A control system using a control cable, an adapter element for such a system, and a control cable having such an adapter element
KR200247480Y1 (ko) 실린더리칼레버록
EP3670801B1 (en) A hinge arrangement
CN111622607B (zh) 具有防尘盖的锁具组件
KR20090000457U (ko) 도어로크의 레버와 일체식으로 구성된 스핀들의 설치구조
WO2022138091A1 (ja) ヒンジ
KR20210051160A (ko)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장치
KR200404488Y1 (ko) 일체형 래치커버
JP3213841U (ja) 窓用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