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457U - 도어로크의 레버와 일체식으로 구성된 스핀들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도어로크의 레버와 일체식으로 구성된 스핀들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457U
KR20090000457U KR2020070011482U KR20070011482U KR20090000457U KR 20090000457 U KR20090000457 U KR 20090000457U KR 2020070011482 U KR2020070011482 U KR 2020070011482U KR 20070011482 U KR20070011482 U KR 20070011482U KR 20090000457 U KR20090000457 U KR 200900004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coupling
lever
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4924Y1 (ko
Inventor
배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070011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92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4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9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6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by means arranged in or on the rose or escutche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1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by a bipartite or cleft spindle in the follower or in the handle sh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로크의 레버와 플레이트의 중심으로 설치되는 스핀들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조의 레버와 결합부를 중심으로 플레이트를 결합시킨 후 스핀들을 끼우게 되는 통상의 도어로크 레버 어셈블리에 있어서, 레버(10)의 결합부(12) 중심에 긴결되어 형성된 스핀들(50) 결합을 위한 결합링 하단(12)과 결합링의 내부가 공간으로 이루어진 결합링 하단 공간부(13)가 있고, 그 결합링의 상단(15)에는 플레이트(20)와 레버(10)의 결합을 위한 결합링 상단(15)과 그 내부에는 결합링 상단 링홈(14)이 있으며 상단 링홈(14)의 끝단부에는 스프링홀더(40)와 그 중심에는 스핀들(50)을 끼울 수 있는 통공부(45)가 있으며 그곳에 끼워지는 스핀들의 일측에는 홈부(53)가 있어 통공부(45)에 끼워진 스핀들(50)이 통공부(45)에서 빠지지 않도록 E형 멈춤링(35)을 배치하고 결합링 상단 링홈(14)에는 원추형 스프링(30)을 배치하여 스핀들(50)이 결합시 길이의 조절이 용이토록 구성하여 레버(10)와 결합링 그리고 플레이트(20)과 스핀들이 일체식으로 제조과정에서 어셈블리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치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소비자들이 직접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상품성이 매우 우수한 제품이다.
스핀들, 스냅링, 레버 어셈블리, 결합링, 와셔

Description

도어로크의 레버와 일체식으로 구성된 스핀들의 설치구조{THE ESTABLISHMENT STRUCTURE OF SPINDLE WHICH IS COMPOSED OF THE LEVER AND ALL OF DOOR LOCK}
기계금속분야
본 고안은 도어로크의 레버와 레버셋트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스핀들의 일체식 어셈블리화를 위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레버의 힘과 기능을 전달하는 불리된것을 결합하여 완성하는 통상의 도어로크의 스핀들에 있어서 도어랫치 내부에 설치된 켐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레버와 결합되는 쌍방의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양측 스핀들이 켐결합부가 연결된체 양측방향의 레버 중 어느 한쪽의 노브뭉치에 조립형태를 구성하여 어셈블리한 도어로크와 어셈블리화된 스핀들이 레버의 결합공에 미리 결합되어 있게 하므로서 도어로크의 설치가 매우 용이함고 동시에 도어로크 셋트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핀들은 도어로크의 랫치에 잠김을 위해서 구동되게 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즉 일반적인 도어로크는 실린더의 작동을 위해 도어랫치 셋트가 도어의 잠김설정을 위하여 도어의 설치부내에 설치되는 랫치셋트에서 문이 문틀에 걸리게 하는 랫치볼트를 작동시키는 켐이 안쪽켐과 바깥쪽켐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각각의 켐이 도어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설치되는 레버셋트와 각각의 스핀들과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렛치 셋트를 구동시키는 스핀들은 도어에 설치된 랫치셋트의 랫치 볼트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스핀들의 구성적 요소는 도어로크의 구성에 있어서는 중요한 부분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레버셋트와 스핀들의 제조과정이나 설치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도 6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도어로크 손잡이 레버(110)일측 중심축에 요삽된 결합부(115)가 있고 그 일측에 스핀들 공간부가 있어 플레이트(120)이 체결된 후 래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스핀들(130)을 찾아서 끼워야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랫치셋트를 도어의 설치부에 설치하고 노브와 랫치셋트의 결합을 위하여 랫치셋트의 안쪽켐과 바깥쪽켐의 중앙에 형성된 사각공에 각각의 스핀들의 양단부에 안쪽과 바깥쪽 레버를 결합하게 되며 안쪽켐과 바깥쪽켐이 결합하게 된다. 그런 다음 스핀들 양단부에 각각의 안쪽과 바깥쪽 노브를 결합한 후 도어의 안쪽과 바깥쪽 커버를 결합나사를 이용해 서로 체결 하므로서 도어로크 셋트가 설치완료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랫치 셋트의 안쪽켐과 바깥쪽켐을 각각 스핀들을 기워서 결합하는 과정에서 두 켐들의 개별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반드시 하단의 스핀들이 정확하게 하단의 켐에만 끼워져서 결합되어야 하지만 랫치셋트의 내부에는 안쪽켐과 바깥쪽켐이 필요에 따라서 서로 연동할 수 있도록 두켐을 맞닿게 설치하기 때문에 각 스핀들이 켐의 사각공에 결합된 후에 각 스핀들의 안쪽에 노브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스핀들이 한쪽 방향으로 밀리면서 한쪽의 스핀들이 두켐의 사각공에 모두 끼워져 머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켐이 정확한 작동을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도어랫치의 작동이 불가능해 지므로 설치에 신중을 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스핀들이 잘못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양쪽에서스핀들을 각각 안쪽켐과 바깥쪽켐에 끼운 후에 일일이 양쪽의 스핀들의 결합상태 를 확인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스핀들과 레버셋트가 불린된 상태에서 작업해야 하므로 제조과정에서 레버셋트와 스핀들을 별도의 공정으로 각각 생산한 후 검사하고 분리 포장 하므로써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제품의 생산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랫치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양방향의 레버 어셈블리에 있어서 레버의 결합부 중심에 형성된 스핀들 결합공의 내면 상하부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스핀들 결합공의 입구에는 가이드 홈부를 따라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돌편 투입홈을 형성하여 스핀들 결합공 내부에 코일스프링을 투입한 후 핀결합에 스핀들 밑단부를 끼워서 결합하여 레버 플레이트의 통공부 상하로 형성된 결합돌편이 레버의 결합부에 형성된 투입홈에 레버 플레이트를 결합부에 끼우고 결합부의 단부에 스냅링을 체결하여서 된 통상의 스핀들 양쪽 고정 레버어셈블리(20-0296127호)에 있어서도 사실상 실사용에 적용하여 설치시에는 한쪽의 레버편에 고정설치된 스핀들 끝단의 켐결합부와 다른한쪽의 레버로부터 시작된 레버 어셈블리에 고정 설치된 스핀들 끝단 켐결합을 설치자의 육감으로 조중하여 맞춘 후 결합하여야 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노출되어 전문설치자들도 꺼려하는 실태에까지 도래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랫치 셋트에서 안쪽켐과 바깥쪽켐에 각각 결합되는 양쪽에 설치될 스핀들을 도어의 안밖에 설치되는 레버의 양쪽중 한쪽 레버의 결합공에 끼워서 결합하되, 핀결합공의 내부에는 원추형 스프링을 내장시켜 스핀들이 핀결합공에서 탄력적으로 출입할 수 있게 하므로 써 레버셋트와 양쪽의 스핀들이 한쌍이되어 한셋트를 구성케 하여 길게 나온 스핀들의 사각봉을 랫치 어셈블리를 통과하여 반대편 노브셋트의 결합부에 쉽게 끼우기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는 보다 편리하고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스핀들의 형태를 더욱 단순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과정에서 내, 외측의 양방향에 있는 레버 어셈블리에 끼워지는 2개의 스핀들을 제조과정에서 켐결합부(60)를 결합하여 양 방향 중 그 한편의 레버 어셈블리에 일체식으로 구성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 작업시 길게 돌출된 스핀들의 사각봉으로 인하여 전문인력이나 일반사용자가 보다 쉽고 신속하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과 사용성을 높인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어의 안, 밖에 설치되는 플레이트(20)의 중심 통공부(25)에 각각의 양방향에서 레버(10)를 회동 가능케 설치한 한조의 레버 어셈블리에 끼워지는 2개의 스핀들을 제조과정에서 스핀들의 켐결합부(60)을 결합하여 양 방향 중 한편의 레버 어셈블리를 선택하여 레버(10)의 결합부(12) 중심에 삽입하여 형성된 스핀들(50) 결합을 의한 결합링 하단(12)과 결합링의 내부가 공간으로 이루어진 결합링 하단 공간부(13)가 있고, 그 결합링의 상단(16)에는 플레이트(20)와 레버(10)의 결합을 위한 결합링 상단(16)의 그 내부에는 결합링 상단 공간부(14)가 있으며 상단 공간부(14)의 끝단부에 스프링 홀더(40)와 그 중심에는 스핀들(50)을 끼울 수 있는 통공부(15)가 있으며 그곳에 끼워지는 스핀들이 통공부(45)에서 빠지지 않도록 스핀들(50) 하단부에 스핀들 홈부(53)에는 E형 멈춤링(35)을 배치하고 결합링 상단 공간부(14)에는 원추형 스프링(30)을 배치하여 스핀들(50)이 결합시 길이의 조절이 용이토록 구성하여 레버(10)와 결합링(12) 그리고 플레이트(20)와 스핀들(50)이 일체식으로 제조과정에서 어셈블리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치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소비자들이 직접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상품성이 매우 우수한 제품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양방향의 스핀들(50)이 항상 레버(10)의 스핀들 결합공(45)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시에는 제조공정이나 검사공정을 보다 더욱 간소화 시킬 뿐 아니라 생산성도 향상되고 설치하는 과정에서도 길게 나온 스핀들(50)의 돌출 단부를 일측의 스핀들 결합공(45)에 끼우기만 하면 체결이 완성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설치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 내용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1은 본고안의 주요 구성부를 나타내기 위해 도어 레버 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로써, 도면과 같이 레버는 손잡이부에서 직각으로 형성된 몸체부의 선단부에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결합부(12)에는 일반적 공지사실과 같이 플레이트(20)가 끼워지고 레버의 결합링(12)에 형성된 스핀들 결합공(13)의 외부 끝단에는 링홈(14)이 있고 결합링 상단 공간부(16) 속에 끼워진 일측 스핀들(50) 하단에 있는 스핀들 홈부(53)에는 E형 멈춤링(35)이 끼워져서 원추형의 스 프링(30)이 스핀들을 긴장감 있게 팽팽하고 곧게 버티고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원추형의 스프링(30)은 스프링의 탄력성을 유연하게 만들고 탄력점을 높여서 탄력을 받아줄 수 있으므로 스핀들의 작용시 그 탄력의 폭을 최대치까지 확대시킬 수가있다. 또한 원추형의 스프링은 막대모양 용수철 스프링과는 대조적으로 탄력이 부드럽고 오랫동안 탄성을 잃지 않는 장점이 있다.
플레이트(20)과 레버(10)의 결합을 위한 결합링 상단 공간부(14)의 끝단부에는 스프링 홀더(40)와 그 중심에는 스핀들(50)을 끼울 수 있는 통공부(45)가 있으며 그곳에서 끼워진 스핀들이 통공부(45)에서 빠지지 않도록 스핀들(50) 하단부에 스핀들 홈부(53)에는 E형 멈춤링(35)을 배치한 것이 스핀들을 빠지지 못하도록 잡고 있으며 결합링 상단 공간부(14)에는 원추형 스프링(30)을 배치하여 원추형의 스프링은 탄력을 부드럽고 그 탄성이 오랫동안 균일하게 지속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또한 원추형의 스프링(30)은 스핀들(50)을 랫치와 상대편 레버 어셈블리에 결합시 스프링에 의한 스핀들의 설치 탄력으로 길이조정의 역할을 하게 되는 기능이 있다.
레버와 결합링(12)(16) 플레이트(20)의 중심으로 구성된 통공부(25)(45)를 스핀들(50)이 일체식으로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포장시에도 부품의 유실이나 설치작업시 돌출된 스핀들(50)을 반대편 레버 어셈블리의 통공부에만 끼우면 간단하게 설치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수 있어 전문기술자뿐 아니라 일반소비자 들이 직접설치가 용이한 상품성이 매우 우수하고 결합링상단 공간속에 위치한 원추형의 스프링(30)은 도어의 두께가 얇 거나 두꺼운 것에 관계없이 두께에 따라 전체길이가 필요길이로 단축되기 때문에 다양한 두께를 가진 도어에 대하여 별다른 조정 없이도 일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 레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2 : 레버 분해 단면도
도 3 : 레버 조립 확대도
도 4 : 레버 조립 사시도
도 5 : 도어로크 레버뭉치와 스핀들 구조 기존의 제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레버 (11)--레버공
(12)(115)--결합부 (13)-- 스핀들 결합공
(14)--링홈 (15)--와셔
(16)--와셔공 (17)--결합부 상단 공간부
(20)(120)--플레이트 (22)--결합부 하단
(25)--플레이트 통공 (30)--원추형 코일 스프링
(35)--E형멈춤링 (40)--스프링홀더
(45)--스핀들 결합공 (50)(130)--스핀들
(53)--스핀들홈 (55)--스냅링
(60)--스핀들 켐 결합부 (140)--랫치

Claims (2)

  1. 도어의 안, 밖에 설치되는 플레이트(20)의 중심 통공부(25)에 각각의 양방향에서 레버(10)를 회동가능케 설치한 한조의 레버 어셈블리에 끼워지는 2개의 스핀들을 제조과정에서 스핀들(50)의 켐결합부(60)을 결합하여 양방향중 한편의 레버 어셈블리를 선택하여 선택한 레버 에셈블리의 결합부(12)와 결합부 하단(22)의 외부에는 플레이트(20)와 레버(10)가 설치되고 결합부 상단(16) 내부에는 와셔(15)가 위치하며 그 위에 스프링(30)이 배치되고 그 위에 켐결합부(60)에 의해 결합 된 스핀들(50)이 E형 멈춤링(35)에 의하여 스핀들홈부(53)에 긴결된 채 위치한 것을 스프링 홀더(40)에 의해 안착시킨 후, 스냅링(55)에 의하여 고정한 양방향의 레버에 의하여 각각 구동되는 스핀들을 켐결합부(60)에 의하여 결합시켜 일체화시킨 스핀들(50)을 한 방향에서 레버 어셈블리한 스핀들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 상단(16)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30)은 원추형의 스프링으로 된 레버 어셈블리의 스핀들 설치구조.
KR2020070011482U 2007-07-12 2007-07-12 도어로크의 레버와 일체식으로 구성된 스핀들의 설치구조 KR200444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482U KR200444924Y1 (ko) 2007-07-12 2007-07-12 도어로크의 레버와 일체식으로 구성된 스핀들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482U KR200444924Y1 (ko) 2007-07-12 2007-07-12 도어로크의 레버와 일체식으로 구성된 스핀들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457U true KR20090000457U (ko) 2009-01-15
KR200444924Y1 KR200444924Y1 (ko) 2009-06-16

Family

ID=4129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482U KR200444924Y1 (ko) 2007-07-12 2007-07-12 도어로크의 레버와 일체식으로 구성된 스핀들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9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56731A1 (en) * 2021-05-05 2022-11-10 Assa Abloy Access And Egress Hardware Group, Inc. Door lock assembly with self adjusting spind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640B1 (ko) * 2012-06-15 2014-04-04 서인조 탈부착 가능 문 손잡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56731A1 (en) * 2021-05-05 2022-11-10 Assa Abloy Access And Egress Hardware Group, Inc. Door lock assembly with self adjusting spind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924Y1 (ko)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3516U (ko) 실린더리칼 도어록
US20040189022A1 (en) Post-removable construction of a door lock device
US20030167809A1 (en) Cylinder assembly for a door lock
US20080111384A1 (en) Spring retainer
KR200444924Y1 (ko) 도어로크의 레버와 일체식으로 구성된 스핀들의 설치구조
US6929290B2 (en) Adjustable button mechanism for a lock
US20130276491A1 (en) Base assembly for a lock
KR200469387Y1 (ko) 배전반용 핸들
KR200296127Y1 (ko) 도어랫치 어셈블리의 스핀들 설치구조
KR100949920B1 (ko)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정
US20070051144A1 (en) Rotation pipe of handle
KR101039721B1 (ko) 기어 노브 체결 구조
KR20130036831A (ko) 도어록 구조
KR100881291B1 (ko) 장착이 용이한 도어록 구조
JP4378007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20150167361A1 (en) Outside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KR102203566B1 (ko) 도어록의 래치볼트 구동용 스핀들
KR20020023290A (ko)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TWI687955B (zh) 具限位功能之開關組件
KR200435139Y1 (ko) 도어록용 레버 샤프트
KR200314887Y1 (ko) 레버록의 레버구조
KR200271118Y1 (ko)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102375402B1 (ko) 도어락 장치
CN220255856U (zh) 一种插扣及其应用的织带
CN209457515U (zh) 一种执手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