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503Y1 - 기록지용 받침기구 및 이를 갖는 기록지 - Google Patents

기록지용 받침기구 및 이를 갖는 기록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503Y1
KR200456503Y1 KR2020090010595U KR20090010595U KR200456503Y1 KR 200456503 Y1 KR200456503 Y1 KR 200456503Y1 KR 2020090010595 U KR2020090010595 U KR 2020090010595U KR 20090010595 U KR20090010595 U KR 20090010595U KR 200456503 Y1 KR200456503 Y1 KR 200456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s
support
cover member
recording pap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760U (ko
Inventor
김학석
Original Assignee
김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석 filed Critical 김학석
Priority to KR2020090010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50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7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7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5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 B42D5/045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combined with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1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42D5/002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perforated or punched sheets having plural perforation lines, e.g. for detaching parts of th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3Note-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12Means for enabling the device to be positioned upr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16Books or filing applian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Abstract

본 고안은 기록지용 받침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쉽게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기록지용 받침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록지용 받침기구는 기록지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지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기록지, 받침대, 탄성부재

Description

기록지용 받침기구 및 이를 갖는 기록지{Support for recording paper and recording paper having the same of}
본 고안은 기록지용 받침기구 및 이를 갖는 기록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쉽게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기록지용 받침기구 및 이를 갖는 기록지에 관한 것이다.
메모 가능한 달력 또는 메모지와 같은 기록지는 사용자가 기록지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록지용 받침기구에 의해 받쳐진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489863호에는 기록지의 일례인 달력을 받치는 달력용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된 공보에서 개시된 달력용 받침대는 달력이 꽂아지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중단지(20)와, 중단지(20)에 연결되고 중단지(20)의 중앙 쪽으로 회동되어 중단지(20)가 세워지도록 하는 지지판(21) 및 지지판(21)의 하측에서 중단지(20)에 연결되고 중단지(20)의 중앙 쪽으로 회동되어 지지판(21)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두개의 결합판(22)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달력용 받침대는 사용자가 달력을 용이하게 볼 수 있 도록 종래의 달력용 받침대를 세우거나 달력에 메모를 하기 위해 눕히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지지판(21)과 결합판(22)을 매번 조립하거나 해제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종래의 달력용 받침대를 세우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지지판(21)과 결합판(22)를 중단지(20)의 중앙 쪽으로 접은 후에 결합판(22)의 고정부(22-1)를 지지판(21)의 고정홀(21-1)에 끼워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종래의 달력용 받침대를 눕히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지지판(21)의 고정홀(21-1)에 끼워진 결합판(22)의 고정부(22-1)를 빼내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쉽게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기록지용 받침기구 및 이를 갖는 기록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기록지용 받침기구는 기록지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록지는 달력, 메모지, 노트 및 다이어리 중 하나이다.
그리고 상기 기록지에 상기 기록지를 지면에 대하여 세워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세움 자세 또는 상기 기록지가 눕혀질 수 있도록 하는 눕힘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세움 자세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제1 및 제2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는 상기 기록지가 결합되는 커버부재의 중앙 쪽으로 접히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 각각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 사이의 상기 커버부재 중앙 면과 이루는 각이 둔각이 되도록 접힌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를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 사이에서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 마련되는 2개의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 각각에 마련되는 걸림홀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홀 주위에 걸린 다. 나아가서, 상기 걸림부재의 길이에 대한 횡직경은 상기 걸림홀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걸림부재의 길이는 상기 걸림홀의 지름보다 크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지지대와 커버부재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지지대와 커버부재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눕힘 자세인 때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 각각이 수용되는 제1 및 제2지지대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2개의 탄성부재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 각각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 수용부 사이에 마련되는 접철스프링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는 종이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일체로 마련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고안에 따른 기록지용 받침기구를 갖는 기록지는 위와 같은 사항 중 일부를 갖는 기록지용 받침기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기록지용 받침기구 및 이를 갖는 기록지에 따르면, 이용자가 기록지를 눌러 눕힐 경우 탄성부재가 탄성변형되면서 지지부재가 눕힘 자세로 전환되고 이 상태에서 기록지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할 경우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지부재가 다시 세움 자세로 자동 전환되므로, 기록지를 눕히거나 세워기가 편리해 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기록지용 받침기구 및 기록지용 받침기구를 갖는 기록지를 설명하되, 기록지용 받침기구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록지용 받침기구를 갖는 기록지에 대한 것은 기록지용 받침기구에 결합되는 기록지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기록지용 받침기구는 기록지(100)가 결합되는 커버부재(200), 기록지(100)를 지면에 대하여 세워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세움 자세 또는 기록지(100)가 눕혀질 수 있도록 하는 눕힘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240) 및 기록지(10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세움 자세는 사용자가 기록지에 적힌 내용을 볼 수 있도록 기록지(100)가 세워진 상태의 지지부재의 자세이고, 눕힘 자세는 사용자가 기록지(100)에 기록할 수 있도록 기록지(100)가 책상 등에 눕혀진 상태의 지지부재의 자세를 말한다.
기록지(100)는 달력, 메모지, 다이어리 및 노트 등과 같이 사용자가 기록하거나 기록된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록지(100)의 재질은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기록지(100)의 일 측에는 후술되는 코일링(110)이 관통하는 기록지 홀(101)이 마련된다.
기록지(100) 일측 외면에는 커버부재(200)가 결합된다. 커버부재(200)는 기록지(100)가 고정되는 기록지 고정부(210)와, 지지부재(240)를 이루는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가 수용되는 제1 및 제2지지대 수용부(231, 232)를 포함한다. 커버부재(200)의 재질은 종이가 일례이다. 여기서 커버부재(200)는 기록이 가능한 달 력, 메모지, 다이어리 및 노트 등의 일부일 수 있다.
기록지 결합부(210)는 코일링(110)과 코일링(110)이 통과하는 결합부홀(211)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록지(100)를 기록지 홀(101)과 결합부홀(211)이 대면하도록 커버부재(200)에 위치시킨 후, 코일링(110)의 일단을 기록지 홀(101)과 결합부홀(211) 전부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 기록지(100)는 기록지 결합부(210)에 결합된다. 여기서 기록지 결합부(210)는 기록지(100)를 잡을 수 있는 집게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는 커버부재(200)의 제1 및 제2지지대 수용부(231, 2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되는데, 커버부재(200) 중앙 쪽 지지부재(241, 242)의 일단은 커버부재(200)에 고정되고, 커버부재(200)의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절개되어 커버부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마련된다. 여기서 커버부재(200)의 재질은 종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241, 242)는 커버부재(200)에 고정된 고정축(a)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제1 및 제2지지대 수용부(231, 232)에 수용된 상태가 되거나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접혀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241, 242)가 제1 및 제2지지대 수용부(231.232)에 수용된 상태는 눕힘 자세가 되고,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접혀진 상태는 세움 자세가 된다.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의 고정단의 종축(a)은 기록지용 받침기구가 세워지는 방향과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가 커버부재(200)의 중앙 쪽으로 접혀지는 경우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의 일단부가 커버부재(200)의 하단부와 함께 기록지용 받침기구 안착 면 즉, 책상 위에 용이하게 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는 커버부재(200)에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의 회동 각(Q1)이 예각이도록 마련된다. 즉,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가 커버부재(200)의 중앙 부분으로 접혀지는 경우,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와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 사이의 커버부재(200)의 중앙 면이 이루는 접힘 각(Q2)이 둔각이 되도록 마련된다. 이는 사용자가 커버부재(200)를 전면에서 가압하는 경우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가 커버부재(200)의 중앙 쪽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며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가 제1 및 제2지지대 수용부(231, 232)에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회동 각(Q1)이 예각이도록 하거나 접힘 각(Q2)이 둔각이도록 하는 수단으로는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 각각과 커버부재(200) 사이에서 블럭으로 구현되는 회동제한부재(250)가 일례이다.
한편, 커버부재(200)와 지지부재(240) 즉,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부재(200)에서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의 커버부재(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절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무줄과 같은 탄성체로 구현되는 몸체(310)와, 몸체(310)의 양단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의 제1 및 제2걸림 홀(243, 244)에 걸리는 제1 및 제2걸림부재(321, 322)를 포함한다.
몸체(310)의 탄성력은 탄성부재(300)가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를 커버부 재(200)의 중앙 쪽으로 당기는 경우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 각각과 커버부재(200)의 중앙 면이 이루는 접힘 각(Q)이 둔각이도록 하는 크기로 설계된다.
제1 및 제2걸림부재(321, 322)의 길이에 대한 횡직경이 제1 및 제2걸림 홀(243, 244)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걸림 홀(243, 24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00)는 제1 및 제2걸림 부재(321, 322)가 제1 및 제2걸림 홀(243, 244)을 통과한 후에 제1 및 제2 걸림 홀(243, 244)의 주위에 걸리게 되면,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를 커버부재(200)의 중앙 쪽으로 당겨 지지한다.
한편, 탄성부재(300)는 도 6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벌어지는 탄성력을 가지는 제1 및 제2접철스프링(501, 502)으로 구현되어 제1지지대(241)와 제1지지대 수용부(231)의 사이 및 제2지지대(242)와 제2지지대 수용부(232)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접철스프링(501, 502)의 탄성력은 제1 및 제2접철스프링(501, 502) 각각이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를 커버부재(200)의 중앙 쪽으로 미는 경우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의 회동 각(Q)이 예각이 되도록 하는 크기로 설계된다.
또한, 탄성부재(30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어 커버부재(200)의 배면에 그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은 기록지가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세워지도록 설계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록지용 받침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기록지용 받침기구를 눕혀 기록지(100)에 기록하기 위해 기록지(100)를 필기 면을 향해 기록지(100)의 전면에서 가압하면, 몸체(310)는 늘어남과 동시에 커버부재(200)의 중앙 쪽 면과 둔각을 가지며 접혀져 있던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가 제1 및 제2지지대 수용부(231, 232) 쪽으로 밀리면서 제1 및 제2지지대 수용부(231, 232)에 안착된다. 이로써 기록지용 받침기구는 책상 등의 필기 면에 눕혀지게 되고, 사용자는 필기 면에 눕혀져 있는 커버부재(200)에 결합된 기록지(100)에 기록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록지(100)를 가압하는 상태는 기록지용 받침기구가 포장되어 포장지가 기록지용 받침기구를 전후면에서 압착하는 상태일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기록지(100)를 전면에서 가압하는 것을 해제하면, 몸체(310)는 수축하면서 제1 및 제2지지대(231, 232)를 당겨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가 커버부재(200)의 중앙 쪽으로 접혀지도록 한다. 이로써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는 커버부재(200)의 중앙 쪽으로 접혀지고, 제1 및 제2지지대(241, 242)와 커버부재(200)의 하단에 의해 기록지용 받침기구는 책상 등에 세워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록지용 받침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록지용 받침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록지용 받침기구를 나타낸 후방사시도로, 지지부재가 세움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낸 기록지용 받침기구의 후방사시도로. 지지부재가 세움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록지용 받침기구의 전면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기록지용 받침기구의 배면도로, 지지부재가 눕힘 자세로 전화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록지용 받침기구의 전면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기록지용 받침기구의 배면도로, 도 6에서 지지부재의 자세가 세움 자세로 전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기록지 200: 커버부재
240: 지지부재 300: 탄성부재

Claims (11)

  1. 달력, 메모지, 노트 및 다이어리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 기록지를 지면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진 세움자세에서 지면에 지지되는 눕힘자세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기록지용 받침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 후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가 절취되는 방식으로 상기 커버부재 후면 양측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되,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지를 상기 세움자세로 지지하고 상기 커버부재 표면 쪽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지가 상기 눕힘자세를 이루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지지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가 상기 세움자세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마련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 사이에 위치되도록 고무줄로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 양단에 마련된 제1 및 제2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에는 상기 제1 및 제2걸림부재가 걸려 지지되도록 제1 및 제2걸림홀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걸림부재의 길이에 대한 횡직경은 상기 제1 및 제2걸림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걸림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2걸림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 사이의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 사이의 상기 커버부재 표면 사이가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지용 받침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달력, 메모지, 노트 및 다이어리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 기록지를 지면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진 세움자세에서 지면에 지지되는 눕힘자세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기록지용 받침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 후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가 절취되는 방식으로 상기 커버부재 후면 양측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되,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지를 상기 세움자세로 지지하고 상기 커버부재 표면 쪽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지가 상기 눕힘자세를 이루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지지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가 상기 세움자세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마련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지지대와 커버부재 사이를 탄성지지 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지지대와 커버부재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 후면에는 상기 눕힘자세에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가 각각 수용되는 제1 및 제2지지대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탄성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 수용부 사이에 고정되는 접철스프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 사이의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 사이의 상기 커버부재 표면 사이가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지용 받침기구.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기록지용 받침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지용 받침기구를 갖는 기록지.
KR2020090010595U 2009-08-14 2009-08-14 기록지용 받침기구 및 이를 갖는 기록지 KR200456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595U KR200456503Y1 (ko) 2009-08-14 2009-08-14 기록지용 받침기구 및 이를 갖는 기록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595U KR200456503Y1 (ko) 2009-08-14 2009-08-14 기록지용 받침기구 및 이를 갖는 기록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760U KR20110001760U (ko) 2011-02-22
KR200456503Y1 true KR200456503Y1 (ko) 2011-11-04

Family

ID=4420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595U KR200456503Y1 (ko) 2009-08-14 2009-08-14 기록지용 받침기구 및 이를 갖는 기록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50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916U (ja) * 2002-09-20 2003-04-11 株式会社パッコム 輪ゴムの反発力を利用した卓上スタンド
JP3106677U (ja) * 2004-07-20 2005-01-20 株式会社 トライエックス 壁掛卓上兼用カレンダー
JP2008137298A (ja) 2006-12-01 2008-06-19 Planet Company:Kk 枚葉物収納ラック用の枚葉物支持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916U (ja) * 2002-09-20 2003-04-11 株式会社パッコム 輪ゴムの反発力を利用した卓上スタンド
JP3106677U (ja) * 2004-07-20 2005-01-20 株式会社 トライエックス 壁掛卓上兼用カレンダー
JP2008137298A (ja) 2006-12-01 2008-06-19 Planet Company:Kk 枚葉物収納ラック用の枚葉物支持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760U (ko)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5213B2 (en) Affixable belt clip for a phone incorporating an adjustable kickstand
JPH1128885A (ja) 紙ばさみ
US20180279768A1 (en) Folding table
US8672285B1 (en) Document holder
KR200456503Y1 (ko) 기록지용 받침기구 및 이를 갖는 기록지
WO1997019443A1 (en) Collapsible stand
CN101628516A (zh) 夹持件
CN109268646A (zh) 可方便安装的通讯装置
KR101245866B1 (ko) 접이식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장지와 종이접기재료
WO2007069842A1 (en) Binding goods having covers for standing
KR101973692B1 (ko) 스탠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
JP3117788U (ja) 袋保持具
KR102055571B1 (ko) 노트북 지지대
CN220792752U (zh) 环形可折式支撑结构
JP3117788U7 (ko)
JP3219889U (ja) 書類ホルダー
JP2007151927A (ja) 挟持固定式折り畳みテーブル
WO2024027497A1 (zh) 一种可移动设备保护及支撑装置
JP7437105B2 (ja) スマートフォンのホルディング装置
US9351564B1 (en) Document holder
CN220355075U (zh) 可折式物品支撑结构
JP3093594U (ja) マイクロホンスタンド
KR102402593B1 (ko) 독서대
JP3229770U (ja) スタンドホルダ
CN211222670U (zh) 可立式印刷出版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8