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876Y1 - 창문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구조 - Google Patents

창문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876Y1
KR200413876Y1 KR2020060002674U KR20060002674U KR200413876Y1 KR 200413876 Y1 KR200413876 Y1 KR 200413876Y1 KR 2020060002674 U KR2020060002674 U KR 2020060002674U KR 20060002674 U KR20060002674 U KR 20060002674U KR 200413876 Y1 KR200413876 Y1 KR 200413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il spring
locking device
window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판대
Original Assignee
이판대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판대,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이판대
Priority to KR2020060002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8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가 항상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한 창문 자동잠금장치용 손잡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여 염가 제작이 가능하고, 정확한 작동성이 보장되게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창문프레임에 고정되는 스탠드(3)에 코일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4)이 원 상태로 복원되는 창문 자동잠금장치용 손잡이구조(1)에 있어서, 핸들(4)이 일체 형성되며, 자동잠금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축(5)이 끼움 결합되도록 축공(6a)이 형성되고 스탠드(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브(6)와, 슬리브(6)에 코킹(calking)고정되며, 외측으로 스토퍼(8b)가 형성되고, 스토퍼(8b) 반대쪽에 2개의 걸림홈(8c)이 형성되며, 걸림홈(8c)들 사이에 작동공간(8d)이 함몰 형성된 원통형 스프링하우징(8)과, 스프링하우징(8)에 형성된 안치부(8a)에 내장되며 어긋나는 각도로 절곡 형성된 2개의 걸림단(7a)을 갖는 코일스프링(7)과, 슬리브(6) 중심을 기준으로 스탠드(3)의 배면 상하측 좌우에 대칭되게 형성된 스프링하우징(8)의 스토퍼(8b)가 내입되는 작동공(3a) 및 코일스프링(7)의 걸림단(7a)이 결합되는 결합홈(3b)과, 스탠드(3)의 배면에 결합되며 코일스프링(7)과 접하는 지지돌기(9a)가 내측으로 형성된 배면커버(9)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코일스프링(7)을 결합함에 있어 불량 없이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이 기대되는 것이다.
창문, 자동잠금장치, 슬리브, 스프링하우징, 작동공간, 걸림단

Description

창문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구조{Structure of a handle of automatic locking device of a window}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배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면커버가 분리된 상태 배면도로서 핸들이 오른쪽으로 회동되게 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면커버가 분리된 상태 배면도로서 핸들이 왼쪽으로 회동되게 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창문 자동잠금장치용) 손잡이구조 2:창틀프레임
3:스탠드 3a:작동공
3b:결합홈 4:핸들
5:구동축 6:슬리브
6a:축공 7:코일스프링
7a:걸림단 8:스프링하우징
8a:안치부 8b:스토퍼
8c:걸림홈 8d:작동공간
9:배면커버 9a:지지돌기
본 고안은 창문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가 항상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한 창문 자동잠금장치용 손잡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성이 간단하여 염가 제작이 가능하고, 정확한 작동성이 보장되게 한 것이다.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창문에 설치되는 창문용 잠금장치는 창문에 고정되는 핸들 회동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로드의 상하측으로 훅을 고정하고 창틀에 훅이 내입 걸림되는 스트라이크(striker)를 설치하여 창문을 록킹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창문용 잠금장치는 핸들을 수직방향으로 세웠을 때 언록킹되고, 핸들을 90도 회동시킬 때 로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창문이 외부에서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유리로 구성되어 있는 바, 핸들 위치만으로도 창문의 록킹 상태가 외부에서 쉽게 확인되므로 도난 등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록킹을 행하지 않을 경우 창틀과 창문 사이에 공 간이 생기게 되므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소음이나 바람이 창틀과 창문 사이에 생긴 공간을 통해 실내로 전달되므로 해서 방음, 방풍성이 떨어지게 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창문을 닫을 때 항상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창문용 자동잠금장치를 고안하여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한 종래 창문용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 구성은 로드를 작동한 후 곧바로 원상 복원 될 수 있도록 스탠드 내측에 복원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복원수단은 스토퍼 및 코일스프링의 결합상태에 따라 좌우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원수단은 스탠드 배면으로 노출되는 슬리브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과, 코일스프링을 가압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 걸림편이 형성된 와셔와, 코일스프링의 양단부가 각각 걸림되도록 스탠드의 중앙 및 와셔의 좌우에 형성한 걸림턱과, 걸림편 좌우의 스탠드에 형성한 고정핀과, 이들 고정핀 중 코일스프링의 양단과 대칭되는 위치의 고정핀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손잡이는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슬리브에 코일스프링을 결합한 상태에서 스탠드 및 와셔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을 이용하여 코일스프링의 양단을 지지되게 한 상태에서 슬리브에 와셔를 고정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코일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와셔가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결합이 매우 어려웠고, 또한 불량률이 증가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있어 이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 창문 잠금장치용 손잡이구조에 있어서의 조립상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슬리브에 스프링하우징을 결합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을 결합하도록 개량하여 손잡이의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 해서 코일스프링 결합에 따른 불량률 저하, 생산성 향상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손잡이구조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안출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창문 자동잠금장치용 손잡이의 배면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 도 4는 본 고안의 코일스프링 결합 배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창문 자동잠금장치용 손잡이구조(1)는 창틀프레임(2)에 고정되는 스탠드(3)에 핸들(4)이 일체 형성되며, 자동잠금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축(5)이 끼움 결합되도록 축공(6a)이 형성된 슬리브(6)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슬리브(6)에는 코일스프링(7)을 내장할 수 있는 안치부(8a)가 형성된 원통형 스프링하우징(8)을 코킹(calking)고정한다.
상기 스프링하우징(8)에는 스토퍼(8b)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스토퍼(8b) 반 대쪽에는 2개의 걸림홈(8c)을 형성하며, 이들 2개의 걸림홈(8c) 사이에는 함몰된 작동공간(8d)을 형성한다. 그리고 스프링하우징(8)의 안치부(8a)에 안치되는 코일스프링(7)에는 어긋나는 각도로 2개의 걸림단(7a)을 절곡 형성한다.
한편 스탠드(3)의 배면에는 슬리브(6)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측 좌우에 스프링하우징(8)의 외측에 형성되는 스토퍼(8b)가 내입되는 작동공(3a)과, 코일스프링(7)의 걸림단(7a)이 결합되는 결합홈(3b)을 대칭되게 형성하며, 스탠드(3)의 배면에는 배면커버(9)를 끼움 결합하고, 배면커버(9) 내부에는 코일스프링(7)과 접하는 지지돌기(9a)를 돌출되도록 형성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창문을 닫을 때 항상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자동잠금장치용 손잡이구조(1)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조립 및 작용 등을 설명한다.
본 고안 손잡이구조(1)의 조립은 스탠드(3)에 핸들(4)이 일체 형성된 슬리브(6)를 결합한 상태에서 스탠드(3) 배면측으로 슬리브(6)에 스프링하우징(8)을 결합하여 코킹 고정한다.
이때 핸들(4)의 회동 방향에 따라 스프링하우징(8)의 결합 방향이 다르다. 즉, 배면에서 볼 때 핸들(4)이 우측으로 회동되도록 할 경우에는 스프링하우징(8)에 형성된 스토퍼(8b)가 스탠드(3)의 상측에 형성된 작동공(3a)에 내입하고, 반대로 핸들(4)이 좌측으로 회동되도록 할 경우에는 스프링하우징(8)에 형성된 스토퍼(8b)가 스탠드(3)의 하측에 형성된 작동공(3a)에 내입하면 된다.(도 3 내지 도 4참 조)
상기와 같이 스프링하우징(8)을 결합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7)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걸림단(7a) 중 일측 걸림단(7a)은 스토퍼(8b)가 결합되는 작동공(3a)의 반대 측에 형성된 걸림홈(3b)에 결합하고, 타측 걸림단(7a)은 스프링하우징(8)의 일측 걸림홈(8c)에 끼운 다음 스탠드(3)에 배면커버(9)를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슬리브(6)의 축공(6a)에 자동잠금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축(5)을 결합한 상태에서 창문프레임에 스탠드(3)를 고정하여 사용하면 되는데,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잠금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핸들(4)을 회동시킨 후 자동잠금장치와는 무관하게 핸들(4)이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즉, 핸들(4)을 회동하게 되면 스프링하우징(8)에 내입된 상태로 양측 걸림단(7a)이 스탠드(3) 및 스프링하우징(8)에 형성된 걸림홈(3b)(8c)에 걸림된 상태에서 수축된다. 이때 스탠드(3)의 걸림홈(3b) 결합되어 있는 걸림단(7a)은 스프링하우징(8)의 양측 걸림홈(8c)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공간(8d)을 따라서 자연스럽게 수축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핸들(4)을 회동한 한 상태에서 핸들(4)에 가한 힘이 해제되면 상기와 같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코일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4)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작동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 및 작용되는 본 고안 창문용 자동잠금장치용 손잡이구조 (1)는 슬리브(6)에 스프링하우징(8)을 결합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7)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코일스프링(7)을 결합함에 있어 불량 없이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이 기대되는 실용성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창문프레임에 고정되는 스탠드(3)에 코일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4)이 원 상태로 복원되는 창문 자동잠금장치용 손잡이구조(1)에 있어서,
    핸들(4)이 일체 형성되며, 자동잠금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축(5)이 끼움 결합되도록 축공(6a)이 형성되고 스탠드(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브(6)와,
    슬리브(6)에 코킹(calking)고정되며, 외측으로 스토퍼(8b)가 형성되고, 스토퍼(8b) 반대쪽에 2개의 걸림홈(8c)이 형성되며, 걸림홈(8c)들 사이에 작동공간(8d)이 함몰 형성된 원통형 스프링하우징(8)과,
    스프링하우징(8)에 형성된 안치부(8a)에 내장되며 어긋나는 각도로 절곡 형성된 2개의 걸림단(7a)을 갖는 코일스프링(7)과,
    슬리브(6) 중심을 기준으로 스탠드(3)의 배면 상하측 좌우에 대칭되게 형성된스프링하우징(8)의 스토퍼(8b)가 내입되는 작동공(3a) 및 코일스프링(7)의 걸림단(7a)이 결합되는 결합홈(3b)과,
    스탠드(3)의 배면에는 결합되며 코일스프링(7)과 접하는 지지돌기(9a)가 내측으로 형성된 배면커버(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잠금장치용 손잡이.
KR2020060002674U 2006-01-27 2006-01-27 창문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구조 KR200413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674U KR200413876Y1 (ko) 2006-01-27 2006-01-27 창문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674U KR200413876Y1 (ko) 2006-01-27 2006-01-27 창문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876Y1 true KR200413876Y1 (ko) 2006-04-11

Family

ID=4176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674U KR200413876Y1 (ko) 2006-01-27 2006-01-27 창문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87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21Y1 (ko) 2008-06-18 2011-02-08 김용범 도어용 손잡이
KR200460413Y1 (ko) * 2011-07-20 2012-05-24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200460414Y1 (ko) 2011-09-19 2012-05-24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101195842B1 (ko) 2009-04-13 2012-10-30 김용범 잠금장치용 핸들
KR101396130B1 (ko) 2012-11-12 2014-05-19 임종임 핸들의 양방향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핸들 조립체
KR101396135B1 (ko) 2012-11-12 2014-05-19 임종임 핸들의 양방향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핸들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21Y1 (ko) 2008-06-18 2011-02-08 김용범 도어용 손잡이
KR101195842B1 (ko) 2009-04-13 2012-10-30 김용범 잠금장치용 핸들
KR200460413Y1 (ko) * 2011-07-20 2012-05-24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200460414Y1 (ko) 2011-09-19 2012-05-24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101396130B1 (ko) 2012-11-12 2014-05-19 임종임 핸들의 양방향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핸들 조립체
KR101396135B1 (ko) 2012-11-12 2014-05-19 임종임 핸들의 양방향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핸들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9014Y1 (ko)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KR200413876Y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구조
KR200439303Y1 (ko) 창문 잠금장치용 손잡이
JP2011042937A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KR200456348Y1 (ko) 창문잠금장치용 손잡이 결합구조
KR101028157B1 (ko)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KR200409479Y1 (ko) 버튼식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KR101627578B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KR200410238Y1 (ko)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KR100918383B1 (ko) 소형주택의 도어록 기구
KR200477204Y1 (ko) 창문용 록 장치
KR100663944B1 (ko) 미닫이식 창호의 업다운 메카니즘
JP5349280B2 (ja) 引戸の施錠装置
KR20090022109A (ko) 회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09630Y1 (ko) 창문용 잠금장치의 핸들 결합구조
KR200466047Y1 (ko) 리프트창문용 잠금장치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KR200463156Y1 (ko) 창문 잠금장치
KR100886036B1 (ko)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KR20140000485U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JP2007070922A (ja) 錠前におけるデッドボルト駆動機構
KR200459082Y1 (ko) 출입문용 잠금장치
JP3213841U (ja) 窓用ロック装置
KR200416483Y1 (ko) 윗 열기와 여닫이 겸용 시스템창호의 세팅수단
KR200451391Y1 (ko) 도어락의 회동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