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274Y1 -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274Y1
KR200457274Y1 KR2020110000806U KR20110000806U KR200457274Y1 KR 200457274 Y1 KR200457274 Y1 KR 200457274Y1 KR 2020110000806 U KR2020110000806 U KR 2020110000806U KR 20110000806 U KR20110000806 U KR 20110000806U KR 200457274 Y1 KR200457274 Y1 KR 200457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oupling
deck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수
이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성
Priority to KR2020110000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2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2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중공된 제2지지체의 단부를 상기 제2지지체와 다른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1지지체의 측면 상에 결합시키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의 측면 상에 접촉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와 연결되고 상기 제2지지체의 중공된 단부의 내표면에 삽입되는 돌출판을 구비한 결합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지지판 사이를 결합시키는 제1결합수단, 및 상기 제2지지체와 상기 돌출판 사이를 결합시키는 제2결합수단을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에 따르면, 지지체들 사이를 단순 조립하는 방식을 통해 데크 플레이트의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서, 별도의 용접 과정이 필요치 않으며, 시공 시간 및 비용이 절약되고 제품 제품의 치수 안정화를 실현하여 시공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Assembly structure for supporting of deck plate}
본 고안은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판, 발판 등으로 시공되는 데크 플레이트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책로, 수변, 등산로, 공원, 하천, 주택, 펜션 등의 바닥, 발판 등의 시공에는 데크 플레이트가 이용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보통 목재, 합성목재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데크 플레이트들은 서로 측면 간이 연결되어 시공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들의 하부에는 별도의 지지체(ex, 멍에, 장선)가 놓여진다. 이러한 지지체로서 종래에는 금속 재질의 각관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각관형 지지체의 경우, 각관들 끼리를 서로 용접에 의해 연결하여 시공하므로 용접 장비가 별도로 필요하고 시공이 어려우며 설치 비용이 과다하고 용접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용접 과정에서 작업자에 따라 수시로 공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일정 규격을 갖는 지지체 구조물을 다량으로 제조하기 어렵다. 또한 기존의 각관은 금속 재질로서 부식 위험이 있어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시공이 간단하고 시공 비용을 줄이며 제조 공차를 줄일 수 있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중공된 제2지지체의 단부를 상기 제2지지체와 다른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1지지체의 측면 상에 결합시키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의 측면 상에 접촉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와 연결되고 상기 제2지지체의 중공된 단부의 내표면에 삽입되는 돌출판을 구비한 결합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지지판 사이를 결합시키는 제1결합수단, 및 상기 제2지지체와 상기 돌출판 사이를 결합시키는 제2결합수단을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은 중앙부가 중공되고 그 둘레 부분이 상기 제1지지체의 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돌출판은 상기 지지판의 중공된 내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지지체의 내표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지지판의 외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지지체의 외표면을 감싸는 보조돌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수단은 상기 돌출판과 상기 제2지지체 및 상기 보조돌출판 사이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2지지체의 중공된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며, 상기 돌출판은 상기 지지판의 둘레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지지체의 내표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체, 상기 제2지지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돌출판에는, 상기 제1결합수단 또는 상기 제2결합수단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 및 상기 제2지지체는, 비철금속, 플라스틱 또는 합성목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에 따르면, 지지체들 사이를 단순 조립하는 방식을 통해 데크 플레이트의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서, 별도의 용접 과정이 필요치 않으며, 시공 시간 및 비용이 절약되고 제품 제품의 치수 안정화를 실현하여 시공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용 결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8은 도 1의 지지체에 보강물이 삽입된 예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용 결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크 플레이트(40)들은 바닥판, 발판 등으로 사용되는 부분으로서, 그 측면 간이 서로 연결되어 시공되며, 하부에는 이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체(10,20)가 구비된다.
제1지지체(10)의 길이방향은 제2지지체(20)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체(10)의 측면들 상에 제2지지체(20)의 단부를 결합하는 방식을 여러 군데에 반복하는 것에 의해, 데크 플레이트(40)들의 하부에 사각의 틀 형상을 갖는 지지 결합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지지체(10)와 제2지지체(20)는 멍에 부분에 해당된다.
제1지지체(10)의 상부에는 제1지지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장선(50)이 제1지지체(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열 설치된다. 상기 장선(50)은 보통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40)의 지지를 보강하면서 데크 플레이트(40) 들의 길이방향에 대한 평탄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지지체(10)와 제2지지체(20)는 그 길이방향에 대해 내부가 중공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체(10,20)는 비철금속, 플라스틱 또는 합성목재 재질로 형성되는데, 각 재질의 경우 모두 압출 성형 방식을 통해 손쉽게 제조될 수 있다. 비철금속은 부식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후술하게 될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는, 상기 제1지지체(10)의 측면과 제2지지체(20)의 단부 사이의 결합시(A 부분 참조) 뿐만 아니라, 제1지지체(10)의 측면과 기둥보 역할의 제3지지체(30)의 단부 사이의 결합 시(B 부분 참조)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된다. 이러한 결합은 단순 조립을 이용한 방법으로서, 기존의 용접에 비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하고 설치 비용을 절감하며, 대량 제조시에도 제품의 공차 발생을 줄일 수 있어 균일한 규격의 시공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A 부분을 예시로 하여 상기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알아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 구조(100)는 결합프레임(110), 제1결합수단(120), 제2결합수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프레임(110)은 상기 제1지지체(10)의 측면 상에 접촉되는 지지판(111)의 구성과, 상기 지지판(111)와 연결되고 상기 제2지지체(20)의 중공된 단부의 내표면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돌출판(112)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수단(120)은 상기 제1지지체(10)와 상기 지지판(111) 사이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제2결합수단(130)은 상기 제2지지체(20)와 상기 돌출판(112) 사이를 결합시킨다. 제1결합수단(120) 및 제2결합수단(130)은 체결용 볼트, 피스, 못 등의 형태일 수 있는데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2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이는 결합프레임(110)이 상기 제1지지체(10)에 결합되는 구성(a), 그리고 결합프레임(110)이 제2지지체(20)에 결합되는 구성(b)을 구분하여 표시한 것으로서, 고안의 이해를 돕고자 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판(111)은 중앙부가 중공되고 그 둘레 부분의 후면이 상기 제1지지체(10)의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결합수단(120)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돌출판(112)은 상기 지지판(111)의 중공된 내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지지체(20)의 내표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2결합수단(130)으로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일 실시예의 경우, 사각형 판재 형상의 판재를 준비한 다음, 이 판재에
Figure 112011006839215-utm00001
'
Figure 112011006839215-utm00002
'자 형의 칼집을 내어, 칼집이 형성된 부분을 전방으로 젖히는 것에 의해 손쉽게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결합프레임(110)은 지지판(111), 돌출판(112), 보조돌출판(113)을 포함한다. 즉, 이는 상기 도 3의 결합프레임(110)에 보조돌출판(113)의 구성이 추가된 형태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돌출판(113)은 상기 지지판(111)의 외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지지체(20)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다. 그러면, 상기 제2결합수단(130)은 상기 돌출판(112)과 상기 제2지지체(20) 및 상기 보조돌출판(113) 사이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프레임(110)은 상기 돌출판(112)과 보조돌출판(113)을 통해 상기 제2지지체(20)의 면을 'ㄷ'자 형으로 감싸서 그 결합력을 증강시키고, 제품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프레임(110a)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지지판(111a)은 상기 제2지지체(20)의 중공된 내부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며, 상기 제1지지체(10)의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결합수단(120a)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돌출판(112a)은 상기 지지판(111a)의 둘레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지지체(20)의 내표면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제2결합수단(130a)에 의해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도시된 결합프레임(110,110a)은 철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 프레스, 절곡, 절단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비철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 프레스, 다이캐스팅, 주물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는 경우, 사출 성형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결합프레임(110,110a)은 합성 목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그 강도를 고려한다면 비철금속이나 철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상과 같은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체(10), 상기 제2지지체(20), 상기 지지판(111) 및 상기 돌출판(112)에는, 상기 제1결합수단(120) 또는 상기 제2결합수단(13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가이드홀은 일반적인 관통홀 뿐만 아니라 나사탭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이러한 가이드홀은 상기 제1결합수단(120) 또는 상기 제2결합수단(130)의 결합 위치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여, 각 결합수단(120,130)의 결합 과정에서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등의 작업 효율성을 높인다.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제조된 지지 구조에 대한 치수 안정화를 유도함으로써, 제품의 대량 제조 시에도 모든 제품이 일정 오차 범위 이내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지지체에 보강물이 삽입된 예시도이다. 도 8은 제1지지체(10)를 예시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제2지지체(20)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부분이다. 상기 제1지지체(10)의 중공된 내부에는 각관(10a) 또는 한 쌍의 C 형강(10b)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각관(10a)과 C 형강(10b)은 일반적인 금속 재질로 제조된다. 이는 제1지지체(10)를 보강하는 요소로서, 상기 제1지지체(10)가 데크 플레이트(40)에 작용하는 하중에 강인하도록 하여 제품의 수명을 늘리도록 한다. 특히, 고강도가 요구되는 장소에 데크 플레이트(40)를 시공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체(10,20)의 내부에 상기와 같은 보강물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참고로, 도 8의 (a)를 살펴보면, 제1지지체(10)는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제2지지체(2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의 경우를 예로 하면, 상기 지지판(111)을 제1지지체(10)의 측면 상에 제1체결수단(120)을 통해 결합시키면, 제1체결수단(120)의 볼트 머리부분이 지지판(111)의 전방을 향해 그 머리 두께만큼 돌출 형태로 노출된다. 추후 제2지지체(20)가 돌출판(112)과 결합할 때, 상기 돌출된 볼트 머리 부분이 제2지지체(20)의 관통공(11) 내로 들어가서 은닉될 수 있어서, 지지판(111)의 전면과 제2지지체(20)의 단부 사이에 들뜸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상기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에 따르면, 지지체들(10,20)을 단순 조립하는 방식을 통해 데크 플레이트(40)의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서, 별도의 용접 과정이 필요치 않으며, 이로 인하여 시공 시간이 절약되고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지지체 10a: 각관
10b: C 형강 20: 제2지지체
30: 제3지지체 40: 데크 플레이트
50: 장선 100,100a: 데크 플레이트 지지 결합 구조
110,110a: 결합프레임 111,111a: 지지판
112,112a: 돌출판 113: 보조돌출판
120,120a: 제1결합수단 130,130a: 제2결합수단

Claims (6)

  1. 바닥판으로 시공되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중공된 제2지지체의 단부를 상기 제2지지체와 다른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1지지체의 측면 상에 결합시키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의 측면 상에 접촉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와 연결되고 상기 제2지지체의 중공된 단부의 내표면에 삽입되는 돌출판을 구비하며, 철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지지판 사이를 결합시키는 제1결합수단; 및
    상기 제2지지체와 상기 돌출판 사이를 결합시키는 제2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중앙부가 중공되고 그 둘레 부분이 상기 제1지지체의 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돌출판은 상기 지지판의 중공된 내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지지체의 내표면에 삽입되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용 결합 구조.
  2. 삭제
  3. 바닥판으로 시공되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중공된 제2지지체의 단부를 상기 제2지지체와 다른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1지지체의 측면 상에 결합시키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의 측면 상에 접촉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연결되고 상기 제2지지체의 중공된 단부의 내표면에 삽입되는 돌출판, 및 상기 지지판의 외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지지체의 외표면을 감싸는 보조돌출판을 구비하며, 철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지지판 사이를 결합시키는 제1결합수단; 및
    상기 돌출판과 상기 제2지지체와 상기 보조돌출판 사이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제2결합수단을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용 결합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중앙부가 중공되고 그 둘레 부분이 상기 제1지지체의 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돌출판은 상기 지지판의 중공된 내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지지체의 내표면에 삽입되는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 상기 제2지지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돌출판에는,
    상기 제1결합수단 또는 상기 제2결합수단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각각 형성된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 및 상기 제2지지체는,
    비철금속, 플라스틱 또는 합성목재 재질로 형성된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
KR2020110000806U 2011-01-27 2011-01-27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 KR200457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806U KR200457274Y1 (ko) 2011-01-27 2011-01-27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806U KR200457274Y1 (ko) 2011-01-27 2011-01-27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274Y1 true KR200457274Y1 (ko) 2011-12-12

Family

ID=5367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806U KR200457274Y1 (ko) 2011-01-27 2011-01-27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27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630Y1 (ko) * 2002-10-18 2003-02-19 주식회사 울타리 파티션 프레임
JP2008202346A (ja) * 2007-02-21 2008-09-04 Porasu Kurashi Kagaku Kenkyusho:Kk 木質構造物における木材接合部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630Y1 (ko) * 2002-10-18 2003-02-19 주식회사 울타리 파티션 프레임
JP2008202346A (ja) * 2007-02-21 2008-09-04 Porasu Kurashi Kagaku Kenkyusho:Kk 木質構造物における木材接合部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156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0993096B1 (ko) 터널 공사용 조립식 격자지보
CN201176706Y (zh) 踏板固定结构
KR20090130690A (ko) 데크플레이트
KR101202063B1 (ko) 조립식 격자지보
KR20090038730A (ko) 형강용 결합부재
KR200457274Y1 (ko) 데크 플레이트 지지를 위한 결합 구조
KR200457275Y1 (ko) 데크 플레이트 지지용 결합 구조체
JP5345447B2 (ja) 梁の補強方法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CN101646829B (zh) 格栅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
CN104818726A (zh) 钢管桩与钢筋混凝土承台的连接构造
KR200464661Y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20130060346A (ko) 강시판 및 그 강시판에 의해 형성된 강시판벽
KR101360360B1 (ko) 간격유지부재의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200394341Y1 (ko) 강관기둥의 어떠한 방향에도 h형보의 설치를 가능케 하는다각형 다이아프램
KR101805132B1 (ko)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CN203266879U (zh) 预制梁组合模板
CN210369877U (zh) 建筑模板体系
KR20200133403A (ko) 연결부가 강화된 시스템 동바리 수직재
KR20060128150A (ko) 강관기둥의 어떠한 방향에도 h형보의 설치를 가능케 하는 다이아프램
CN211196956U (zh) 一种水箱无焊接模压增强拉筋连接件
CN204326501U (zh) 一种整体式脚手架节点
CN203783143U (zh) 防涨模夹紧杆组件
KR101648071B1 (ko) 슬래브 타설용 데크패널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