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364A - 소형주택의 도어록 기구 - Google Patents

소형주택의 도어록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364A
KR20090051364A KR1020070117716A KR20070117716A KR20090051364A KR 20090051364 A KR20090051364 A KR 20090051364A KR 1020070117716 A KR1020070117716 A KR 1020070117716A KR 20070117716 A KR20070117716 A KR 20070117716A KR 20090051364 A KR20090051364 A KR 20090051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ever
door lock
rotational for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383B1 (ko
Inventor
정주석
Original Assignee
(주)베스트메탈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트메탈라인 filed Critical (주)베스트메탈라인
Priority to KR1020070117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3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1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본체(10) 상에 개폐용 레버와 잠금용 레버를 구비하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레버와 연결되는 제1레버홀(21)을 구비하고, 스프링(26)(36)에 의한 일방향 탄성 회전력을 받는 제1캠(23); 상기 잠금용 레버와 연결되는 제2레버홀(22)을 구비하고, 스프링(46)에 의한 일방향 또는 타방향의 탄성 회전력을 받는 제2캠(24); 상기 제1캠(23)의 회전력을 접촉편(32)으로 받아 직선운동하고, 봉형몸체(31) 상에 스프링(36)(37)을 구비하는 래치볼트(30); 및 상기 제2캠(24)의 회전력을 판형몸체(41) 상의 일측 접촉돌기(42)(44)로 받아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데드볼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오피스텔이나 원룸과 같은 소형 주택에서도 저렴한 설치 또는 교체 비용을 들여 방범에 대비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소형, 오피스텔, 원룸, 도어록, 잠금, 로크

Description

소형주택의 도어록 기구{Door lock device for small housing}
본 발명은 도어록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피스텔이나 원룸과 같은 소형주택에서도 저렴한 설치 또는 교체 비용을 들여 방범에 대비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소형주택의 도어록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 오피스텔이나 원룸과 같은 독립 주거형 소형주택의 수요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데, 일반 주택과 같은 고가의 도어록이 요구되지는 않지는 하지만 방범 기능의 강화가 선호된다. 더구나 일정 장소에서 주거하는 기간이 늘어날수록 최소한의 비용으로 도어록을 교체하려는 추세도 형성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22505호는 전자식 도어록이나 기계식 도어록이 각각 별개의 구동원에 의해 작동됨으로 해서 여러 가지 번거로운 문제점과 그 구성이 복잡함과 그로 인한 제조상의 과다한 경제적 비용이 든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구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구성은 『데드보울트(40)와 래치보울트(50) 사이에 핸들축이 끼워지는 사각관통홀(62)을 갖춘 회전부(60)와 공회전부(70) 및 회전링크(80)를 설치하여 서로 연동하도록 하되, 상기 회전부(60)에는 측단면상 높이의 편차를 갖는 제1 암(63)과 제2암(64) 및 제3암(65)을 외주면에 형성하여 데드보울트(40)와 래치보울트(50)의 작동을 연동되도록 하고, 상기 공회전부(70)는 공회전축(71)에 제1회전링크(72)와 제2회전링크(73)를 설치하여 회전부(60)의 제3암(65)이 제1회전링크(72)를 작동시켜서 래치보울트(5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회전부(60)의 제1암(63)이 데드보울트(40)를 작동시키도록 』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래치보울트와 데드보울트를 중심으로 하고 이를 상호 연동시켜 양호한 방범 기능의 발휘가 기대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래치보울트와 데드보울트에 연계되는 부품을 단순화시켜 원가절감을 도모할 여지가 크다는 단점도 지니고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22505호 “도어록 잠금장치”
[문헌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25949호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피스텔이나 원룸과 같은 소형 주택에서도 저렴한 설치 또는 교체 비용을 들여 방범에 대비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소형 주택의 도어록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일한 본체 상에 개폐용 레버와 잠금용 레버를 구비하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레버와 연결되는 제1레버홀을 구비하고, 스프링에 의한 일방향 탄성 회전력을 받는 제1캠; 상기 잠금용 레버와 연결되는 제2레버홀을 구비하고, 스프링에 의한 일방향 또는 타방향의 탄성 회전력을 받는 제2캠; 상기 제1캠의 회전력을 접촉편으로 받아 직선운동하고, 봉형몸체 상에 스프링을 구비하는 래치볼트; 및 상기 제2캠의 회전력을 판형몸체 상의 일측 접촉돌기로 받아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캠은 왕복행정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변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는 최대한 인접시키는 반면 제1캠과 제2캠을 상대적으로 이격시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 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형주택의 도어록 기구에 의하면 오피스텔이나 원룸과 같은 소형 주택에서도 저렴한 설치 또는 교체 비용을 들여 방범에 대비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언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본체(10) 상에 개폐용 레버와 잠금용 레버를 구비하는 도어록에 관련된다. 도시에는 생략되나 개폐용 레버는 평상시 도어를 열고 닫기 위한 용도이고, 잠금용 레버는 열쇠로 잠그기 위한 용도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소형 구조를 목적으로 하므로 잠금용 레버는 반드시 키실린더 방식이 아니고 노브(knob) 방식으로 되어도 무방하다. 소형 주택에 신규로 설치하는 것은 물론 기존에 설치된 것을 제거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한다. 본체(10)의 일면에는 도어 프레임(미도시)과 대향하도록 도어 상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판(15)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용 레버와 연결되는 제1레버홀(21)을 구비하는 제1캠(23)이 스프링(26)(36)에 의한 일방향 탄성 회전력을 받도록 설치된다. 제1캠(23)은 중앙의 제1레버홀(21)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아암을 지닌 구조로 형성되어 본체(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캠(23)의 일측 아암은 밀편(25)에 접촉하여 일측 스프링(26)의 탄성력을 받고, 타측 아암은 후술하는 래치볼트(30)의 접촉편(32)에 수용되어 또 다른 스프링(36)의 탄성력을 받는다. 이러한 스프링(26)(36)의 탄성력은 모두 제1캠(23)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즉 후술하는 래치볼트(30)를 돌출시켜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잠금용 레버와 연결되는 제2레버홀(22)을 구비하는 제2캠(24)이 스프링(46)에 의한 일방향 또는 타방향의 탄성 회전력을 받도록 설치된다. 제2캠(24)은 제2레버홀(22)을 기준으로 일측에 외팔 아암을 지닌 구조로 형성되어 본체(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캠(24)은 상기 제1캠(23)의 작동과 무관하고 별도의 노브나 레버로 회전되는 것이며, 제2캠(24)의 외팔 아암은 후술하는 데드볼트(40)의 접촉돌기(42)(44)에 의해 좌우운동의 행정이 결정된다. 이러한 제2캠(24)과 연계되는 구성 및 작동은 후술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봉형몸체(31) 상에 스프링(36)(37)을 구비하는 래치볼트(30)가 상기 제1캠(23)의 회전력을 접촉편(32)으로 받아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된다. 래치볼트(30)는 봉형몸체(31)를 일체로 지니는 구조이며 가이드(38) 상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봉형몸체(31)의 중간에는 U자형의 접촉편(32)이 고정되고, 접촉편(32)의 좌우측으로 스프링(36)(37)이 설치된다. 스프링(36)(37)은 봉형몸체(31)와 래치볼트(30)가 일방향, 즉 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U자형의 접촉편(32)의 내면으로는 전술한 제1캠(23)의 일측 아암이 수용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캠(24)의 회전력을 판형몸체(41) 상의 일측 접촉돌기(42)(44)로 받아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데드볼트(40)를 포함한다. 데드볼트(40)는 판형몸체(41)를 일체로 지니는 구조이며 가이드(48) 상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38)(48)는 별개로 구성하지 않고 일체화된 브라켓 형태로 할 수 있다. 데드볼트(40)의 판형몸체(41) 상에는 2지점에 이격되어 접촉돌기(42)(44)가 형성된다. 접촉돌기(42)(44)는 판형몸체(4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핀 구조이다. 전술한 제2캠(24)의 아암은 접촉돌기(42)(44) 사이를 이탈하지 않고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캠(24)은 왕복행정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스프링(46)의 탄성력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변동되도록 설치된다. 스프링(46)은 V형 와이어 구조이며 일단은 판형몸체(41)의 일지점 타단은 제2캠(24)의 일지점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 따라 데드볼트(40)가 좌측단(언로크 상태)에 있을 때에는 좌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지만, 데드볼트(40)가 행정의 중심을 넘어 우측단(로 크 상태)으로 진입하는 순간 우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이는 데드볼트(40)가 로크 또는 언로크 중 하나의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며 임의로 변동되지 않도록 하는 용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래치볼트(30)와 데드볼트(40)는 최대한 인접시키는 반면 제1캠(23)과 제2캠(24)을 상대적으로 이격시켜 배치된다. 만일 기존에 래치볼트(30)만 구비하는 도어록이 설치되어 있다면 도어 프레임에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도어 프레임의 구멍에 래치볼트(30)와 데드볼트(40)가 모두 출입되도록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래치볼트(30)와 데드볼트(40)는 치수가 축소되는 것은 물론 최대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래치볼트(30)를 작동하는 제1캠(23)과 데드볼트(40)를 작동하는 제2캠(24)은 당연하게 이격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작동에 있어서, 우선 래치볼트(30)와 데드볼트(40)가 밀집된 본 발명의 도어록을 도어 프레임에 대향하도록 고정하기만 하면 도어 프레임에 대한 별도의 작업 없이 간단하게 설치가 완료된다. 이후 제1캠(23)의 회전 작동에 의해 래치볼트(30)가 지지판(15)을 출입하거나 제2캠(24)의 회전 작동에 의해 데드볼트(40)가 지지판(15)을 출입하는 기능은 동일하다. 다만 래치볼트(30)의 출입은 완만하게 이루어지지만 데드볼트(40)의 출입은 스프링(46)의 작용에 의해 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록 기구는 오피스텔이나 원룸과 같은 소형 주택에서도 저렴한 설치 또는 교체 비용을 들여 방범에 대비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언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본체 15: 지지판
21, 22: 레버홀 23, 24: 캠
25: 밀편 26, 36, 37, 46: 스프링
30: 래치볼트 31: 봉형몸체
32: 접촉편 38, 48: 가이드
40: 데드볼트 41: 판형몸체
42, 44: 접촉돌기

Claims (3)

  1. 동일한 본체(10) 상에 개폐용 레버와 잠금용 레버를 구비하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레버와 연결되는 제1레버홀(21)을 구비하고, 스프링(26)(36)에 의한 일방향 탄성 회전력을 받는 제1캠(23);
    상기 잠금용 레버와 연결되는 제2레버홀(22)을 구비하고, 스프링(46)에 의한 일방향 또는 타방향의 탄성 회전력을 받는 제2캠(24);
    상기 제1캠(23)의 회전력을 접촉편(32)으로 받아 직선운동하고, 봉형몸체(31) 상에 스프링(36)(37)을 구비하는 래치볼트(30); 및
    상기 제2캠(24)의 회전력을 판형몸체(41) 상의 일측 접촉돌기(42)(44)로 받아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데드볼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주택의 도어록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24)은 왕복행정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스프링(46)의 탄성력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변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주택의 도어록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30)와 데드볼트(40)는 최대한 인접시키는 반면 제1캠(23)과 제2캠(24)을 상대적으로 이격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주택의 도어록 기구.
KR1020070117716A 2007-11-19 2007-11-19 소형주택의 도어록 기구 KR100918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716A KR100918383B1 (ko) 2007-11-19 2007-11-19 소형주택의 도어록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716A KR100918383B1 (ko) 2007-11-19 2007-11-19 소형주택의 도어록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364A true KR20090051364A (ko) 2009-05-22
KR100918383B1 KR100918383B1 (ko) 2009-09-21

Family

ID=4085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716A KR100918383B1 (ko) 2007-11-19 2007-11-19 소형주택의 도어록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3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240B1 (ko) * 2013-01-04 2014-05-16 (주)동영산업 방화도어용 전동 이중 잠금장치
KR101455783B1 (ko) * 2014-06-09 2014-11-04 키락원(주) 조립성이 향상된 모티스 락
CN105952282A (zh) * 2016-07-07 2016-09-21 王永贵 执手锁锁体及执手锁
CN106593092A (zh) * 2016-12-15 2017-04-26 江门市金力高锁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插卡装置的门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54Y1 (ko) 2013-02-28 2014-06-13 주식회사 대현상공 락킹 기능이 개선된 도어용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650Y1 (ko) * 2003-10-07 2004-01-03 (주)베스트메탈라인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0544963B1 (ko) * 2003-10-07 2006-01-24 (주)베스트메탈라인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200382712Y1 (ko) 2005-01-31 2005-04-22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도어록의 래치 결합구조
KR20060113227A (ko) * 2005-04-30 2006-11-02 김태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 락 백세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240B1 (ko) * 2013-01-04 2014-05-16 (주)동영산업 방화도어용 전동 이중 잠금장치
KR101455783B1 (ko) * 2014-06-09 2014-11-04 키락원(주) 조립성이 향상된 모티스 락
CN105952282A (zh) * 2016-07-07 2016-09-21 王永贵 执手锁锁体及执手锁
CN105952282B (zh) * 2016-07-07 2018-05-08 王永贵 执手锁锁体及执手锁
CN106593092A (zh) * 2016-12-15 2017-04-26 江门市金力高锁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插卡装置的门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383B1 (ko) 2009-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383B1 (ko) 소형주택의 도어록 기구
US7390035B2 (en) Self-latching magnetic latching device
CN1813114B (zh) 电动机械圆柱锁
KR101403295B1 (ko) 잠금 메커니즘을 위한 복귀 스프링 조립체
CA2359842C (en) Lever handle controller for mortise lock
KR100895874B1 (ko) 도어록
KR20050036053A (ko) 차량의 트렁크리드 래치어셈블리
AU2011283430B2 (e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CN1881496A (zh) 用来致动具有锁定装置的电开关装置的装置
US20090031768A1 (en) Cylinder lock, clutch device and unlock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KR100872687B1 (ko)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버튼
JP2019183492A (ja) 電気錠
US10669744B2 (en) Mechanical override of an electronic lock
RU2449100C2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KR200413876Y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구조
JP4649305B2 (ja) ドアラッチ装置
KR101924465B1 (ko) 일체형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683129B1 (ko) 창호용 창 잠금장치
KR101666764B1 (ko) 푸시풀형 도어락
KR100862255B1 (ko) 차량의 도어아웃사이드핸들
JP2007070922A (ja) 錠前におけるデッドボルト駆動機構
KR200391810Y1 (ko) 디지털 도어록장치
KR200488916Y1 (ko) 푸시풀 도어 락 장치
KR200451041Y1 (ko) 충격에 의한 걸쇠의 강제이동을 방지하는 문 잠금장치
KR200295259Y1 (ko) 모티스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