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623Y1 -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623Y1
KR200456623Y1 KR2020090011073U KR20090011073U KR200456623Y1 KR 200456623 Y1 KR200456623 Y1 KR 200456623Y1 KR 2020090011073 U KR2020090011073 U KR 2020090011073U KR 20090011073 U KR20090011073 U KR 20090011073U KR 200456623 Y1 KR200456623 Y1 KR 200456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grease
nipple
transport trolley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103U (ko
Inventor
선종수
Original Assignee
선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종수 filed Critical 선종수
Priority to KR2020090011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62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1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1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6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화물을 적재함의 바닥 상부로 승강시키고 적재함에 형성된 트랙을 따라 승강된 화물을 운반시키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이동용 롤러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용 롤러의 양측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윤활용 그리스를 공급하기 위한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은 이동용 롤러가 설치되는 회전축의 측면에서 내부를 향해 평행하게 형성된 평행유로; 회전축의 측면에 이동용 롤러의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측면유로; 및 평행유로의 외부에 설치되며 평행유로와 측면유로로 삽입된 윤활용 그리스가 평행유로의 입구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니플;로 구성된 것으로 가능하고, 화물 운반용 트롤리에 사용되는 이동용 롤러의 양측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윤활용 그리스가 주입되는 윤활장치를 구비시키므로 인해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분해하지 않고도 이동용 롤러의 베어링에 윤활용 그리스를 주입할 수 있으므로, 윤활용 그리스를 베어링에 주입하기 위해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분해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화물 운반용 트롤리, 이동용 롤러, 회전축, 윤활용 그리스, 유로, 니플, 베어링

Description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OILING DEVICE FOR TROLLEY}
본원 고안은 적재함으로부터 화물을 승강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을 적재함의 바닥 상부로 승강시키고 적재함에 형성된 트랙을 따라 승강된 화물을 운반시키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이동용 롤러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용 롤러의 양측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윤활용 그리스를 공급하기 위한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적재함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대부분의 적재함은 바닥이 평탄하게 제작된다. 이러한 적재함에 고중량의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할 때에는 지게차 또는 크레인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적재함이 박스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장비로는 화물을 적재함의 지정된 위치에 적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화물은 지게차에 의해 적재함의 입구에 올려지고 인부들의 인력에 의해 적재함의 내부로 이동되어 적재된다. 하역시에도 화물은 인부들의 인력에 의해 적재함의 입구까지 이동되고, 이후 지게차와 같은 장비에 의해 하역된다.
이와 같이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하는데 인력을 사용하는 경우 화물을 운반하 는 동안 인부들의 신체는 근/골격계가 과도한 환경에 노출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인부들은 근/골격계에 잦은 부상과 만성적인 질환에 걸릴 확률인 높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고중량의 화물을 적재함의 상부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러한 화물 운반용 트롤리는 실제로 인부들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화물 운반용 트롤리(10)는 화물의 저면을 받치는 운반대(20)와 운반대(20)의 저면에 설치되어 화물을 적재함의 상부에서 이동시키는 스케이트(30) 및 스케이트(30)로부터 운반대(20)를 들어 올리는 구동부(40)로 구성된다.
먼저, 운반대(20)를 살펴보면, 운반대(20)는 상부가 화물의 저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평탄한 면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스케이트(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운반대(20)의 일측에는 스케이트(30)로부터 운반대(20)가 상승되어 화물이 적재함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40)가 설치되는 하우징(21)이 구비된다.
스케이트(30)는 운반대(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31)이 운반대(20)의 내부와 접하는 양 측면에 운반대(20)의 내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양측의 프레임(31)의 사이에는 이동용 롤러(32)가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된다.
구동부(40)는 스케이트(30)가 운반대(20)로부터 상승되게 하는 것으로서, 경사블록(41), 승강용 롤러(42), 구동링크(43) 및 작동링크(44)로 구성된다. 경사블록(41)은 운반대(20)의 내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며, 승강용 롤러(42)는 스케이트(30)의 프레임(31) 사이에 경사블록(41)과 대응되게 다수 개가 설치되고, 구동링크(43)는 프레임(31)을 이동시켜 승강용 롤러(42)가 경사블록(41)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것이며, 작동링크(44)는 구동링크(43)와 프레임(31)의 사이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구동링크(43)는 외부에 설치되는 지렛대(50)에 의해 작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물 운반용 트롤리(10)는 적재함의 트랙에 삽입된 뒤 트랙을 따라 화물의 저면으로 이동되고, 지렛대(50)에 의해 구동부(40)가 작동되면 스케이트(30)로부터 운반대(20)가 상승되어 화물을 적재함으로부터 승강되게 한다.
이와 같이 화물을 적재함으로부터 승강시킨 화물 운반용 트롤리(10)는 적재함의 트랙을 따라 이동용 롤러(32)가 회전되어 적재함 상의 희망하는 위치로 화물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물 운반용 트롤리(10)는 화물을 운반하는 인부들의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은 물론, 종래보다 적은 인원의 인부로도 화물을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화물 운반용 트롤리(10)를 사용하는 것은 인건비 절감으로 인해 물류비를 절감하는 효과 및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이다.
이러한 화물 운반용 트롤리(10)에 사용되는 이동용 롤러(32)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동용 롤러(32)는 스케이트(30)의 양측에 구비되는 프레임(31)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축(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이동용 롤러(32)와 회전축(33)의 사이에는 베어링(34)이 설치되며, 회전축(33)의 양측에 설치되는 베어링(34)은 회전축(33)과 이동용 롤러(3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켜 이동용 롤러(32)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베어링(34)은 일정 기간 사용된 뒤에는 주기적으로 윤활용 그리스를 주입해 주어야 하는 것으로서, 올바른 사용주기에 맞게 그리스가 주입된 베어링(34)은 마찰을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베어링(34)에 마찰이 증가하여 화물 운반용 트롤리(10)의 사용 수명이 줄어들게 한다.
그러나 화물 운반용 트롤리(10)는 적재함의 트랙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낮은 높이로 제작되는 한편, 운반대(20)의 내부에 스케이트(30)를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각 구성품들이 매우 작고 조밀하게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스케이트(30)의 베어링(34)에 그리스를 주입할 수 있는 유로를 설치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즉, 베어링(34)에 그리스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그리스가 주입되는 유로와 유로를 통해 주입된 그리스가 다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니플이 유로의 입구에 설치되어야 하지만,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된 니플이라도 그리스가 주입되는 입구를 막는 볼과 볼을 압착하는 스프링 등의 기본 구성품이 있어야 하므로 화물 운반용 트롤리(10)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 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10)의 베어링(34)에 그리스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10)를 완전 분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 사용되던 화물 운반용 트롤리(10)는 베어링(34)에 그리스를 주입하는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 인해 베어링(34)이 파손되는 경우가 잦았다.
따라서 새로운 화물 운반용 트롤리(10)를 구입해야만 하므로 인해 화물 운반용 트롤리(10)의 운용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화물 운반용 트롤리(10)의 베어링(34)에 적기에 그리스가 주입되지 않는 경우 베어링(34)이 파손되지 않았다 하여도 베어링(34)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으면, 이는 인부로 하여금 화물을 운반하는데 많은 힘을 쓰도록 하는 원인이 되므로, 작업 효율을 저해시키는 요인 및 인부들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물 운반용 트롤리에 사용되는 이동용 롤러에 윤활유 주입장치를 추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키는 한편, 이동용 롤러에 주기적으로 윤활용 그리스를 주입하기 용이하게 하여 화물 운반용 트롤리가 최적의 상태로 원활히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화물 운반용 트롤리에 설치되는 윤활장치가 견고하게 제작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윤활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내부의 윤활용 그리스 역시 윤활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원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는 적재함에 설치된 트랙에 삽입되어 화물을 승/하강시키며 적재함을 따라 운반되도록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이동용 롤러의 양측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윤활용 그리스를 제공하는 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롤러가 설치되는 회전축의 측면에서 내부를 향해 평행하게 형성된 평행유로; 상기 회전축의 측면에 상기 이동용 롤러의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측면유로; 및 상기 평행유로의 외부에 설치되며 평행유로와 측면유로로 삽입된 윤활용 그리스가 평행유로의 입구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니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니플은 고무 재질로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되며, 중심에는 외각방향을 향해 방사형으로 구비된 절개홈으로 구성된 주입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니플은 외부의 원주면에 원형으로 돌출되며 평행유로로 삽입되는 내부에서 외부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평행유로의 입구 방향에는 단턱이 형성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평행유로의 상기 니플이 설치되는 입구에는 상기 니플에 구비된 돌기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용 롤러의 내부에는 양측에 설치되는 베어링 사이에 윤활용 그리스가 주입되는 그리스 삽입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에 사용되는 이동용 롤러의 양측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윤활용 그리스가 주입되는 윤활장치를 구비시키므로 인해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분해하지 않고도 이동용 롤러의 베어링에 윤활용 그리스를 주입할 수 있으므로, 윤활용 그리스를 베어링에 주입하기 위해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분해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물 운반용 트롤리에 간편하게 윤활용 그리스를 주입할 수 있으므로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윤활용 그리스가 부족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한 것은 물론, 구성이 간단함으로 사용중 고장이 발생될 확률이 낮아 관리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저면에서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운반대가 스케이트로부터 상 승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원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가 구비된 이동용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니플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와 그리스 주입기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화물 운반용 트롤리(10: 도 1 참조)의 전반적인 구성은 상기 배경기술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배경기술의 내용으로 대신 한다. 따라서 화물 운반용 트롤리(1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배경기술에서 설명된 화물 운반용 트롤리(1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의 물품에 사용되는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원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10)의 스케이트(30)는 운반대(20)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는 프레임(31)과 양측 프레임(31)에 설치되는 이동용 롤러(10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용 롤러(100)는 프레임(31)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양측의 프레임(31) 사이에 회전축(110)이 설치되며 회전축(110)의 양측에는 베어링(120)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120)에 회전되게 설치된다. 즉, 이동용 롤러(100)는 회전축(110)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베어링(120)의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에서 회전축(110)에는 베어링(120)에 공급되는 윤활용 그리스(이하, 그리스라 함)가 삽입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200: 이하, 윤활장치라 함)가 구비된다. 이러한 윤활장치(200)는 그리스가 이동되는 유로(201)와 외부에서 상기 유로(201)의 내부로 유입된 그리스가 유로(201)의 입구(211) 방향으로 다시금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니플(202)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유로(201)는 평행유로(210)와 측면유로(220)로 구성된다. 먼저, 평행유로(210)는 회전축(110)의 측면에서 내부를 향해 회전축(11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평행유로(210)의 입구(211)는 스케이트(30)의 프레임(31)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110)의 단부에 구비된다. 측면유로(220)는 이동용 롤러(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축(110)의 측면으로부터 회전축(110) 내부의 평행유로(210)를 연결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이동용 롤러(100)는 베어링(120)의 외경과 동일한 지름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동용 롤러(100)의 내부에는 상기 양측의 베어링(120) 사이에 일정 공간의 그리스 삽입부(26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평행유로(210)의 외부에는 니플(202)이 구비된다. 상기 니플(202)은 평행유로(210)의 내부로 유입된 그리스가 대부분 유로(201)를 따라 이동하여 이동용 롤러(100)의 양측에 구비된 베어링(12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평행유로(210)의 내부로 공급된 그리스가 평행유로(210)의 입구(211)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니플(202)은 회전축(110)의 지름이 작기 때문 에 종래 사용되던 니플(202)이 상용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전용으로 개발된 니플(202)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니플(202)은 상기 평행유로(210)의 입구(211)에 유입되기 용이하게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평행유로(210)에 삽입된 뒤에는 자체적인 압착력에 의해 평행유로(210)의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탄성이 있는 고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니플(202)은 평행유로(210)의 내부로 그리스가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주입구(240)가 구비된다. 상기 주입구(240)는 평상시에는 고무 재질인 니플(202)의 자체 압력으로 닫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니플(202)의 주입구(240)는 주사기와 같이 단부에 바늘 형상의 주입수단(310)이 구비된 그리스 주입기(300)에 의해서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니플(202)의 주입구(240)는 니플(202)의 중심에서 외각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241)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개홈(241)은 방사형으로 세 개가 구비되는 것이 그리스 주입기(300)에 의해 탄성 변형된 뒤 원형으로 복구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니플(202)은 평행유로(210)의 입구(211)에 삽입된 뒤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측면에는 환형돌기(2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평행유로(210)의 입구(211)에는 상기 니플(202)의 환형돌기(250)와 대응되는 원형의 삽입홈(2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니플(202)에 형성된 환형돌기(250)는 평행유로(210)의 내부에서 외부 로 경사지게 경사면(251)이 형성되고 환형돌기(250)의 외부에는 직각의 단턱(2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형돌기(250)가 삽입되는 삽입홈(211)은 상기 환형돌기(250)의 경사면(251)을 쉽게 통과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단턱(252)에는 걸리도록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니플(202)이 평행유로(210)에 삽입되는 것을 살펴보면, 니플(202)은 고무 재질로 제작되므로 인해 자체 탄성으로 압착되어 변형되면서 평행유로(210)의 입구(211)로 삽입된다. 이때, 평행유로(210)의 삽입홈(212)에 니플(202)의 환형돌기(250)가 삽입되면 니플(202)이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삽입을 중단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110)의 유로(201)에 니플(202)을 설치하고 회전축(110)의 외부 양측에 베어링(120)을 설치한 뒤 베어링(120)의 외부에 이동용 롤러(100)를 설치하고 회전축(110)의 양측에 프레임(31)을 설치하는 것으로 스케이트(30)의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스케이트(30)를 운반대(20)에 결합하는 것으로 화물 운반용 트롤리(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200)의 사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원 고안에 따른 윤활장치(200)에 그리스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운반대(20)의 하부로 스케이트(30)가 돌출되게 하고 스케이트(30)의 이동용 롤러(100)의 회전축(110)에 구비된 니플(202)이 상부로 놓이게 한다. 또한, 본원 고안의 윤활장치(200)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그리스 주입기(300)가 준비되 어야 한다.
상기의 그리스 주입기(300)는 종래의 그리스 주입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주사기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된 그리스 주입기(3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래 의료용으로 사용되던 주사기를 그리스 주입기(300)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의 그리스 주입기(300)가 구비되면 그리스 주입기(300)의 내부에 그리스를 채워 넣는다. 그리스 주입기(300)의 내부에 그리스가 다 채워지면 그리스 주입기(300)의 주입수단인 바늘(310)이 본원 고안에 따른 윤활장치(200)의 니플(202)에 구비된 주입구(240)에 수평을 이루게 한 뒤 그리스 주입기(300)의 바늘(310)을 주입구(240) 내부로 밀어 넣는다.
상기의 과정에서 니플(201)의 주입구(240)에 그리스 주입기(300)의 바늘(310)이 삽입되면 니플(202)의 주입구(240)는 고무 재질의 특성상 탄성에 의해 변형되면서 그리스 주입기(300)의 바늘(310)을 감싸면서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니플(202)의 내부로 그리스 주입기(300)의 바늘(310)이 삽입되면 그리스 주입기(300) 내부의 그리스를 상기 바늘(310)을 통해 평행유로(210)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때, 그리스는 평행유로(210)에 채워진 뒤 점차 측면유로(220)로 삽입되고, 측면유로(220)를 통해 이동용 롤러(100) 내부의 그리스 삽입부(260)에 채워진다. 이후 그리스 삽입부(260)에 그리스가 다 채워지면 점차 내부의 압력에 의해 베어링(120)의 핀롤러(123) 주변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베어링(120)의 내륜(121)과 외륜(122) 사이는 그리스 삽입부(260)로부터 공급되는 그리스에 의해 채워지고 종래 있었던 낡은 그리스는 이동용 롤러(100)의 외부로 밀려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베어링(120)으로부터 낡은 그리스가 배출되고 새롭게 주입된 그리스가 일부 밀려나오는 것이 확인되면 그리스의 주입을 종료하고 그리스 주입기(300)를 니플(202)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와 같이 그리스 주입기(300)의 바늘(310)이 분리된 니플(202)의 주입구(240)는 자체 탄성에 의해 다시금 원형으로 복구되면서 폐쇄된다. 따라서 주입구(240)는 밀폐되고 평행유로(210), 측면유로(220) 및 그리스 삽입부(260)에 채워진 그리스는 상기 니플(202)의 주입구(240)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이동용 롤러(100)의 외부로 배출되지는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법으로 스케이트(30)를 구성하는 다수의 이동용 롤러(100)에 순차적으로 윤활용 그리스를 주입하면 종래와 같이 화물 운반용 트롤리(10)를 모두 분해하지 않고도 베어링(120)에 신속하게 윤활용 그리스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원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원 고안이 상기의 실시예에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 고안은 본원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원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대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원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저면에서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화물 운반용 트롤리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운반대가 스케이트로부터 상승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원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가 구비된 이동용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니플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와 그리스 주입기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용 롤러 110: 회전축
120: 베어링 123: 핀롤러
200: 윤활장치 201: 유로
202: 니플 210: 평행유로
211: 입구 212: 삽입홈
220: 측면유로 240: 주입구
241: 절개홈 250: 환형돌기
251: 경사면 252: 단턱
260: 그리스 삽입부 300: 그리스 주입기

Claims (4)

  1. 적재함에 설치된 트랙에 삽입되어 화물을 승/하강시키며 적재함을 따라 운반되도록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이동용 롤러의 양측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윤활용 그리스를 제공하는 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롤러가 설치되는 회전축의 측면에서 내부를 향해 평행하게 형성된 평행유로와;
    상기 회전축의 측면에 상기 이동용 롤러의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측면유로; 및
    상기 평행유로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평행유로와 측면유로로 삽입된 윤활용 그리스가 평행유로의 입구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 재질로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되며, 중심에는 외각방향을 향해 방사형으로 구비된 절개홈으로 구성된 주입구가 구비되는 니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은,
    외부의 원주면에 원형으로 돌출되며 상기 평행유로로 삽입되는 내부에서 외부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평행유로의 입구 방향에는 단턱이 형성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평행유로의 상기 니플이 설치되는 입구에는 상기 니플에 구비된 돌기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롤러의 내부에는,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베어링 사이에 윤활용 그리스가 주입되는 그리스 삽입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
KR2020090011073U 2009-08-25 2009-08-25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 KR200456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073U KR200456623Y1 (ko) 2009-08-25 2009-08-25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073U KR200456623Y1 (ko) 2009-08-25 2009-08-25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103U KR20110002103U (ko) 2011-03-04
KR200456623Y1 true KR200456623Y1 (ko) 2011-11-09

Family

ID=4420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073U KR200456623Y1 (ko) 2009-08-25 2009-08-25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6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68Y1 (ko) * 2019-10-11 2020-05-15 배권일 적재함 자동덮개장치의 구동축 결합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9335A (ja) * 2004-02-25 2005-09-08 Junji Sato 運搬トロリ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9335A (ja) * 2004-02-25 2005-09-08 Junji Sato 運搬トロリ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103U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92897B (zh) 一种升降式载人装卸高层货架
CN206782639U (zh) 一种爬坡皮带输送机
KR200456623Y1 (ko) 화물 운반용 트롤리의 윤활장치
CN105438704A (zh) 一种智能自动装卸高层货架
CN105347175A (zh) 用于吊运木方的吊具
CN205387460U (zh) 一种防止货物滑动脱落的叉车臂
CN101759045B (zh) 货物装卸台
CN107923434A (zh) 用于提取器系统的轴承组件
CN113306931A (zh) 一种自动化重型卷材提升车
CN110040466A (zh) 一种整体式升降电驱旋转整理输送机及其应用
CN206359192U (zh) 一种升降机用装卸装置
CN203550618U (zh) 一种环冷机柔性密封装置
CN205771316U (zh) 一种货物升降架
KR20120025258A (ko) 센터링 유닛
CN209651800U (zh) 一种智能物流输送用自动装卸装置
CN201777661U (zh) 自行小车导向装置
US10023394B2 (en) Pressure roller bearing for a pallet car
CN113104136A (zh) 一种报废机动车自动化拆解线
CN208037584U (zh) 一种仓库货物自动装车装置
KR101841556B1 (ko) 원통형 부재 이송용 대차
KR101841883B1 (ko) 고중량물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CN201651074U (zh) 滚动轴承专用密封装置
CN210011659U (zh) 一种轮链混合式车载自动化装卸装置
CN219469568U (zh) 一种甘醇成品吊装装置
CN110040440B (zh) 一种上顶轮结构以及伸缩式皮带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